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노인에 대한 일반노인의 인식도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3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elderly affects relational aggression, clarify the need for an expert improvement program, and provide data for the smooth relationship of the elderly using community elderly facilities. Method : A survey of 134 people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awareness through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elderly for the general elderly aged 65 or older who visit community elderly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existing in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elderly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Result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inal education, spouse presence, and economic lev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al agg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 the final education, housing type, and economic level. Third, in the sub-area of the acceptance attitud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the perception of the work ability of the disabled, and the favor as reason for the disabled affect relational aggression. Conclusion : For the coexistence of the general elderly and the disabled in community elderly faciliti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ere some areas of negative perception of the disabled elderly, and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improve relational aggression. 목적 : 본 연구는 일반노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노인 인식이 관계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전문가적 개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밝히고 지역사회노인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원만한 관계형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노인시설에 방문하는 65세 이상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장애노인 수용태도를 통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134명의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의 결과값을 바탕으로 장애노인에 대한 일반노인의 인식도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일반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 수용 태도에서는 최종학력과 배우자 유·무, 경제적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관계적 공격성에서는 최종학력과 주거형태, 경제적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일반노인의 장애인 수용 태도의 하위영역에서 장애인 수용에 대한 태도, 장애인의 업무능력에 대한 인식, 장애인에 대한 이성으로서의 호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 지역사회노인시설에서 일반노인과 장애노인의 공존을 위해서 일반노인의 장애노인에 대한 일부 부정적 인식 영역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관계적 공격성의 개선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와 위험요인들에 대한 조사 연구

        조용래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3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nd risk factor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in older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ry and Anxiety Questionnaire as well as other questions of interest was administered by expert interviewers to 833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dwelling in the areas of Chuncheon and Whacheon, Gangwon-do. The percent of older adults meeting the DSM-Ⅳ criteria of GAD was 2.76%. As expected, its percent was marginally higher in female group than in male group. Of several risk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risk health, and ageis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the diagnosis of GAD and the level of GAD symptoms. Additionally, sex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latter. Next, the effects of sex differences in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were explored. In males, perceived risk heal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the diagnosis of GAD and the level of GAD symptoms, whereas in females socio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of them. While age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GAD symptoms in men, perceived risk health, ageism,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GAD symptoms in women. Of their worry themes, the frequency of worry about family was the highest, and then the health of self, finance, the health of significant other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worries about family and the health of self than elderly men, while the latter was more likely to report worries about finance, the health of significant others, work/occupation, and community/world affairs than the former. Last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GAD features as well as the need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e problems of older adults. 본 조사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실태를 파악하고 그 위험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강원도 춘천 및 화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 833명을 대상으로 전문 면접원들이 한국판 걱정 불안 질문지에 있는 문항들과, 다른 관심 있는 질문들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킨 노인들의 백분율은 전체의 2.76%였으며, 남자 노인들에 비해 여자 노인들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진단과 증상 수준 양자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 건강 위험성지각, 그리고 차별 대우 경험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들의 수준은, 이 외에도, 성별 및 사회적 지지 양자 모두와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에 대한 위험요인들의 역할이 남녀 간에 상이한 지를 탐색해 본 결과, 일반화된 불안장애 진단과 증상 수준 양자 모두, 남자 노인들에서는 건강 위험성 지각이, 여자 노인들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더해,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 수준은 남자 노인들의 경우 주변으로부터의 차별 대우 경험이, 그리고 여자 노인들의 경우 건강 위험성 지각, 차별 대우 경험 및 사회적 지지가 각각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노인들의 걱정 주제는 가족, 자신의 건강, 재정, 중요한 타인의 건강 순으로 그 응답빈도가 높았다. 가족 및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걱정은 여자 노인들이, 재정, 중요한 타인의 건강, 일/직업 및 지역사회/세상사에 대한 걱정은 남자 노인들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 끝으로, 이 결과들에 관하여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특징들의 빈도와, 이런 문제들에 대한 예방적 및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을 기준으로 -

