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齊賢, 權漢功 그리고 朱德潤 -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期의 人物에 대한 새로운 理解 -

        장동익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이 논문은 새로운 자료를 통해 14세기 전반의 韓․中兩國의 文人의 交遊를 살펴 본 것이다. 먼저 忠宣王이 大元蒙古國武宗의 옹립에 參與한 以後그의 活動相에대해 살펴보았다. 곧 충선왕은 政界에 참여하지 아니하고 思想界에서 활약하면서幕後의 實力者로서 존재하였다. 이때 그는 儒學者들과 연결하여 科擧制의 실시를 관철시켰고, 江南出身의 儒學者[南人]들을 중앙정계에 발탁시키기도 하였다. 또 江南의 佛敎敎團을 티베트 佛敎에 薰陶되어 있던 大元蒙古國의 지배층과 연결시켜 주는架橋의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萬卷堂을 설치하여 文人․儒學者들을 불러 모았는데, 이에는고려에서 徵召된 그의 隨從臣, 漢人․南人出身의 旣成의 文翰官僚, 그리고 官僚로서立身하려던 江南出身의 文人․儒學者[南人] 등이었다. 충선왕은 이들을 文翰官僚로推薦하여 임명되게 하거나 自身의 意思에 의해 임명할 수 있는 征東儒學提擧, 瀋陽王府및 高麗王府의 幕僚인 王傅․斷事官등에 임명하였다. 이러한 構成員中에서 後日高麗에 性理學을 수용시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 部類는 ‘門士’로 표현된 江南出身의 少壯儒學者層으로 추측된다. 萬卷堂에 참여했던 文人중에서 그 자취를 뚜렷하게 남긴 인물은 權漢功, 李齊賢그리고 朱德潤이다. 이들 사이의 교유는 이제현과 주덕윤의 文集에 일부분이 반영되어 있었지만, 그 親密度를 분별하기 어려웠다. 筆者가 최근에 찾아낸 이제현과권한공이 주덕윤에게 贈與한 親筆의 詩文[翰墨]을 통해 이들 사이의 交遊像을 보다구체적으로 檢定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자료는 권한공이 浙江行省德淸縣에서 머물면서 지은 7言詩2首, 이제현이 주덕윤의 美人圖의 題記에 대한 次韻한 4首等의 都合6首이다. 이들의 所藏處․材質․크기 등은 불분명하지만, 당시에 麗․元兩國文人間의 交遊相을 고찰하는데 중요한 자료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곧 당시에 兩國의 文人間에는 수많은 詩文의 唱和가 이뤄졌을 것이지만, 현재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또 元人의 문집에는 高麗人에게 贈與한 시문의 일부가 남아 있으나, 그에 和答한 고려인의 시문은 거의남겨져 있지 않다. 그렇지만 권한공과 이제현의 시문에 對應한 주덕윤의 시문이그의 문집에 수록되어, 이들 세 사람의 교유와 학문적 교류의 형편을 살펴볼 수있기에 從來의 어느 자료보다도 有用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들 자료는 親筆의 翰墨[眞迹]으로서 당시의 眞跡이 거의 남아 있지않는 현재의 형편에서 여러 면에서 크게 주목될 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권한공의 경우는 이제현과 달리 그 자취가 거의 없는 점에서 그의 眞迹과 문한능력을 검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자료는 향후 고려후기의 詩文및 書藝分野의 연구에서 큰 位相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I examine into the activity of King Chungseon(忠宣王) who appointed to a teacher of crown prince after Mujong(武宗) succeeded to the throne with his assistance in Beijing. Aeyukyeobalyeokpaldal(愛育黎拔力八達, 仁宗) had close relationship with King chungseon during 13 years from the period of his crown prince to the period of emperor's reign. But king chungseon not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world, he was active in the world of thought like Buddism or Confusionism as a man of influence behind the curtain. At this moment, King chungseon accomplished implementation of the state examination, selected confucianists from the south of the Yangtze, played a bridge role for the ruling class and the Buddhist order of the south of the Yangtze. In this process, king Chungseon called many literary men and confucianists together to gain an academic footing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Mangwondang(萬卷堂). The typical figures of Mangwondang were the retainers of Koryeo, existing literary bureaucrats, literary men and confucianists from the south of the Yangtze. He nominated for them as bureaucrat or appointed them to Wangbu(王傅)·Dansagwan(斷事官) as the staff officer of Simyangwang's government or Goryeo government. Among them, the figures that made conditions for accommodation of Neo-Confucianism in Goryeo would be the young confucianists from the south of the Yangtze. The distinguished scholars of King chungseon's Mangwondang were Lee Je-hyun(李齊賢), Kwon Han-gong(權漢功) and Chu Teh-jun(朱德潤). The collections of Lee Je-hyun and Chu Teh-jun were reflected partly in the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Bu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level of closeness. I were examined concretely the social intercourse with Lee Je-hyun and Chu Teh-jun through autographic poetry that I found lately. These materials were contained the two poetries of Kwon Han-gong and the four poetries of Lee Je-hyun. It henceforth must be investigated the place of possession, the quality and the size of the materials but it would be the important material to consider the social intercourse with the literary men between Koryeo and Yuan. In spite of the poetry's intercourse with the literary men between Koryeo and Yuan, it has not been remaining in the existing collection of works. In particular, there were few the poetry of Goryeo. But the collection of Chu Teh-jun included his poetry to response of the poetries of Kwon Han-gong and Lee Je-hyun, which was judged useful to catch the academic intercourse more than the former materials. And these materials as an autograph literature were the outstanding texts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that not remain the real trace in those days. In particular, the material of Kwon Han-gong is the important thing to examine his literature and writing ability. Therefore,these materials would be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search of the field of poetry and calligraphy in the latter part of the Koryeo dynasty.

