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밀(宗密)의 『원인론(原人論)』과 동무이제마(東武李濟馬)의 「원인(原人)」편(篇)에 나타난 인간론(人間論)

        박성식(Seong Sik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불교는 깨달은 자 곧 부처의 가르침인 동시에 부처가 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불교는 그 자체로 인간론이라 할 수 있다. 사상의학은 東武李濟馬(1837∼1900)의 독특한 의학적인 견해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인간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原人``이란 동일한 명칭으로 기록된 李濟馬의 「原人」篇과 圭峰宗密禪師(780~841)의 『原人論』을 주요 검토 대상으로 삼아 이제마와 宗密의 인간론의 특징을 살펴 사상의학과 불교와의 소통의 접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인간에 대한 탐구``라는 의미의 ``原人``이란 글은 韓愈에서 시작하여 宗密의 『原人論』, 李濟馬의 「原人」의 시대적 순서를 가진다. 李濟馬의 「原人」과 宗密의 『原人論』은 글의 구성 형식에서는 유사하지만 李濟馬와 宗密과의 관련은 확인되지 않는다. 人間論의 특징을 살펴 본 바, 첫째, 宗密의 『原人論』에서는 佛性, 如來藏등의 개념이 대체되어 나타난 本覺眞心이 인간의 본질을 논하는 핵심 개념이 된다. 이제마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臟腑大小의 특징을 인정하면서 후천적으로 자신을 완성해 나가는 自律意志와 실천노력이 강조되는 知行論的人間을 주장한다. 둘째,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하여 宗密은 業을 중심으로 불교의 이론에 따라 설명하고, 이제마는 ``天``이인간을 나게 한다고 하였다. 셋째, 삶의 지향과 현실의 문제에 대하여 宗密은 本覺眞心의 佛性을 드러내어 成佛하고자 함에 목표를 두고 현실의 인간이 겪는 불평등한문제들을 因果論으로 설명한다. 반면에 李濟馬는 堯舜과 孔孟과 같은 聖人을 理想的인 人間으로 두고 적극적인 현실 참여 속에서 長壽를 추구한다. 이상에서 宗密과 李濟馬의 人間論의 바탕에는 佛敎와 儒學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宗密의 本覺眞心의 眞과 妄相의 妄의 관계는 李濟馬의 臟腑大小(身)와 心慾의 치우침(心)의 관계와 사유구조가 유사하였다. 또 이제마가 실제 질병의 치료에 불교 수양법을 인정하고 있는데서 佛敎와 四象醫學의 접점을 모색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교의 根機의 차이를 개체의 특성이나 경향성으로 해석하여 四象體質論과 연결시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Buddhism is a teaching by the Buddha, i.e. the enlightened one, and at the same time a teaching in which the way to become a Buddha is presented. Therefore, Buddhism in itself can be a theory of human beings.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四象醫學is in the same vein, in that it is based on Dongmu Lee Jema`s (李濟馬, 1837~1900) unique medicinal perspectives, as well as his deep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s on human beings. Thus, the present author attempted to find out an interface betwee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Buddhis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Lee Jema and Zongmi`s treatises on human beings. The source material for this research was mainly Lee Jema`s Chapter on Won-in (in Chinese, yuan jen) and Chan master Guifeng Zongmi`s (圭峰宗密, 780-841) Yuan jen lun (『原人論』, Inquiry into the Origin of Humanity). The writings under the subject of Won-in 原人, which means the investigation on the human beings, start from Hanyu 韓愈, through to Zongmi`s Yuan jen lun 『原人論』, and ends in Lee Jema`s Won-in「原人」in chronological order. Amongst these three, the second and third are similar in their forms of writing even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not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both Zongmi`s and Lee Jema`s treatises on humanity, the present author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Zongmi`s Yuan jen lun, the ``originally enlightened pure mind`` 本覺眞心, which is just the replacement of Buddha nature, or tathagatagarbha 如來藏, is a key concept in discussing the essence of human beings. Lee Jema advocates the human beings that ar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conduct, in which both free will and efforts to put things into practice are emphasized while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inner organs 臟腑大小is acknowledged. Second, both differ in their statements of what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is. Zongmi explains this by means of karma as indicated in the Buddhist doctrines, whereas Lee Jema merely states that ``heaven`` produces human beings. Third, both differ in the aim of life as well as in the real life problems. Zongmi explains that the goal of human beings is to attain Buddhahood by revealing the Buddha nature of originally enlightened pure mind, and that inequality between human beings arises from causality. On the contrary, Lee Jema pursues longevity through positive engagement in real problems while regarding saints like the sage King Yao and Shun, and Confucius and Mencius as ideal human beings. As suggested above, it is understandable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underlie Zongmi and Lee Jema`s view of human being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Zongmi`s pure 眞, as described in his originally enlightened pure mind, and deceptive 妄, as described in deceptive characteristics 妄相, is parallel in their structures of thought to that between Lee Jema`s body, as described in innat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inner organs, and mind, as described in the leaning of the desire of mind 心慾. Additionally, the author thinks that the interface between Buddhism and the Sasang Constitutions 四象體質could also be sought from the fact that Lee Jema appreciates the Buddhist cultivation methods in his treatment of the diseases in actuality. Furthermore, if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spiritual ability 根機in Buddhism can be interpreted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it leaves room for connection with the Treatise on the Sasang Constitutions 四象體質論.

