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연령이 재무적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옥정 ( Kim¸ Ok-joung ),서용구 ( Suh¸ Yonggu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개인의 은퇴준비에서 재무적 준비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인지연령과 재무적 은퇴준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인지연령이 재무적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둘 사이의 관계에서 재무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 그리고 주관적 재무지식의 조절효과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20대에서 60대사이의 일반인 5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연령이 높을수록 은퇴준비를 더 많이 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가설 1지지), 인지연령과 은퇴준비 관계에서 재무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가설 2기각). 주관적 재무지식은 인지연령과 은퇴준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은퇴준비에 미치는 인지연령의 영향은 주관적 재무지식이 낮은 사람에게만 유의하고, 주관적 재무지식이 높은 사람들에겐 유의하지 않았다(가설 3지지), 그리고 가설 2에서 제시한 인지연령과 은퇴준비 사이에서 재무위험수용성향의 매개효과는 주관적 재무지식이 낮은 경우만 나타나고, 주관적 재무지식이 높은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가설 4지지). 이상의 결과에 근거한 학문적 공헌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s retirement preparation is the financial prepa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ge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We hypothesize the positive impact of cognitive age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H1), the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risk tolerance (H2), the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H3, H4). To test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with 591 individuals from 20s to 60s.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age positively affecte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H1;S). Financial risk tolerance did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ge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positively(H2;NS). For individuals with low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cognitive age worked, but for individuals with high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it didn’t(H3;S). Only for individuals with low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risk toler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ge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H4;S). Finally, academic contribu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are described.

      • KCI등재

        성인들의 노화사실인지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배문조(Moon Jo Ba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8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30대에서 50대의 성인남녀 723명을 대상으로 노화사실인지정도를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으로 나누어 파악하고 노화사실인지정도에 따라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노후준비의식의 하위변수는 노후준비시기, 노후의 국가정책에 대한 인식, 신체적 준비, 경제적 준비, 여가준비, 주거준비로 나누어지며, 성공적 노화의 하위 요소는 사회적 지지, 신체적 안녕, 경제적 안녕, 자아통합, 생산성, 자녀의 행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화사실인지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결혼상태 및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서는 노화사실인지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 학력, 직업 및 가계소득에 따라서는 노화사실인지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성인들의 노화사실인 지정도에 따른 노후생활 준비에 대한 의식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영역의 점수에 따라 노후의 국가정책, 신체적 준비의식, 경제적 준비의식, 주거준비의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영역에서는 신체적 준비의식과 주거준비의식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영역에 따라서는 주거준비의식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성인들의 노화사실정도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영역의 노화사실정도에 따라 성공적 노화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지지, 신체적 안녕, 경제적 안정, 자녀의 행복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의 노화사실인지정도에 따라 자녀의 행복 요소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 of facts on aging. Specially the study examined perceptions of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and successful aging by level of facts on aging.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723 adults drawn from Daegu and Kyung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degree of facts on aging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job and income.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and low level of facts on aging perception of physical and financial preparation. 3. High level of facts on aging`s adults reported more successful aging was children`s happiness as compared low level adults.

      • KCI등재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김도희(Do-Hee Kim),이현주(Hyun-J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239명(18-28세)으로부터 온라인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메타인지는 학업성취도, 진로준비행동, 소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메타인지가 소명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로 하여 소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메타인지가 학업성취도를 거쳐서 소명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취도 및 진로준비행동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소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진로준비행동의 하위 요인 중에서 자기이해행동과 직업능력 향상행동이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며, 직업세계 탐색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요약하면, 메타인지를 잘 활용할수록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가 높고, 취업 준비를 위한 활동(예: 동아리 활동, 모의 실습, 직업과 관련된 봉사활동, 현장 실무경험)에 더 많이 참여하며, 이러한 진로개발을 통해 소명을 갖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메타인지가 학업뿐만 아니라 진로개발과 소명 형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인지적 역량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메타인지를 활용하여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 효율적으로 진로를 계획하며 행동을 추진하도록 격려하는 개입은 일을 통해 자기를 실현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the calling of university students to investigate whether academic performa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 that relationship. Methods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39 university students (18-28 years old), and the SPSS and PROCESS Macro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Results Metacogni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lling. In addition, although the direct effect of metacognition on calling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calling when it was mediated thr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metacognition on calling through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effect on calling of progressing sequentially through academic performa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 and career competency improvement behavio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calling,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world explo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summary, it shows that the more effectively metacognition is utilized, the greater one’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the more one will participate in activities that prepare one for employment (e.g., club activities, mock practice, career-related volunteer activities, or fieldwork experience). Such career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all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etacognition is an important cognitive competency that contributes not only to academic performance but also to career development and calling formation. Therefore, interventions that encourage people to explore values and meaning, efficiently plan their career paths, and promote actions using metacognition can help people live a life of self-fulfillment through their career.

