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주의와 인종주의

        허재훈(Hur, Jay-Hunn)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1 No.3

        인종주의는 통념과는 달리 18세기 계몽주의 시기에 가장 번성했다. 고대에는 피부색으로 여타 종족을 차별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계몽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보편적 인권을 확립했다. 개인은 현실적으로는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는 개인이며, 이러한 개인은 자본주의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자본주의는 식민주의와 결합되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그 내면적 기초로 인종주의가 번성하게 되었다. 이후 피부색 따위를 비롯한 인종차별보다는 문화적 인종주의가 인종차별의 근거를 이루게 되었다. 서양사에서는 유대인에 대한 차별은 종교적 인종주의의 형태로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종교적 인종주의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한 유럽 백인들에 의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무차별 학살했다. 종교적 인종주의는 일종의 문화적 인종주의로, 근대의 생물학적 인종주의와는 다르다. 계몽사상가들은 중세의 종교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합리적으로 사유하고 이성과 진보, 관용과 인도주의의 가치를 역설하면서 미신과 악습을 타파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고문, 사형 제도의 불합리함을 지적하는 등 정부와 교회의 잘못된 관행, 정책을 비판하였다. 이들이 주장하는 이론대로라면 인간성에 기초한 보편적 권리에 따라 여성과 노예를 비롯한 소외 집단도 인간적인 권리와, 나아가 정치적 권리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면서도 흑인과 여성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인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자본주의의 태동에 따른 값싼 노동력 확보를 위해 노예제가 필요했듯이, 인종주의는 이러한 노예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했다. 역사철학적으로 보면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 기간이라 할 수 있는 ‘신대륙의 발견’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시기로 이때가 바로 인종주의가 이론적으로 정립된 시기였다. 18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철학사조가 계몽주의라면, 계몽주의의 내면적 풍경이 인종주의였다. 인종주의는 식민성과 함께 근대성의 핵심 요인이었다. 공통감(각)을 통해 개인의 자율성을 새로운 상식으로 만들었던 흄과 칸트의 이론에서도 인종주의는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며, 생각하는 주체와 소유하는 주체의 확립을 통해 인종주의는 감정적인 인종과 소유하지 못한 인종의 배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근대성의 근간에 놓여 있는 인종주의를 점검하지 않고서 차별과 위계의 문화를 비판하는 것은 일면적인 사고에 불과하다. 계몽주의에서 금기를 타파하는 정신은 인종주의 앞에서는 여지없이 침묵했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인종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한 계몽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 racism in the Enlightenment. To understand a idea of the Enlighten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acism. During this time, Europe was flourishing with the racism. The racism has been yet hidden in spite of being influential in Europe since 18th century to the present. It also 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that was connected to a coloniality. Since the racism in Europe have been run in parallel with a colonialism, it also need to reconsider the relation of modernity and racism. Ironically, Enlightenment which had adopted a slogan of a universal human rights and a autonomous subject, has implied a racism. Enlightenment theorists such as Voltaire, Hume, and Kant leave a trace of racism, but they could be turned a blind eye to it for the reason to spread and conclude the idea of Enlightenment. While the ego cogito turned out to the ego conquiro and the thinking subject to the possessive subject, the racism has dug into flesh of modernity. The racism that remains etched in western minds appears all over the world in different ways. It drives people paranoiac and half-cultivated. Enlightment could not enlighten without standing against the racism and scrutinizing its philosophical core.