      • KCI등재

        이제마의 의철학적 사단론 연구

        김두영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2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Satanlogy of Lee, Je-Ma is based on Confucian satanology and it is an original theory being embodied as four human constitutional types. Most of preceding studies on Satanology of Lee, Je-Ma were focused on Sashim-Shinmool being mentioned as Sasang by Lee, Je-Ma but in this study, Sasangin based on Confucian benevolence was focused. In ‘Dongeui Susebowon’ satanology, Lee, Je-Ma explained Sadan in four human constitutional forms including Taeyang-In, Taeeum-In, Soyang-In, Soeun-In. He clarified his theory by explaining Bibak Tamnain and Sasand-In based on Confucian benevolence. Therefore,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its developments being progressed so far and to explore a mutual correlation between Confucian benevolence and Sasangin that is a human doctrine of Lee, Je-Ma. In order to prove this attempt, Confucian classic literatures, ‘Gyeokchigo’ of Lee, Je-Ma and ‘Dongeuisuse Bowon’, a medical book were reviewed. In ‘Gyeokchigo’ Lee discussed Bibak Tamnain based on Confucian benevolence as an academic ground. In addition, in ‘Dongeuisuse Bowon’, he materialized Sasangin under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four main organs and benevolence. He presented his original human doctrine by dividing Sadan that is Confucian theoretical reasoning into human four constitutional types through a practical method of medical science. Lee analyzed human temperament by each type by merging medical science and psychology with human body based on human-oriented ethics and advanced Confucianism. Under this background, he could establish his own very unique academic system as his observation and insight into universal principle and objects phenomenon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people. 본 논문은 이제마의 사단론이 유학의 사단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사단론이 인간의 모습인 사상인으로 구현된 독창적 이론임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제마의 사단론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이제마가 사상이라 언급한 사심신물(事心身物)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한 것이 대부분이다. 각주 5번 참조. 그러나 본 논문은 유가의 인의예지에 근거를 둔 사상인에 논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 「사단론」에서 사단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형태로 설명하고 있다. 이제마는 사단론의 이론을 전개하면서 유가철학의 인의예지를 근거로 비박탐나인(脾薄貪懦人)과 사상인(四象人)을 설명하여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논자는 이와 관련된 일련의 전개과정을 논하고자 한다. 또한 유가의 인의예지와 이제마의 인간론인 사상인에 대하여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실증하기 위하여 유가의 고전과 이제마가 저술한 철학서인 『격치고』와 의학서인 『동의수세보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제마는 자신의 철학사상을 설명한 『격치고』에서 유가의 인의예지에 학문적 근거를 두고 비박탐나인을 논하고 있다. 또한 의학서인 『동의수세보원』에서는 인간의 사장(四臟)인 폐비간신(肺脾肝腎)과 인의예지의 관계 속에서 사상인을 구체화하였다. 이제마는 유가의 사변적 사유체계인 사단을 의학이라는 실용적 방법을 통하여 인간의 유형인 사상인으로 구분하는 독창적 인간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마는 인간중심의 윤리와 선진유학의 경학적 기초위에서 의학 및 심리학을 인체의 몸과 융합하여 인간 유형의 성정을 분석하였다. 그는 이러한 배경에 우주원리와 사물의 현상에 대한 관찰과 통찰력이 보통인과는 다른 안목이 있었기에 매우 독특한 학문 체계를 수립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五蘊說과 四象體質論을 통해 본 인간 이해

