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소재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 연구

        신비라(Shin, Bi Ra),박소형(Park, So H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패션 철학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소재의 건축가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사례를 분석하여, 소재의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저널 등의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와 패션 관련 인터넷 사이트, 패션 컬렉션, 패션 서적에서 추출한 시각적 자료를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이세이 미야케를 대표하는 소재인 플리츠를 선보이기 시작한 1989년부터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이세이 미야케의 사상과 패션에 대해 설명하였다. 둘째,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유형을 에이폭, 오리가미 방식, 데코메트릭, 드레이프 형식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은 선의 재구성, 유동적인 변형, 입체적 텍스처, 공간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첫째, 선의 재구성은 선의 반복과 중첩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입체적인 형태, 역동적인 패턴, 색상 대비를 이용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켰다. 둘째, 유동적인 변형은 소재의 가변성과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태가 자유자재로 변형 및 확장 되어지는 새로운 조형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입체적 텍스처는 텍스처의 변형을 이용한 소재 표면의 풍부한 질감 표현으로 독특한 표면 효과를 접목해 소재의 독창성을 추구하였다. 넷째, 공간의 확장은 소재 자체에 공간성을 부여한 형태로 기존의 의복 구성의 경계를 허물어 공간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디자인 자체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이세이 미야케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식하고 향후 소재 개발 및 창작 영역 확대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소재에 관한 분석은 패션에 있어 예술적 표현의 유기적인 관계에 관한 고찰에 기여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소재 개발의 응용 가능성과 비전을 마련하는 시각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amples of fashion created by Issey Miyake, an architect of materials, continuously revealing his original philosophy of fashion based on Japan’s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find 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 types formatively. As a study method, this author conducted case study accompanied by reviewing literatures including Korean and foreign books or journals and examining visual materials extracted from fashion-related internet websites, fashion collections, and fashion books. The scope of this analysis covers Issey Miyake’s works from 1989 when he introduced his representative pleats works up until now. Concerning study contents, first, this study explains Issey Miyake’s ideas and his fashion. Second, this author classifies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 types into A-POC, the origami type, decometric, and the drape type and analyzes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visual characteristics found i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in terms of contemporary fashion include lines’ reorganization, flexible transformation, solid texture, and space extension. First, lines’ reorganization is shown as new solid forms and dynamic patterns with the free alterations of lines, and lines’ overlapping and repetition maximize rhythmical movement and visual effect. Second, with flexible transformation, materials’ variability and the human body’s movement lead to the fre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 of forms, and this constant change realizes the expression of new formative beauty. Third, about solid texture, he integrates the unique surface effect with the rich texture expression of material surfaces using texture transformation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materials. Fourth, concerning space extension, expressing forms adding space to a material itself, he tears down the borders of existing costume designs and extends the range of spac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gained by exami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ssey Miyake’s materials formatively unlike advanced research focusing on his fashion design itself, this author intends to lay theoretical grounds to recognize the value and apply the results as theoretical data to develop materials and extend the areas of creation afterwards. Moreover, this analysis o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does contribute to consider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expressions in fashion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pplicability and vision to develop creative materials.

      • KCI등재후보

        이세이 미야케 패션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우서연 ( Seo-Yeon Woo ),권기형 ( Gi-Hyoung Kwo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2

        헤어아트 분야의 예술성은 시대에 따른 예술분야의 변화를 수용하며 헤어 디자인의 다양한 예술성과 독자적 구조를 형성하며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세이 미야케 디자인의 조형적인 패턴과 이미지를 고찰하였으며, 실증적 연구에서는 이세이 미야케의 작품 가운데 조형성이 돋보이는 < COMPASS >, < TRIANGLE >, < SPRING >을 모티브로, 모발과 종이를 활용하여 3편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자가 구현한 3편의 작품은 기하학적인 조형성을 표현한 이세이 미야케의 작품을 모티브로 헤어아트를 구현한 것으로, 이세이 미야케의 소재와 인간중심, 협력과 참여,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라는 디자인 철학을 헤어아트에 반영한 작품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작품은 이세이 미야케 작품 중 COMPASS, TRIANGLE, SPRING를 선정하여 이를 모티브로 활용하였으므로, 소재와 기하학적인 모티브 활용에 그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는 소재와 디자인의 한계를 보완하고, 풍부한 표현기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하학적 조형성을 구현함으로써 헤어아트의 영역확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rtistry in the hair art field embraces changes in the art field with the times, deveiopes by forming various artistry and independent structures of hair design. In order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formative patterns and images of the Isey Miyake design, and in empirical research, three works were produced used hair and paper as motifs of “COMPASS”, “TRIANGLE”, and “SPRING”, which stand out formative among Issey Miyake’s works. The three works by the researcher are based on Issey Miyake’s works, which expresses geometric sculptures, and are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Issey Miyake’s design philosophy of material, Human-centric design, cooperation,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sign. Among Issey Miyake’s works, COMPASS, TRIANGLE, and SPRING were selected and used as motifs, so there was a limit to the use of materials and geometric motifs. In follow-up study, it is hoped that the area of hair art will be expanded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materials and designs and developing rich expression techniques to realize various forms of geometric formulation.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 디자인의 변증법 적용 방식 연구

