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총론: 이탁오를 다시 읽는다

        최재목(Choi Jae-Mok)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동아시아 세 지역(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이탁오 사상 혹은 그에 접하거나 관심을 가졌던 인물들을 통해서 이른바 ‘근대’적 주체 내지 욕망의 탄생을 읽어 내면서 격동의 역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 점에서 이탁오는 분명 동아시아 근대사상사 전개에서도 일익을 담당한 사상가였다고 할 것이다. 이번 특집의 의미는 우리 사회에서 일었던 이탁오 붐의 의미를 짚어 보려는 것이었다. 이것은 넓게 보면, 우리의 현대 사상사를 살펴보는 것이며, 또한 이탁오 사상의 우리 내부의 전개 맥락을 보다 분명히 이해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특집의 내용 전개는 다음과 같다. ①총론으로서 ‘이탁오를 다시 읽는 의미’, ②북경의 이탁오 묘 등 관련 사진을 설명한 ‘이탁오의 유물, 유적을 찾아서’, ③이탁오 사상에서 보이는 주체성에 대한 논의인 ‘양명좌파와 이탁오 사상에서의 개별 주체와 공동체 주체’, ④동아시아의 이탁오 연구 동향 및 그의 사상사적 영향을 살펴보는 ‘중국?한국?일본에서의 이탁오 연구’가 그것이다. 본 총론에서는 우선 ‘최근 국내의 이탁오에 대한 관심과 그 의미’를 언급하고, 이어서 이탁오와 양명학과의 연관성(=계보적 검토)인 ‘이탁오와 양명학의 관련성’이 서술되며, 마지막으로 이번 기획의 각 논문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이탁오의 철학사상 그리고 동아시아의 이탁오상李卓吾像’이 서술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reading on the meaning of Li, Zhuo-Wu(李卓吾, 1527~1602)'s thoughts in East Asia.' Our society, during these four or five years, shows interest in Li, Zhuo-Wu's life history and his philosophy after came out his main text, Fenshu(焚書). Lee, Zhou-Wu's thoughts is from Wang, Yang-Ming(王陽明, 147 2~1528) who is the Ming(明) philosopher. The Chinese have had their names for keeping things tidy, and the name they have used for Wang, Yang-Ming's kind of Confucian moral philosophy is Xinxue(心學), which it is tempting to tender literally as philosophy of mind. Lee, in a general way, is called Taizhouxuepai(泰州學派) or Wangxuezhoupai(王學左派), the left wing of Yang-Ming school. Li, Zhuo-Wu asserted, Tongxin(童心), the mind(innocence) of a child, and equality of sexes(conjugal relations) in the end of Ming dynasty, is governed by Zhuzixue(朱子學)'s a moral standard strictly yet. He is a rare liberalist in confucian society of china. So he is, for his the progressive ideas, unjustly accused as a heretic, at last is kept in solitary confinement and took his's own life in there. He was ahead of his time. In China, and Korea and Japan too, has a many original thinker who inherit and develop Lee's intellectual traditions and tasks, such as typical people, Heo, Gyun(許筠, 1569∼1618)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Yoshidashoin(吉田松陰, 1830∼1859) in Edo era.

