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발달과 인지발달 중재 프로그램

        윤혜경 인지발달중재학회 20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 No.1

        인간발달은 유전과 환경 ? 경험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인지적 측면이나 지적 능력의 변화도 마찬가지로 연령과 더불어 발달하면서 또한 교육의 영향을 받는다. 본 고에서는 인지와 인지발달, 특히 여러 인지발달 이론들이 가정하는 인지발달의 원동력이나 기제를 살펴본다. 또한 인지와 사고와의 관계, 사고의 특성 등을 검토하고 인지의 변화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실제적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상이한 시각의 인지발달중재 프로그램(사고력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사고력 프로그램의 형태나 특성, 사고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그리고 사고력 프로그램 선택의 문제를 논하였다.

      • 인지발달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신-피아제적 해석

        강영하, 최건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9 公州敎大論叢 Vol.25 No.-

        Case 의 신피아제 이론은 인지 발달연구의 구조적 접 근과 과정적 접 근을 통합하여 새롭게 제 기 된 “ 과정-구조 ” 이론이 다. Case 는 “ 실행 제어구조 ” 라는 개 념을 고안하여 인지 발달의 구 조와 과정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계이행의 과정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가정을 제안 하였다. 여기서는 앞에서 고찰해 온 “과정一구조” 이론을 그 핵심적 가정을 중심으로 정리함 으로써 아동 교육과정개 발의 인지발달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 아동초기의 인지능력의 모형 1) 가장 초보적인 수준에서,어린이의 정신과정은 두가지로 분할해 블 수 있다. 즉,①자극 의 현재상태를 표상하는 것과 ② 이러한 형태를 어떤 다른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표상하는 것이다. 전자는 형태스키마 또는 상태표상으로 명명되며, 후자는 조작스키마 또는 조 작으로 명명된다. 2) 출생시부터-어린이들은 그들의 인지적 및 정의적 경험에 대해 어느정도 자발적인 통제를 실행할 수 있다. 3) 이런 실행제어를 허용하는 구조는 형태적 및 조막적 스키마가 일시적으로 조직되는 계열 을 이루며, 그것은 3 부분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첫째, 어린이가 현재 발견하는 특정 상태를 표상하는 스키마 둘째, 더 상위의 정의적 가치가 있는 어떤 다른 상태를 표상하는 스키마. 그리고, 한 상태에 서 다른 상태로 가져 가는 조작계열을 표상하는 스키마 등이다. 이 세가지 성분은 각각 문제상황, 목표, 전략으로 명명된다. 2. 발달의 구조적 모형 1) 각 실행제어는 다른 구체적 문제상황을 다루는 장치를 나타낸다고 할지라도, 모든 실행 제어구조는 시간에 따라 일련의 유사한 변환을 거친다. 그리고 그것은 성인의 제어구조형식을 추구하는 일반적 및 보편적 단계의 계열로 통과된다. 2) 4개의 실행제어구조 발달의 대단계는 4개월에서 19세 사이에서 확인되는데, 그것은 감각운동기, 관계기, 차원 및 벡터조작 단계 등이다. 이러한 단계률 변별하게 하는 것은 어린 이가 표상하고 조작해야 하는 관계의 수준이다. 3) 각 대단계내에서는 세개의 보편적 하위단계의 계열이 또한 확인되는데, 그것들은 각각 1차, 2차, 3차 통합의 하위계열로 명명된다. 이 하위단계들을 변별케 하는 것은 그들이 표 상하는 요소의 수와 그들이 조직되는 방식이다. 4) 정상적인 양육조건하에서는, 발달단계와 하위단계는 광범한 내용영역에 걸쳐 특정 연령 동안 통과된다. 각 대단계 및 하위단계의 특정연령은 앞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 5) 어떤 주어진 문제영역에서 한 단계로부터 다음 단계로의 이행은 이전 단계동안 조립되 는 실행구조의 위계적 통합에 의해 초래된다. 그러나 그것의 형식과 기능은 서로 상당히 다르 다. 6) 어떤 영역에서 한 하위단계에서 다음 하위단계로의 이행도 통합와 과정에 의하여 일어 난다. 그렇지만 이 통합은 위계적일 필요가 없으며 수반되는 요소들도 서로 달라야 할 필요는 없다. 3 . 발달의 과정적 모형 1) 구조적 발달의 기저가 되는 네개의 초보적인 정보처리과정은 “스키마탐색, 평가, 재첨 가 및 착생 ”이다. 2) 이러한 과정은 대부분 어린이들의 일상생활의 행위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그 일상생활 의 행위는 사회적 지향행위일 수도 있고 개인적인 독립된 행위일 수도 있다. 여기에는 어린이 의 탐색, 문제해결, 모방 및 상호조정 의 과정 등이 있다. 3) 상호조정 의 한 중요한 형식으로서 “ 수업 ’’은 아동의 각 연속적 발달단계에서 상위단계 의 사고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의의있는 역할을 한다. 4) 위계적 통합을 위한 어린이의 능력은 그것이 일어나는 일반적 과정과 관계없이 그들의 단기기억용량 (STSS) 의 규모에 의하여 한정된다. 가용용량은 각대단계동안 반복적으로 커 진다. 각 단계세서 획득되는 특정 값은 하위단계 0, 1, 2, 3의 각각에서 1, 2, 3, 4이 다. 5) 각 단계내의 단기기억용량의 성장은 조작능률의 증가에 파라 초래된다. 6) 조작능률의 증가는 상당한 정도로 신경학적 수소화와 같은 성숙요인에 달려 있다. 그렇 지만 어느 정도는 연습량도 또한 필요로 된다. 이 와 같은 Case 의 기 존의 “과정 -구조 ”이 론은 최 근에 수업 의 분야에 적 용되 어 연구되 어 옮에 따라 다소 미묘하게 변화되어 전개되고 있다. 즉, 중심개념구조의 개념이 새로이 도입되 었다. 이 중심개념구조의 아이디어는 기존의 “과정-구조”이론이 기능적인 관점에서 실행제어구 조가 분석 됨 에 따라 “ 절 차 ” 가 지 나치 게 강조되 고* 문제 표상의 구조적 요소가 덜 강조되 었 기 때문에 아제부터는 신피아제 이론에서 구조적 관점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 KCI등재