      • KCI등재

        이제현 서간문의 구성과 전개

        김건곤(Kim, Kun-Ko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문인인 이제현은 문장가로서 ‘고문창도자’라는 칭찬을 받아왔으며, 후대의 문단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조선 후기 문인인 김택영은 그가 편찬한 『여한십가문초』에 고려시대 문인으로 김부식과 함께 이제현의 문장을 뽑아 넣어 그의 문장가적 능력을 인정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제현의 고문작품 중에서 서간문을 분석하였다. 즉 그가 한 편의 서간문을 어떻게 구성하고 전개하여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상대방을 이해시키고 설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제현은 원나라에 아부하는 간신배들이 원나라 본토와 같이 고려에 행성을 설치 해 줄 것을 건의하자, 그 부당성을 변석하는 편지를 써서 원나라 조정에 올렸다. 이 글은 서두에서 열고 말미에서 닫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상대를 감복시키는 데 적절한 여러 가지 사례들을 동원하여 논리를 전개하였다. 고려의 원에 대한 공로, 원 황제들의 고려에 대한 배려, 고려의 특수한 사정 등 행성 설치의 부당성을 부각시키는 데 유력한 근거들을 조목조목 서술하고 마지막에 요약하여 당부함으로써 설득력을 배가시켰다. 이 서간문으로 인하여 행성 설치가 중지되었던 바, 그의 문장력을 충분히 헤아려 볼 수가 있다. 한편 이제현은 충선왕이 환관의 참소를 받고 티베트 지방으로 귀양 갔을 때, 원나라의 고관들에게 두 편의 편지를 써서 왕의 방환을 위해 힘써줄 것을 요청하였다. 상대방의 역할과 관련하여 전제와 복선을 앞에 깔고 그에 따른 행동의 당위성을 뒤에 제시하는 유기적인 구성을 통하여 상대를 압박하는 한편, 충선왕과 신하들의 처지를 절절하게 표현하여 상대가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도록 하였다. 원나라 관료가 이 글에 감동하여 황제에게 주청함으로써 충선왕이 좀 더 편안한 곳으로 귀양지를 옮길 수 있었다. 또 이제현은 원나라 사신이 고려에 조서를 반포하러 왔다가 충혜왕의 악정과 무례를 문제 삼아 왕을 잡아갔을 때에도 왕의 사면을 위하여 원나라 관청에 올리는 글을 지었다. 결국 시행하지는 못했지만, 고려와 원나라 간의 호혜적인 실례와 혈연관계 등을 들어 글을 구성하고 논리를 전개함으로써 설득력을 제고하였다. 요컨대, 이제현은 원나라의 관청과 고관들에게 편지를 써서 행성 설치를 중지시키고 충선왕과 충혜왕이 사면되도록 하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4편의 편지를 통하여 그의 글 솜씨와 고문창도자로서의 면모를 가늠해 볼 수가 있다. Yi Jehyeon, one of the most prominent writer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has been praised as an ‘advocate for ancient-style literature’ has influenced the literary circle of later generations. Kim Taek-young,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cognized Yi Jehyeon’s literary ability and selected writings of Yi Jehyeon for his anthology. In this article,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letters of Yi Jehyeon. I have focused on how Yi Jehyeon organized and presented his arguments effectively to make them understandable and persuasive to the reader. When Yi Jehyeon was 37 years old (1323), he wrote a letter to the Yuan court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Branch Secretariat (haengseong, ch. xingsheng) in Goryeo. This idiea was advocated by a few pro-Yuan collaborators, effectively asking the Goryeo government to be ruled as if it was part of the mainland of the Yuan. Yi Jehyeon wrote a letter to the Yuan court, emphasizing how such a request was irrational. That letter had a clear opening at the beginning and ended with a definite conclusion; the main body consisted of many persuasive examples to convince the reader. He doubled his persuasion by outlining and summarizing the reasons at the end of the letter to highlight the unfairness of establishing a Branch Secretariat, and in this process, he emphasized Goryeo‘s contribution to Yuan, Yuan Emperors" consideration for Goryeo, and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Goryeo among other parts of the Mongol Empire. His letter stopped the installation of the Branch Secretariat and saved the national sovereignty at a time when the country was almost dismantled. On the other hand, King Chungseon went into exile to Tibet as he became a victim of a false charge from a eunuch. Then Yi Jehyeon wrote a letter to Yuan’s high officials to request the king be exonerated. Yi Jehyeon wrote two letters, and in these letters, he detailed the king and the officials" difficulties in exile. To reinforce his argument, he foreshadowed his point in the beginning, and then presented his main arguments in the later part. The Yuan Dynasty officials were deeply moved by Yi Jehyeon’s letter and requested the Yuan Emperor to relocate King Chungseon to a more comfortable place. Consequently, we can say that this letter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aving the king. Moreover, when the Yuan Dynasty’s envoy came to Goryeo and arrested King Chung-hye on the pretext of the king’s misrule and disrespect, Yi Jehyeon wrote a letter to the Yuan government for the king’s amnesty. This occurred when Yi Jehyeon was 57, in the year 1343. Although his request was not fulfilled, he presented his argument based on detailed examples of mutual benefit between Goryeo and Yuan, and close blood-relations, which again bolstered his argument. In sum, Yi Jehyeon’s letters to Yuan’s government office and high officials secured diplomatic achievements such as halting the installation of the Branch Secretariat and ensuring preferential treatment of King Chungseon and King Chunghye. Yi Jehyeon saved the kings and his country with his writings. Through these four letters, we can appreciate his writing skills and literary achievements.