      • 일본에서의 이탁오 사상 영향과 그에 대한 연구 현황

        엄석인(Eom Seog-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이 글의 목표는 중국 명말의 학자 이탁오 사상이 일본에 끼친 영향과 그에 대한 연구 현황을 보고하는 것이다. 전체를 3장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제1장에서는 이 글에서 다룰 주제와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탁오 사상의 일본 수용과 영향은 전근대시대, 특히 요시다 쇼인을 중심으로 하며, 근대 이후의 연구 현황은 중국의 근대사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할 것임을 언급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탁오 사상과 요시다 쇼인의 관계를 논하였다. 쇼인은 이탁오의 저서를 읽고 그의 동심설에 동감하였고 죽음에 관하여 어떤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는데, 이런 쇼인의 이탁오 이해를 재음미하였다. 쇼인이 이탁오에 심취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탁오가 쇼인의 삶과 사상에 앞서서 그 방향을 결정한 것이 아니며, 또 쇼인은 이탁오 사상의 정확한 이해자도 아니었음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태평양전쟁 이후 일본과 중국학계의 이탁오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이탁오 사상과 중국의 근대사유를 둘러싼 논의인데, 대표적으로 시마다 겐지, 야마시타 류지, 이와마 가즈오, 미조구치 유조의 주장을 소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in three chapters, the influence of the late Ming scholar Li, Zhuo-Wu's thoughts on Japan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him. Chapter 1 lays out the main thematic and substantive issues of this article. It focuses on Yoshida Shoin in discussing Li, Zhuo-Wu's influence on Japan in the premodern era, and focuses on China's modern thought in discussing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him. Chapter 2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 Zhuo-Wu's thoughts and Yoshida Shoin. Shoin reportedly sympathized with Lee's exhortation to return to a childlike innocence, and subsequently attained an awakening to death. While Shoin was certainly occupied with Lee's thoughts, however, they did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Shoin's life and his own thoughts. In fact, Shoin did not even understand Li, Zhuo-Wu's thoughts precisely. Chapter 3 examines how, since the Pacific War, Li, Zhuo-Wu has been treated by the Chinese academe, where the most salient discourse has taken pla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 Zhuo-Wu and China's modern thought: to illustrate this discourse, this Chapter also introduces works by Shimada Kenji, Yamashita Ryuji, Iwama Kazuo, and Mizoguchi Yuzo.

      • KCI등재

        이탁오와 조선유학

        이영호(Lee Young-ho)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1

        송명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를 꼽으라면 주자(朱子), 왕양명(王陽明), 이탁오(李卓吾)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학문은 조선에 전해졌는데, 주자학과 양명학은 광범위하게 영향력을 미쳤으며, 이탁오의 학문은 허균(許筠), 정약용(丁若鏞), 이건칭t李建昌) 등 일부 학자들에 의해 수용되었다. 조선에서 최초로 이탁오의 학문을 접한 학자는 허균이다. 허균은 이탁오가 저술한 『분서(焚書』와 『장서(藏書』를 읽고서 유불(儒佛)의 교섭과 정감을 중시하는 그의 사상에 깊이 감복하였다. 한편 조선후기 대표적 경학자인 정약용은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저술하면서 이탁오가 저술한 『논어평(論語評)』의 해석을 부분적으로 인용하였는데, 특히 주자학에서 벗어난 경전해석을 할 경우 그 근거로 인용하곤 하였다. 그리고 조선 말기의 명문장가이자 양명학자였던 이건창은 자기 삶의 좌표로서 자득적(自得的) 체험을 중시한 이탁오를 칭송하였다. 조선유학사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은 가문과 학파를 중심으로 집단적(集團的) 형태로 수용되었다. 이에 비해 이 세 학자들의 이탁오 수용은 자신들이 처한 사회, 가문, 학파와 무관한 개별적(個別的) 수용형태를 지닌다. 이처럼 조선에서의 이탁오 수용은 개별적 수용에 그쳤지만, 이로 인해 조선의 사상사는 주자학 또는 양명학이라는 단조로움에서 탈피하여 정감의 중시, 유불의 교섭, 탈주자학적(脫朱子學的) 사유, 자득적 체험의 중시 등 다채로운 면모를 더할 수 있게 되었다. Chu Hsi, Wang, Yang-Ming, and Li, Zhuo-Wu are the most influential philosophers from Song and Ming dynasties in China. Philosophical ideas of Choson dynasty in Korea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se scholars. While both philosophical ideas of Chu Hsi and Wang, Yang-Ming were widely accepted by Korean scholars in Choson dynasty, philosophical idea of Li, Zhuo- Wu was received by only a few scholars such as Ho Kyun, Chong, Yak-Yong, and Lee, Ken-Chang. Ho Kyun was the first scholar in Choson dynasty who studied Li, Zhuo-Wu’s philosophy. After he read Bunseo(焚書) and Changseo(藏書) that Li, Zhou-Wu wrote, he was deeply moved by Li Zhou-Wu’s philosophy which emphasized interconnectednes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sentiment. Meanwhile, Chong, Yak-Yong, a most prominent scholar of Confucian Classics in late Choson dynasty, partially used interpretations of Li, Zhuo-Wu’s Noneopyung(論語評) in his Noneokokeumju(論語古今註). Particularly, he often used Li Zhuo-Wu’ s Noneopyung(論語評) when he interpreted the scriptures which were not incorporated to the teachings of Chu Hsi. Additionally, Lee, Kon-Chang, a prominent writer and scholar of the Wang Yang-Ming school, highly regarded Li, Zhuo-Wu who emphasized the experience as the source of self-awareness and direction.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Chosen dynasty, philosophical ideas of Chu Hsi and Wang, Yang-Ming were collectively received by families and schools. On the contrary, Ho Kyun, Chong, Yak-Yong, and Lee, Kon-Chang accepted individually the philosophical idea of Li, Zhuo-Wu regardless of their families and schools. Despite individualistic acceptance of Li, Zhuo-Wu’s philosophy, it enriched Korean philosophical ideas by adding the emphasis of sentiment, interconnectednes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non Chu His’s way of thinking, and the emphasis of experience as the source of self-awareness and direction.