        박서연(Park, Seo-yeon),박성식(Park, Seong-sik)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오온설은 인간에 관한 붓다의 가르침이다. 붓다는 인간은 오온이 임시로 결합해 있는 존재라고 언명하였다. 붓다가 인간을 오온으로 설명한 것은 단지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를 보여 주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오온으로 이루어진 존재의 無常ㆍ苦ㆍ無我인 속성을 깨닫게 하여 오온에 대한 집착을 떠나게 하려는 것이었다. 오온설에는 인간의 실상을 바르게 관찰하여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 고통의 원인을 밝히고 치유한다는 점에서 불교는 종교이면서도 의학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온설의 인간관은 인간의 정신작용을 인체의 장부와 연결시켜 설명하는 東武 李濟馬(1837-1900)의 인간관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조선말에 사상의학을 창시한 이제마는 유학적 사유에 입각하면서도 기존 유학과는 다른 면을 보인다.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기본적으로 유학적인 사고에 의거하고 있으므로 불교와의 연관성을 찾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그가 희로애락이라는 인간의 감정을 몸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유학과도 차이가 있으며, 그의 이러한 독창적인 사유는 불교와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본고의 목적은 불교의 오온설과 동무 이제미의 사상체질론을 비교 고찰하여 오온설의 인간 이해가 사상체질론의 인간 이해와 어떤 공통점이 있으며, 그러한 인간 이해에 기초하여 붓다와 이제마가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인간 고통의 구제는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불교 오온설에서 인간을 오온이 임시로 결합된 존재로 보는 것은 모든 인간에게 공통된다. 그리고 오온가화합의 존재로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생로병사의 苦를 겪게 된다는 점에서 인간은 동등하다. 이에 반해 이제마는 四象人의 臟腑가 완벽하지 않다는 점에서 인간은 동등하다고 본다. 체질 간의 우열이나 차등은 인정되지 않으며, 심욕의 차이에서 聖人과 衆人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사상의학의 본뜻은 완성된 인격자로서 성숙한 삶을 이루어가는 데 있으며, 실천방법으로 체질별 심욕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양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희로애락의 性情이 臟腑大小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四象人 체질은 장부대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는 희로애락이라는 정신작용이 우리의 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상체질론의 인간 이해는 불교 오온설의 인간 이해와 닿아 있다. 붓다와 이제마는 인간의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사람들이 보다 안락하고 건강한 삶을 살도록 인도하였다. 사람들이 스스로의 병을 알고 치료하여 건강한 삶을 누리게 하고자 했던 이제마의 濟衆정신은 중생의 근원적 고통을 치유하여 진정한 행복으로 이끈 붓다의 구제정신과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The Five Aggregates(五蘊, pañcakkhandha) is an important Buddhist doctrine from the time of the Buddha in India. These are the division of matter and mind of personality into five elements, which are Matter(色, Rūpa), Sensations(受, Vedanā), Perceptions(想, Saññā), Mental Formations(行, Saṃkhāra) and Consciousness (識, Viññāṇa). The first is physical and the other four aggregates are mental qualities. The Five Aggregates represents the organic combination of matter and mind in the human being and world. We are able to know that Buddhism emphasizes the very ‘Human being’, especially mind and body, by means of the Five Aggregates. The human being undergoing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cannot be free from mental and physical suffering, dukkha 苦. The Buddha, called a Great Lord of healing 大醫王, teaches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dukkha. In this respect, Buddhism is similar to the Medicine. Dongmu Lee Jema(東武 李濟馬, 1837-1900) was a government official and Oriental doctor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He thought over the body and mind of human being from organic angle. This is quite an original idea in the history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is paper was written to make clear that Lee Jema’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四象醫學, is similar to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from the organic view of body and mind. Lee Jema explains the joy-anger-sorrow-pleasure 喜怒哀樂 briefly in relation to body. He emphasizes that mind is the subject of recognizing and body is the subject of practicing. In other words, he stresses the subjective one. Lee Jema suggests that the size of organ determines the Constitution 體質 of people and the Nature-Emotion 性情 of joy-anger-sorrow-pleasure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size of organ. This means that the min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body. The Buddha says that we are composed of the Five Aggregates. Therefore we ‘Human being’ undergo changes. The human being of the Five Aggregates is not permanent and everlasting. When it changes, it produces pain, suffering and unhappiness. Attaching to “Self” of the Five Aggregates, we are to feel painful. On the contrary, if we can realize the Impermanent 無常 and Non-Self 無我 through the meditation, we are able to remove suffering or pain. This is much the same as the achievement of saint by removing the desire of mind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Buddhism, the purpose of meditation is to reach the Nirvana 涅槃. Realizing that every thing is impermanent and Non-Self by meditation, we could become quiet. The Buddha intends that all living beings are happy and easy. Lee Jema stresses people’s health, too. Lee Jema claims that we are healthy through the cultivation of the mind, removing the desire of mind. Eventually, the Buddha and Lee Jema join there. In conclusion, they urge that we do our best to relieve the living beings from suffering.

