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의 역사로서의 인격함양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사랑의 역사」에서 인격함양은 사랑이 사랑이라는 기초 위에 사랑을 세우는 과정으로 규정된다. 사랑을 심어줄 수 있는 것은 오직 신뿐이며, 인간은 사랑이 있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을 뿐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사랑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이 다른 사람을 인격함양으로 이끄는 방안이 된다고 주장한다. ‘사랑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에는 신의 개입을 확신한다는 의미와 함께, 다른 사람이 홀로 서도록 전심으로 도와주면서 겸손한 자세로 자신의 역할과 존재를 감춘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인격함양을 위한 조력자의 실천은 ‘중복’의 원리를 따른다. 즉, 그것은 한 사람 안에서 형성되는 신-관계와 동일한 것이 다른 사람 안에 ‘복제’되고 그 과정에서 그가 베푸는 조력이 ‘무한히 증폭되어’ 그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그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생을 인격함양으로 이끄는 교사의 활동은 그와 같은 실천을 예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격함양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은 그 설명이 거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격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인격함양을 사랑의 역사로 설명하는 키에르케고르의 담화는 독자의 인격을 함양시켜주는 실천의 모범사례로 간주될 만하다. ‘To build up’ is used as a 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New Testament. Upbuilding as love’s most characteristic specification means love’s building up love on the ground of love in Kierkegaard’s Works of Love. For him, one human being cannot implant love in another human being’s heart, in that it is only God who can implant love in each human being. The best that one can do is to presuppose that love is in the other person’s heart, and by this very presupposition the one who loves builds up love in him. It implies that by hiding his help the human helper can help him to stand by himself. The loving one’s self-annihilation is needed in order not to hinder the other person’s God-relationship. Upon God’s entering in, his presence and role must be erased, which nonetheless means his salvation. Kierkegaard’s concept of ‘redoubling’ applies in describing how the loving one’s practice for helping the other person’s upbuilding is possible. When the eternal redoubles in the loving one’s being, he helps the other person to ‘reduplicate’ what is redoubled in him, and receives what he gives to the other person by God’s repeating it ‘with magnification of infinity.’ The teacher who helps his pupil to upbuild exemplifies the principle of redoubling according to which the loving one practices for the one helped. This principle requires the teacher to take the role of ‘God’s co-worker.’ That a discourse on upbuilding itself is upbuilding can serve as the criterion which a discourse on upbuilding must meet, ‘for only the truth that builds up is truth for you.’ Kierkegaard’s discourse on upbuilding shows that a good discourse itself can help its readers to upbuild.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人性敎育)과 유학(儒學)의 인성함양(人性涵養) 방법

