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ㆍ제도적 조건

        주효윤(Ju, Hyo-Y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4

        Speed which is unlimited, it couldn't be reasonable that the deviation phenomena of internet utilization space should be free from legal management and governmental interference and legal norm and governmental intervention would well and truly bring cyberspace problems to settlement. Such is the point within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that the pure civil self-regulation without governmental factor couldn't guarantee regulation efficiency. If so, the most effectual means of eliminating illegal or harmful element of internet based services despite particularity of internet and ensuring sound internet environment will be self-regulation governance composed of government, internet business, and private organization with cooperative consent. Now self-regulation must be distinguished from un-regulation which breaks with administrative regulation, because self-regulation of Korea is confronted with the new phase of affairs due to inauguration of KISO(Korean Internet Self-Governance Organization). On account of internet governance, Internet self-regulation is mended into social responsibility leading to conversion of discipline system from the view point of regulatory composition. In this viewpoint, this article inquires jurisprudential review of the status quo debate on internet self-regulation with regulatory patterns which contain contents regulation but almost exclude structural regulation.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의 위헌결정과 향후 대응방안

        강명구 ( Myung Gu Kang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12 과학기술법연구 Vol.18 No.3

        인터넷을 통한 불법정보 등의 유통에 따른 역기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된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에 대한 위헌결정에 즈음하여, 본고에서는 이른바 ``인터넷실명제’의 도입배경 및 그 헌법적 쟁점과 해결이론을 분석한 후,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와 공직선거법의 실명확인제도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적 사안 및 그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평가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정보통신망법의 본인확인제도가 지니고 있었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보완을 위한 대응방안으로서의 인터넷자율규제에 관한 현행법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regard to the recent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Act”), which was introduced to as a means of blocking the adverse effects of illegal information circulation via the internet, this will first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adaptation of the “internet real-name confirmation system”, the constitutional issues and solution theories followed by specific matters in relation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The Act, and a real-name confirmation system of the Pubic Official Election Act and an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Constitutional Court`s assessments of these matters, all with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ct`s identification system, and as a countermeasure for supplementation, the problems inherent within the internet self-regulation laws and the legislative measures have been suggested.

      •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제도적 조건

        주효윤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8 No.4

        Speed which is unlimited, it couldn't be reasonable that the deviation phenomena of internet utilization space should be free from legal management and governmental interference and legal norm and governmental intervention would well and truly bring cyberspace problems to settlement. Such is the point within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that the pure civil self-regulation without governmental factor couldn't guarantee regulation efficiency. If so, the most effectual means of eliminating illegal or harmful element of internet based services despite particularity of internet and ensuring sound internet environment will be self-regulation governance composed of government, internet business, and private organization with cooperative consent. Now self-regulation must be distinguished from un-regulation which breaks with administrative regulation, because self-regulation of Korea is confronted with the new phase of affairs due to inauguration of KISO(Korean Internet Self-Governance Organization). On account of internet governance, Internet self-regulation is mended into social responsibility leading to conversion of discipline system from the view point of regulatory composition. In this viewpoint, this article inquires jurisprudential review of the status quo debate on internet self-regulation with regulatory patterns which contain contents regulation but almost exclude structural regulation.

      • KCI우수등재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실명제의 헌법적 문제 ― 헌재 2021. 1. 28. 2018헌마456등 결정을 중심으로 ―

