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

        조현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나타나는 의사결정 사안을 규명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결과로서 창출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다양한 설계 유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현안 및 쟁점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직면하는 의사결정 사안을 크게 두 차원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한 차원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공존가능성에 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핵심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이해(understanding)와 역량(competency) 중 무엇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내용 및 활동을 선정․조직할 것인지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다른 한 차원의 의사결정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가에 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성취기준에 의거한(standards-driven)’ 교육과정 설계와 ‘성취기준을 의식한(standards-conscious)’ 교육과정 설계 사이의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두 차원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4가지 유형(Type A, Type B, Type C, Type D)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체제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을 모색하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정책 및 실행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upon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urriculum planning. By investigating current issu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s, this study identified two axes of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ompetency-based curriculum planning. One axis deals with what to present as a pivot for selecting and/or organizing curriculum content and activitie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a deep understanding of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nd a key competency, which is caused from the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between the Understanding by Design (UbD) an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other axis deals with how to understand and utilize curriculum standard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standards-driven curriculum planning and standards-conscious curriculum planning, which is rooted in different epistemological stanc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xes of decision-making come up with four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a type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that best fits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in Korea, unit school teachers are authorized to restructure curriculum. Therefore, a moral studies’teacher can restructure the Ethics and Moral curriculum in order to perform his teaching activities effectively. Understanding Based curriculum, which has become a great interest recently, falls o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targeting the two obstacles of superficial lessons and activity-based lessons.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Centered Curriculum is more emphasized with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than that of curriculum design in the sense that it is in line with backward lesson design. From that perspective, this study reexamined the aspect of curriculum design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which has not been main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analysed the implication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for Ethics and Moral studies curriculum. Finally, it proposed questioning formation as exemplary cases of the curriculum so as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e moral education, backward design based on that, and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 논의에 주는 시사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Tyler와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였다. 이론 구조 분석을 통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수행 없는 이해'와 '이해 없는 수행'이라는 두 방향의 문제 사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 핵심 개념인 이해에 대한 의미의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이해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전이, 영속적 이해, 핵심 질문에 대한 탐색이 요청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되는 Tyler와 Bruner 이론을 재조명함으로써, 백워드 설계의 출발점인 이해에 대한 합리적 설명 가능성, 백워드 설계 속에 지식의 구조 개념을 수용하는 방식,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Bruner의 대담한 가설과의 관련 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성격과 관련하여 이해의 개념, 교육과정 분절화, 이해의 증거가 갖는 성격, 지식의 구조론과의 관련, 교육목적의 제약 등과 관련된 논의를 살핀 후, 이로부터 함의되는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당사자적 측면보다 설계의 관리자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Understanding by Design(UbD) on the basis of Tyler and Bruner's curriculum theor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UbD and the role of teacher implied by UbD.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Ub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 without performance and performance without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at UbD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meaing of understanding itself; and that UbD requires exploration of the terms such as transfer of learning, enduring understanding, and essential questions to consruct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With the re-examination of the two resource theories of UbD, that are Tyler and Bruner repectively, this study found that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key concept of understanding in backward design; that there is a way of accepting the concept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to the backward design; and that the UbD is involved in the embodiment of the Bruner's bold hypothesis. Finally, this study explored several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UbD itself. Discussions include such topics as a concept of understanding, a problem of fragmentation, doubts on the nature of evidence, relationship with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purpose.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also explored roles of teacher implied in the Ubd which emphasize the teacher's role of manager in the design rather than that of active participant.