      • KCI등재

        佛敎와 四象醫學의 ‘醫’ 개념 - 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病因論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고는 불교와 의학의 融合을 통한 心身치유라는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계획된 것이다. 연구 범위는 불 교에서 비교적 의학적 주장이 뚜렷한 天台의 醫學論과 四象醫學을 제창한 李濟馬의 의학론을 살펴보 았다. 먼저 이들의 의학적 토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학론의 대강을 살펴보고, 양쪽 인간의 신체에 대 한 입장과 병인 발생하는 원인을 비교해 보았다. 신체관에서 보면, 천태는 자신의 행위인 業이 心識으로 작용하고 色身의 四大에 들어가 있어 五臟 六 腑를 형성하고 그 장부(臟腑)사이에는 陰陽五行의 작용으로 신체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제마 또 한 장기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음양이 장부의 長短에 영향을 주어 사상의 신체를 구성한다고 하고 있다 . 인체의 병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천태는 인체를 구성하는 사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대 화대 수대 풍대의 기운이 커지거나 작아짐으로써 몸에서 균형이 깨져서 병이 발생한다고하였다. 그 외에도 음식을 조절하지 못함, 업보, 좌선불순, 귀신이나 魔의 작용을 들고 있다. 이에 비해 이제마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받은 四端의 성품에 喜 怒 愛 樂의 감정이 결합되어 있는데 욕심이 일어나면 四象體質에 영향을 주어 이들 신체기관의 크기와 고유 성질이 상충하여 오장의 손상을 가져와 병이 발생한다는 심 정 위주의 병인론을 들고 있다. 한편 천태는 인체의 형성과 병의 원인이 자신의 선악의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업설을 바탕으로 一 念心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행위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마는 희노애락의 심정의 변화가 어떻게 장부의 병인에 영향을 주는지 병인론의 구체성에서 자세히 설명하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가의 의학론을 잘 융섭하므로써 인간 병인의 예방과 치유에 어떤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is designed as part of the research assignment in pursuit of the cure of body and mind through combined efforts to integrate Buddhism and medicine. The scope of this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both Tiantai(天台)’s Theory of Medicine, which contains Buddhist opinions on medicine relatively clearly, and Lee Jema(李濟馬)’s Theor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trace the medicinal bases of both theories, the present author compared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heories as to the human body and the causes of disease. As to the perspectives on the human body, Tiantai presented his theory as follows: The karma, which is one’s actions, works as his ‘mind and its contents(心識)’. The karma, inherent in the Four Great Elements(四大) of the bod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five viscera (i.e.,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and the six entrails (i.e., gall bladder,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the paunch, the bladder and the bowels). Among these internal organs, Taoistic ‘Yin- 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 further function and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Lee Jema’s Dongui suse bowon (東醫壽世保元) The Korean Medicine for Long Life by Preserving Original Nature, He also advocated that in the formation of the internal organs, the Yin -Yang influences the length of the internal organs, and thus results in the Four Types of the bodies. The next topic is the causes of disease. Tiantai said that disease arises out of the disturbances to the body’s state of equilibrium. This is especially so when the Four Great Elements, which constitute our body, are out of harmony with each other, because the energy of the earth element, fire, water and wind becomes bigger or smaller. Not only that, there are other causes of disease like inability to control what one eats, karma, erroneous sitting meditation, the action of ghosts, and evil demons. On the contrary, Lee Jema brought forth the emotion-oriented causes of disease. From the Four Beginnings(四端) granted by heaven, according to Lee,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喜怒愛樂)’ and desires arise. These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Sasang Constitutions( 四象體質), while causing disharmony between the internal organs. This disharmony leads to the damage of the internal organs, and ends in disease. Tiantai demonstrates ethical aspects, in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by listing specific standards of good and evil actions which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Lee Jema, in his discussion of the causes of disease, makes a close explanation of how changes in emotions lik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cause organ disease. Consequently the author expects to be able to suggest some clues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by interpenetrating both theories of medicine.