      • KCI등재

        연구논문 : 잃어버린 기회? -로런스 사건과 맥퍼슨 보고서, 제도적 인종주의-

        염운옥 ( Woon Ok Yeom ) 영국사학회 2014 영국연구 Vol.32 No.-

        1993년 런던 남부 엘텀에서 18세 흑인 청년 스티븐 로런스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다섯 명의 백인 용의자들은 이후 18년이 지난 2012년에서야 처벌받았다. 정부는 1998년 진상조사를 시작해 1999년 『맥퍼슨 보고서』를 발간했다. 1981년 런던 남부 브릭스턴 흑인 봉기에 관한 보고서 『스커먼 보고서』가 ‘제도적 인종주의’는 영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던 반면, 『맥퍼슨 보고서』는 처음으로 제도적 인종주의의 존재를 인정했다. 제도적 인종주의는 자유주의와 공존하는 영국식 인종주의의 핵심을 드러낸다. 올바른 개념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맥퍼슨 보고서』는 제도적 인종주의를 주로 경찰의 직업적 무능과 경찰 문화의 문제에 한정해 설명함으로써 경찰의 일상적인 치안활동에서 인종주의가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밝혀내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제도적 인종주의는 영국의 이민정책과 인종정책이 뿌리 내리고 있는 거대한 매트릭스이다. 『맥퍼슨 보고서』는 제도적 인종주의의 존재를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제도 속에 기입된 인종주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지 못했다. 로런스 사건과 『맥퍼슨 보고서』는 인종주의를 비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으나 영국 사회는 이 기회를 상실하고 말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vents leading to the death of Stephen Lawrence and the official inquiry into his death which led to the Macpherson Report. Lawrence, an 18-year old black student, was murdered at Eltham, South London in 1993, but the five white suspects were not convicted until 2012. The British government started inquiries into the case belatedly in 1998 and published its official findings in the Macpherson Report in 1999. Unlike the Scarman Report of 1981 (which examined the reasons behind the Brixton Riots of South London in 1980), the Macpherson Report assumed considerable significance as the first official document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institutional racism’ in Britain. A term coined by Stokely Carmichael and Charles Hamilton in their book Black Power in 1967, ‘institutional racism’ co-existed with British Liberalism. With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racism’ it is possible to problematize the culture conditions racist behavior would come into being possible and racism could exist even without the actors of racism. Even though the Report rightly suggests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racism, it confines its analysis to the ineptitude and racist culture of the police and does not show the mechanics of racism during everyday policing. The Macpherson Report confirms the existence of institutional racism, but fails to explain how racism has filtered into the whole of society. The death of Lawrence and the Macpherson Report represented opportune moments for British society to confront racism from within, but the chance was regretably missed.

      • KCI등재후보

        서구국가에 잠재된 인종주의와 이민자 사회통합의 과제

        임형백 한국이민정책학회 2016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1 No.1

        우리는 단일민족으로 단일민족국가에서 살아왔다. 따라서 한국인은 외국인(다른 인종)과 같이 살 아본 경험이 적다. 특히 인종간의 폭력적 갈등, 전쟁, 학살 등의 부정적인 경험이 없다. 이러한 상황 에서 최근 들어 외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다문화사회(또는 다인종사회)라는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외국인의 유입은 피할 수 없는 세계적 추세이지만, 외국인의 유입은 필연적으로 사회통합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즉 외국인의 유입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 라, 한국에 유입된 외국인과의 공존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정치권과 일 부 학자들이 다문화사회의 피상적인 개방성만 보고, 국가적 차원의 장기적 전망도 없이 정책을 실시 하여 왔고, 다문화정책(또는 이민정책)은 아직도 표류하고 있다. 한편 우리와 달리 서구 국가들은 국가의 역사가 짧다. 그러다보니 그들의 국가를 구성한 선조들 이 누구이고 어떻게 이동하여 왔는지에 대한 기록이 잘 보전되어 있다. 또 서구 국가들은 대부분 인 도-유럽족이라는 동일한 조상과, 정교(Orthodox), 가톨릭, 개신교라는 기독교적 공통적 문화도 가 지고 있다. 우리보다는 혈연적, 문화적 공통성이 강하고, 오랫동안 외국인의 유입을 경험해왔다. 1950년 7월 UNESCO는 인종주의에 대한 종언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서구 국가에서의 인종갈등은 우리 보다 심각하여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는 표면적으로는 사라졌지만, 개인 의 사고방식에 잠재되어 있는 인종주의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인종주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서구 국가의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look latent racism and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in western nations. Korean lacks practical experience in racism, racial conflict, race riot etc. So Korean have a superficial perception of racism. Mass media, scholars, politician have frequently misled the people with distorted view. Multiculturalism and weakening of social integration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Growing number of immigrant weakens social integration. Unlike more Western nations, Korea ins’t embracing diverse religions and languages in light of the growing number of immigrants. It’s time to consider social integration to minimize side effects of growing number of immigrants. Most of european are an Indo-European people and they have common ancestor and common culture. But there is a the endemic problem of racism in western nations. Racism has been unavoidable and ubiquitous in societies for centuries. Racism is a deeply rooted prejudice which has existed for thousands of years. Racism is beyond common sense and has no place in our period. But racism is still exist and has influence with the people in western nations. The rise of racism in western nations is a serious concern.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western nations, we have to understand what was racism.