        김현귀(Hyungui Kim)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2

        인터넷 실명제는 인터넷 이용에 앞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로 실명인증을 하게 하는 제도이다. 시간적으로는 선거운동기간에만 한시적으로 적용되고, 내용적으로는 후보자나 정당에 대한 지지·반대의 표현으로 한정되며, 적용 범위도 인터넷언론사의 게시판 등에만 한정된다. 이 때문에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실명제는 과도하게 익명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2021년 1월 헌법재판소는 공직선거법상 인터넷 실명제가 위헌이라고 결정하였다. 후보자나 정당에 대한 지지·반대의 정치적 표현을 익명의 방법으로 할 수 없게 한다는 것은 주제에 근거한 차별로서 내용규제에 해당한다. 정치적 표현에 대한 이런 내용규제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흑색선전이나 허위사실의 유포가 염려된다는 추상적인 위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익명의 정치적 표현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인식 가능한 해악이 있어야 한다. 방법 측면에서도 인터넷 실명제는 인터넷언론사 게시판 등이라는 일정한 공론장에 진입하려는 모든 사람의 실명을 확인하고 이를 확인받지 않은 사람에게 발언권을 주지 않는 형태로 운영된다. 흑색선전이나 허위사실의 유포로 선거의 공정성이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유권자들이 선거운동을 위하여 인터넷 접근하는 것을 광범위하게 제약한다. 더불어 광범위한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여 보관하도록 한다. 인터넷 실명제로 제약되는 다수 유권자의 인터넷 접근과 익명성은 작아 보일지 모르지만, 선거의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후보자나 대표자의 이익을 위하여 다수의 유권자가 이를 양보해야 할 이유는 없다. 선거의 공정성은 후보자나 대표자가 아니라 유권자인 국민을 위한 가치이다. The Identity verification system(IDV) on internet is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authenticate their real-name using personal information prior to using the Internet. In terms of time, it is applied only temporarily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and the content is limited to expressions of support or opposition to candidates or political partie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limited only to bulletin boards of Internet media companies. For this reason, it was judged that the IDV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did not infringe on the freedom of anonymous expression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in January 2021,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IDV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as unconstitutional. To prohibit political expression of support for or opposition to a candidate or political party in an anonymous way is discrimination based on the subject and falls under content-based restrictions. In order to justify such content-based restrictions on political expressions, the abstract risk of propaganda or spreading false information is not sufficient. There must be specific and recognizable harm that can be caused by anonymous political expression. In terms of method, the IDV is operated in such a way that the identity of all those who want to enter a certain public forum, such as bulletin boards of Internet media, are checked and those who have not been confirmed are not given the right to speak.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ion fairness from being compromised by the propaganda or spread of false information, the Internet access of voters for election campaigns is extensively restricted. In addition, personal information of a wide range of people is collected, used, and stored by the act. The Internet access and anonymity of the majority of voters restricted by the IDV may seem small, but there is no reason why the majority of voters should yield to the interests of a few candidates or representatives. Election fairness is a value for the people who vote, not for a few candidates or representatives.

      • KCI등재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 및 인터넷 실명제의 헌법적 평가

        이상경(Sangkyung Lee) 한국언론법학회 2012 언론과 법 Vol.11 No.2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라는 쟁점을 극단적으로 단순화하면 새로운 형태의 선거활동의 자유와 선거보도의 공정성의 충돌 문제로 묘사될 수 있다. 자유냐 공정이냐 혹은 두 가치가 양립할 수 있는 접점은 어디냐가 주된 화두다. 여기서 우리는 인터넷의 특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인터넷세계에서 언론의 자유는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의 문제를 거론해야 한다. 그리고 인터넷 언론과 선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향후 두가치가 어떤 방향으로 실현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현대 사회에서 개개국민의 언론의 자유와 언론매체의 미디어의 자유의 참된 의미는 정치권력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을 보장해 주려는데 있다. 거대정치세력에 대한 비판세력의 새로운 공론장(public sphere)이 언론의 자유와 미디어의 자유의 접합점이다. 여기에 이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게 되어 인터넷 언론은 현실세계가 아닌 가상세계게에서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이 새로운 선거운동의 매체가 되면서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의 공정성 담보가 화두가 되었다.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와 관련된 공정성 담보장치로서의 공직선거법상의 규정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논의되어야 한다. 인터넷실명제의 위헌판결을 통해서도 일부 강조된 바와 같이 인터넷 언론은 가급적 자정작용(self-filtering) 혹은 시장자율통제 적합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인식 내지 이해의 기반위에 제19대 총선에서 드러나 인터넷 언론의 선거보도의 현황에 대해 점검하고 나아가 제18대 대선에서 쟁점으로 부각되는 인터넷 선거보도의 문제, 특히 인터넷 실명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The simple issue of the internet media’s election news reports can be defined as a confliction of values between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and the fairness of the internet election news reports. The main theme here would be what kind of values, the freedom or the fairness, we should prefer when it comes to a confliction, and where we could find the harmonious contact point between those two important values. Here, we should talk about the special characters of the internet and how we would evaluate the freedom of speech in the cyber-world. Furtherm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media and election, and examines how these two values can be realized or fulfilled in the future. In the modern societies,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freedom of media have been conferred on the people and the mass-media respectively to protect the free criticisms against the strong political powers.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reedom of speech and media could be a new public sphere for the critics against gigantic political powers. This article understands that the internet as one of new media can function as a public sphere in cyber-world. Since the internet has been a new method of election campaign, the issue of the protection or guarantee of the fairness of internet media’s election news reports arises.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has decided as unconstitutional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by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Thus, in the internet-world, the self-filtering system or the market place autonomous control should be preferred over the heteronomous contro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rrent internet election news reports situation during the 19<SUP>th</SUP> general election period, and examines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by the Election Act,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subtle and political issue for both Presidential campaign camps.