        송은경,원희랑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8 임상미술심리연구 Vol.8 No.2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aging society, this study divided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rom 2008 to October 2017 into the general elderly and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The research materials were based on a total of 233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First, generally indicate that medical diagnosed elderly is more frequent than studies of general elderly. Second, both groups had the highest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The objective test tool was used it a lot KGDS, RSE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MMSE-K, KGDS for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Projective test tools used it a lot KHTP, DA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used the KHTP, LMT, DAP. Third, in the research topic, general elderly showed up in order of psychological health, self-growth, and interpersonal areas, whil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showed up in order of psychological health, cognitive and interpersonal areas. The total treatment session be long in medically diagnosed elderly, and treatment time be long in general elderly. In the method of art expression, unlike the general elderly,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used a lot of coloring and collaging.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inding appropriate art treatment intervention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medical diagnosed elderly. 본 연구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2008년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이 기간에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233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은 전체적으로 의학적 진단노인 연구가 일반노인 연구보다 빈도가 높으나, 최근에는 일반노인 연구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유형은 두 집단 모두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객관적 검사도구는 일반노인은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의학적 진단노인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형 노인우울검사를 많이 사용하였다. 투사적 검사도구는 의학적 진단노인에서 더 많이 사용하며, 일반노인은 KHTP와 DAS를, 의학적 진단노인은 KHTP, LMT, DAP를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에서 일반노인은 심리건강, 자아성장, 대인관계 영역 순으로, 의학적 진단노인은 심리건강, 인지, 대인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총 치료회기는 의학적 진단노인이 길었으며, 치료시간은 일반노인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표현방법에서는 전체적으로 자유화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일반노인과 달리 의학적 진단노인은 색칠하기와 꼴라주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에 대한 적절한 미술치료 개입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허성희 ( Heo Seong Hui ),정명희 ( Jung Myoung He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전반적 및 영역별(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자살생각 감소 및 자살예방을 위한 차별화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 사용된 분석자료는 제10차 한국복지패널(2015) 자료를 활용하여 중위소득 60%미만의 저소득노인 3,186명, 중위소득 60%이상의 일반노인 1,942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노인의 자살생각은 4.5%로 일반노인의 2.4%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생활만족도 중에서 저소득노인은 건강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및 전반적 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반노인은 건강만족도, 직업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영역별 생활만족도에 따라 차별화된 대책 마련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the low-income elderly and the general elderly over 65 years of ago, and was to find differentiated approach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nd prevent suicide in both groups.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of low-income elderly is 4.5%, which is higher than 2.4% of general elder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case of lif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elderly, whereas general elderly were predictors of health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practical and th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both groups and for differentiated measures accord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each area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elderly and general elderly.

      • KCI등재후보

        제주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승한 ( Seung Hahn Koh ),김진영 ( Jin Young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6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수노인들의 부양체계와 복지수준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탐색함으로써 장수노인들의 삶의 질적 수준 향상, 사회적 부양 정책 수립 및 향후 장수와 관련된 제반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지 면접조사가 사용되었고, 특히 359명의 85세 이상 장수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장수노인의 주거환경, 경제생활, 건강상태 및 의료서비스, 가족관계 및 부양대책, 여가 및 사회생활,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 일반사항 등 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가 분석되었다. 그리고 향후 제주장수노인의 복지대책을 위해서 소득보장, 보건의료서비스보장, 부양대책, 일자리 프로그램, 주거보장, 여가생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보호 등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social nursing system and welfare level in Jeju`s elderly people over 85-year old have exposed. It is also focused on seeking out some significant and optimal policies to improve the existing social nursing system and welfare practices for Jeju`s old-oldest people. Both literature review and social surve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especially relying on in-depth interview survey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Given to the elderly in Jeju, the primary factors such as residence environment, economic life, health service status, family nursing problem,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ervice policy, and so on for themselves were analyz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ing from 359 old-oldest ones. This study implies future welfare policies(i.e., income, health care service, nursing, residence, leisure, community care program, etc.) for Jeju`s elderly people, thus to be initia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ith advent of aging society,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a sort of cornerstone to make Jeju people prepare for those welfare policies.

      • KCI등재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

        현재섭(Hyun, Jae Sub),최응렬(Choi, Eung Ryul)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범죄피해두려움은 경찰의 치안정책 평가척도로써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국외에서 1960년대부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범죄피해두려움의 대다수 연구는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노인, 여성, 장애인, 외국인 등 사회적 약자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있어서도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노인에게 있어서 성별을 중심으로 범죄피해두려움을 수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은 심리적·신체적 요인 등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범죄피해두려움을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과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남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성폭력범죄 제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지역유대,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저항능력,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Fear of crime victimiz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s a measure of the police’s security policy evaluation. The study on fear of crime began when it wa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1960s abroad,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the 1980s. Most of the research on fear of crime victims seek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fear of crime.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due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women, the disabled, and foreigners. In particular,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by gender. Older men and older wome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Specif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ization of the elderly male and female elderl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he fear of crime was divided into general fear of crime and fear of specific cr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each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were investigated as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in the elderly. Indirect news,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local ties, and polic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s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excluding sexual violence crimes) among older men.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police activity. Influencing factors on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sistance 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a policy suggestion about fear of crime victims by gender.