      • KCI등재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박윤조,송하나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at mother’s daily hassles,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are prospectively related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o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between mother’s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lso in particular children’s sex. This study used data from 273 preschooler and their mot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24.0 and Mplus 6.0. Pearson’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ulti group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hassle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owever, mother’s hassles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life habit and attitude. Secon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ir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of school readiness. Also,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Forth, mother’s hassles had a little effect on boy’s cognitive regulation, but boy’s cognitive regulation had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stronger than girl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én & Muthé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의 인지와 사회-정서 발달이 읽기와 수학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임선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2 아동과 권리 Vol.16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들의 학교준비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인지 및 사회-정서 발달과 이후 읽기와 수학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종단연구 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5학년까지의 미국 아동들의 종단적 자료(ECLS)를 사용하였으며 유치원, 3학년, 5학년의 세 시점에 모두 참여하고 빈곤수준 이하 수준의 생활환경에 살고 있는 1,730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준비도와 행동적 준비도가 읽기와 수학성취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며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을 매개한 간접적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술과 자아-개념도 읽기와 수학성취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준비도(인지적 준비도와 정서적 준비도)의 중요성을 타당화하고 이러한 학교준비도가 저소득층 아동들의 인지와 사회-정서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적응과 성취를 증진하도록 돕기 위하여 학교 입학 전 학교준비를 시키는 개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교육적 시사점이 있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some low-income groups are at a disadvantage in terms of academic success when compared to high- income groups. Previous research has posited several explanations as to why the achievement gap still rem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existing research on academic achievement by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academic achievement (reading and math) in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background. Using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ECLS-K),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perated differently for subject achievement. By identifying the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at may impede or facilitate student performance, educators coul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low-incom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준성(Kim, Jun Seong),천성문(Cheon, Seong Moon)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 효과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25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SPSS 25.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장벽은 인지적 유연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인지적 유연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는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들에게 진로준비행동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유연성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25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sing SPSS 25.0 and AMOS 20.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flexi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flexibility was mediated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high career barriers need to intervene in cognitive flexibility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Kim Hye J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iddle aged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on preperation behavior for their old age and moderate effect of knowledge about policy for olderly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peration behavior for the old age. Second, the knowledge about policy for olderly people show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and preperation behavior for aging.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to policy makers and service providers for improving the current policies and services in order to prepare for aging. 본 연구는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중년층의 노인복지제도에 대한 인지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국민연금연구원 3차 국민노후보장패널 본조사 및 부가조사를 활용하였으며, 40세에서 60세인 중년층 1,962명을 대상으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노인복지제도에 대한 인지여부를 파악하였으며, 노후준비행동은 신체적 준비행동, 경제적 준비행동, 사회․정서적 노후준비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현재보다 노후생활이 나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중년층의 노인준비행동에서는 신체적 노후준비행동 점수가 3.30점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았으며 보통수준 이상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층의 노후생활인식은 노후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노인복지제도의 인지여부가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대해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제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대상 및 이들 대상에 대한 정책효과 등에 대해 예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중년층이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식의 체계적인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불안 및 학업지연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사례연구