      • KCI등재

        20세기 한의학의 ‘신’(新) 고전 탄생 — 이제마(李濟馬)와 사상의학(四象醫學)

        김성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3

        Lee Jema and hi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a brainchild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praised highly as a unique medical ideology. His book Donguisusebowon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 Medicine, 東醫壽世保元),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not regarded as highly as he had expected in the beginning. His medical approach was introduced as Sasang philosophy in Hanbangeuiyakgye (漢方 醫藥界), an institutional journal for the Association of Joseon Physicians, the first association for doctors of oriental medicine organized in the 1910s. His philosophy evolved into Sasang theory, and yet, it hardly settled firmly in the circle of oriental medicine in Gyeongseong. Then in the mid-1920 and afterwards, his reputation began to grow. This was facilitated by Lee Eulho (李乙浩), one of main discussants in disput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medicine that arose in the 1930s. Lee Eulho defined nature of Lee Jema’s theory as constitutional medicine, and introduced a philosophical, medical, and pharmacological analy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the public through newspaper articles. Eventually Lee Jema became one of leading medical figures of Joseon Dynasty, and his book Donguisusebowon was raised to the status of one of two pillars in the medical society along with Heo Jun’s Donguibogam (東醫寶鑑). This transition, or the process by which new classics came to be established in Oriental medicine, showed how a basis for medical authority shifted from medieval norms related to social status to academic integrity and perception of the public. One of interesting aspects in debates regarding Lee Jema and his book Donguisusebowon is that while the empha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based on a nationalistic view, the academic backgrounds — medicine in particular — of the figures who tried to reassess Lee Jema had little to do with a nationalistic view. Jang Gimu (張基茂), Jo Heonyoung (趙憲泳), and Lee Eulho all had extensive academic expertise, and they were also strongly affected by academic atmosphere and trend in Japan. Presumably this was possible because medicine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operates on dual layers of theory and practice. 이제마와 사상의학은 독창적인 의학사상 때문에 허준의 동의보감 과 함께 한의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조선 최말기에 저술된 동의수세보원 은 이제마가 기대했던 것만큼 평가를 처음부터 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1910년대 처음으로 조직된 한의사 단체인 조선의생회의 기관지였던 한방의약계 에 소개된 이제마의 의학은 사상설로 소박하게 평가받았을 뿐이다. 이후 사상론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경성의 한의학계에 확고하게 뿌리내렸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 이후 이제마에 대한 평가는 새롭게 형성되고 있었다. 여기에는 조선학운동 등을 계기로 형성된 조선의 문화를 재조명하려는 사회적 흐름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사조를 확장시킨 것은 1930년대 중반 동서 의학논쟁의 주요 논자였던 이을호였다. 이을호는 체질의학으로 사상의학의 성격을 규정하고, 사상의학의 사상적⋅의학적⋅약물학적 분석 기사들을 신문 지면을 통해대중에게 소개하였다. 이후 이제마는 조선을 대표하는 의인 가운데 한명이 되었으며, 그의 저서 동의수세보원 은 허준의 동의보감 과 쌍벽을 이루게 되었다. 이 변화의 과정 — 다른 말로 한의학의 신고전의 형성과정 — 은 봉건적⋅신분적 규범에 따른 의학의 권위형성 방식이 학문적 정합성과 대중적 인식도로 점차 옮겨가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자연주의적 시각으로 보는 정약용과 이제마의 인성론

        고명문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8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듀이의 경험적 자연주의 시각에서 정약용의 인성론과 이제마의 인성론을 검토하고 비교하는 데 있다. 정약용과 이제마는 주희의 성즉리를 거부하고, 사람의 본성을 그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어떤 것을 싫어하는 성향으로 이해한다. 이것을 근거로 정약용과 이제마의 인성론에는 자연주의적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다음 정약용은 사람의 본성을 영지지기호와 형구지기호로 나누어 놓고 영지지기호는 순선무악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편향한다. 반면 이제마는 성향으로서의 사람의 본성은 사람의 생리적 기능이라고 주장하며 사람의 본성에 어떤 도덕적 가치도 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약용의 인성론에는 자연주의적 측면과 형이상학적 측면이 공존한다고 할 수 있고, 이제마의 인성론에는 강한 자연주의적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약용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순선무악한 영지지기호는 초자연적 하늘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부여한 본성이라 하고 그것의 영원불변성을 강조하며 형이상학적 측면을 더 부각한다. 반면 이제마는 사람의 본성은 사람의 경험에 의해 밖으로 드러남에 변화가 생긴다고 하고 그것의 궁극적 근거로 사람의 유기체적 몸을 제시했다. 따라서 정약용의 인성론은 자연주의적 측면도 있지만 강한 형이상학적 측면이 있는 인성론이라 할 수 있고, 이제마의 인성론은 형이상학적 측면이 없는 자연주의적 인성론이라고 할 수 있다.