      • KCI등재

        손상으로 입원한 전·후기 노인의 융복합 비교분석

        선미옥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principal diagnosis, injury-relat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ransportation accidents between young-old and old-old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owing to injury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s. We used a complex sample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t-test). Therefore, the primary focu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ing with the old-old should prevent falls in the home and increase the available medical care, financial aid plans, and psychosocial support for aging. Additionally education on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nd road safety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old-old patients. 본 연구는 손상으로 입원한 노인을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구분하여 전·후기 노인의 일반적 특성, 주진단명 특성, 손상관련 특성 및 운수사고 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은 전기 노인은 건강보험이 높은 반면, 후기 노인은 의료급여가 높게 나타났다. 주진단명 특성은 전기 노인은 뇌 손상이 높았고 후기 노인은 대퇴골 골절이 월등히 높았다. 손상관련 특성은 전·후기 노인 모두 낙상이 가장 높았고, 후기 노인에서 손상발생장소로 가정이나 주거지가, 일상생활 중, 의도성 자해가 높았다. 운수사고 유형은 전기 노인은 승용차 운전자가 높았고, 후기 노인은 보행자 사고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후기 노인은 전기 노인에 비해 더 많은 의료서비스, 경제적 지원, 주거지 중심의 낙상 예방 대책 및 자살 등 의도적 손상 예방을 위한 사회 심리적 전략이 요구되며, 후기 노인의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및 도로 등 안전한 보행 환경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유형과 노인 임파워먼트의 관계 - 전문봉사와 일반봉사의 비교분석 -

        곽미정,금상욱,강문희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3

        This study categorizes senior citizen community services into professional and general services through the employment of professionalism in senior citizen community services activities and analyzes discrepancy in the empowerment of senior citizen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preceding empirical analyses, which merely remark that senior citizens performing community services enhance their efficacy and self-satisfaction, this study starts off on a premise of individual empowerment theory that self-satisfaction and efficacy may vary depending on the given activities and their type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340 active community service members over 60 years of age at the Jecheon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 Frequency and variance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answers of 310 survey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community service group that exploited on the professions of senior citizens displayed much higher empowerment of senior citizens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is fact implies that, as senior population becomes more educated, i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mpowerment if we were to exploit professionals and experts to educate and train other members for practicality. 본 연구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성 활용의 여부를 통하여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전문봉사와 일반봉사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 두 집단 간의 노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이 단순히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자체가 자기만족이나 효능감을 가져온다고 본 것에 더하여, 주어진 활동과 유형에 따라 만족과 효능감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개인 임파워먼트 이론의 이론적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교적 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한 제천시 노인복지관의 60세 이상 노인들 340명을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인 310명의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및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노인자원봉사활동에서 노인들의 전문성을 활용한 전문자원봉사집단과 일반봉사 집단을 비교해볼 때, 전문자원봉사집단의 경우 훨씬 더 유의미한 노인 임파워먼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밝혀주고 있다. 이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향후 우리나라의 노인의 인력이 점차 고학력화 됨에 따라, 노인의 축적된 전문 인력을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고려하여 정책 및 실천적 측면에서 교육하고 활용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노인 임파워먼트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

        이유진,김의준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연구는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건강상태에 따라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 등에 의한 영향력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종속변수의 모든 범주에서 설명변수의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평행선 가정을 완화하여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경우 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 확률이 감소하나 도시 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과 농촌 노인의 건강상태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인 경우에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차량 보유율이 낮고, 의료 시설과의 거리 및 이동시간이 긴 농촌지역에서 의료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제약이 크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농촌지역의 건강 취약 노인 계층의 의료 서비스 이용 제약 완화를 위해 대중교통체계의 효율적 개선, 이동식 의료 서비스의 확장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Since the influence from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elderly depends on their health status, this study applies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which relaxes parallel lines assumption. The results show enhanced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lowers the possibility tha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rural elderly is bad or very bad, and bet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reduces the likelihood of rural elderly having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is greater among the elderly in worse health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health of urban elderly is not affected neither by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 nor by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t implies that weak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impedes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 in rural area, and the elderly in lower health status is more vulnerable to the lack of access to medical service.

      • KCI등재

        국내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애실,송주석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3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 연구 26편의 논문을선정한 뒤, 일반군과 위험군 대상 연구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반군 대상 프로그램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크기(g=0.63)가 나타났고, 노인 위험군 대상 프로그램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g=0.91)가 나타났다. 자살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을 조절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노인 일반군에서는 구분에 의한 효과그기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위험군에서는 억제요인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