      • KCI등재

        고려 전·중기 한문산문의 창작 실제와 이제현의 고문창도

        서정화 ( Suh Junghwa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는 학계의 통설 때문에 고려 중기는 고문에 성취를 보지 못한 ‘적막한 시기’로 규정되고 있다. 본고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려 중기의 한문산문 창작 현장에서 당송고문이 실현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후기의 문학적 전환 또는 특징을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역사적 개념을 과도하게 적용한 ‘고문’이 아니라 사상과 문학 등에 합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키워드인 ‘성리학’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유의 고문운동과 이제현의 고문창도를 무리하게 연결하면 500년이라는 간극이 발생하며, 중국 산문사의 흐름과 잣대를 그대로 한국 산문사에 적용할 경우 수용 주체의 자발성이나 창의적 능력을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도 논했다. 다음으로 고려 전·중기는 당송고문이 유입되어 창작 현장에서 실제로 구현되었음을 밝혔다. 고려 전·중기 문인들은 당송팔대가의 존재를 분명하게 인식하였고, 당송고문의 형식적 특징인 騈體에서 散體로의 전환을 이루었으며, 당송고문을 대표하는 양식인 송서, 설, 논, 산수유기, 가전 등을 창작하였다. 또한 당송고문이 수용된 증거로 한유, 유종원, 소철, 왕안석의 표현기법이 박문, 임춘, 이규보의 편지, 묘지명, 산수유기에 실현되어 있었다.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는 고려 전기에 당송고문이 수용되고, 고려 중기에 당송고문이 정착·확립되고, 고려 후기에 성리학적 이념이 투사된 산문이 창작되어 500년 간 이어질 성리학적 글쓰기의 시대를 열었다고 거칠게나마 정리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하게 되면 그 흐름이 이상해진다. ‘이제현의 고문창도’설을 폐기해야만 고려 시대 한문산문사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제현의 고문창도는 성리학자들 ‘그들만의 리그’에서만 유효하다. The time of sino-Korean literature in mid-Goryeo period is when ‘byunchae(騈體)’ was completely transitioned to ‘sanchae(散體)’ in style. It is when literature transitioned from being practical statements for public use and started to be created as proses that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common academic view that sees Lee Je-hyun advocating for classical style prose, the mid-Goryeo period is defined as the “dreary period’ when the classical style prose did not flourish. This study reviews the issues that arise if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studied the cases where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practiced in sino-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asserts that the keyword ‘Neo-Confucianism(性理學)’ is more appropriate for defining the transition of literature in the later Goryeo period or its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reasonably applied in philosophy, literature, and etc., not ‘prose’, which is overly applied with the historical concept. Grouping Han-yu’s Classic Chinese Prose Movement(古文運動) and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creates the gap of five hundred years. Also, this study discusses that applying the flow and standards of Chinese prose to the history of Korean prose will result in ignoring the spontaneity or creative ability of the recipient. 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was actually seen in the creative writing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The writers in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clear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Eight masters in Tang and Song(唐宋八大家). The proses at the time transitioned from byunchae(騈體) to sanchae(散體),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and the writers wrote in styles that represent the literary style of Tong and Song , such as songso(送序), seol(說), non(論), sansuyugi(山水遊記), and gajeon(假傳). Also, the writing techniques of Han-yu(韓愈), Liu Zongyuan(柳宗元), Su Zhe(蘇轍), and Wang Anshi(王安石) were found in letters, memorial inscriptions(墓誌銘), and sansuyugi(山水遊記) of Park Moon(朴文),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history of Chinese prose in Goryeo Dynasty accept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literary style was settled and established in mid-Goryeo period, then in later Goryeo period, the proses with the Neo-Confucius philosophy were written, opening the door of the Neo-Confucius writing era, which continued on for about five hundred years. However, if it is viewed that Lee Je-hyun had advocated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t disrupts such flow. In order to find the right place of the history of Chines prose in Goryeo Dynasty, the theory of ‘Lee Je-hyun’s advocacy for writing classical prose’ must be discarded. In other words, Lee Je-hyun’s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prose is only valid among the ‘league of Neo-Confucian scholars.’