      • KCI등재

        인터넷 선거운동 법제화의 현실검토와 헌법적 범주에서의 새로운 법제화를 위한 연구 - 인터넷 실명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2008 공법학연구 Vol.9 No.4

        <P>기존의 선거환경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과 기능상의 이유들로 인해 앞으로도 정치적이고 민주적인 수단으로서 인터넷의 가치는 계속 증대되어 갈 것이고, 따라서 인터넷은 철저한 헌법정신의 전제하에 법제도 안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현대 문명의 대표적인 利器이다. 인터넷 선거운동의 합리적인 제도화는 인터넷이 대의제 선거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효한 장치로 기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현행 우리 공선법상의 인터넷 관련 규정들은 선거의 공정과 부정선거행위의 방지에 더 골몰하여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을 간과함으로써, 인터넷으로 인하여 기본권 주체들이 향유할 수 있는 표현권의 증대를 오히려 지나치게 제한하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 글에서는 현행 공선법상의 인터넷 관련규제 규정에 대하여, 특히 인터넷 상의 실명강제규정을 도입한 것에 대한 헌법적 검토를 하였다. 우선 인터넷 익명성을 제한하기 도입된 우리 공직선거법상의 인터넷 실명제의 개념을 논의하였고, 관련 규정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인터넷 실명제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가 구 공직선거법 규정에 관한 헌법소원 결정에서 판시한 내용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이러한 법제와 판례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인터넷 익명성 보장을 긍정적인 전제로 다룰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 그러한 논지 하에서 현행 공직선거법상의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헌법적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정치적 표현에 대한 실명강제를 판단하기 위한 헌법적 고찰의 내용으로, 정치적 영역에서의 익명적 표현에 대한 형량의 헌법적 명제를 정치공동체 구성원들의 자질에 대한 신뢰의 문제와 사상의 양의 증가의 긍정적 평가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공직선거법의 인터넷실명제의 헌법적 문제점을 (1)익명에 의한 정치적 표현행위의 헌법적 가치, (2)표현 내용에 대한 규제로서의 실명강제, (3)익명적 표현행위자 개인적 측면(불이익의 강요), (4) 공직선거법 규정의 실명확인에 관한 기술적 측면(개인 정보 차원의 위험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P>

      • KCI등재

        인터넷게시판 실명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황용석(Yong-suk Hwa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2

        이 연구는 인터넷게시판 실명제의 시행을 앞두고 이 법안이 갖는 문제점을 문헌연구를 통해 탐구했다. 주요 연구문제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게시판 실명제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익명성과 일탈행위와의 높은 상관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은 두 개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지 않다. 둘째, 인터넷게시판 실명제가 추구하는 정책적 효과와 정책도구의 개념적 불일치가 존재한다. 인터넷게시판 실명제는 익명성의 다양한 차원 가운데 추적가능한 가명성(신원 확인이 된 가명 또는 id의 사용)을 제도화한 것이다. 그러나 이미 대다수 인터넷 사업자들이 자율적으로 이러한 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대다수 사이버문화의 부정적 현상들이 추적가능한 가명성 상황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범죄자의 추적에는 용이하지만 사이버 문화의 개선에는 그 효과가 미지수이다. 셋째, 익명적 커뮤니케이션은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해외 주요 판례와 정책들은 개인정보와 더불어 익명적 커뮤니케이션을 보호하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넷째,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 정체성을 드러내는 권한, 즉 익명성의 결정권한은 그 공간을 운영하는 공동체나 개인에게 있다. 국가가 강제적으로 법을 동원해서 인터넷게시판 실명제를 시행하는 것은 입법원칙으로서 법의 보충성 개념과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을 위배하는 것이다. At the point when the legisl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real name system on bulletin boards of the Internet, which means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is known on the Net, is enacted, the present study explored problems of the legisl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Major research questions and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in spite of the assumption of high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nonymity and the deviation from social norms on the Net, existing empirical studies have not supported the systematical evidenc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econd, there is a conceptual inconsistency between the policy effect sought by the regulation and the instrumental implementation of real name system on bulletin boards of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on bulletin board of the Internet could be seen as institutionalized base on traceable anonymity (anonymity that refers to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e.g., registered user name) among a variety of levels of anonymity. However, because most of Internet providers have already implemented such a system voluntarily, negative events that occurred in cyber culture due to anonymity have almost taken place in situations in which one can trace the anonymity. Accordingly, the enactment of the legislation is useful for tracing cyber crime, but the effect of the legislation might not be helpful in improvement of cyber culture. Third, anonymous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is a part of freedom of speech embodied in the constitution. Foreign legal cases and polici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protection of anonymity and other private information. Fourth, the right to expose personal identity, that is, to decide anonymity on the cyber space should be entitled to particular online communities or individuals. It is against the principles of the supplementary role to law and the self-decision toward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for the state to exert authoritative power by legalizing the real name system.