      • KCI등재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적용 사례 고찰: 초등예비교사들을 중심으로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이해중심교육과정 은 미국 (Understanding by Design) 내에서 교과의 심층적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단원 설계의 틀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모델이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현 교육과정 개혁에서 주목할 점은 현장에서 교사들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내 많은 주에서는 주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의 틀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 현직 교사들에게 다양한 연수의 기회들을 제공할 뿐 아니라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이해중심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과목들을 신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을 주 교육과정 틀에 반영한 버지니아 주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이해중심교육과정과 그와 관련된 개념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단원 개발에 적용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심층적 학습의 도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사에 의한 ``설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 현장에서 교과서 중심의 선행학습과 활동 중심 수업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수업을 도모하는 데에 함의점을 제공할 것이다. Understanding by Design (UbD) is gaining educators` attention and popularity in the United States as a new curriculum design model. Wiggins and McTighe criticize activity-oriented lessons and argue that we cannot plan how to teach until we know what we want our students to learn. In this curriculum design model, teachers identify desired learning results by unpacking "big ideas" from existing curriculum, develop various assessment tasks requiring students to apply concepts in new situations, and then plan lesson activities in a way supporting students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assessment task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how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understandings and applied the concepts related to UbD through their unit development. I evaluated their units based on a rubric and then administered a survey where they indicated how much they felt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use the UbD and its related concepts in their classroom.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teacher education programs can strengthen instruction pertaining to UbD as well as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an be developed to reflect the key ideas of UbD to advocate teaching for understanding in classrooms.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

        강현석,이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We have understood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by deep learn ing and authentic understanding. So, How can we approach these aim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integrat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understanding by design. These two elements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in recent studi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values and positions of both sides are very similar.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abilities to abandon fragmented knowledge education and the way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therefor perform better. It further focuses on enduring understand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ove and explores the integration methods of both. Competence-based education aims to improve the uselessness of invaluable knowledge which is not useful in the context of memorization and acquisition of the expression and the relevant experience and practice, either. It has a lot of things in common with understanding by design which emphasizes the enduring understanding of learners, especially the ways to build a curriculum and manage it.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integration methods setting importance on the backward design. Integr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ith UbD is discussed by two lines within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as educational aims, contents, teaching method, evaluation can be integrated by key competency and authentic understanding. Second, we may teach competency itself as content in instructional settings. In the future we should study the approach to authentic integration of the two. 최근 학교 교육과정 변화의 폭과 깊이가 크다.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역사를 볼 때 내용 적정화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추구는 매우 공통적인 화두였다. 현재 교육과정의 양상은 과거보다 매우 진일보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나 학습자, 교사, 학부모가 느끼는 수준은 국가나 전문가의 인식 수준과는 큰 차이가 있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두고서도 많은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심은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최근에 강조되는 역량기반 교육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보면 이 양자는 별도로 논의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양자가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나 입장은 매우 유사한 측면이 강하다. 역량기반 교육은 단편적인 지식교육을 지양하고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진정한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입장은 학교교육과정 개발에서 중요한 측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자의 통합 방안을 시론적으로 논의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지식의 단편적인 암기와 습득, 경험과 실제 맥락의 괴리, 무기력한 지식교육을 개선하고자 하는 역량기반 교육은 학습자들의 진정한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그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면에서 공통점이 매우 많다. 본 연구의 주제인 역량과 이해를 타당하게 이해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백워드 설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통합방안을 탐구해 본 것이다.

      • KCI등재

        인본주의적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 -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을 결합하여 -

        박수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은 소설의 인본주의적인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이고 절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방법론’과 ‘방법’의 위계와 관계를 개념적으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한다. 이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인 백워드 설계 모형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과 방법의 교차 결합으로 소설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고가 문학교육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which can be reasonably and scientifically done without compromising the humanistic character of novels. First, conceptually separate the hierarchy and relationships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Based on this, distinguishes the methodologies and methods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And then, combine the methodology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with the method of understanding by design, the backward design. Through this cross-combination, propose a case of nove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critical understanding of and flexible acceptance of an understanding by design in the discourse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국제계열 교육과정에서 「지역이해」 과목의 위상과 정체성 혼란