        교수메타인지와 전문성발달을 통한 유아교사 성실성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영향

        정단비,안동근 대한사고개발학회 2021 사고개발 Vol.17 No.1

        To investigate the multidimensional mechanisms that underli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cientiousness, teaching metacognition, expertise development,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65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measured the teachers’ conscientiousness, teaching metacognition, expertise development,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tise develop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However, the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teaching metacognition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were not significant. Regarding indirect e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rough teaching metacognition and expertise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academic implications for describing the complicated mechanisms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s from sophisticated and in-depth perspectives. Also, the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개정교육과정에서 중시되는 창의적 교수행동의 다측면적 발현기제를 탐구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성실성, 교수메타인지, 전문성발달 및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성실성, 교수메타인지, 전문성발달 및 창의적 교수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실성과 교수메타인지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성실성이 교수메타인지와 전문성발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게 나타났고, 교수메타인지는 전문성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유아교사의 성실성은 교수메타인지와 전문성발달의 매개를 통해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성격적, 인지적, 지식과 기술적 요인들과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성을 검증함으로써 창의적 교수행동 기저의 복합적인 발현기제를 정교하고 심도 있게 기술했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실행 방안과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ing cognitive skills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find how individual variables can affect to it. Thirty fou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20 sessions which consist of 30 minutes of intervention. The studying period is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e cognitive skills. Study design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improved children's concept development,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skills, memory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s. The study shows that music activities improved cognitive skills according to sex, degree of disability and ages. In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can be effective i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cognitive skills in inclusion settings. 본 연구는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 음악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곳의 통합보육기관을 이용하는 34명의 발달지체유아를 편의 표집 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9월부터 2월까지 6개월이었으며 발달지체유아가 생활하는 학급에서 20회기 간 중재가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인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 나이에 따라 발달지체유아의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통합보육기관의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시행가능성을 열어주었다.