      • 중국의 이탁오 연구 동향과 그 사상사적 영향

        신현승(Shin HyunSeung)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1602년 3월, 당시 사상계의 풍운아로서 혼란의 시대를 살다 간 한 유학자가 옥중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명교名敎의 전통을 해체하고자 시도했던 그는 정통 유교사상에 반하는 명교의 파괴자 혹은 이단자라는 명목으로 탄핵을 받고 76세의 고령에 그렇게 기나긴 생애를 마감하였다. 그가 바로 명조 말기에 불꽃처럼 살다 간 이탁오李卓吾(1527~1602)이다. 그의 유명한 학설로는 아동의 맑고 깨끗한 마음을 가장 가치 있는 것이라고 간주한 ‘동심설童心說’이 있는데, 그 사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상당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왕수인 이후의 양명학 전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그에 관한 중국에서의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그 사상사적 영향과 평가 문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중국에서는 청조의 멸망 이후, 근대성의 논의와 함께 이탁오 연구 열풍이 불기 시작한다. 이탁오는 그의 생존시대에 유교의 반역자로서 평가받았지만, 근대 이후의 중국에서는 유물주의 사관에 의해 혁명적ㆍ진보적 사상가로서 재평가받는다. 그것은 이탁오의 저작 속에 기존의 유교사회질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또 중국 근현대의 정치적 상황에서 볼 때 이탁오의 사상은 정치적 선전과 홍보에 매우 적합한 이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이탁오는 근대 중국에서 재조명을 받게 되었고, 지금까지 중국은 물론이고 동아시아 삼국(한ㆍ중ㆍ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논문의 주요한 내용은 대략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중국에서의 이탁오 연구 동향에 대한 회고이며, 둘째는 중국의 기존 학계에 이탁오가 끼친 영향과 그 평가 문제이다. 아직도 이탁오에 대한 사상사적 영향과 평가 문제는 중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학계에서 그 논의와 담론이 끊이지 않고 진행되고 있으며, 각 학자마다 혹은 각 지역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그래서 이 논문은 객관적으로 중국에서의 기존의 이탁오 연구 동향에 대한 전체상을 살펴보는 것과 함께 그 평가에 대해서도 몇몇의 예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금후 이탁오 연구가 더 한층 진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March 1602, a Confucianist who had lived as a hero in the world of thoughts at the time of chaos committed suicide in prison. He attempted to dismantle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was persecuted in the name of destructor of Confucianism or a heretic finishing his long life at the age of 76 as such. His name is Li, Zhuo-Wu(1527~1602) who lived and died like a blaze in the late Ming Dynasty. His well-known doctrine is Tongxinshuo in which the clear and clean mind of a chil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valuable thing. Ample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on this doctrine so far. This paper reviews the trend of studies in China regarding him who occupied a significant place in the history of Yang-Ming Studies since Wang Shou-Ren; and studied his influences in thoughts and the evaluation. After the fall of Qing dynasty, a fever of Li, Zhuo-Wu study rose in China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modernity. Li, Zhuo-Wu had been regarded as a rebel against Confucianism during the generation of his life, but he was re-evaluated as a revolutionary, progressive thinker by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in China after modern times. Such re-evaluation was made because Li, Zhuo-Wu’s books included critical discourse against the traditional orders of Confucian society. Also, from the aspect of the political context in China during modern times, the thoughts of Li, Zhuo-Wu had theoretical systems appropriate for the political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 As such Li, Zhuo-Wu was re-evaluated in modern China and has been studied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not limited to China. This paper contains broadly two major contents: First, the review of the trend of studies on Li, Zhuo-Wu in China, and second, the influences of Li, Zhuo-Wu in the existing studies in China and the evaluation. The influences of Li, Zhuo-Wu in thoughts and the evaluation have been constantly discussed and discoursed with dispersed opinions depending on scholar and region. In the light of this, this paper objectively reviewed the overall look of the existing studies on Li, Zhuo-Wu in China and studied the evaluation through a number of examples.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Li, Zhuo-Wu in the future.