      • 동무(東武) 이제마(李齊馬)와 최문환(崔文煥)의 난(亂)

        박성식,Park, Seong-sik 사상체질의학회 1997 사상체질의학회지 Vol.9 No.2

        연구 목적 : 동무 이제마는 1984 년에는 '한국문화예술선현(韓國文化藝術先賢)' 50인 중의 한 사람으로 지정되고, 1996년에는 12월이 '이제마의 달'로 지정되어 그의 업적을 기념하였으나, 일부 역사가는 그가 1896년 함경도(咸慶道)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을 잡아 가둔 인물이라 하여 그의 업적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896년 함흥에서 일어난 소요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 및 발생 동기와 경과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이 사건에 대한 정확한 평가(評價)를 내리고 이를 통해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적(思想的) 연원(淵源)을 연구하는데 단서를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먼저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을미의병에 대해 살펴 보고 1896년 (병신(丙申)) 함흥에 서 최문환을 중심으로 일어난 사건을 정부측(政府側) 기록, 의병(義兵)(최문환(崔文煥))측(側) 기록, 이제마측(李濟馬側) 기록,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이 나타나는 기타(其他) 사료(史料)들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 : 1896년 2월 함흥(咸興)에서 일어난 혼란은 을미사변(乙未事變)과 단발령(斷髮令)으로 폭발한 을미의병운동의(乙未義兵運動)의 일환으로 최문환(崔文煥)이 중심이 되어 단발(斷髮)을 강요하던 관리(官吏)들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 때 이제마(李濟馬)는 최문환을 붙잡아 가두고 난(亂)을 진압하여 훗날 '의병을 탄압했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당시는 수구(守舊)와 개화(開化)가 충돌하는 시기였으며, 이러한 혼란으로 말미암아 있을 수 있는 원산(元山) 일본군(日本軍)의 공격으로부터 주민(住民)의 안전(安全)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이와 같은 행동을 근거로 보아 이제마는 유생의병(儒生義兵)들이 주장하던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주자학적(朱子學的) 문화이념(文化理念)이나 복고주의적(復古主義的) 정치이념(政治理念)과는 다른 사상(思想)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면적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한국(韓國) 민족운동사적(民族運動史的) 측면(側面)에서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Dong-Mu(東武) Lee Je-Ma(李濟馬) was designated as a member of fifty persons 'The Wise Ancestors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1984 and the december of 1996 was appointed as 'The Month of Lee Je-Ma'. Though his achivements was valued like this, some historian criticized that he suppressed the righteous army. So this study was for clarifing the background, the motive, and the course of 'The Rising of Choi Moon-Hwan' occurred in Hamhung on february in 1896, and for the correct appraisement about this event. And also through this, author tried to make clear the origin of Lee Je-Ma's thought. Method : After studing the background of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the righteous army in 1895(乙未義兵). Author mad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verment side, the Choi Moon-Hwan side, and the Lee Je-Ma side about 'The Rising of Choi Moon-Hwan' occurred in Hamhung on februrary in 1896. Results & Conclusion : The event occurred in Hamhung on february in 1896 was a part of rebellion of the righteous army in 1895 which had risen against The startling Occurrence of 1895'(乙未義兵) and 'The Royal Commands To Cut Off People's Hair'(斷髮令). Lee Je-Ma suppressed the Rising and put Choi Moon-Hwan in the prison, and which was criticized that he suppressed the righteous army later day. That time was a conflict period between conservatism and civilization, and the Lee Je-Ma's act wa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security of residents from the attack which maybe occurred by Japanese army in Wonsan. Judging from this events, author could find Lee Je-Ma's thought was quite different from righteous army's neo-confucianism and conservatism.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Movement', further study about Choi Moon-Hwan, the chief of righteous army will be need.

      • KCI등재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학(四象醫學)과 불교(佛敎)의 영향(影響)

