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레질리언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현진희,김희국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prevention program for counselors at child protection agencies. The quasi-experiment design was used for pre-test, post-test, and for follow-up test, performed 3 months after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 counselors, while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10 counselor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secondary traumatic stress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counselors, and also effective in increasing stress coping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llow-up test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condary 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coping. It was found that, to achieve continued effect of the program, much longer and sustained program is requi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prevention program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레질리언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9명, 비교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은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증가시켰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조사에서는 이차외상스트레스, 우울, 스트레스 대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차 뇌졸중 예방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수정 : 문헌고찰

        신재용(Shin, Jae-Yong)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0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Introduction : Secondary stroke accounts for 23% of all stroke incidents and can be prevented by up to 90% by controlling risk factor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cholesterol levels, obesity, physical inactivity, diabetes, smoking, and alcohol intake. Among the methods of controlling risk factors, lifestyle modification is a non-pharmaceutical method in which a healthy lifestyle can be maintained through diet, physical activity, smoking cessation, abstinence, and obesity management. Body : Lifestyle modification is essential to prevent secondary stroke. This includes maintaining a healthy diet, moderate-intensity exercise of 20-60 minutes per day, smoking cessation,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2 glasses for men, 1 glass for women), and a BMI of 25 or less. These can lower blood pressure and LDL cholesterol, which are major risk factors for stroke, reduce body weight and blood sugar levels, and relieve vascular sclerosis. It is more beneficial to apply multiple factors at the same time than to adjust only one or two factors, and in particular,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through self-directed lifestyle correction for successful long-term prevention of secondary stroke. Conclusion : An effectiv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requires planning one that comprehensively covers risk factors,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a long-term, intensive, and sustainable system and strategy for successful operation in place. 서론 : 이차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 발생의 약 23%를 차지하는데, 고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비만, 신체 비활동성, 당뇨, 흡연, 그리고 알콜 섭취 등의 뇌졸중 위험인자 조절을 통해 최대 90%까지 예방할 수 있다.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방법 중 비약물적인 방법인 라이프스타일 수정은 식단 조절, 신체활동, 금연, 금주, 그리고 비만관리 등의 방법을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론 : 라이프스타일 수정은 이차 뇌줄중 예방에 필수적인 요소로, 건강한 식단유지, 하루 20-60분의 중등도 강도의 운동, 금연, 적당량의 알콜 섭취(남자: 2잔, 여자: 1잔), 그리고 체질량지수 25미만으로 유지하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뇌졸중의 주요 위험인자인 혈압과 LDL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으며, 체중과 혈당수치 감소, 혈관경화 완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수정은 한·두 가지 요인만 조절하는 것 보다는 여러 요인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더 유익하며, 특히 자기주도적인 라이프스타일 수정을 통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여 장기간의 성공적인 이차 뇌졸중 예방을 할 수 있다. 결론 : 효과적인 이차 뇌졸중 예방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하며,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다학제적인 접근과 함께 집중적이고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제도와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Prevention Program

        Jinhee Hyun,Hyang A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트라우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전문가의 이차외상스트레스를 예 방하고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입조사모델이 활용되었다.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 원들을 대상으로 욕구조사와 포커스 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상담원들이 경험하는 이차외상스트레스 의 수준, 이차외상스트레스가 업무와 개인적 삶에 미치는 영향, 기관에서 트라우마 관련 교육의 현 황, 이차외상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필요한 내용과 운영방법 등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프로그램을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 7명을 대상으로 초기 현장실험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이 상담원들의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고, 스트레 스 대처방식의 사용 수준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차 트라우마 에 노출된 클라이언트를 주된 대상으로 실천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조직적 차원의 예방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adopted at an organizational level, prevent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trengthening resilience of practitioners who are continuously exposed to client’s trauma.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e intervention research model was employed. Both need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performed to counselors in child protection agencies, which confirmed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d by counselors, impact on their work and personal life, and the status of the trauma-related training programs offered at an organizational level. The required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programs were also identified. A pilot study performed on 7 counselors found that the program reduced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and improved the stress-coping style of the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a preventative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at an organizational level for practitioners working with trauma-exposed clients.

