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 -발생 빈도와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이종서 ( Jong Seo Lee ),김태완 ( Tae Wan Kim ),서정탁 ( Jeung Tak Suh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적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0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4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고위험군, 74예는 위험인자를 가지지 않은 저위험군 이었다. 결과: 고위험군 34예중 6예(17.6%)에서, 저위험군 74예 중 11예(14.9%)에서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심부정맥혈전증의 위험인자 중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그 발생빈도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한 17예중 4예에서는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을 보였으며, 항혈전제로 치료하였다. 결론: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의 발생 빈도는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을 보인 경우는 17예 중 4예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조영술 등의 확진검사를 시행하고 항응고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and clinical risk factors of deep vein thrombosis (DV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eight patients underwent TKA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09. Thirty four cases were in the high-risk group (having at least one risk factor) and 74 cases were in the low-risk group (not having any risk factors). Results: Six (17.6%) of 34 high-risk cases and 11 (14.9%) of 74 low-risk cases experienced DVT,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among the risk factors, age and obes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cidence of DVT (p<0.05). Among the 17 cases of DVT, 4 patients showed symptoms of DVT and they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nt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VT after TK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 risk groups, and among the 17 cases of DVT, 4 patients showed symptoms of DV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erform definitive diagnostic modalities like CT venography and then to treat with anticoagulants only the patients with DVT symptoms after TKA.

      • KCI등재

        일주일 간격의 단계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합병증 발생률 및 임상 결과

        박신형(Sin Hyung Park),임수재(Soo Jae Y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목적: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일주일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시행한 환자군, 한번의 마취하에 동시에 시행한 환자군, 입원 기간을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한 환자군의 임상 결과 및 합병증의 발생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273명 546예를 세 군으로 나누어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 및 합병증의 발생률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HSS 점수는 세 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호전을 보였으며 수술 후 HS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5). 일주일 간격의 단계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은 한 번의 마취하에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합병증의 발생률을 보였으며(p=0.049), 다른 입원 기간으로 양측을 단계적으로 시행한 군과 비교하여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86). 결론: 일주일 간격의 단계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은 다른 군과 비교하여 임상 결과 및 합병증의 발생률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이 필요한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nd the rates of complication among three groups that received the simultaneous total knee replacement (TKR), one-week interval staged bilateral TKR, or several-months interval staged TKR.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ilateral degenerative osteoarthritis undergoing bilateral TKR from 2004 May to 2012 March. We divided patients into three groups which received simultaneous TKR (Group A, n=84), one-week interval staged bilateral TKR (Group B, n=124), or several-months interval staged TKR (Group C, n=65).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 and the rate of complication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Mean postoperative HSS sco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hree groups. No difference in postoperative HSS was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p=0.325). The complication rate in Group A was lower than that in Group B (p=0.049) and that in Group A was similar to that in Group C (p=0.786). Conclusion: Group A had a better result than Group B and was similar to Group C in complication rate. One-week interval staged TKR can be good choice in patients with bilateral degenerative osteoarthritis.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음압 배액법의 효과