      • KCI등재

        인종주의와 코로나 바이러스 Ⅰ : 미국사에서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호연(Kim, Ho-yeo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발생 이후 우리 사회에서도 심화·증폭되고 있는 인종주의(racism)가 우리의 문제라는것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국내 인종주의 연구 성과에서 시사점을 얻고, 보다 적극적인 학문적·실천적 담론 확장의 계기를 만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인종주의에 대한 그간의 연구를 서양과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해온 연구자들의 성과를 메타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인종주의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2장에서는 인종주의가 서구의 근대적 기획으로서 이데올로기이자 하나의 정치체제였다는 사실을, 3장과 4장에서는 미국에 대한 인종주의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이후의 연구 과제를, 그리고 5장에서는 우리가 인종주의에 맞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인종 관련 연구자들을 향한 감사와 더욱 적극적인 연구를 수행해야할 지적 책임을 요청하고, 모두의 좋은 삶을 숙고하는 계기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t is to emphasize that racism, which is deepening and amplifying in our society, is our problem. Second, it aims to gain implications from the existing domestic racist research achievements and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more active academic and practical discourse expansion. To this end, this article attempts to meta analyze achievements of researchers who have been conducting research on racism of Western and United States. In Chapter 1,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acism research, in Chapter 2, the fact that racism was an ideology and a political system as a modern planning in Western, in Chapter 3 and 4,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rom racism research on the United States and future research theme, and in chapter 5, we will talk about what we will do and how we will fight racism.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thank researchers for their intellectual responsibility to conduct more active research, an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ponder everyone’s good life.

      • KCI등재

        인종주의와 식민주의

        김용우(Yong Woo KIM) 한국프랑스사학회 2014 프랑스사연구 Vol.- No.31

        식민주의를 다룬 고전적인 저서 『식민자의 초상에 뒤이은 피식민자의 초상』(1957)에서 알베르 멤미는 인종주의가 식민주의를 예증하고 요약하며 상징한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약 50년 후에 출간한 『아랍-무슬림과 몇몇 다른 탈식민자의 초상』(2004)에서 멤미는 아랍무슬림계 ‘이주민’의 삶을 다루면서 인종주의의 영향력을 의도적으로 배제한다. 이들 이주민들이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수준에서 인종주의적 차별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많은 연구자들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의 문제를 배제한 멤미의 경우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기존의 연구들은 초기와 후기 멤미 사이의 사상적 단절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지만 이 논문은 단절보다는 연속에 착안한다. 요컨대 멤미가 식민주의의 맥락에서 인종주의를 개념화할 초기단계부터 그는 유럽의 식민적 인종주의의 중요한 측면 가운데 하나인 이른바 ‘인종적 역사주의’를 포착하는 데 실패했고 이것이 오늘날 이주민들의 삶의 조건과 인종주의를 무관한 것으로 보게 만드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멤미의 한계는 부분적으로는 그의 인종주의 개념에서 ‘차이’를 절대화하는 경향과 동시에 그의 유럽중심적인 역사관 때문이다. In his most celebrated essay, Portrait du colonise? pre?ce?de? de portrait du colonisateur (1957), Albert Memmi affirmed that racism illustrates, summarizes, and symbolizes the colonial relation. It is remarkable that in his Portrait du de?colonise? arabo-musulman et de quelques autres (2004), a companion text to his first work, Memmi almost intentionally refuses to use racism as an analytical tool in examining the fate of Arab Muslim immigre?s. How can we make sense of this almost total absence of racism in his analysis in spite of multiple practices of racialization at every level of daily life of immigres? Contrary to the commonly held view of young radical metamorphosing into old reactionary, or radical discontinuity of Memmi’s thinking, I will argue that in his initial conceptualization of racism in context of colonialism, Memmi seems to fail to grasp the important aspect of European colonial racism, “racial historicism.” This failure is partly due to Memmi’s tendency of absolutizing the element of “difference” in conceptualizing racism and also to his eurocentric conception of history.