      • KCI우수등재

        강남의 상상과 낭만: 이제현의 강남 기행시 연구

        윤 윤진,손가옥,정동매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0 No.204

        1319년, 이제현은 상왕(上王) 충선왕(忠宣王)을 모시고 강남에 다녀오면서 적지 않은 기행시를 썼는데 그 가운데 시 13제 14수, 장단구 2수가 『익재난고(益齋亂稿)』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것은 서촉(西蜀)으로 다녀오면서 남긴 시와 더불어 이제현의 중국 기행시의 아주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이 강남 기행시라고 할 수 있는 시와 그 강남에서의 행적이 학계의 주목을 받아 여러 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제현의 이 강남 기행시를 비롯하여 강남 행적에는 아직도 적지 않은 의문점들이 존재한다.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그들의 목적지는 보타산(寶陀山) 강향(降香)이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보타산을 비롯하여 항주로부터 보타산으로 가는 도중에 관한 시를 비롯한 아무런 문헌적인 사료를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며 이제현에게 초상화를 그려주었다는 화가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의문점이 있으며 그들이 항주에서 만난 중봉명본(中峰明本)과의 관계도 진일보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이번 강남행에서 그들이 항주에서 남긴 행적은 모두 한결같이 항주 서쪽이다. 항주 동쪽 저 멀리 보타산으로 가야 할 이제현 일행이 항주에서 남긴 이러한 상황들은 이 문제에 대한 진일보의 연구를 비롯한 확실한 새로운 사료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뿐만 아니라 이 강남 기행시에 나오는 일부 지명을 비롯하여 고인(古人)의 시를 차운했다고 하는 시에서의 고인이 누구인가 하는 등에도 일부 해결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며 그의 시 해독(解讀)에 있어서도 좀 더 심도 있는 해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본문은 일부 역사 사실과 결부하여 기성 연구에 대해 일부 의문점을 제기하면서 일부 확인된 부분에 대해서는 수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시에 나타난 문제들에 해답을 주면서 낭만과 풍류의 강남땅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미학 범주인 풍류로 이제현이 기행시 가운데서 한국의 미학전통과 관련된 낭만과 풍류의 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In 1319, Li Qixian accompanied the king Zhongxuan on a trip to Jiangnan and wrote many travel poems, among which the 13 Theme 14 poems and Ci 2 pieces were included in the Disorderly Draft of YiZhai. This, along with the poems he left on his way to the Xishu, became an important component of Li Qixian’s Chinese travel poems.Therefore, this Jiangnan travel poem and its Jiangnan traces have receiv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community and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But there are still many doubts about Li Qixian’s Jiangnan travel poem and Jiangnan Travel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Goryeo”, their destination was Mount Baotuo JiangXiang. But now we can’t find any literature and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poems on Mount Baotuo and on the way from Hangzhou to Mount Baotuo. There are also many questions about the artist who painted Li Qixian’s portra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Zhongfeng Mingben they met in Hangzhou also requires further research. Especially during this trip to Jiangnan, the traces they left behind in Hangzhou were all from the west of Hangzhou. Li Qixian and his delegation were supposed to go to Baotuo Mountain to the east of Hangzhou, but the circumstances left behind in Hangzhou indicate that further exploration of conclusive new historical materials is needed as support. Not only that, including some place names in the Jiangnan Travel poems, there are still some unresolved parts in the poetry known as “borrowing ancient poetry”, such as the question of who the ancients were also remains to be solved. The interpretation of his poetry also requires a deeper explanati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combines some historical facts to raise some doubts and make some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research. At the same time, it answers the questions that appear in the poetry, attempting to reveal the traditional aesthetic category of South Korea - the romantic and romantic beauty sung by Li Qixian in his travel poems on the romantic and romantic land of Jiangnan.