      • KCI등재

        장수와 치매의 예방

        전진숙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5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of dementia prevention. Methods: An internet searchof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6 thru 2008 was done using combinations of the words‘dementia’ and‘prevention’. These publications were subsequently reviewed. Results: 1) Reduction of risk factors:control of vascular risk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smoking, hyperhomocysteinemia, and platelet aggregation) and medical risk factors (head trauma, depression, herpes simplex, hyperthyroidism, and alcohol problems). 2) Pharmacological trial:NSAIDs, selective COX-2 inhibitors,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antioxidants. 3) Healthy diet and nutrition:macronutrients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omega-3, alpha-linole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and micronutrients (vitamins such as vitamin A, vitamin B1, 3, 6, 9, 12, vitamin C,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minerals such as iron, iodine, magnesium, zinc, manganese, copper, cobalt, selenium;trace elements;and non-essential micronutrients such as polyphenols). 4) Regular excercise and activities: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aerobics, flexibility, and strength exerrcises;Recreational activities including participation in religious or social activities, healthy sex life with partner, and stimulating cognitive activities. Conclusion: The final goal of dementia treatment is primary prevention. However, there is no proven method to achieve this. Therefore, secondary prevention or preventative maintenance through risk reduction and introduction of a healthy lifestyle in an attempt to postpone the onset of disease is a realistic goal. 치매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일차적 예방(primary prevention)이다. 그러나, 아직 이를 위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치매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치료나 생활양식은 입증된 것이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이차예방이나 예방적 유지책(환자의 전반적 건강, 정신상태, 기능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과다한 질병을 감소시키는)에 중점을 두는 수밖에 없다. 다시말하면, 위험인자를 감소시키거나, 건강한 생활양식을 도입하여 치매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백주연,전상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for stroke patients on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Intervention group (n=20) received individualized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at 7~10 days after admission, and repeated education and counseling at discharge day. Control group (n=22) received usual discharge education. At baseline and two weeks following the discharge, the knowledge of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which enhances knowledge of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Since stroke patients report different symptoms based on their damaged region in brain, individualized symptom-based education may be more effective rather than usual discharge education.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이차예방을 위해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한 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 대학병원 신경과 병동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전조사 후 실험군(n=20)은 입원 7~10일 경에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퇴원 당일 상담과 유인물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n=22)은 퇴원 당일에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제공하였다. 사후조사는 퇴원 2주 후 외래방문 시에 이루어졌다.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한 결과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뇌졸중은 손상된 병변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므로 증상별 퇴원교육이 일반적인 퇴원교육 보다 뇌졸중 이차예방지식,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국내 만성간질환의 이환여부와 건강관련행동과의 관련성

        임주원,김소연,계소신,조비룡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4

        Background: The chronic liver disease is a relatively common health problem in primary care in Korea. But there are few studies of the prevalence and management status of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atio of health relative behavior among the patients of chronic liver disease, and analyse the association of chronic liver disease with health related behaviors such as private insurance, liver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smoking, drinking,and exercise.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ANES III) 2005.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persons over 40 years. We used data about demographics, chronic liver disease,and health behavior data. Results: The prevalence of chronic liver disease was 2.4%. The ratios of private insurance, liver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among the patients of chronic liver disease were 72.6%, 44.2% respectively. The ratios of no smoking,abstinence from drinking, and exercise were 70.0%, 52.6%, and 33.8% respectively. After adjusted with demographic data,the odds ratio of liver cancer screening among the patients of chronic liver disease was 8.4 (P < 0.001), that of abstinence from drinking was 1.2 (P = 0.434). Adjusted odds ratio of private insurance, no smoking and exercise were 1.3 (P = 0.425), 1.2(P = 0.578), 0.6 (P < 0.05). Conclusion: The primary prevention is less satisfactory than secondary prevention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 In primary care, it is necessary for them not only to check liver cancer screening examination but also encourage no smoking, abstinence from drinking, and exercise. 연구배경: 국내의 일차진료현장에서 만성간질환은 비교적흔한 건강 문제이지만, 국내 만성간질환의 유병률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며 만성간질환 환자의 관리 실태에 대한 연구 또한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만성간질환 환자의 건강관련 행태의 비율을 알아보고, 만성간질환 이환 여부와 민간보험가입, 간암검진, 금연, 금주, 운동 등 건강 관련 행태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바탕으로, 40세 이상의 성인 4,724명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 인구적 특성, 만성간질환 여부와 보건행태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만성간질환 이환군는 2.4%였다. 만성간질환 이환군의민간보험가입 및 간암검진의 비율은 71.6%, 44.2%였고, 금연,금주, 규칙적인 운동의 비율은 각각 70.0%, 52.6%, 33.8%였다. 인구학적 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만성간질환 이환군에서 간암검진의 교차비는 8.4이며(P<0.001), 완전한 금주의 교차비는 1.2였다(P=0.434).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의 교정 교차비는1.3 (P=0.425), 금연과 운동의 교정 교차비는 1.2 (P=0.578), 0.6(P<0.05)이었다. 결론: 국내에서의 만성간질환 환자에 대한 1차 예방 활동은 2차 예방 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일차진료 현장에서 만성간질환 환자에 대한 간암 조기검진뿐만 아니라 금연, 완전한 금주 및 적절한 운동에 대한 지도가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