      • KCI등재

        새로운 합리주의적 인지 변화 모델의 특징과 초등 사회과 교육적 함의

        이준혁(YI Jun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아동의 발달적 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지 배적인 인지발달 관점으로 자리매김해 왔던 피아제의 이론과 전혀 다르게 발달적 변화를 해석, 설명하고 있는 ‘새로운 합리주의적 인지 변화 모델’을 살펴보고, 이 모 델이 사회과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들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논의해 보고자 하 였다. 이 새로운 모델은 영역일반적 총체적 인지구조와 그러한 구조의 변화에 따라 나 타나는 일반적 발달 단계를 통해 여러 영역의 인지적 변화를 설명하려고 했던 피아 제 이론의 시도가 발달 과정에서 아동들이 나타내는 수많은 비일관성과 비동시성 을 설명하는데 실패했다는 비판적인 인식에 비롯된 인지 변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 모델에서는 발달적 변화를 영역특수적인 현상으로 간주하고 어떤 한 영역에서의 발달적 변화를 해당 영역의 지식기반의 변화 과정으로 개념화하면 서 발달적 변화의 구체적인 과정을 아동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하는 인식의 틀이라 할 수 있는 ‘이론’의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달적 변화를 설명․해석하고 있는 새로운 인지 변화 모델 은 사회과 교사들에게 학습자들의 인지적 도약을 위해 적극적으로 아동들이 갖는 ‘이론’을 탐색하고 인지적 갈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정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새로운 모델은 완전하다고 볼 수 없지만 사회과 수업에서 아동들의 인지적 변 화 양상을 이해하는 틀로서 유용성 가지고 있다고 하겠으며, 특히 이 모델이 사회 과 교사들에게 아동들의 인지적 도약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에 관련하여 주는 교 수․학습적 함의는 경청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new rationalistic model of cognitive changes that inherits epistemological tradition from Piaget s theory in order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hildren s cognitive development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new model accepts Piaget s emphasis on the active nature of children s cognitive processes, excluding his theory s dubious fundamental idea that there are universal cognitive structures that develop through stages. In this mode, cognitive development is re-conceptualized not along the process of Piagetian reconstruction of domain-general cognitive structure, but following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domain-specific cognitive structures or domain-specific knowledge bases.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this model are regarded as changes in children s theories, assuming that they construct theories as coherent and casual belief systems about the world spontaneously. And changes in children s theories about the world in this model are attributed not to an increase in domain-general thinking capacity, but to the acquisition of domain-specific knowledge. This new model of cognitive changes implies that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ories that children have about the world and ought to accelerate cognitive growth by helping them revise their theor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is new model useful to delineate and understand children s small cognitive changes though social studies instruction.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그리고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초기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33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33명, 총 66명의 영유아였다. 모든 영유아들에게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와 「한국판 MacArthnr-Bates 의사소통발달검사(MB CDI-K)」를 이용하여 언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척도(CSBS)' 절차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행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한국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Ⅱ(K-BSID-Ⅱ)」의 동작척도 및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운동 및 인지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영유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의 사회.정서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정서 발달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 아동들의 언어, 의사소통, 인지, 운동 및 사회.정서적 측정치는 대응표본 t-검정과 x2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는 물론 운동, 인지, 그리고 사회.정서적 발달에서 일반 영유아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베일리 검사의 운동발달연령과 DEP의 사회.정서 측정치가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 영유아는 K-BSID-Ⅱ의 인지 및 운동발달연령이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일반 영유아만 행동통제 기능과 '제스처', '제스처+발성' 수단이 K-BSID-Ⅱ의 인지 또는 운동발달연령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 특성은 물론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 특성을 일반 영유아와 비교하여 설명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을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ommunicative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tor, and social skills in these children. Methods: Sixty-six children (aged 19 to 3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toddlers with language delays (LD) and 33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The toddlers in the two groups were individually age-matched (±2 months). SELSI and MB CDI-K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CSBS procedure. Th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s were measured using K-BSID-II, and the subtest of DEP was used to measure socio-emotional development. Total score and subtests scores of the SELSI, MB CDI-K, K-BSID-II and the DEP percentile were measured.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d using the CSBS procedure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 uses (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Results: (1) The L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in motor,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fo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both groups, and a correlation with development of socio-emo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L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LD were experienced delayed development of cognition, motor, and socio-emotion skills, as well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se different developments, especially socio-emotion.