      • KCI등재

        고려후기 이제현의 중국 문인과의 교류와 만권당

        김인호(Kim, In-ho)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1 No.-

        이제현은 만권당을 통한 원나라 지식인들과의 교유에서 배웠던 것을 고려사회의 현실에 적용시키려 하였다. 이 점은 교유한 원나라 지식인들의 주장과 활동을 이제현의 개혁방안과의 비교로 확인할 수 있다. 만권당은 충선왕이 원나라 인종의 황태자 시절에 태자태사로 있으면서 원의 지식인들과 했던 인적 교류와 함께, 당시 인종의 궁사부라는 조직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 만권당은 이후 고려의 지식인들이 모방하면서 개인서재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중요한 특징은 현실문제 해결에 학문을 이용하려 했던 점에 있었다. 그 바탕은 성리학적 원리였다. 그 결과 김지의 주관육익 등이 만들어졌고, 이후 조준 등의 개혁파 사대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만권당에서 배운 이제현은 원의 지식인들과 비슷하게 역사책 편찬에 관심을 가졌다. 이 관심은 유교 경전의 가르침과 도덕적 행실, 그리고 현실 통치에 필요한 경세론에 대한 검증 사례를 확보하려는 것에 근거하였다. 그 결과 이제현은 「충헌왕세가」 등의 다양한 역사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지식과 실천을 합치시키는 경세론적 인간, 즉 ‘경명행수지사’의 모델을 제시하려 하였다. 이것은 이후 조선왕조의 학자적 관료양성으로 계승되었으며, 『실록』 편찬의 방식도 국가사업으로 정착되도록 하였다. King Chungseon recommended intellectuals as a government official. He was close to In Jong the emperor of Yuan dynasty. King Chungseon made Mangundang which was a personal library of the king. Man Gun Dang was the scholars" meeting place of Goryeo and Yuan Dynasty. Lee Jaehyun the scholar of Goryeo, gained knowledge from the scholars of Yuan dynasty in this library. Later on, Lee Jaehyun returned to Goryeo and used this knowledge which was based on neoconfucian. Also, Kim Jong Jik who was on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Choseon Dynasty, evaluated Man gun dang highly. The ideas from Man gun dang were useful for managing a nation, so it was helpful for the king too. The using way of Mangundang inherited to Jiphyeonjeon (The Hall of Worthies made by King SaeJong.)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r period in Koryeo Dynasty made a personal library similar to Man Gun Dang. The intellectuals had gone with King Chungseon to Yuan when the King was Crown Prince. It was the reason why the intellectuals" libraries were similar to Mangundang. The scholars who gained knowledge from those libraries helped the improvement of serious problems,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s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be a government official after studying. Because they thought the abilities of acting from knowledge were important. They also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have a hgih morality as well as studying.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a new symbol for intellectuals were created.

      • KCI등재

        이제현의 현실 인식 및 외교 논리 검토 -『익재난고』의 「사찬」과 상서(上書)를 중심으로-

        한누리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8

        The figure examined here is Yi Je-hyeon(李齊賢, 1287~1367), who was a renowned scholar and a governmental official from the 14th century. Many of his accomplishments are known to have been rooted in his Neo-Confucian expertise, but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is view of the world as a politician and a diplomat. He was, as his colleagues also were, forced in a situation where he must be aware of the international order and Goryeo’s position in it, while not forgetting his own identity as a traditional Goryeo citizen. Understanding that dilemma i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work. In his letters to the Yuan Imperial government, Yi Je-hyeon always emphasized the fact that Goryeo and Yuan had enjoyed a long and close relationship. He did so to daringly urge Yuan to be aware of how Yuan as an Empire was supposed to treat Goryeo, a much smaller entit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he was also careful not to offend Yuan unnecessarily, and that shows in his treatment of past Goryeo records. He downsized and toned down certain remarks left by his ancestors, who believed in Goryeo’s own regional-centric nature. At the same time, Yi Je-hyeon also not hesitated to make some radical demands to Yuan, as shown in his communiques to the Imperial court. In order to make sure Yuan would grant Goryeo’s requests and allow Goryeo traditions remain intact, he not only cited past Emperor Qubilai’s ‘Old promises,’ with which the late Emperor expressed his will not to alter Goryeo’s past conventions, but employed other political notions as well. For example, he quoted the legacy of former Mongol leaders who preceded Qubilai, and even recalled the traditional Chinese way (from the Dang period) of regulating Northeast Asian regions (“Gimi”), to persuade Yuan authorities. Yi Je-hyeon’s efforts to respond to situations developing o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to protect Goryeo traditions, interests and agendas, reveal the complicated nature of the position Goryeo was put in at the time, and Yi’s dilemma to navigate through it. Hopefully by further exploring Yi Je-hyeon’s mind, we would gain understanding of how things were for the Goryeo people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본 논문은 고려후기의 대표적인 관료이자 문인이었던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현실인식과 외교논리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제현의 여러 업적은 그의 성리학적 면모를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현실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서 그의 인식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당시 원제국 중심의 국제질서 및 고려의 위치를 인지하되 고려의 정체성도 잊지 말아야 했던 지식인의 고뇌가 현실 및 외교 현장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현은 양국의 관계가 시간에 흐름에 따라 돈독해져 갔음을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그가 제후국 고려의 입장에서 고려의 이전 역사 기술들을 인용하며 일부 표현을 조정하는 모습이 포착된다. 이는 일종의 ‘자기검열’로써 천자-제후의 수직적 관계를 인정 및 유지하는 한편으로 그를 넘어서는 위협에 빌미를 제공하지 않으려는 현실적인 조치라 할 수 있다. 반면 이제현은 고려의 요구사항 관철 및 토속 보전 등을 위해 매우 과감한 외교 논리를 설파하기도 했는데, 기존의 ‘세조구제론’ 인용에 그치지 않고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전통적 ‘기미지배’ 방식을 환기하거나 몽골 선황제들의 유훈을 언급하는 등 쿠빌라이를 넘어서는 권위까지 호출·소환했음이 흥미롭다. 국제 정세에 기민하게 반응하고 그 속에서 고려의 입지를 보장, 국속을 보전하려는 이제현의 노력은 13~14세기 특수상황에서 빚어진 고려인들의 중층적이고도 양가적인 인식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이제현을 비롯해 고려후기 인물들을 검토하는 것은 당대인들의 인식 일반에 더욱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이제현(李齊賢)의 소식(蘇軾) 호방사(豪放詞)의 변용 고(考)