        손승원,이경재,김철용 대한슬관절학회 2003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음압 배액법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을 비교함으로서 관절 치환술 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압 배액법의 장단점 및 그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골시멘트를 사용하여 동시에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음압 배액법을 사용한 50예를 Ⅰ군으로, 사용하지 않은 50예를 Ⅱ군으로 하여 외래 및 입원 기록지, 수술 기록지 등을 역행적으로 분서하였다. 술전 및 술후 대퇴 둘레의 길이, 반상출혈의 정도, 술후 발생한 창상 감염의 빈도, 수혈량, 술전 및 술후 슬관절 점수 및 슬관절 운동범위를 비교하였다. 결과 : 대퇴 둘레의 길이는 Ⅰ군에서 술전 평균 42.9 ㎝, 술 후 평균 46.1 ㎝이었고 Ⅱ군에서 술전 평균 43.7 ㎝, 술후 평균 47.6 ㎝ 이었으며, 술후 반상출혈은 Ⅰ군에서 22%, Ⅱ군에서 58%의 빈도로 발생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술후 창상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 3일째까지의 수혈양은 Ⅰ군에서 평균 1.94(0-4)unit, Ⅱ군에서 평균 1.86(0-4)unit였다. 술전 및 술후에 측정한 슬관절 점수는 두 군 모두에서 술후 6주째 만족할 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슬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 역시 두 군에서 비슷한 경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음압 배액법을 시행한 군에서 술후 창상의 경과나 임상적 및 재활적 측면에서 음압 배액법을 시행하지 않은 군과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음압 배액법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comparison of closed suction drainage group and non drainage group after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Methods & Materials : We analyzed the thigh circumference, ecchymosis, wound infection, transfusion amount, knee score and range of motion in 100 cases(50 patients) done with PFC of PFC-sigma model between 1998 and 2000. Fifty cases of them(group Ⅰ) were inserted hemo vac and the others(group Ⅱ) were not inserted hamo vac. Result : The average thigh circumference in group Ⅰ was 42.9 ㎝(preoperative), and 46.1 ㎝(postoperative), in group Ⅱ was 43.7 ㎝(preoperative). The knee that had no drains had a higher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the final result of knee score and range of motion of knee joint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nonuse of closed suction draining. There were no infection sign in both groups. Conclusion : The clinical comparison of closed suction drainage group and non drainage group after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wound healing, clinical and rehabilitation course. The use of suction drainage must be carefully selected afte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대퇴부 동통과 실혈량에 대한 영향

        서재성 ( Jae Seong Seo ),민학진 ( Hak Jin Min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조기현 ( Ki Hyun Jo ),김용훈 ( Yong Hoon Kim ),박철희 ( Cheol Hee Baak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수술 후 대퇴부 동통 및 실혈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압박대의 압력을 300 mmHg로 사용한 군(I군)과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을 사용한 군(II군)으로 나누어 술 후의 대퇴부 동통의 발생빈도, 동통의 강도 및 실혈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대퇴부 통증의 빈도는 술 후 12시간째 I군(72.5%), II군(70.7%), 24시간째 I군(77.4%), II군(50.1%), 72시간째 I군(58.1%), II군(34.7%)으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증의 강도도 술 후 6시간(p=0.04)과 72시간(p=0.02)에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I군과 II군에서 수술 후 실혈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의 압박대를 사용함으로써 술후 지혈대에 의한 대퇴부 동통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300 mmHg의 압력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 시술후 실혈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ourniquet pressure on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and blood loss of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focused on one-hundred sixty-one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ies that were done with using a tourniquet. The tourniquet pressures were 300 mmHg in group I (seventy-four cases) and 100 mmHg higher th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group II (eighty-seven cas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ith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we assessed the hemoglobin levels and the hematocrits. Result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thigh pain in group I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group I.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of group II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I at both 6 hours and 72 hour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blood lo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Using a tourniquet pressure of 100 mmHg abov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can reduce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hen comparing the above technique with a TKA using 300 mmHg of tourniquet pres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 KCI등재