      • KCI등재

        이탁오 철학사상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김덕균(金德均)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이 논문은 이탁오 저술의 일부 단편들을 통해 그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개괄적 이해이다. 이탁오 철학의 전반을 연구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분석하며 다룬 몇몇 단편들은 이탁오 철학의 정수를 담고 있다. 특히 「부부론(夫婦論)」과 「동심설(童心說)」은 그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알게 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자연에 대한 이탁오의 이해는 일단 기존의 주자학적인 세계관을 부정 비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것은 공맹의 선진유학과 양명학을 기반으로 한다. 여기서 크게 문제된 것은 태극이나리(理)라고 하는 본질적 존재, 내지 절대적 존재로서의 일자(一者)를 부부라고 하는 상대성 속에서 해소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또한 동심(童心)의 본래적 성질을 통해 인간의 참모습을 확인하면서 그것이 기존의 양명학에서의 양지설과 유사한 측면이 있음을 확인했다. 물론 그 사상의 이면에는 내내 주자학 비판이라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동시에 「귀신론(鬼神論)」과 「병식론(兵食論)」에 나타난 주자학 비판은 현세적이고 공리적인 측면에서의 도덕 지상론을 비판한 내용이다. 귀신론에서 이탁오는 공자의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라’는 내용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는 “사람 섬기는 것이 곧 귀신 섬기는 것이다”고 하며,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도리에 충실해야 한다.”는 현세 중심적 세계관을 펼치었다. 병식론에서는 공자의 군사력(兵), 경제력(食), 백성의 신뢰(信)에 대한 내용을 주자가 신뢰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하였는데, 이탁오는 공자의 말에서 군사력과 경제력을 결코 등한히 하였다는 내용을 찾을 수 없음을 들어 주자를 비판하였다. 주자가 인간을 도덕적 관점에서 ‘신뢰’를 핵심요소로 파악했다면 이탁오는 인간을 경제적 관점에서 ‘족병식(足兵食)’을 강조했던 것이다. 이런 네 가지 구성요소를 가지고 이탁오가 생각한 인간과 자연에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 KCI등재