      • KCI등재

        Old or New? 인종주의의 다차원성과 영향력의 차별성: 미국의 경험을 통한 탐색적 연구

        원숙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行政論叢 Vol.50 No.4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racism, consisting of emo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n the acceptance of policy for racial minoritie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American experiences. As widely recognized, racism is based on a dichotomy between an in-group and an out-group. In that sense, racism can make a difference in policy acceptance by racial group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diversity of racial prejudice, divided into 'old' and 'new' racisms. As such,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sub-dimensions of racism, old or new? To what extent and in what ways do the sub-dimensions affect the acceptance of racial policy? What are their implications for racial policy in Korea? In so doing, this study applies data from the 2008-2009 American National Election Survey (ANES) conducted among 4,240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USA. The findings show some intriguing results. Firstly, 'new' racism, based on individualism and equal opportunity norms, strongly affects acceptance of racial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old racism, based on biological prejudice, is not as strong as that of the new racism. Secondly, the strong influence of liberalism on racial policy is reconfirmed. Thirdly, given that the cognitive dimension of racism is stronger than the emotional one, the acceptance of racial policy tends to be a cognitive matter. In a similar vein, the finding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racial policy is perceived as a response towards 'problems' in the present, rather than compensation for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past.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policy are discussed in depth. 인종주의는 인종을 기준으로 내집단(in-group)과 외집단(out-group)을 구분하고, 이를 기초로 한 내집단(외집단) 우월성(열등성)에 대한 믿음을 말한다. 인종주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감정적인 차원(정서적 대응)과 인지적인 차원(인종차별인식, 인종적 편견)으로 구성되는데, 본 연구는 이들 다차원적 구조가 인종관련 정책을 인식하는데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가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인종주의의 인지적 차원 중 인종적 편견(racial prejudice)의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였다. 인종주의를 구성하는 차원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인종주의를 구성하는 다양한 차원의 존재양식은 어떠한가? 이들 다양한 차원이 인종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에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며, 그 작용방식은 차원별로 어떻게 다른가?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는 무엇이며, 후발 다문화사회로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국일반인 4,240명을 대상으로 인종주의와 관련한 다양하고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한 2008-2009년 미국선거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종관련 정책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개인주의 및 기회의 평등가치가 개입된 ‘새로운'(new) 인종편견이며, 생물학적 전제에 기초한 '과거의'(old)인종편견이 갖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둘째,’새로운‘ 인종편견 다음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은 진보이념으로, 인종관련 정책에 있어서 이념의 영향력이 재확인된다. 셋째, 인종주의의 감정적 차원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남으로써, 정책에 대한 인식은 감정이 아닌 인지의 문제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과거의 인종차별보다 현재의 인종차별이 인종관련 정책을 평가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함으로써, 인종정책은 과거의 차별에 대한 ’보상‘이 아닌 현재의 문제에 대한 ’대응‘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우리의 현실에 주는 시사점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글로벌 시대에 나타난 일상적 인종주의

        박주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종주의의 정의와 편견과 차별, 그리고 신인종주의에 대해 살펴보고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시대에 나타난 일상적 인종주의 사례를 찾아 일상생활에 만연한 인종차별을 살펴보았다. 미국 영화 《히든 피겨스》는 실화를 바탕으로 흑인 여성들이 겪는 인종차별을 나타내었고 이 인종차별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전 세계에서 만연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인종차별은 증가했으며. 팬데믹 상황 이후에도 인종차별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일상적 인종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인 인종주의가 인종차별을 겪는 사람에게는 육체적 정신적 폭력이 될 수 있음을 각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racism,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neo-racism, and to find solutions to racial discrimination. Specifically, we looked for cases of banal racism that appeared in the global era and looked at the racism that is prevalent in everyday life. The American film 《Hidden Figures》 is based on a true story and depicts the racism experienced by black women, and this racism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as it appears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racial discrimination has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acial discrimina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pandemic. Therefore, a solution to overcome everyday racism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at habitual and unconscious racism can be physical and mental violence for people suffering from racial discrimination.