        고도굴곡형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에서 가동형과 고정형 삽입물의 비교

        서정탁 ( Jeung Tak Suh ),김태완 ( Tae Wan Kim ),안태영 ( Tae Young Ah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고도굴곡형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에서 가동형과 고정형 삽입물을 이용한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고도굴곡형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가동형 삽입물을 이용한 65예와 고정형 삽입물을 이용한 65예를 대상으로 최소 2년 이상 추시관찰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 및 기능점수는 가동형군에서 술 전 53.2점, 49.7점에서 술 후 95.6점, 96.1점으로, 고정형군에서 술 전 54.1점, 50.9점에서 술 후 94.5, 95.1점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 운동 범위 및 최대 굴곡 각도는 가동형군에서 술 전 122.3o, 125.8o에서 술 후 129.1o, 131.4o로, 고정형군에서 술 전 122.2o, 123.9o에서 술 후 128.3o, 129.3o로 향상되었으며,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꿇어 앉는 자세와 양반다리 자세 가능 여부에 있어서도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가동형군에서 양반다리 자세 시 더 용이 하였다. 결론: 임상적 평가지수, 슬관절 운동 범위, 최대 굴곡 각도는 양 군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양반다리 자세 시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는 가동형 삽입물을 이용한 군에서 더 높았다. Purpos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up results of high flex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using the mobile-bearing and fixed-bearing design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30 patients who had undergone high-flexion TKA from December 2003 to December 2007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Of all the 130 patients, 65 patients had undergone TKA using a mobile-bearing design, and the other 65 patients had undergone TKA using the fixed-bearing design. Results: The post-operative Knee Society Knee Score (KSKS) and Knee Society Functional Score (KSFS) of the mobile-bearing group were 95.6 and 96.1 points, which were 53.2 and 49.7 points, respectively, preoperatively, and the post-operative KSKS and KSFS of the fixed-bearing group were 94.5 and 95.1 points, which were 54.1 and 50.9 points, respectively, preoperatively. The range of motion (ROM) and maximal flexion angle (MFA) of the knee joints of the mobile-bearing group were 129.1o and 131.4o, which were 122.3o and 125.8o, respectively, preoperatively, and those of the fixed-bearing group were 128.3o and 129.3o, which were 122.2o and 123.9o, respectively, pre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rossed-legged sitting and attaining a kneeling position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mobile-bearing group could easily take a crossed-legged sitting position. Conclusion: The clinical parameters and the ROM and MFA of the knee joi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but the mobile-bearing group felt more comfortable in the crossed-legged sitting posi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의 운동학

        강승백 ( Seung Baik Kang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최근의 기술의 발전에 의해,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삽입물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관절운동범위를 증가시키며, 하지의 정렬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상 슬관절의 굴곡 운동을 재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가고 있다. 실제로 전치환술 이후의 보행 분석과 방사선 투시를 이용한 분석에 의하면 슬관절 전치환술의 운동 패턴은 여러 인자에 의해 복잡하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상면에서, 정상 슬관절의 굴곡 시 대퇴골은 경골 고평부에서 후방으로 구름과 동시에 또한 미끄러지는 운동을 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런 슬관절의 운동 양식은 대퇴과와 경골 고평부의 모양뿐만 아니라 후방십자인대의 기능과 긴밀하게 연관이 있다. 이 두 가지 인자에 의해 슬관절 굴곡 시에는 중간 운동 범위에서 내측에 회전 축을 가지는 경골의 내회전을 일으키게 되며 120˚ 이상의 고도 굴곡 시에는 양측 대퇴과 모두 후방으로 전위되게 된다. 슬관절 전치환술시에도 굴곡시에 마찬가지로 대퇴골의 후방전위는 나타나며 캠-포스트를 가지는 후방 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이런 대퇴골의 후방전위는 더 일정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 후과의 오프셋의 회복은 고도 굴곡 시 생기는 대퇴골과 경골의 충돌을 막게 되어 좀 더 증가된 관절운동 범위를 가지게 된다. In the current age of technological advances, reproducing the knee kinematics for minimizing wear and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together with obtaining proper alignment and stability, have become the major goals of total joint replacement. The kinetic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have a complex influence on its performance, and differing abnormal patterns have been shown after TKA by using gait analysis, fluoroscopy and radiostereometry. In the sagittal plane, it is now understood that the femoral condyles roll and glide simultaneously on the tibial plateau during flexion. The kinematics of the knee and the shape of the condyles and the tibial plateau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functions of the cruciate ligaments. The kinematics result from the combined actions of the surface geometry of the joint and the soft tissues attached to it. To a variable extent in the mid-range, these factors cause tibial internal rotation to occur with flexion around a medial axis. From 120_ to full flexion, both condyles roll back onto the posterior horn so that the tibio-femoral joint subluxes. In TKA,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bstituting a cam-and-post mechanism for the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shows consistent posterior femoral rollback during flexion. Restoration of the posterior condylar offset is important since it allows a greater degree of flexion before impingement occurs.