        차이의 철학으로서의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에 대한 여성주의 이해

        김세서리아(Kim Se-seo-ri-a)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논문은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이 전통적 음양론이 갖고 있는 절대성, 동일성, 위계성, 차별성에 대한 부정적, 비판적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따라서 전통적 음양론이 차이의 철학과 맺는 관계를 넘어서 차이의 철학을 배가시키는 지점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이 음양, 남녀, 부부라는 구도를 설정하는 설명 방식이 빠질 수 있는 오류를 간과하지는 않을 것이며, 이러한 한계가 이지의 사상 안에서 어떻게 극복되고 있는가의 맥락까지도 논의할 것이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논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우선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을 차이의 철학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근거를 찾아본다. 그것은 성리학적 음양론이 지니는 단일성, 절대성, 위계성 등을 비판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으로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이 비록 단일성이 아닌 복수성을 강조하고 또 위계적 차별성을 비판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여성주의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맥락을 짚어본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이 이탁오의 사상 안에서 어떻게 극복하는지의 논의를 통해서 이탁오의 사상과 차이의 철학이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This thesis recognizes that Lee Cho Wu’s “Yin and Yang, Man and Woman” theory doubles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by transcending the relationship created with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This is because Yin and Yang, Man and Woman possesses a negative and critical position towards Absoluteness, Identity,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However, the report does not overlook the fallacy that there could be a loss of explanatory method that Lee Cho Wu’s “Yin and Yang, Man and Woman” theory sets the composition of Yin and Yang, Man and Woman, and Husband and wife. And the thesis discusses how these limitations are overcome in his theories. To deal with these issues effectively, the thesis will approach the topic through these processes. First, it will search for evidence that Lee Cho Wu’s “Yin and Yang, Man and Woman” theory can be inspected in philosophy of difference.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criticizing the Absoluteness, Identity, Hierarchy the Yin and Yang in Neo-Confucianism carries. Next, the thesis will observe how Lee Cho Wu’s “Yin and Yang, Man and Woman” theory criticizes the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emphasize the Plurality instead of the Unity but still limits itself in the feministic limitation. And also how these problems overcome themselves in Lee Cho Wu’s thoughts will be observed discussed.

      • 이탁오의 철학사상

        김혜경(Kim Hye-Kyung)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6

        명대 말기의 가장 개성적인 사상가로 꼽히는 이탁오의 사상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먼저 이탁오의 철학이 성리학과 양명학 같은 유학뿐만 아니라 불교 등 기타 다른 종교와 사상에서도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하였다. 이탁오는 자신의 기준으로 성인과 경전을 해체하고 주자학에 얽매인 시대정신을 각성시켰는데, 이는 진리의 상대성에 대한 그의 확고한 인식 때문이었다. 양명좌파인 태주학파에 속하지만 그는 또한 유불도의 장점을 통합해 자기 사상의 일부로 수용한다. ‘동심설’이나 ‘삼교귀유설’ 등은 그의 이런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학설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탁오는 또한 거기서 그치지 않고 나아가 자신만의 철학을 창시하였다. 태극과 음양이기론에서 출발한 송대의 성리학은 절대적 존재를 상정하고 인간의 불평등을 긍정하는 이원론으로 발전해 나갔지만, 인간의 욕망을 긍정했던 이탁오는 천지를 한 쌍의 부부로 보는 새롭고 독창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진리의 초월성이나 인간의 평등을 말할 때, 그는 이미 명말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oughts of Li, Zhuo-Wu, a distinguished philosopher in the last period of Ming dynasty. Li, Zhuo-Wu's thought had been influenced by many other religions and thoughts as well as the doctrine of Chu-tz and Wang Yangmimg. Li, Zhuo-Wu deconstructed the doctrines of Saints and scriptures with his own standard that awakened the spirit of the times tied with the doctrine of Chu-tz. Li, Zhuo-Wu's action and expression came from his recognition that the truth is not absolute but relative. Even though he was a member of Taizhou school, he integrated the virtues of Confucianism, Taoism and Buddism. Finally he reshaped them in his own thought. For instance, the theory of children's innocence and ideas of three Thoughts belong to Confucianism, this revealed his distinctive quality as a philosopher. On the other hand, Li, Zhuo-Wu created his original theory. Contrary to Sung confucianism, he affirmed a man's desire, further he demonstrated a unique idea that a heaven and an earth are like a husband and a wife. In conclusion, when he mentions the transcendency of truth or equality of human being, it means that he already transcended the limit of last Ming dynasty.