        김기주 ( Kim Keejoo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3 No.2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날이 갈수록 더욱 간절해지고 있다. 인격형성의 주요한 토대로 작용하였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해체되어 버렸고, 자극적인 자본주의 체제는 인간을 더욱 극단적인 모습으로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공동체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양되던 인성은 사실상 전적으로 공적 교육의 영역 속으로 편입되었지만, 인격형성을 위한 교육은 여전히 충분하게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디로 발걸음을 옮겨야 하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해 인성교육을 통한 인성함양 혹은 인격형성의 방법과 방향을 유학의 인성함양 전통에서 확인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의 좌표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방법적인 원리에 따라 구분할 때, 인성교육은 크게 ‘직접적인 접근’과 ‘간접적인 접근’으로 나누어진다. ‘직접적인 접근’은 인성을 직접 가르칠 수 있다고 전제하고 길러져야 할 인성의 덕목을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택한다. 반면에 ‘간접적인 접근’은 공동체 내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인간다움의 원리와 원칙들을 스스로 깨달아 가며, 그 일원으로 자연스럽게 성장하는 것을 강조한다. 유가적 전통 속에서 보자면, 전자는 도문학 공부, 후자는 존덕성 공부와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유학에서는 그 양자 가운데 존덕성을 우선시하면서도, 도문학과 존덕성의 균형을 강조한다. 결국 유학에서는 간접적인 접근 방식과 함께 직접적인 접근 방식, 혹은 내면적인 도덕의 수양과 외면적인 덕목 교육이라는 두 가지 경로의 지향이나, 양자의 합일을 통해서 이상적인 인격, 곧 인성함양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틀에서 보자면, 인성함양은 존덕성과 도문학 방법의 병행, 그리고 사회적 변화에 맞춰 존덕성을 위한 활동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통해 성취된다고 이해된다. A demand on personality education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these days. It is because the traditional com m unity that functioned as a major ground to build personality has become dismantled, and the simulative system of capitalism is leading people to extremes. And in fact, personality that was naturally cultivated in a community in the past has entirely become included in the area of public education; however, education to build person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fully yet. In this situation, to what direction should we take our steps? About this question, we may be able to figure out where we are and what we should pursue afterwards by examining the ways or directions of building and cultivating personality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with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to cultivate personality. When it comes to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irect approaches’ and ‘indirect approaches’. ‘Direct approaches’ suppose that personality can be taught directly and adopt the ways to teach the virtues of personality to be cultivated repeatedly. On the other hand, ‘indirect approaches’ emphasize the process that humans realize the principles of being humane on their own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in a com m unity and grow as a member of it naturally. In consideration of Confucian tradition, the former can be connected to domunhak (cultivating virtues through studies), and the latter jondeokseong (preserving the virtues we are born with). In Confucianism, jondeokseong is preferred among the two, but it also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domunhak and jondeokseong. In other words, in Confucianism, not only indirect approaches but direct approaches, say, the two paths of cultivating morality internally and teaching virtues externally, are pursued at the same time, but it suggests the w ay to reach ideal personality through harmony between the two. In this sense, we can understand that personality cultiv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ombination of jondeokseong and domunhak, and the changes of our behavioral modes for jondeokseong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 KCI등재

        맹자 수양론과 장자 양생론에서 본 인격 함양의 접점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맹자는 성 ․ 심 ․ 기를 통한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고, 장자는 정 ․ 기 ․ 신을 통한 양생론을 제시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기’에 있으며 ‘양기(養氣)’를 통한 인격 함양을 제시하고 있다. 맹자는 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존야기(存夜氣), 존평단지기(存平旦之氣)를 의(義)와 결합시키고 있다. 이들을 잘 기르고 보존하면 기가 천지간에 가득하게 되고 부동심을 확장 확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기는 마음의 뜻(志)을 통해 움직일 수 있고, 기가 마음에 가득 차게 되면 마음의 뜻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내부와 외부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인격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는 그 자체로 만물을 생성시키지는 않는다. 그 도에서 나온 하나의 기가 만물을 이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만물은 기를 통해 생성되고 인간 역시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양기(養氣)를 통해 양생을 이룩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비움’이다. 심재와 좌망은 비움을 통해 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편들이다. 기는 내부적 외부적 소통과 교류의 매개이자 핵심이 되며, 성인, 진인, 지인이 될 수 있는 방법적 수단이기도 하다. 기는 맹자와 장자에서 공통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며 그것을 통해 서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적 인격 함양의 기제가 된다. 맹자와 장자의 비교를 통한 수양론과 양생론은 제한된 지면에서 한꺼번에 논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향후 인격 함양 기제와 인격교육적 의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Mengzi's Self-Cultivation and Zhuangzi's Nurturing-Life. Mengzi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Human Nature (性), Mind (心), Qi (氣), and Zhuangzi emphasizes the theory of nurturing-life through Vital Force (精), Qi (氣), Sprit (神). What they have in common is Qi, to put it further, it can be said nurturing-qi. Mengzi says if you combine the virtues of Developing Great Spirit (養浩然之氣), Preserving the Night Air (存夜氣), Preserving the Daybreak Air (存平旦之氣) with moral Righteousness (義) and nurture them well, Qi will be filled with heaven and earth and expand the imperturbable mind (不動心). In Mengzi, the Qi can move through the will of the mind, when Qi fills the mind, it becomes a being that can move the will of the mind.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rough this, the level of personality can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Zhuangzi is the Tao itself, not to create all things, he proposes the theory of Qi, which assumes that the one Qi from the Tao creates all things. Therefore, humans can obtain nurturing-life through nurturing-qi, and the key is emptying. He believed that qi could come in and out by emptying and approach the Tao. Qi is the medium and core el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and exchange, and it is also a methodical means to become the sage or the true person. It can be seen that Qi is the point of character-cultivation in Mengzi and Zhuangzi.