        이태형 ( Tae Hyoung Lee ),박미숙 ( Mi Suk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5

        고려시대 중국사는 음악과 악공의 수입, 귀화한 중국인의 영향, 중국 서적의 대량 구입, 고려 왕들의 애호 등에서 기인하여 유입되었다. 당시 이제현은 충렬왕을 모시고 元나라에 가서 많은 중국문인과 만권당에서 교유했고, 중국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羈旅, 自然風光, 抒情 등을 중심내용으로 총54수의 사를 지었다. 그의 豪放詞 면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北宋代 蘇軾 豪放詞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그는 당시 송대 중국에서 가장 유행했던 소식의 사를 전범으로 삼고 창작에 임했다. 이제현은 소식 호방사와 비슷한 내용·주제·전고를 사용했고, 같은 사조를 운용하기도 했다. 아울러 비슷한 구절이나 어구의 차용, 소식사 원운에 차운 혹은 화운하기도 했다. 이처럼 내용과 형식방면에서 두루 그의 사를 모방하여 창작했지만 그는 소식사를 무조건 모방하지 않고 고려인이라는 주체성을 지니고 나름대로 소화시켜 고려의 토양에 맞는 독창적인 사를 창작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가 이러한 호방사를 지은 원인은 당시 元의 속국이었던 高麗의 한 사신으로 元에 가서 중국 사인들의 영향을 받아 悲壯한 감정과 망국의 비통함, 이방인으로서 처량한 심정을 豪放한 필치로 그려내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I am finds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form and degree of receptivity process from Chinese Ci Poetry through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about authors of the formative period of Go-Ryu and their works. After Ci Poetry was inflowed into the Go-Ryu from China, trying to create Ci Poetry first and adopting an author who played a fixed role in forming Ci Poetry literature and works as category. Ci Poetry that was created in the formative period of Go-Ryu, made use of China`s Ci-Pai(詞牌) and the then Li Qi Xian used various Su Shi(蘇軾)`s Ci-Pai(詞牌). and He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 Fang ci poetry(豪放詞) style. He is a great Ci Poetry in the famous scholar of the late Koryo Dynasty from a perspective Ci Poetry writer. He lived in China (Yuan Dynasty) for a long time and made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yo. In general, the contents of China written by Li Qi Xian`s Ci poetry is described as the beautiful nature viewed while traveling of the utopian through formed while communication, and feeling about the superior being, expressed because of the heavy spiritual pressure to him.