        박성식(Seong Sik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사상의학은 한의학의 한 분야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 한의학과는 다른 독특한 이론체계를 갖고 있는 한국 고유의 의학이다. 사상의학의 창안자인 東武李濟馬는 사람을 太陽人, 少陽人, 太陰人, 少陰人의 네 체질로 구분하여 체질에 따라 잘 걸리는 병이 다르고 치료 약물도 다르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제까지의 대부분 사상의학 관련 연구들은 의학과 유학사상을 토대로 독창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불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이제마가 사상의학을 발견하게 되는 계기나 사상의학의 이론적 측면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사상의학과 불교의 관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喜怒哀樂性情의 차이로 나타나는 사상인의 심리적 특성은 『黃帝內經』의 七情으로는 설명이 어렵고, 유학적인 심성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학적인 측면에서도 사상의학의 심성론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다. 이제마의 저서에 『周易』, 『孟子』, 『中庸』, 『大學』에서 유래된 구절과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지 인용되었다는 이유로 사상의학이 유학사상에 기반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제마는 기존 유학 사상에 대한 해석 보다는 자신의 고유한 철학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제마가 겉으로는 불교에 대하여 유학사상과 비교하는 내용으로 주로 언급하지만, 소양인의 吐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불교도의 생활과 같은 수양법을 강조한 것을 보면 내면에서는 불교를 다르게 받아들였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인 체질의 특성이 불교의 地·水·火·風 四大와 관련시킬 수 있는데, 태양인은 風, 태음인은 地, 소양인은 火, 소음인은 水의 성질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 또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유학적 배경, 의학적 배경, 서양의 4체액설과의 관련성 등과 같이 어느 한 사상에 관련을 두기에는 너무나 독창적이므로, 좀 더 시각을 확대하여 사상의학에서 불교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is generally known as an area of oriental medicine, but it is an indigenous Korean medicine possessing a unique theoretical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riental medicine. The originator of the SCM, Dongmu Lee Jema, made division of man`s physical constitution into four categories-namely, So-yangin (SY Type), So-eumin (SE Type), Tae-yangin (TY Type) and Tae-eumin (TE Type)-and he stated that each constitutional type is different in its inclination to get certain diseases and in its medicinal treatments. While most of the researches relating to the SCM have emphasized the SCM`s uniqueness based on the science of medicine and Confucianism,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SCM`s relevance to Buddhism until now.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M and Buddhism while focusing on how Lee found out the SCM and also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M`s theoretical system.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four-type constitutions, which arise from different natures and emotions like happiness, anger, sorrow and pleasure, are difficult to explain by means of the seven passions described in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instead, they need to be accounted for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theory of mind and nature. However, even this Confucian philosophy is not sufficient to clarify all the theories of the SCM`s psychology. Lee uses in his writings the words and phrases originating from the four Confucian books such as the Great Learning (大學), Doctrine of the Golden Mean (中庸), Mencius (孟子), and The book of Changese (周易). As he merely quoted these boo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is SCM is based on the Confucian philosophy. After all, he made use of those quotations for explaining his own philosophy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existing Confucian philosophy. On the surface, Lee mentioned Buddhism mainly in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but inside he might have accepted Buddhism judging by his emphasis on some exercises similar to those of the Buddhis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constitutions in relation to the Four Great Elements (四大) in Buddhism, which are the earth, water, fire and wind, so that Tae-yangin may be similar to the wind element; Tae-eumin to the earth; So-yangin to the fire; and So-eumin to the fire respectively. Lee`s SCM is too creative to associate it with one of the particular philosophies including Confucianism, medicine, the Humor theory, and the like. Therefore, about the topic of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SCM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from a wide perspective.

      • KCI등재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본 이제마의 사상의학적 심신관

        김부찬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2

        In this study I look at the way Lee Je-ma understood a human being, I. e. how he interpr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and thereby hope to expand the scope of Sports Philosophy. His Sasang Typology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pathology of human body based upon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and the conditions of organs. He classified human being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Taeyangin (Big yang type), Soyangin (Small yang type), Taeumin (Big yin type), and Soumin (Small yin type) and argued that a doctor should treat each patient after figuring out which of these four types he or she belongs to since the cause and pathology of an illness vary, depending on the constitutional type the individual belongs to. As a sports philosopher I appreciate his insight that a human being will be better understood if his or her body type is identified. Furthermore, his pathological theory is based upon his views on the cosmos and human mind. In this study I look at his views on the four constitutional types that we find in two books, I. e. Dongeuisusaebowon and Gyeokchigo. I also identify the philosophical basis of his views on mind and body, and see how his theory can be fruitfully applied in modern sports, sports education and athletic activities. 본 연구는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 즉 몸과 마음의 관계인 심신관(心身觀)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체육철학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제마에 의하여 제시된 사상의학은 사람의 체질과 장부의 허실에 따른 병리를 설명한 학설이다. 즉 사람을 태양인(太陽人)․소양인(少陽人)․태음인(太陰人)․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유형[四象]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라 병의 원인이 다르고 그에 대한 처방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볼 때 이제마의 사상의학이야 말로 ‘몸의 유형에 따른 인간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철학적 시원을 우주론과 심성론에 바탕하여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동의수세보원』과 『격치고』를 중심으로 하여 이제마의 사상체질에 대한 특징과 더불어 그의 심신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제마가 정의한 몸과 마음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사상의학적 심신관이 간직한 체육철학적 함의를 도출하여 보고 현대 체육학과 체육교육 및 체육활동에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혀 보았다.