      • KCI등재

        歷代 畵論에 나타난 美育的 要素에 관한 소고

        이재우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7 No.-

        본 고는 歷代 畵論에 나타난 美育的 要素에 관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회화의 미육적 요소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成敎化, 助人倫’的 美育과 ‘鑑戒賢愚’的 美育의 요소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歷代 畵論에 전개된 美育的 要素에서는 문화지식과 심리특징을 주관적 意象으로 도식하여 창작자의 美育的 隱喩라는 의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물, 문자의 형상, 인물을 화면으로의 시공간을 구축한 후 그에 대한 고사나 정절을 묘사하여 윤리적으로 감계적인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론에서 花鳥畵家들은 원형의 모습대로 그리거나, 상징적인 모습을 그리거나, 독음이 비슷한 것을 그리는 등, 문화지식과 심리특징으로 주관적 意象을 그려냄으로써 창작자의 美育的 메타포를 통하여 마음속의 특징이나 문화를 주관적 이미지로 풀어냈다. 이러한 것은 미육에서 지향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繪畵를 보는 사람의 감상 방식의 변화는 美育의 鑑戒․敎化的 技能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회화는 선함을 권면하고 악함을 경계하는 勸戒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인격을 함양하고 성정을 陶冶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 같은 효용성과 기능에는 미육적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명재 윤증의 교육사상 검토

        송수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1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Myungjae Yunjeung (明齋 尹拯, 1629~1724) was revered as a leader of Soron and was a typical Seonbi, considering his life and Gongbu. Although he was not active in participating in real politics, he tried to do his best as a Seonbi by teaching and devoting himself to his studies. For Yunjeung, Gongbu means the effort itself to take care of everything in daily life properly based on reason and to cultivate character. This is the life that Yunjeung pursued and the essence of his Gongbu. This kind of academic value was applied to educational ideas for his students. Yunjeung emphasized that his students should focus on the essence of Confucianism. His philosophy of emphasizing daily life and practice led to the emphasis of educational policy on ‘Sohak’ and ‘Gyeokmongyogyeol.’ In addition, unlike his teacher Song Si-yeul, Yunjeung showed an open attitude and tolerance toward his students' academic interests. This enabled his students to show their own personalities and unique qualities. Yunjeung’s students fulfilled the spirit of Seonbi in various sectors by following the directions of their teacher. 조선 후기,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앙 받은 명재 윤증(明齋 尹拯, 1629∼1714)의 삶과 공부는 선비의 전형(典型)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비록 현실 정치에 적극 나서지 않았지만 학문 정진과 후학 양성 등을 통해 선비로서 시대적 사명을 다하고자 노력했다. 윤증에게 공부란, 일상의 모든 일을 이치에 맞게 처리하고 인격을 함양하며 선비의 본분을 지키는 노력 일체였다. 이것이 선비 윤증이 추구했던 공부의 핵심이자, 지향했던 삶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관은 제자 교육 방침에도 적용되었다. 윤증은 제자들에게도 유학의 본연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였다. 일상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학문관은 『소학』과 『격몽요결』을 강조하는 교육 방침으로 이어졌다. 또한 윤증은 자신의 스승이었던 송시열과 달리, 관용과 포용의 자세로 제자들의 학문적 관심사를 존중하는 열린 태도를 보였다. 이는 제자의 개성과 자질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윤증의 제자들은 각기 다양한 분야에서 스승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르면서 선비 정신을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언어예법 교육 연구