      • 인터넷 실명제의 도입과 헌법재판소 결정

        김현귀(Kim, Hyungui)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2013 헌법판례연구 Vol.1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실명제가 도입되고 발전하다가,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폐지되는 과정을 연혁적으로 관조해 봄으로써, 헌법재판소 결정문에서 행간의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2004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처음 등장했던 인터넷 실명제는 인터넷 역기능에 대한 효율적인 규제수단으로 주목받고, 정보통신망법을 통해 인터넷 전반에 걸쳐 시행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국민의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고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침해되는 여러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결국은 2012년 8월 헌법재판소로부터 위헌결정을 받는다.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을 내리게 되기까지 전후에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과 선판결들을 검토해보면, 판결문에서 침해되었다고 언급한 기본권 중에서 주로 인터넷 실명제를 위헌으로 이끈 것은 표현의 자유나 익명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개인정보보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meaning of decision which abolish the internet real name system can be revealed by describing the history of the system. First, the real name system was introduced by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mended in 2004. After that, it has being applied to the whole internet sphere of Korea by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because it has been received attention as an effective regulation tool to the internet malfunction. However the real name system caused side effects, chill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undermining information privacy, finally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e regulation based on the latter law unconstitutional in August 2012. In this case, we can find out in the surrounding context what fundamental rights mainly lead the regulation to the decision on unconstitutionality. It was not the freedom of expression or the rights to speak anonymously but the information privacy.

      • KCI등재

        정보통신망법의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임규철(Lim Gyeo-Cheol)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7 No.-

        인터넷 공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국가가 적극적으로 행하는 것은 공통적인 사항이다. 그러나 국내의 인터넷 실명제처럼 포괄적인 강력한 규제정책은 없거나 드물다고 볼 수가 있다. 인터넷 실명제는 사전검열 논란을 불러 오고 있다. 인터넷 산업의 갈라파고스 현상을 불러오면서 동시에 표현의 자유의 보호법익인 익명권을 과도하게 훼손하면서도 악성 댓글의 지속적인 감소를 적극적으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 결정을 통한 소셜 댓글 등에 대한 예외규정을 통한 국외 사업자와의 역차별정책은 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해할 수도 있다. 더불어 실명제 게시판 또는 비실명제 게시판 등의 운영 혹은 휴대폰이나 이메일 등의 다른 확인수단을 통해 피해의 최소성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괄적인 규정을 통해 실명제를 실시하는 것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의 한계인 최소성 원칙의 미충족 가능성이 높다. 실명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등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보안성이 취약한 민관기관으로의 제공은 정보의 불법수집으로 오남용을 하고자 하는 자(해커 등)에게 주민등록번호의 추가적인 획득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어 입법정책으로 바람직하다고는 보기가 힘들다. 2004년 공직선거법에 적용된 뒤 2007년 정보통신망법을 통해 적용대상이 확대된 정보통신망법의 인터넷 실명제가 달성하고자 하는 부작용 완화효과는 동 제도 외에도 형법 및 통신비밀보호법이나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일정 기간 보관되는 통신내역 등을 이용하여 행위자를 잡아낼 충분한 기술과 능력을 우리 사회는 가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도 2012년 업무보고를 통해 방향선회를 검토를 할 정도로 동 제도는 득보다 실이 더 큰 제도다.

      • KCI등재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연구

        성낙인(Sung, Nak-In),허진성(Hur, Jins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3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이 획기적으로 확대되면서 여러 가지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술적 진보가 창출해낸 대중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공간에 대한 기대는 낙관적인 전망을 불러오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확대된 가능성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는 현상도 무시할 수 없는데 이와 관련한 주된 논의가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실명제 논의와 관련한 기본적인 개념과 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찬반 논의의 타당성과 제도적 정비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Innovative changes are taking place as communication area between people are expanding greatly through the cyber space. The expectation for space of free communication of the public created by technical progress on the one hand brings about positive prospects; but practically, the expanded possibility may as well be used negatively. And the main argument about the issue is the one on internet real-name syst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types regarding the debate on internet real-name system,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debate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