      • KCI등재

        이제마의 인간론 - 衆人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

        배영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0 No.-

        Lee Je-ma has been known as the founder of Sasngeuihak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ith patients classified into four types); however, he proposed a remarkable analysis of a theory on humans in 『Gyeokchigo (格致藁)』. This paper focuses on his theory on humans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no other study has been as elaborate and insightful as the theory on humans of Lee Je-ma. Lee Je-ma classified the selfish and self-centered group of humans into four types, and added a sharp argumentation and analysis regarding each type. The public is a crowd of humans that falls into greed and foolishness while losing human reason, and it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mean humans in pursuit of power, cunning humans in pursuit of honor, greedy humans in pursuit of property, and cowardly humans in pursuit of higher positions. Such a theory on humans by Lee Je-ma may be undoubtedly noteworthy research at a level of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humans. Second, it is impossible to discuss Sasngeuihak without mentioning the theory on humans of Lee Je-ma. Although Sasngeuihak was understood as medicine according to physical constitution, this is only a partial understanding. Lee Je-ma said that he prescrib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physical constitution; however, he did not say that physical constitution is attributable to a certain disease. His view was that humans lose their heart (reason) owing to greed, which leads to a sick life and eventually causes the body to become sick. Not only did he see physical diseases, but also he saw through the diseases of life (the disease of lifestyle) that caused physical diseases. This is a point that is beyond the imagination of western medicine. Lee Je-ma put forth every effort in analyzing human greed and evil deeds but not because of despair toward humans and the world. Rather it was because of his deep faith in humanity and strong will toward goo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again his sasang (four types) philosophy and Sasngeuihak while focusing again on his theory of humans. 東武 李濟馬의 『格致藁』는 「儒略」 「反誠箴」 「獨行篇」 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독행편」은 이제마의 인간론이라고 할 수 있는 바, 그는 여기에서 衆人을 鄙人, 薄人, 貪人, 懦人의 네 유형으로 설정하고 거의 전권에 걸쳐서 이를 상론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동무의 인간론에 주목한 연구는 없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동무의 경학사상과 도덕론의 차원에서 「독행편」을 파악하고자 했다. 본고가 「독행편」의 인간론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동서 고전의 자료들에서도 그리고 근대 인문학에서도 이제마의 인간론만큼 통찰척이고 정치한 분석이 제기되는 자료를 보기 어렵다. 우리가 흔히 衆人 또는 凡人, 또는 衆生이라는 개념을 쓰고 인간의 탐욕과 어리석음에 대해서 논급하지만, 그것은 대체로 추상수준의 일반론에 머물고 이것을 유형화하면서 인간의 바닥을 파헤치는 심층 분석을 제기하고 있는 자료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 점에서 동무의 인간론은 인간에 대한 이해라는 차원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둘째, 이제마의 인간론을 떠나서 四象醫學을 논할 수 없다. 통상 이제마의 사상의학을 체질의학으로 이해하지만 그것은 반쪽의 이해일 뿐이다. 체질론은 장부의 대소에 따라서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의 네 유형으로 나누고 그 유형에 따라 처방을 달리한다는 것이지만 체질론은 정작 인간이 왜 병들어 가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 대답하지 못한다. 동무는 체질에 따라 신체와 기질적 약점이 다르고 그래서 체질에 따라 처방을 달리한다고 이야기했지 체질 때문에 병이 든다고 말하지 않았다. 동무의 사상의학은 인간론에 기초한 것이었다. 동무는 인간이 탐욕 때문에 본심을 잃고 그래서 삶이 병들어가고 끝내 육신이 병들어가는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정말 병을 근본적으로 고치려면, 사단지심을 회복하고 성명합일의 건강한 삶으로 돌아가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그가 말하고자 했던 壽世의 保元 - 세상살이의 지침도 그것이었다. 동무는 사단지심으로부터 일탈한 네 가지 인간유형으로서 鄙人, 懦人, 薄人, 貪人을 말하고 있다. 사람의 욕심에 같지 않음이 있기 때문에 이를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점에 대하여 『東醫壽世保元』에서는 그 개념만 등장하고 있지만 「독행편」에서는 정치한 분석이 가해지고 있는 바, 이는 고전유학의 도덕론이나 수행론 차원에서 검토될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인간론 차원에서 그리고 사상의학의 의학적 전제로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