      • Pascaul-Leone 의 인지발달 이론에 관한 고찰 -Case 이론의 시좌에서-

        최건수, 강영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1 公州敎大論叢 Vol.27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o-Piagetian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proposed by J., Pas- caul-Leone. His theories of 1960s, 1970s, and 1980s are discuss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 ganismic processing of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Pascual-Leone’ s theory appeares to posit four key mental processes. The first process is the M- operator, which is the capacity for mental energy. The second process is the I-operator, which is the individual’s capacity actively to inhibit or interrupt the activation of task-irrelevant structures. The third process is the F-operator, which is the individual’s capacity to produce a performance as a single, integrated whole, dispite the fact that a number of different structures may have de- termined the overall performance. The fourth process is the E-operator, which comprises the re- pertoire of executive schemes and structures that monitor the mobilization of the M-and I-opera- tor. The main mechanism of cognitive development in Pascaul-Leone’s theory is M-power. Pascaul- Leone linke levels in Piagetian theory to increase in M-power. Essentially, each increase in M-po- wer gives the individual an additional processing slot within which mental operations can take place. Although increases in M-power are the main mechanism of development, there are owhters. For example, developmental results also as fuction of the interaction of the various operators dis- cussed earlier, and especially the E-and I-operator, which handle cognitive conflict. In his research, Pascaul-Leone has used the task of Rho. Pascaul-Leone (1987) criticizes that in- dividual differences and task differences are not explained by neo-Piagetian theories. Case (1985) also acknowledged this question missing in his theory. Marini (1984) has regarded the split as the interaction between experience and cognitive style. This article suggests that Case’s split phenomenon is needed to study by analysing the Pas- caul-Leone’s cognitive style. 본고의 목적은 국내에 소개되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Case(1985)의 신-Piaget이론의 시좌에서 Pascau-Leone(1969, 1987)의 인지발달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앞에서 설명해 온 Pascaul-Leone이론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의 초기이론의 주요개념들을 정리하면 1. Witkin (1962)의 인지양식의 개념을 Piaget이론에 도^하여 개인이 과제에 의해 발생된 인 지적 갈등을 처리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강조하였다. 2. 그는 Piaget의 과제들 간의 내적상관이 낮은 이유는 과제마다 오도적 스키마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간주하였다. 3. Baldwin의 주의력 개념을 양적인 스키마의 갯수로 표현하고, 이러한 양적 스키마를 Piaget 의 발달단계에 맞춰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 부연하면,이러한 스키마들이 활성화되는 정도 (스키마 활성화치)는 C.F.L및 M(주의력)와 함수로 간주하였다. 5. 