      • KCI등재

        NexGen<SUP>®</SUP> 인공 슬관절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문경호(Kyoung-Ho Moon),조규정(Kyu Jung Cho),이동주(Tong Joo Lee),김형기(Hyoung-gi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NexGen<SUP>®</SUP>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NexGen<SUP>®</SUP>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 이상 관찰이 가능하였던 67명 100 슬관절을 대상으로 평균 3년 2개월(2-7년) 추시한 결과를 미국 슬관절학회의 평가기준에 따라 슬관절 점수 및 기능 점수를 구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운동범위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 및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각각 수술 전 평균 107.4° (50-140˚) 및 105.8˚ (70-120˚)이었고, 최종 추시시 127.2˚ (85-140˚) 및 125.6˚ (90-140)˚로 증가되었으며 굴곡 구축도 각각 수술 전 11.3° (0-30˚) 및 10.6˚(0-30˚)에서 수술 후 1.3˚ (0-15˚) 및 3˚ (0-15˚)로 호전되었다. 미국 슬관절학회의 슬관절 점수 및 기능점수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각각 수술 전 평균 62점(35-82) 및 40점(0-70)에서 최종 추시시 95.8점(87-100) 및 97점(70-100)으로 향상되었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수술 전 평람 53.8점(32-73) 및 36점(0-50)에서 최종 추시시 95.1점(89-98) 및 79점(55-95)으로 향상되었다.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2예 있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NexGen<SUP>®</SUP>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은 수술 후 통증감소 및 슬관절 운동범위 등의 기능 회복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낮은 합병증의 발생률을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atients that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using a NexGen<SUP>®</SUP> implant,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1996 and June 2002, 100 knees in 67 patients,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following TKRA using a NexGen<SUP>®</SUP> implant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fo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using the assessment standards of the Knee and Functional Score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were 107.4° (50-140°) and 105.8° (70-120°), respectively, which had improved to 127.2° (85-140°) and 125.6° (90-140°), re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 up. In addition, the preoperative flexion contracture improved from 11.3° (0-30°) and 10.6° (0-30°) to 1.3° (0-15°) and 3° (0-15°) postoperatively. The results using the assessment standards of the Knee and Functional Score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were improved from 62 (35-82) and 40 (0-70) to 95.8 (87-100) and 97 (70-100)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whereas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ere improved from 53.8 (32-73) and 36 (0-50) to 95.1 (89-98) and 79 (55-95). As a complication, infection occurred in 2 cases; they were given a reimplantation. Conclusion: TKRA using a NexGen<SUP>®</SUP> implant showed satisfactory improvement in pain relief and function, such as range of motion, as well as a lower occurrence rate of complications.