      • KCI등재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이영호(Lee Young-Ho)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5

        이탁오는 사상사뿐 아니라 경학사에서도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서 『도고록(道古錄)』, 『구정역인(九正易因)』, 『사서평(四書評)』 등의 경학 저술을 남겼다. 이 중 『사서평』은 명나라 말엽에서 근래에 이르기까지 그 진위(眞僞) 여부가 매우 분분한 저술이었는데, 여러 차례 학자들 간의 논쟁을 거쳐 현재는 이탁오의 진서(眞書)로 인정받고 있다. 『사서평』에는 종래 경학 저술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내용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불교적 사유(특히 선(禪))로 유가의 경전을 해석하는 것이다. 이탁오에 의해 시작된 이 같은 경전 해석은 이후 양명학파의 경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장대(張岱)의 『사서우(四書遇)』와 지욱선사(智旭禪師)의 『논어점정(論語點睛)』 은 그 대표적 서적이라 할 수 있다. 그 영향력의 측면에서 본다면, 이탁오에서 시작된 불교적 이념과 유가 사상의 상호 교섭의 양상은, 후대로 내려가서는 불가와 유가를 동일시하는 유불일치론(儒佛一致論)으로 변모되기도 하였다. 경학사를 조망할 때, 이러한 현상은 양명학파 경학의 면모를 명확하게 보여줄 뿐 만 아니라, 유교와 불교의 교섭이라는 측면에서도 그 의미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Li, Zhuo-Wu ,who greatly influenc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s well as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general, produced scholarly works such as Dogorok, Kujeongyeokin, and Saseopyung. Among his works, Saseopyung was controversial because of disputes, from the late Ming dynasty until now,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its authorship. After considerable debate among scholars, the book is now recognized as the authentic work of Li, Zhuo-Wu. Saseopyung contains a unique approach not seen in previous scholarly works about Gyeonghak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hich is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lassic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especially, Zen). This approach has greatly influenc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Gyeonghak) of the Yangming school. Jang Dae’s Saseowoo and Zen Master Ji-Wook’s Noneojumjeong are examples that represent this influence. This initial approach of combining Buddhist and Confucian philosophies led to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unity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during the later era. This phenomenon shows the Yangming School’s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urthermore, it has great significance due to the convergence of thoughts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urthermore, given the convergence of thoughts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is approach is of much significance.

      • KCI등재

        허균 문학 의식의 기원

        윤채근(Chae-keu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이 논문은 마테오 리치와 이탁오를 거쳐 허균으로 이어지는 근대적 사유의 징후들을 기원의 사유가 붕괴되는 과정으로 포착했다. 마테오 리치는 선교 목적으로 기억술과 우정론을 빼들었는데 이는 명 지성계에 전혀 예기치 못했던 파란을 일으켰고 그 자신은 과학자로, 교육자로 성공하게 된다. 이 탁오는 리치의 우정론에 감동했고 이 서양인이 명 제국에 미칠 쇄신으로서의 가치를 날카롭게 깨달았다. 비록 이탁오가 곧바로 사망했고 더 이상 리치의 의중을 간파해 들어가진 못했지만 그러한 순진한 면을 제외하면 중국의 낡은 사상을 변화시킬 힘이 수평적 질서, 즉 우정의 미덕을 강조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임을 알아채고 있었다. 허균은 다양한 경로로 조기에 이탁오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며, 특히 1602년 종사관으로 만난 이탁오의 벗이자 제자인 구장유로부터 각별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그는 중세적 一理論으로 상징될 보편주의와 엄숙주의를 거부하고 조선사회를 비판적으로 해체하는데 그러한 외재적 무기를 사용했다. 이는 단순한 전파-수용의 문제가 아니며, 한 천재가 자기 당대의 한계를 외부와의 창조적 교감을 통해 돌파하려는 전형적인 모습을 구현하고 있다. This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symptoms of modern thought appeared in texts made by unique scholar in 16th century, as it were, Matteo Ricci, Li-ji, Heo-Gyun. They show the clues that the thought of middle age in east Asian culture would be collapsed sooner or later. The memory method and friendship issue Ricci has given to the intellectual society of Ming empire had cast big surprise unexpected on the important peoples of that empire system and in the result of the case Ricci had a brilliant success to be a teacher and scientist. Li appreciated the importance of the issues that Ricci had present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so he had attended on Ricci’s unique style in thinking that could influence their old pattern correctly. Li has understood the right point the western religious culture could make in the historical life of Chinese people and he accepted western thought could change the old thought maintained in Ming empire that he had wanted vanish from his former career as an enlightenment thinker. Especially he has regarded the virtue of friendship as the primary element in humane society, for the virtue represented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required by revolutional reformer to refresh the old-fashioned conservative force in Ming dynasty. It could be possible that Heo might recognize of Li-ji in various channels through canal relationship or relative connections. He was, in 1602, as a minister’s secretary engaged in the reception of Ming ambassador Koh and had encountered with Khu who was Li’s youngster friend or pupil could influenced on him. Heo, in later time, could use the intellectual weapons acquainted at that experience to refuse the monotheism of medieval thinking and solemnity doctrines or deconstruct old system of Chosun society.