      • KCI등재

        從詞牌運用觀察李齊賢對北宋金元代詞接受攷

        이태형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6 No.-

        During the Tang Song Dynasty, the company was called '小道' or '薄技' and was recognized as an emotional literature dealing with love between ma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when he came to Jin Yuan Dynast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jecting the writer's subjective consciousness that reflects the times, views of life, and political attitudes. In addition, as Ci's Poetry emphasized Confucian poetry tradition by reciting her emotions at Jin Yuan Dynasty in earnest, the musical character of Ci's Poetry gradually faded. Lee Je-hyun's a Goryeo scholar, wrote many original works by using his favorite autographs such as "柳永(Liu yong)," "蘇軾(Su Shi)" and "吳激(Wu Ji)" or "元好問(Yuan Hao Wen) " as examples. In fact, Korean artists used to create creative death by digesting their own materials by accepting the historical theory that used to be popular in the Jin Yuan era in private creation, using similar contents, themes, and foregrounds that used to be hominids, the operation of the same order, borrowing similar phrases or phrases, or rhymes. Therefore, Seo Geo-jeong of the Joseon Dynasty highly valued Lee Je-hyun's private works, which were published in 10 volumes of 『益齋亂稿』. Seo Geo-jung acknowledged that the Goryeo Dynasty signatories did not know Chinese, so he could not build a temple, and claimed that Lee was able to build a temple because he had earlier gone to China and learned to study Qing Culture. However, Seo's theory is not true, although simila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ve Ci Pai, which were widely used among the 53 Ci's Poetry of Lee Je-hyun, he already had a foundation to build a private temple for himself from the Goryeo Dynasty, and later, he went to China to interact with many Chinese writers, building a unique Korean Ci Xue through multi-faceted knowledge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his private school training was transferred from North Song Dynasty to Won Dynasty, Jin Dynasty and Goryeo Dynasty. It is believed that contemporary or junior scholars failed to create such high-quality pieces as Lee Je-hyun because they lacked various foundations for private affairs like Lee Je-hyun. 唐宋 시기 詞를 ‘小道’ 혹은 ‘薄技’라고 불렀고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는 ‘言情’의 문학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金元시기에 와서는 사에 ‘言志’를 부분을 강조하여 시대상황, 인생관, 정치태도 등을 반영한 작가의 주관적 의식을 투영하는 것을 중시했다. 또한 본격적으로 金元代에 오면 詞가 ‘情性’을 읊어 儒家의 詩敎論을 강조함으로써 音韻과 格律을 강구하지 않는 면이 많아지게 되어 詞의 음악적 특성이 점차 퇴색하게 되었다. 고려사인 이제현은 북송대 유영, 소식, 원금대 오격이나 원호문 등과 같은 사인이 즐겨썼던 사패를 본보기로 삼아 모방하여 독창적인 사작품을 많이 지었다. 실제 한국사인들은 사창작에 있어 금원대 유행했던 사론을 수용하여 호방사인 다용한 내용 · 주제 · 전고, 사조의 운용, 비슷한 구절이나 어구의 차용, 원운에 대해 차운하거나 화운하여 사를 지으면서 나름대로 자기 것으로 소화시켜 창조적으로 사를 짓곤 했다. 그래서 조선시대 서거정은 『東人詩話』에서 『益齋亂稿』 10권에 실려있는 이제현의 사작품을 매우 높이 평가하였다. 그는 고려시대 사인들은 중국어를 몰라서, 倚聲塡詞할 수 없었다고 인식했고, 이제현은 일찍이 중국에 가서 일찍이 北學을 배웠기 때문에 사를 지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거정의 학설을 비슷하긴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이제현의 53수 사작품 중에서 다용했던 5개 사패를 뽑아 분석해본 결과 , 그는 고려에 있을 때부터 이미 중국어를 알아서 사를 지을 수 지을 수 있는 기초토대가 있었고, 이후에 중국에 가서 많은 중국문인들과 교류하면서 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식이론 및 실제 연습을 통하여 뛰어난 한국 특유의 사를 짓게 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그의 詞學 연원이 북송에서 원, 금 그리고 고려를 거쳐서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대 또는 후학자들이 이제현처럼 수준 높은 사작품을 창작하지 못한 것은 그들이 이제현과 같은 사에 대한 다양한 기초토대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연행(燕行)과 그 교육적 의의

        최두진 ( Doo Jin Choi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고려 후기의 대표 유학자인 익재 이제현의 연행 활동과 그 교육적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조선과 달리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에서, 그리고 고려왕이 아닌 원나라 황제의지배를 받으면서, 유학자의 삶을 살아갔던 익재가 어떤 연행의 과정을 거쳤고, 연행 중에 어떤 사상적 측면을 고심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원나라에서의 활동과 그 사상의 형성이 당시의 고려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육적 의의를 주고 있는지도 기술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단지 왕조 중심의 교육사와 제도 중심의 교육사를 넘어, 한 인물을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삶의 측면에서 그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출세 지향적이고 위인지학(爲人之學)의 측면이 강한 오늘날의 교육적 상황에서 위기지학(爲己之學)적 의의를 되새겨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고찰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Yeon Heng(燕行) done by Ikjae(益齋) LeeJe-hyun(李齊賢), who was one of representative confucians in the latter Koryeo Dynasty, in which Buddism played critical role as national religion and under the control of Yuan(元)Emperor. Toward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kjae`s Yeon Heng process and for what philosophical aspects he was concerned for. As well as, it explored how his action and formation of idea in Yuan had influenced Koryeo and what implications it suggested for tod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educational history based on Chosun Dynasty and institution by focusing on a historical figure, and help us to think about another form of education different from today which is success- and self-oriented.

      • KCI등재후보

        고려 문인들의 팔경문학 향유에 대하여

        김건곤(Kim, Kun K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장서각 Vol.0 No.34