      • KCI등재

        NexGen®-LPS를 이용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추시 결과

        문경호,이동주,이중선,김영태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5

        Purpose: One hundred and thirty-six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with NexGen®-LPS were analyzed for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after a minimum follow-up of 5-yea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6 patients (209 knees) who underwent TKRA with NexGen®-LPS between August 1998 and February 2005 and had a minimum follow-up of 5 years. We evaluated the range of motion (ROM), American Knee Society knee functional scores, radiographic results and complication rates in the study subjects with an average 8.3 years of follow-up (range: 5-11.5 years).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of the degenerative arthritis group (195 knees in 129 patients) with those of the rheumatoid arthritis group (14 knees in 7 patients). Results: The mean ROM increased from 107.3o to 122o at the fi nal follow-up. The fl exion contracture also improved from 8.3o to 1.2o at fi nal follow-up. The knee score improved from 51 to 94.7 at the fi nal follow-up. The functional score improved from 38 to 84.2 (p<0.05) at fi nal follow-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 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between the degenerative 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groups (p>0.05). Valgus (α), varus (β), fl exion (γ) and the posterior slope angle (δ) of the tibial components were well maintained both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at the fi nal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 cant difference in the tibiofemoral angle and α, β, γ and δ angle (p>0.05) between the degenerative 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groups. The alignment of the alternative substance was also relatively well maintained. Radiolucent lines were observed in 39 knees (18.7%),and in 42 zones out of 209 knees. The most common site of radiolucent lines was the medial side of the tibia in 21 knees. The overall incidence of radiolucent lines was 15% for the femur, 61% for the tibia and 24% for the patell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ce of radiolucent lines and the clinical results (p>0.05). There was 1 case of revision surgery due to loosening of implants at 8 years after surgery, but no early loosening was observed in the study subjects. Complications were found in 6 patients. Two patients with early postoperative infection were treated with revision surgery. Two patients with acute hematogenous infection 4 year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were treated with revision surgery. Two patients with superfi cial infection were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regular dressing. Conclusion: The patients treated with the NexGen®-LPS TKRA had a decreased level of postoperative pain and an improved knee joint ROM. A lower rate of complications was also found with this type of implant. 목적: NexGen®-LPS 기구를 사용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최소 5년 이상의 중장기 추시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8월부터 2005년 2월까지 NexGen®-LPS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36명, 209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8년 3개월(5-11.5년)이었고 미국 슬관절 학회의 평가기준에 따라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하였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군(129명, 195예) 및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7명, 14예)의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 범위는 술전 평균 107.3o에서 술후 평균 122o로, 굴곡 구축은 술전 평균 8.3o에서 술후 평균 1.2o로 호전 되었다. 미국 슬관절 학회의 슬관절 점수는 술전 평균 51점에서 술후 94.7점으로, 기능점수는 술전 평균 38점에서, 술후 평균 84.2으로 향상 되었다. 퇴행성 관절염군과 류마티스 관절염군의 결과 비교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대퇴골 치환물의 외반각(α), 내반각(β), 굴곡각(γ), 후방경사각(δ)은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와의 각도는 비교적 잘 유지되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교할 때 대퇴-경골간 각 및 α, β, γ 그리고 δ각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치환물의 위치와 정렬은 잘 유지되었다. 방사선투과선은 총 209예 중 39예(18.7%), 총 42구역에서 관찰되었다. 그 중 전후면상 경골의 내측이 총 21예(50%)로 가장 많았으며, 각각의 빈도는 대퇴골에서 15%, 경골에서 61%, 슬개골에서 24%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방사선투과성 선의 유무와 임상적 결과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치환물의 해리에 의한 재치환술을 시행한 1예가 있었으며 조기 실패의 예는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초기 수술 후 감염이 2예 있어 재치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4년째 급성 혈행성으로 감염된 2예가 있어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표재성 감염이2예 있었으며 항생제와 소독으로 치료되었다. 결론: NexGen®-LPS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은 수술 후 통증감소 및 슬관절 운동범위 등의 기능 회복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낮은 합병증의 발생률을 보였다.

      • Comparison Quadriceps Sparing Approach with Mini Quadriceps Splitting Approach in Minimally Invasive Total Knee Arthroplasty