      • KCI등재

        論李卓吾的童心說

        손예철 한국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文學 Vol.58 No.-

        본 논문은 明代 末葉 李卓吾가 제기한 「童心說」의 배경과 내용 및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李卓吾는 학술 사상적으로는 明朝 一代를 풍미한 王守仁의 문파 가운데 하나인 泰州學派의 영향을 아주 크게 받았다. 王守仁의 학설은 「心卽理」·「致良知」·「知行合一」을 爲主로 하였는데, 王艮을 首長으로 하는 泰州學派는 이를 더욱 심화시켜 「百姓日用卽道」 즉 「百姓들의 日用이 바로 道」라는 命題를 제기하여, 明代 末의 反傳統 사상을 고취시켰다. 그리고 明代의 文學潮流 방면은 官邊의 陳腐한 八股文과 明代 中葉 이후의 復古·擬古主義의 風靡로 인한 詩文의 내용과 형식면 모두에서 剽竊에 가까운 無獨創性 내지 沒個性적인 작품들이 양산되었으나, 小說과 傳記 방면으로는 空前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런 환경의 영향을 받은 李卓吾가 제기한 문학 理論이 바로 「童心說」이다. 「童心說」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그는, 여기에서의 「童心」은 곧 「眞心」이며, 이 「眞心」은 純眞한 인간의 「本心」이라고 해석하고; 「天下之至文」 즉 天下 最高의 글은 모두 이 「童心」에서 나온 것이며, 이 「童心」은 당시 假飾에 가득찬 道學家들의 서적을 읽고 그들의 「義理」를 인식하면 쉽게 消失되고 만다고 주장하면서, 일반 백성들의 일상의 「邇言」 즉 통속적이고 平易한 말들을 자세히 잘 관찰하면 우리의 本心 즉 「童心」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李卓吾는 또 문학 창작 기법으로는 인간의 本性에 따른 自然스러움을 추구하면서 창작 태도로는 「發憤」 즉 시대 환경에 대한 깊은 感慨의 發露를 요구하였다. 그는 자신의 이러한 주장에 가장 부합되는 「天下之至文」은 곧 不平·民族·忠義의 三憤을 발휘한 ≪水滸傳≫이라고 하면서 이를 評點하기도 하였다. 李卓吾의 이런 「童心說」은 직접적으로 明代 末葉의 文壇을 이끈 公安派 袁宗道(字伯修)·袁宏道(字中郞)·袁中道(字小修)의 袁씨 3형제의 문학 이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당시 戱曲의 대가 湯顯祖와 金聖嘆에게도 끼친 영향이 매우 컸다. 그리고 戱曲과 小說의 評點이 문학비평 형식의 하나가 된 것 역시 李卓吾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이런 사실만으로도 그의 후대의 문학사조와 문학 비평 형식에 끼친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