      • KCI우수등재

        레비스트로스의 반(反)인종주의

        나인호 ( Na¸ Inho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8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1950년대에 유네스코가 기획했던 반인종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글은 그의 반인종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1) 그의 반인종주의는 인종주의가 개인의 “무지와 편견”의 결과이며, 과학의 권위로써 계몽하고 교육하면 청산될 수 있다고 본 유네스코의 입장에 충실했다. 2) 그의 반인종주의는 철저히 비정치적이었다. 3) 그의 반인종주의는 서구중심주의적 휴머니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는 탈식민화와 문화적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비서양인들의 주체적 노력을 무시하고, 이들을 단순히 불쌍한 주체성 없는 수동적 존재로 간주했다. 4) 인간 집단의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차이를 절대화한 그의 반인종주의는 역설적으로 인종주의의 무기로 이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évi-Strauss is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nti-racism organizational movement led by UNESCO in the 1950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Lévi-Strauss’ stance and ideas on anti-racism: 1) His anti-racism was faithful to UNESCO's view of seeing racism as a flaw that came about as a result of individual “ignorance and prejudice,” and that individuals could thus be enlightened and educated through the authoritative truth of science. 2) In this regard, Lévi-Strauss’ stance on anti-racism was completely non-political. 3) Lévi-Strauss’ stance on anti-racism was not free from the influences of western-centric humanism. He ignored the independent efforts of non-Western individuals to effectively achieve decolonization and cultural modernization, and regarded them as simply poor passive beings without any form of subjectivity. 4) His anti-racism, which absolutized the biolog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uman groups, paradoxically resulted in them being used as weapons of racism (Daegu University / nainhobu@daegu.ac.kr).

      • KCI등재

        영화 ≪그린북≫에 나타난 인종주의와 토의를 통한 해결 방안

        박주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그린북≫에 나타난 인종주의를 살펴보고 학생들과 토의를 통해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영화는 1962년 미국을 배경으로 인종차별 사회 속에서 흑인 피아니스트 셜리 박사와 운전기사 토니와 좋은 유대를 맺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2021년 2학기 S 대학교 글로벌 시대의 인문학 수업 시간에 다룬 주제 중 하나인 인종 주제를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인종주의가 발생한 이래로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상 황에서도 끊임없는 인종차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으로 인종주의와 상호 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영화에 나타난 인종차별 사례와 현재 발생한 인종차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인종주의 차별 역사는 중세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종교적 갈등으로 발생하였고 백인 우월주의에 기인하였다. 이 인종차별 해결 방안으로 국제기구는 상호문화교육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영화를 활용한 이유는 인터넷과 함께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불리는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관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하 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토의를 활용하여 인종차별에 대한 학생들의 해결책을 제시한 후에 연구자의 해결 발안을 제 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acism in the movie ≪Green Book≫ and to find solutions to racism through discussion with students. Set in 1962 in the United States, this film depicts the process of forming a good bond with the black pianist Dr. Shirley and the driver Tony in a racist society. This study utilized the subject of race, one of the subjects covered in the humanities class in the global era of S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This is because, since the outbreak of racism, the problem of racism has continued to arise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looked at racism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looked at cases of racism in movies and cases of racism that have occurred today. The history of racism and discrimination dates back to medieval Europe and was caused by religious conflicts and was attributed to white supremacy. As a solution to this racial discrimin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ggested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he reason why film was used in this study is because it aims to provok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by targeti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called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who were born and grew up with the Internet. In this study, students' solutions to racism were presented using discussion, and then the researcher's solu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인종주의의 역사와 오늘의 한국

        박진빈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9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acism in Korean society today through the lens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s in the western hemisphere, thoughtfully examined by the two recent works in the field. For the discussion, this paper assesses the four main themes closely connected with racism. First, it focuses on how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coincided with the beginning of racism in the age of colonialism. Secondly, this paper shows capitalism, especially in the form of slavery, was the key element of modern day racialism. Third theme of consideration is racism as the states of minds of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This focuses on how the strained racial relations have destroyed human qualities of both sides. Lastly,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gender in racism which complicates some of the issues of racial clashes in the west as well as in Korea. Some of the events that recently took place in Korea also revealed the above mentioned themes of racism, and thus augmented necessity and urgency of better understanding of history of racism. 이 논문은 한국 사회의 인종주의의 양상에 대해 서양 인종주의 발전에 대한 역사적 서술이 제공한 틀을 가지고 논의한다. 논의를 위해 이 글은 인종주의와 긴밀하게 연결된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이 글은 근대 서양의 인종주의 발전이 식민지 팽창 시기 크리스트교의 확장과 동반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노예제의 발전을 중심으로 자본주의가 인종주의 심화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을 논하였다. 세 번째로는 인종주의가 하나의 사회의 공존하는 가해자와 피해자 양측에 정신적으로 파괴적인 상처를 남긴다는 점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는 최근 인종주의적 사건에 나타나는 젠더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드러난 몇몇 사건들은 피부색의 차이를 인간의 우등성과 열등성을 나누는 기준으로 삼고 차별, 증오, 배제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양의 인종주의와 다를 바 없는 문제를 보여준다는 점을 논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