        Park, Sang Eun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Minimally Invasive Surgery Quadriceps 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IS QS TKA) can be a more functional and better method in treatment of advanced degenerative arthritis comparing with mini quadriceps split minimal invasive surgery Total Knee Arthroplasty (MIS TKA). Group I: MIS QS group were 48 knees (69.3 ± 9.7 years) and follow-up period was 38.8 ± 0.4 months. Group II: mini quadriceps split MIS TKA were (67.4 ± 5.6 years) and follow-up period was 44.2 ± 0.6 months. We did clinical and radiological assessment. The length of incision of group I was 9.32 ± 0.96 cm and that of group II was 10.9 ± 0.5 c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functions and radiological assessment between two groups. Both methods are an effective and safe method in treatment of advanced degenerative arthriti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s between two groups. In addition, type III Vastus Medialis Obliquus is found more often than type I or II in asian knees. Therefore the author propose that MIS QS TKA be more favorable in asian degenerative arthritis. 동양인에 있어 진행된퇴행성 관절염의 치료에 있어 최소침습적 대퇴 사두근보존인공슬관절 치환술과 최소침습적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비교하여 어느 술식이 더 기능적이고 우수한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한논문이다. 최소 침습적 대퇴 사두근 보존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48명의 환자와 추시 기간 36+/-0.4개월 group2: 대퇴 사두근최소절개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204명(67.4+/-5.6세),추시기간 42.2+/-0.6개월 임상적 및 영상 의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group1의 절개창 길이는 9.32+/-0.96cm이고 group2는 10.9+/-0.5cm이었다. 두 그룹간 임상적 기능과 영상 의학적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점은 보이지 않았다. 최소 침습적 대퇴 사두근 보존 인공 슬관절 치환술과 대퇴 사두근 최소 절개 인공 슬관절 치환술 모두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 진행된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에 있어서 최소 침습적 대퇴 사두근 보존 인공 슬관절 치환술 및 대퇴 사두근 최소 절개 인공 슬관절 치환술 모두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

      • KCI등재

        심한 내반 변형과 후외측부 회전 불안전성을 동반한 골관절염의 일차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

        선두훈,송인수,권준한,김찬근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내반 후외측부 회전 불안정성은 내반 변형 골관절염에서 종종 볼 수 있으며, 관상면상 하중 반응기 시 내반 변형의 악화를 보인 후 초기 접지기 시 정렬의 회복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반 후외측부 회전 불안정성을 동반한 골관절염에서 표준형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2,391개의 슬관절 중 20° 이상의 심한 내반 변형과 내측 후외측부 회전 불안정성을 동반한 68명, 84개의 슬관절이 포함되었다. 평균 나이는 78.6세(56–86)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5.6개월(26–110)이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 시 내반 회전 불안정성 정도(varus thrust amount, VTA), 근위 경비골중첩 길이(proximal tibiofibular overlap, PTFOL), 치환물의 위치(α, β, γ, δ)를 측정하였다. 슬관절의 회전 변형 평가를 위해 foot scan® (RSscan International, Olen, Belgium)을 통해 보행 분석을 실시하여 초기 접지기 및 하중 반응기에서 발 축(foot axis) 과 발의 압력 중심(center of pressure, COP)이 이루는 각인 foot axis-COP angle (FCA)를 측정하였다.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점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VTA의 변화는 수술 전 평균 5.1° (3.1°–7.2°)이었고 최종 추시 시 평균 1.9° (0.3°–2.8°)로 교정되었다(p=0.017). PTFOL은수술 전 평균 18.1 mm (9.0–29.1)였고 최종 추시 시 평균 11.0 mm (4.2–20.7)로 교정되었다(p=0.029). α, β, γ, δ각은 각각 평균 94.6°, 90.3°, 3.86°, 89.7°였다. 초기 접지기 시 FCA는 수술 전 평균 -1.8° (-1.0°에서 -4.4°까지)에서 수술 후 평균 2.3° (-1.1°– 4.1°)로 교정되었고(p=0.013), 부하 반응기의 FCA는 수술 전 평균 5.2° (1.0°–7.2°)에서 수술 후 평균 6.0° (1.1°–7.4°)로 측정되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23). H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45.7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68.2로 교정되었다(p=0.011). 결론: 내반 후외측부 회전 불안정성을 동반한 골관절염에 구속형 치환물의 사용 없이 시행한 표준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은 최종추시상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