        이 글은 고려시대의 팔경문학의 전개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고려 문인들이 중국의 소상팔경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차·화운하는 한편, 고려의 특정지역이나 공간을 팔경으로 정하고 문학활동을 영위한 과정을 저작경위와 영향관계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소상팔경시와 한국 팔경시, 八景詩와 八景詞로 나누어 그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기존연구의 몇 가지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소상팔경시와 소상팔경도가 제작된 것은 명종이 신하들에게 지시를 하면서부터이다. 李仁老의 한시 〈宋迪八景圖〉가 그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이것은 후대에 지어진 여러 팔경시의 전범이 되었다. 이어서 李奎報가 6편, 陳澕가 1편의 소상팔경시를 남기고 있는데, 당시 관료·문인·승려들 사이에 소상팔경시를 짓고 차운하는 것이 유행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소상팔경시가 그다지 지어지지 않았다. 李齊賢이 지은 1편이 남아있을 뿐이다. 대신 李穡은 소상팔경이 아닌 중국의 다른 승경을 대상으로 〈東吳八詠〉과 〈鳳山十二詠〉을 지었다. 곧 대상과 형식이 다양해진 것이다. 한편 고려 문인들은 소상팔경을 한국적으로 변용하여 한국 팔경시를 창작하였다. 金克己는 강릉의 8곳을 유람하며 최초의 한국 팔경시 〈江陵八景〉을 남겼다. 실경을 소표제로 삼고 경관과 관련 있는 역사나 전설을 원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이규보는 2편의 한국 팔경시를 지었지만, 모두 자신이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 지어준 것이다. 고려 후기에는 한국 팔경시가 여러 문인들에 의해 성행하였다. 문단의 종주였던 이제현의 역할이 매우 컸다. 그가 원나라에 머물면서 송도를 그리워하며 〈憶松都八詠〉을 지은 것을 시작으로, 安軸은 관동지방의 관리로 나갔다가 〈三陟西樓八詠〉을 지었고, 李穀과 李達衷이 그 시에 차운하였다. 또 안축은 경상도의 여덟 경치를 〈東南八景詩〉로 읊었다. 이색은 자신의 고향을 대상으로 〈韓山八詠〉을 지어 자부심을 드러내는 한편, 간신 廉興邦을 위해 〈金沙八詠〉을 지어주기도 하였다. 고려 후기 팔경문학의 한 특징으로 寫景詞의 창작을 들 수 있다. 이제현이 원나라 문사들과 교유하며 詞를 익혀 독보적인 솜씨를 보였는데, 巫山一段雲으로 〈소상팔경사〉와 〈송도팔경사〉를 지었다. 그의 영향 아래 鄭誧가 〈蔚州八景〉, 陳義貴가 〈淸安八景〉, 安魯生이 〈寧海十二詠〉 등을 차례로 지었다. 모두 귀양지에서의 閑適한 삶을 무산일단운으로 읊은 것이다. 무산일단운이 유행한 것은 이제현에 의해 새로 전해진 詞調인데다, 오언과 칠언의 조합으로 상대적으로 짓기가 쉬웠기 때문이다. 한편 고려시대 팔경문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기존연구의 몇 가지 오류를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특히 진화의 소상팔경시 저작시기, 김극기의 문학사적 위치, 虔州八境 및 東吳八景의 소상팔경과의 관계, 봉산십이경의 대상 등에 대해서는 재고할 여지가 있다. This study is about observation of how the eight-view literature in the Goryeo period has been evolved. Goryeo writers made and quoted a poem based on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of China. Also, they appointed a certain area and space as the eight views and studied the process of literature activity focusing on the purpose of writing and effect relationship. Especially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by splitting into a poem on the eight views of Xiaoxaing, Korea eight-view poem, the eight-view poem and cí (詞). The first painting/poem on eight views of Xiaoxiang in Goryeo period was produced by an order from the king, Myung-Jong (明宗). A poem on eight views of Xiaoxiang by a writer, Lee, In-Ro (李仁老) was written in this period and it is known as the oldest existing poem. This became a role model for the later poem of eight views. Following his poem, there were 6 poems from Lee, Gyu-Bo (李奎報), and 1 poem from Jin-Hwa (陳澕). At that time, it was popular among bureaucrats, writers, and monks to make and rhyme a word [character] of a poem on eight views of Xiaoxiang but the type of poem was not in popular in the late Goryeo. There was only one poem left from Lee, Je-Hyun (李齊賢). Instead, Lee, Saek (李穡) wrote a poem on the eight-view and twelve-view poem about other magnificent views in China, not the Xiaoxiang. That is, a subject and a form of poem were varied. On the other hand, Goryeo writers customized the eight views on Xiaxiang in Korean way and created the unique style of a poem on eight views Kim, Geuk-Ki (金克己) travelled eight places in Gangneung and left the very first poem on eight views in Korea history. It is distinctive that he set a sub-heading using the real view and quoted a related history and legend. Lee, Gyu-Bo wrote two Korea eight-view poems, not for his enjoyment but for someone else. From the late Goryeo, the Korea eight-view poem started to be written in earnest. It was main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Lee, Je-Hyun, the leader of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Following the eight-view poem that he wrote during his stay in Yuán (元) with heart missing Songdo (松都), Ahn, Chuk (安軸) made a poem on eight different views in Samcheok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Lee, Saek wrote a poem about his hometown so he showed pride, and he even wrote a poem for his disloyal subject. One of characteristics of eight-view literature in the late Goryeo is a creation of Sa-gyung cí (寫景詞; cí to describe the view). Lee, Je-Hyun associated with writers in Yuán learned cí and showed the distinctive skill. He wrote Xiaoxiang and Songdo eight-view cí with Moosanildanwoon (巫山一段雲). Under his influence, many writers wrote the eight-view cí such as Jung, Po (鄭誧), Jin, Ui-Gui (陳義貴), and Ahn, No-Saeng (安魯生). They all wrote the cí about the lonely life using Moosanildanwoon. The fame of Moosanildanwoon was because it was the new form of literature introduced by Lee, Je-Hyun and relatively easy due to the combination of five words and seven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