        김대훈(Kim, Dae H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국제계열 교육과정에서 대표적인 지리 과목인 지역이해의 위상과 정체성 혼란 과정을 탐구하였다. 지역이해과목의 위상은 교육법 및 교육과정 문서상에서는 점차 낮아졌지만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교과로서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지역이해 과목의 성격은 7차 교육과정에서 사례지역 탐구 과목으로 설정되었지만,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문명에 대한 이해 과목으로 변경되었고, 2009개정 및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연구 과목으로 변화되는 등 매 교육과정 시기마다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이해 과목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첫째, 국제계열 교육과정의 목적을 ‘세계 시민 의식을 지닌 국제 관계 및 지역 전문가 양성’으로 재설정하고 이에 맞추어 교과목 구성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둘째, 지역이해는 세계지역지리(혹은 세계문화지리)와 지역 연구 과목으로 분리해야 한다. 셋째, 신지역지리학의 연구 성과를 받아들여 동태적인 지역이해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역-쟁점’ 중심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atus and the process of identity confusion of regional studies subject in international studies strand course of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 status of regional studies subject gradually declined in the education law and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t was still an important subject in school. And the identity of regional studies subject was confused. In the 7th curriculum, it was set as a case regional study, but in 2007 revision curriculum, changed into a subject of understanding civilization. and in the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it changed into the area studies. Therefore, in order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regional studies subjects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first,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studies strand course should be redefined as ’training international relations and regional experts with global citizenship’ and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should be done accordingly. Second, regional studies subject should be divided into global regional geography(or global cultural geography) and area studies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regional-issue’ centered contents in order to adopt the results of the new regional geography research and to convert it into a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region.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 탐색

        임유나(Lim, YooNa),최한올(Choi, HanOl),이혜정(Lee, HyeJung),윤완석(Yoon, Wa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원리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백워드 설계 모형인 기대하는 학습 결과 확인하기, 다양한 이해의 증거 결정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단원을 개발하였다. 첫째, 조선 후기 역사 단원의 교육과정 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6가지 이해의 측면, 핵심 지식, 핵심 기능, 핵심 질문을 개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3차시 수업의 수행 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루브릭과 기타 이해 의 증거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WHERETO 모형을 활용한 학습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때 맞춤형 수업의 원리로서 이질집단 편성, 학생들의 관심사 및 흥미에 따른 전문가 협력학습 전략, 다중지능 학습 양식에 따른 선택 학습, 이해력 및 쓰기능력과 같은 학습 능력에 따른 전략을 적용하였고, 맞춤형 수업 전략의 적용에 따라 평가 루브릭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 하는 맞춤형 수업은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다. 다만, 이와 같은 수업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원 설계시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영속적 이해 요소, 빅 아이디어, 핵심질문 등을 제공하는 지원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velop History in Society as a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adapting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aims to discover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m. We developed the field unit in a three step procedure; identify desired results, which is a backward design model;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Firstly, enduring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ix different aspects of understanding, core knowledge, core skills, and essential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curriculums of the history of the late Choseon period. Secondly, performance tasks for the 3rd section lesson were developed using the GRASPS models, and the assessment rubric from it, and evidential documents for others were suggested. Thirdly, a learning activity, using WHERETO models for a more interesting and effective class, was designed. For this, heterogeneous grouping as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Jigsaw model according to student s interests and attention, choice study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learning styles, learning schemes by ability, such as understanding or writing, were applied, and assessment rubric was edited and enhanced with the strateg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by design, as the educational design model,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which considers student s variabilities, could be applied as a complimentary. However, in order to design this type of class, we need a supportive system that offers enduring understanding factors, big ideas, and essential questions which can be useful during the design of the subject unit.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이윤복,이지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최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증가와 이를 기반으로 한 학교 현장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현황,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워드 프로세서와 Nvivo 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6가지의 주요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과 도입에 대한 공감. 둘째, 현재 학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시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가능성이 충분함. 넷째,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음. 다섯째, 통합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의 적용 가능함. 여섯째, 교사 연수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실현하는 교실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 개발 및 교육방향 안내 연구

        이귀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질문지 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놀이실행자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발하 였다. 또한 세 명의 유아교육 교사에게 개발된 질문지별 필요 교육의 방향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놀이중심 교육과 정 이해 영역에서는 아동이해, 놀이이해, 놀이중심으로 구분하였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영역에서는 수업운영, 놀이수업, 교사로 구분하였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 해 질문지를 기준으로 필요한 교육을 살펴본 결과 질문지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필요 교육으로 체크되었다. 연구결론: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통해 현재 교사의 교육 이해도를 파악하고, 교육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teach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lay-centered education. Methods: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play practice data.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direction of necessary education for each developed list. Results: First,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lis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children, understanding play, and play-centered. In the area of practice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class operation, play class, and teacher. Seco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was checked as necessary educatio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th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can identify the current teacher's educational understanding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