그밖에 Piaget가 인지구조를 논리적 구조로 형식화한데 대해서 Pascal—Leone은 스키마들 간의 s〜r식 관계 (구조적 불변성)로 모형화함으로써 인지구조를 최초로 과정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에 보다 근래의 이론에 대해 살펴 보면 ; 6. Pascaul—Leone은 용량 (capacity)을 유기체의 생물학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정单처 리적 개념인 기능 (skills)과 능력(ability)둥과 구분하고 있다. . 7. 그의 무의식적조작자 (silent operator)에 의하면, 인지적 용량을 M-operator, I-opeator F-operator 및 표의 네가지로 나누고 처음 세가지 (즉,M-, I-, F-)들은 용량으로 그리고 E는 지식정보 (구조, 스키마)로 각각 구분하였다. 부연하면 이들 구인들은 뇌의 틀의 심리 학적 표명화로 간주된다. 8. M-구인은 과제관련 스키마들을 장기 기억고로 부터 내적으로 부풀리는 (boosting)역할을 하고, I-구인은 M-구인을 도와 과제와 무관한 구조돌을 능동적으로 차단해 준다. 그러나, F-구인은 스키마들의 기반(beam)아라고 할 수 있는 묘의 내용들아 현상학적으로 경험되 지 못하도록 폐쇄시킨다. 9. M-power란 M-과 I-용량들이 심리학적으로 표명된 힘으로서, 연령 (성숙)에 따라 그 성 장패턴이 이론적으로 가정되어짐으로써, 이것이 Piaget의 발달단계와 같은 구분을 하게 한 다. 10. M- , I- , F-, 및 E의 주의력 기제들아 서로 작용하는 주의력 기제모형(전략)은 세가지 수준 으로 나눠 설명되었다. 주의력 전략의 첫째는.차단기제(I-opeator)가 그 역할을 하는 것이 고, 둘째 전략은 차단기제가 없이 M-용량을 사용하되 처음부터 적절한 스키마들올 부풀 리지 않다가 적절한 내용을 맞추어 찾아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전략은 처음부터 적 절한 스카마들만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다. . 11. M-용량의 성장패턴은 Piaget의 연령단계와 대략 유사하다. Pascaul-Leone 은 이롤 Rho 과제롤 통하여 실험적으로 입중하였다. 12. M-용량의 심리학적 표명화, 즉 M—power는 e+K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e는 스키마를 어 느 주어진 순간에 동시에 활성화시켜서 유지시키는 정신에너지를 의지한다. 뜨는 연령에 따 라 활성화되는 낱낱의 실행 스키마들의 갯수이다. 이들을 제어하는 것은 인지양식으로서 M-조작자가 강하게 격발되는 사람은 스키마를 많이 부풀리게 되어 좋은 수행을 나타내지 만, F-조작자가 강하게 격발되는 사람은 주의력 기반의 테두리롤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스 키마들이 더 부풀려지기 않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F-와 M- 조작자들은 오도과제구조냐 또는 단순해결식 구조냐에 하라 달리 격발되기도 한다. 13. 그러므로 e+K란 Pascaul-Leone의 과제분석에 따르면, 단지 적절한 정보 처리적 스키마 (기능)돌의 갯수로서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 e+K란 과제를 수행하는 인식주체의 실제의 용량의 한정(constraints)올 뜻하는 스키마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런의미에서 이들은 논리적 스키마라고 하지않고 역뚝적, 창조적 종합에 의하여 내면화된 스키마들로 명명된다. 14. 이러한 스키마들은 실행 및 행위 스키마들 그리고 모수치 스키마들로 구분되는 것들이다. 실행 스키마란 행위의 계열을 계픽하고 감독히:는 것이다. 그러나 행위 스키마란 계획대로 시행하는 스키마로 그 의미가 다르다. 모수치 스키마란 실행 및 행위 스키마들의 계열을 몇개 포함해서 수행을 더 개선할 수 있도록하는 상위의 (over-determined)행위 스키마로 볼 수 있다. 이러한 Pascaul—Leone의 인지발달이론이 C추se의 인지발달연구에 대해 갖는 함의는 여러 사람들 에 의하여 제기되어오고 있다. Pascaul—Leone(1987)은 그의 이론에서 제안한 개인차와 과제의 차아를 다른 신一피아제이론에 서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이 점은 Case (1985 : 430) 자신도 그의 이론에서 더 보충되어야 할 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Case(1986)는 자신의 인지발달연구에서 나타나는 분할 (split).현상-이는 한 개인이 다른 영역의 두 과제 간에 성취하는 수준이 다른 현상-을 Pascaul- Leone의 인지양식개념을 빌어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논의한 바있다 (최건수, 1989乂 Marini(l9 않)도 사회적 인지영역과 불리적 인지영역 간의 분할현상을 과제에 대한 경험과 Pascad-Leone의 인지양식 간의 상호작용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본 연구는 Case의 연구에서의 개인차 문제를 Pascaul-Leone의 인지양식 개념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고 앞으로 경험적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유혜경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6 No.2