        김은수 ( Eun Soo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우리말의 올바른 이해와 도덕적 활용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건전한 인격 함양과 도덕 성 발달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내용의 구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교육은 국어과 내지 언어교육 쪽에서 담당해야 할 것으로 알고 있으나, 말 또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언어가 인지와 사고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말 자체에 가치관이나 사회적 합의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말의 올바른 사용 내지 도덕적 형식에 따른 사용은 종국적으로 사용자의 의식과 감정뿐만 아니라 도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이상 국어과 내지 언어교육만의 문제가 아닌 도덕과와 깊이 연관된 문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 도덕과는 기존의 말 내지 언어라고 하는 분파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우리말의 올바른 이해 및 도덕적 활용에 눈을 돌려 이를 통한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인격의 함양에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초등 도덕과에서 올바른 언어사용 예절 및 그 이해에 초점을 두고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점검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구조화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s construction of moral educational contents in elementary level for fostering sound characters and developing elementary students` morality through understanding our mother language and its moral usage. We generally think that language education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but we can consider language education not just as Korean education, but as moral education because language is influenced by recognition and thoughts, and language itself influences them, too.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language contains value and social agreement, using proper language with moral sense finally affects language users` consciousness, emotion and morality positively. Therefore we need to have our standpoint that learning Korean precisely and using it morally right is an effective method to cultivate the students` character and title of respect. This study focused on proper language use with respect in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level. I checked the necessary item needed to design contents viewed in this light.

      • KCI등재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내: 키에르케고르의 관점

        임병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3

        In our contemporary society, patience tends to be regarded as a means to satisfying one's earthly desires, not as a fundamental virtue involved in moral cultivation or self-realization. This tendency makes it difficult for us to recognize what role patience take in human becoming and development. We need to understand that patience must be rooted in the deepest dimension of our being. In his edifying discourse titled "Patiently Gaining One's Soul", Kierkegaard suggested that patience serve as the condition of one's soul-gaining and constitute his soul possessed as the result of it. The paradox of soul-gaining derives from the very being of soul or self as "a synthesis of the temporal and the eternal". By virtue of patience, we can expect the eternal result of faith―as defined by Kierkegaard's famous phrase "the self is grounded transparently in the Power which posited it"― from the temporal process of self-realization. Kierkegaard's whole works, including the discourses on patience, can be interpreted as a process of practice for making the readers' patience grow. I hope the present article also help me and the readers grow in patience. In this regar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patience can be construed as an aim of education. 인간은 육체를 가지고 한정된 시간을 살아가는 존재이며, 인내는 이러한 근본적 한계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데에 요구되는 덕이다. 인내를 단순히 세속적 이익과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는 관점은 인내가 인격함양의 조건이면서 동시에 그 함양의 결과로 나타나게 되는 인격의 특징으로서 인간 존재의 깊은 차원에 닿아있다는 인식과는 양립 불가능하다. 키에르케고르가 보기에, 인내는 시간적 과정으로부터 영원한 결과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면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그 기대와 노력을 지속할 수 있게 해 주는 근본적인 덕이다. 인간은 인내에 의하여 피조물에 대한 창조주의 인내에 참여하며, 그의 자아가 ‘그것을 만들어 낸 힘 속에 투명하게 안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인내는 교육의 목적으로 간주될 만하며, 인내에 관한 담화는 교육의 실천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진리이론: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임병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23 道德敎育硏究 Vol.35 No.3

        키에르케고르는 실존하는 주체의 내면성, 열정적 자기화와 같은 주관성의 요소를 강조하고, 그것을 진리 기준으로 내세운다. 대응설에서 진리는 명제(사고)의 특성, 즉 그것이 사실(존재)과 일치한다는 특성에 지나지 않는 반면에, ‘인격을 함양시켜주는 진리’로서의 주관적 진리는 당사자의 전적인 헌신을 요구하는 과제로 간주된다. 소크라테스 사상과 기독교, 그 각각을 발달의 관점에서 규정하는 종교성 A와 종교성 B는 주관적 진리의 두 가지 양태를 보여주며, 그 양자의 관계는 그 각각에 상응하는 전달방법으로서의 ‘2중반사에 의한 간접전달’과 ‘복제에 의한 간접전달’에 상응한다. 주관성과 정합성의 관련에 주목하면, 키에르케고르의 진리이론은 정합설의 사례로 간주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정합성이 논리적 무모순이라는 의미 이외에 자기화의 열정과 같은 주관성의 요소를 담을 수 있어야 한다. 주관적 진리와 간접전달에 관한 키에르케고르의 논의는 그의 진리이론이 정합설에 실제적 행위를 추가한 제4의 진리이론, 즉 ‘메타프락시스설’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그의 이론은 진리 기준의 절대성 또는 이차원성(異次元性), 영원한 진리와 주관적 진리의 우선성, 진리를 자기화하려는 열정 자체의 중요성에 관한 정합된 논의를 담고 있다.