        박상미 ( Park Sang Mee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입시를 준비하는 대학생의 불안 및 학업지연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와 내담자의 인지ㆍ정서ㆍ행동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사례는 심리교육(Psychoeducation), 자기감찰(Self-monitoring) 및 역기능적 사고의 전환을 통한 인지적 재구성(Cognitive Restructuring), 단계적으로 과제 부여하기(Graded Task Assignment) 및 예행연습(Rehearsal)을 포함하는 행동 개입에 초점을 맞춰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출신 대학생이며, 상담 당시 국내에서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고 있었다. 상담은 M연구소에서 화상 형식으로 2022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50분씩 총 11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 내에서 수집된 내담자의 주관적 보고를 포함한 회기별 기록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인지ㆍ정서ㆍ행동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불안을 촉발하고 유지하는 역기능적인 사고 및 신념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적응적인 사고로 수정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치료 실시 후에 내담자가 지각하는 불안의 수준이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치료 실시 후에 학업 상황에서 내담자의 지연행동이 감소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reducing anxiet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ntrance exams, as well as to observe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client.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components: the psychoeducation, the self-monitoring and the cognitive restructuring through the modification of dysfunctional thoughts, and the behavioral interventions including graded task assignment and rehearsal. The client is an international student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South Korea, who was preparing for graduate school entrance exams at the time of counseling. The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via video conferencing at the M-Counseling from September 2022 to December 2022, once a week for 50 minutes each session, totaling 11 sessions. To verify the therapeutic effects,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of the client were examined based on subjective reports collected during the sessions and session-by-session record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ysfunctional thoughts and beliefs that triggered and maintained the client’s anxiety were identified and modified into adaptive thoughts. Second, the client’s perceived level of anxiet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BT. Third, the client’s procrastination behaviors in academic situations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BT.

      •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정서,인지,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지은 ( Ji Eun Park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9 사회복지실천 Vol.8 No.-

        인간의 죽음태도(death attitude)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시대와 사건에 따라 다른 의미가 부여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는 대체로 죽음에 대해 거부하고 부정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죽음을 준비한다는 의식 또한 낮은 수준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며 특히, 인간의 발달단계상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들에게 죽음(death)은 생애의 마지막 중요한 과제임에도 죽음준비는 매우 낯선 행위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까지 죽음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불안, 공포를 중점적으로 현재 노인들의 죽음의 태도를 연구해 왔던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태도를 정서적 불안, 인지적 수용, 행동적 반응의 세 요소로 구분하고 Corr(1995)가 제시한 정서적 차원, 인지적 차원, 행동적 차원의 지표에 따라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시는 노인들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어 유사 실험 설계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입 이후 정서적 불안 정도는 감소하였고 인지적인 수용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긍정적인 행동적 반응이 나타났다. 이처럼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사고는 임박한 문제로 죽음의 문제에 있어 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할 때 정서적인 불안이 감소하며 실질적인 행동적 준비가 가능한 것을 도출하여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노년기에 죽음준비 교육은 죽음의 태도에 다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죽음준비가 보편화되어 적극적으로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Earlier research related to death has mostly studied focused on the anxiety and fear of death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however, divided the attitudes toward death into three categories: emotional anxiety, cognitive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dex of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Corr(1995).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ntroduced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observe the attitude of anxiety,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to dea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By choo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the type 1 of quasi-experimental design as the research method, subjects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2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in a senior welfare cente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12.0). Analyse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ANCOVA were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paired t-test to test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was that emotional anxiety was decreased, cognitive acceptance was increased, and positive behavioral reaction was shown.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es observe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anxiety, cognitive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was a negative correlation, that is, the more cognitive acceptance was increased, the more emotional anxiety toward death was decreased. The study showed that cognitive acceptance toward death occurs as a behavioral reaction. Based on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eath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nd conducted at multilateral levels that combine the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spects of human beings and the value that Corr(1995) has suggested. Second, after sufficient verification of whether the instructors are qualified or not, death education should proceed focused on the feedback from the death education program, the instructor`s life, the lives of their clients and this feedback will guide instruction. Third, programs that reflect on current life situations while ruminating on the meaning of the past, even though death education is focused on the preparation for the death, should be included. Fourth, a following study on the change of the attitude toward death among the elderly will be needed to monitor the continuance of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Fifth, social workers need to accept the problems of life and death actively, and to have practical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death education. Sixth, while combining multi-discipline studies with the experiences learn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in practice and with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eneration and family including couples or couple with children should be practiced systematically.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진민진,현명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2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아동·청소년기 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초기 성인기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에 해당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0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간접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립준비청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개입을 위해, 아동·청소년기 외상 후 형성된 초기부적응도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 역할 및 중요성을 고려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이 호소하는 대인관계문제의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경험한 아동·청소년기 외상에 대한 초기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youth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arly adults, aged 18 to 34, and data from 201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ach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Furthermor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reflect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are developed following childhood-adolescence trauma. This study provid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reported by youth in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and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arly interventions for the traumas experienced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