        이제까지 무용의 발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신체 발달에 기준하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무용도 예술이니만큼 무용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성의 발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예술 분야의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를 무용에 적용하여 무용도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Hargreaves와 Galton은 예술성 발달 연구에 있어 서 각 예술분야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함께 연령 단계별로 예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상징의 공통적 특성으로서 ‘예술적 인지 발달(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s)’을 제 예술 분야와의 상호 관련 하에서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8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무용 발달에 관련된 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무용의 연령 단계별로 고유한 상징적 사고 양식,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상징 양식으로서의 예술적인지,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타 예술 분야와 같이 전상징기(0~2세), 형상기(2~5세), 도식기(5~8세), 규칙체계기(8~15세), 후인지기(15세 이상)에 걸쳐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이 존재하였으며, 아울러 ‘예술적인지’에 있어서는 단계별로 타 예술 분야와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다.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0~8세까지 무용과 음악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규칙체계기(8~15세)에 해당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를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후인지기(15세 이후)의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과 같은 공통적 특징은 무용과 타 예술 분야의 관련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는 무용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용 역시 예술성을 중심으로 한발달단계의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무용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예술성 발달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licate Hargreaves and Galton’s ‘artistic development’ to dance development bringing the artistic quality in dance into focus. Hargreaves and Galton’s artistic development theory is composed of five phases; presymbolic phase(age 0~2), figural phase(age 2~5), schematic phase(age 5~8), rule system phase(age 8~15), metacognitive phase(age 15~). Each phase describes domain specific developments and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refers to general symbolic developments based on research evidence in music, fine arts, writing, and etc). Various literature related to dance development were reviewed according to five phases, and each phase was described in terms of dance-specific developments,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to music and fine arts. As a result, it was found Hargreaves and Galton’s five phases of artistic development were applicable to dance development on the whole.

      • KCI등재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이소현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도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SKC) 7차에 참여한 유아 및 그의 어머니와 교사이며,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한 1,090 명이다. 본 연구는 SPSS 18.0과 JAMOVI 1.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을 23% 설명하는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추가되었을 때 설명력이 1%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유아의 상호 작용보다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ther-child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on cih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 targets wer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 wav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4. 1,090 children, mother, and teachers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JAMOVI 1.1.9.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ut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peer play interactions were shown to be a strong predictor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y 23%, and when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1%. Third, in the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importance of peer play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as confirmed as a basic study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구효진 ( Hyo Jin Koo ),최진선 ( Jin Sun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 특징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183명의 다문화가정 유아와 180명의 일반가정 유아 (N=363)의 언어 및 인지발달 정도가 비교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정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발달검사 결과, ‘인지처리과정’에 대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습득도’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 된 ‘인지처리과정’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동시처리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순차처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유아 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비언어적 인지발달 정도를 비교한 결과, 동시처리에 속하는 비언어성 소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순차처리에 속하는 소검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와 비언어적 인지발달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보고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비언어적 인지발달정도를 비교한 결과, 언어발달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비언어성 인지발달 점수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ct`` (2008) in Korea defines a multicultural family as consisting of a native Korean and his or her immigrant spouse. This study, undertaken to discover and implement the kind of support services mandated by the act, was designed to asses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with 183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C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of 180 children from mono-Korean families (MK group) in rural areas.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reveals that the MC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language development and acquired knowledge (achievement score of K-ABC) than the MK group did,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overall mental processing composite score (simultaneous processing + sequential processing) of K-ABC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mental processing composite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its factors were differ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multaneous processing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M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sequential processing than the MK group did. Furthermore, non-verbal scales of simultaneous (face cognition, triangles, matrix analogies, spatial memory, and photo series) and sequential (hand movement) processing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MC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all non-verbal scales of simultaneous processing from the MK group, but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the non-verbal scale of sequential processing, compared to the MK group. Additionally, for the MC group, the total language score and all the non-verbal scales of K-AB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Finally, the MC group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non-verbal cognitive development than the MC group with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except triangle and photo series. These findings were scrutinized in terms of cause, and then suggested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potential developmental delays for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vealed in th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