      • KCI등재

        시중(時中)에 이르는 능력 함양론

        조남욱 ( Nam Uk C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7

        이 글은 도덕교육계에서 중시되고 있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와 관련하여 동양전통에서 이상적 행동양식으로 중시된 ``時中``의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이 ``時中``이란 인간의 도리에 적중되는 삶의 모습으로 이른바 ``中庸``의 길에 이르는 時宜의 도덕적 행위로서 예나 지금이나 인격 함양의 요체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앎과 행위의 이원화 현상을 낳기도 하는 도덕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그리고 급변하는 현실 속의 도덕적 실천성 제고를 위하여 이에 대한 논의의 확장이 요구된다.이 시중을 향한 능력 함양의 요지로는, 첫째 인간으로서의 각 개인은 자기 스스로가 진리적 존재임을 깊이 자각해야 한다는 점, 둘째 현실의 주변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적극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셋째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방안을 수립하되 항상 가변적 대안까지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넷째 스스로 속이지 않는다는 지성적 의지로서 이미 구상한 것을 적극 실천하되 항상 반성과 평가의 태도를 견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그리고 時中行에 있어서는 權道論에서 나타나는 바와 비록 행동 양상은 상황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로 가능한 것이지만 언제나 최고선을 향한 선악시비의 가치가 일관적으로 견지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즉 부도덕한 시류의 행태도 시중으로 오인될 수 있음을 경계한 것이다. 나아가 시중론의 기본이 되는 현실 상황에 대한 관점의 설정 부분에 있어서 그 영역이 넓으면 넓을수록 가치 추구의 심도가 깊어지게 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된 시중이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른바 ``실천적 지혜(phronesis)``와 성격을 같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의 敎育目標 및 方法에 대한 批判的 檢討 - 기초법영역의 상대적 보강을 중심으로

        이종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8

        This article is aimed at studying improvement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are come to light in Law school education, which commenced seven years ago in Korea.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how to practice the essences of ‘scientific Law’ including ‘basics of law’ corresponding to the goal of education within Law School system. The present age, Korean society demands ‘Cultivating men of ability through the education’ in producing the men of legal circle, and there is a cry for reform to Korean legal circle. So I want to raise the controversial issues and suggest the reformative plans in the context of Law School education system. Also ‘legal history and basics of law’ education which inquires into the experiment justice can offer graduate students the social justice and the insight for good judgement. Finally I suggest that the needs of the times in education system of law school is a radical change for the competent person who could realize social justice. 본고는 법학전문대학원시대 이전의 법전문인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 있어 노정되어온 현재적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특히 기초법영역을 중심으로 법학 본질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환기하면서, ‘교육을 통한 인재양성’과정에서 중요하게 실천되어야하는 교육의 목적 및 방법 등을 실정법 및 제도전반의 통합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게 된 것이다. 법학교육의 변화를 통한 우리 사회의 발전적 변화와 법전문인에게 요구되는 인격함양 및 사회적 책임강화는 현 시대가 요청하는 시대적 과제가 된다. 나아가 이러한 토대위에서 인간의 존엄가치를 실현하고 정의와 평등을 기본으로 하는 법치사회가 비로소 구축될 수 있다. 결국 본 논문은 국민과 사회, 국제화 및 인류역사에 대한 숙고위에서 구체적 법률문제를 바르게 해결함은 물론이고, 정의를 넘어 인류사회의 평화를 지향하는 통찰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으로의 변화와 그 실천에 대해 방안을 모색하는 논고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