        이종훈(Jonghoon Le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4

        양적 성장의 단계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경제로 나아가는 국내의 의류산업은 최근 다소의 정체를 보이고 있다. 독창성과 예술성, 상품성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이세이 미야케의 디자인 방식에 대한 분석은 패션디자인의 학문적, 산업적 성장에 일조할 수 있다. 이세이 미야케의 디자인은 정반합의 변증법적 방식으로 독특한 조화를 이루어 낸다. 현대에 들어와서 생성과 변화의 가능성으로 이해되고 있는 변증법은 열린 과정으로 창작의 발상과 구축의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세이 미야케가 보여주는 정반합의 변증법적 디자인 방식은 규칙적인 질서의 주름과 그에 반하는 조형형식인 자유로운 패턴의 정반합, 오리가미의 일본 전통조형 방식과 현대적 기술의 결합한 미래지향적 디자인, 일본 전통의상 형태와 모더니즘이 융합한 디자인, 변화와 생성의 가능성을 열어둔 여백의 디자인과 다채로운 개성의 정반합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만들고, 일본의 전통성을 탈일본화하여 세계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지속과 변화의 가능성이 다른 영역이나 미래의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열린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특성들이 결합하여 이세이 미야케만의 독창성을 창출한다.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which is moving toward a creative economy that creates high value-added products at the stage of quantitative growth, has recently shown some stagnation. An analysis of Issey Miyake s design style, which is recognized for its originality, artistry and merchandise, can contribute to the academic and industrial growth of fashion design. Issey Miyake s design creates a unique harmony in the dialectical way of antithesis. The dialectic method, which is understood as the possibility of creation and change in modern times, is an open process and can be applied as a method of creation and construction. The dialectical design method shown by Issey Miyake can be summarized into the wrinkles of regular order and the opposite form of sculpture, the free pattern, the futuristic design combin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molding method and modern technology, the design combin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costume form and modernism, and the design of margins that open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creation. And these designs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creates practical beauty, exposes Japanese tradition to the world market, and as a whole forms an open structure in which the possibility of persistence and change leads to different areas or future designs. These characteristics combine to create Issey Miyake s originality.

      • KCI등재

        `쾌(快)`의 관점에서 본 Issey Miyake의 아비투스와 작품 이미지 분석

        김현주 ( Kim Hyun-joo ),윤지영 ( Youn Ji-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패션 디자이너들은 그들의 작품에 아비투스, 즉 자아를 시각적으로 표출해낸다. 이 아비투스에는 국가적 배경, 문화적 배경, 역사와 사회 그리고 문화의 수용방식과 작가의 예술 의지 등이 표현되어 있다. Issey Miyake(이후 이세이 미야케)는 일본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현대의 기술과 결합시켜 현대에 맞게 재창조해내어 일본문화의 아름다움과 독특함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그만의 독특한 패션철학과 아비투스를 가진 디자이너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별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 표현된 이세이 미야케의 작품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작품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표출된 `쾌`의 이미지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세이 미야케가 패션 디자이너로 활동한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작품을 연대기별로 분석함으로써 각 시대를 대표하는 그만의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중성적 이미지, 조형적 이미지, 전통 이미지의 재창조 3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세이 미야케의 작품과 철학은 쾌의 개념과 연결된다. 즉, 디자인과 소재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내적 호기심과 흥미를 이끌었다. 또한, 전통의 주제를 주의집중과 통제로서 일관적인 디자인 철학으로 표현하며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의 만족과 기쁨의 `쾌`를 경험하게 하였다. 이렇게 쾌의 관점에서 본 이세이 미야케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첫째, 희열로 대변되는 시각적 표현의 즐거움, 둘째, 행동과 체험을 통한 유희, 셋째, 내적 철학 발현을 통한 만족의 세 가지 특성으로 귀결되었다. Fashion designers display Habitus, namely, the self-ego in visual ways on their respective work outcome. This Habitus expresses national background, cultural background, history and society, and accommodation method of culture and artistic willingness of artists. Issey Miyake (hereinafter, “Miyake”) has combine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of Japan with the contemporary technology to recreate to fit into the contemporary time to carry out the role to display the beauty and uniqueness of the Japanese culture to the world and he is assessed as a designer with unique fashion philosophy and Habitu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images of Miyake as expressed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for each era and the image of ``Pleasure`` displayed commonly throughout the work has been spotlighted again. For this purpose, by analyzing the works of Miyake from 1970s to 1990s when he was active as a fashion designer through the bibliographic studies for each chronological era, it created the image of his own to represent each era. As a result, it may be compressed for 3 types of recreation in neutral image, formative image and tradition image. As such, works and philosophy of Miyake i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Pleasure`. In other word, he led the intrinsic curiosity and interest through various experiments on design and material. In addition, the theme of tradition is expressed in consistent design philosophy with the contraction and control and the `Pleasure` of satisfaction of design and joy for consumers. As su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 of Miyake in the point of view of `Pleasure`, it is concluded in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joy of visual expression as represented for ecstasy, second, amusement through behavior and experience, and third, satisfaction through internal philosophy manifestation.

      • 이세이 미야케 매장에 나타난 패션과 공간디자인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김문희(Kim, Moon-Hee),김문덕(Kim, Moon-Duc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3

        Fashion and interior space have been in a special relationship in the aspect that they are both the products of time and space related to human behavior and living environment, and have something in common as the applied art to be beneficial to humans.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scopes of scale and methodologies in the way that while interior space designs a spatial area between a body and the outside, fashion designs a spatial area between a body and cloth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m, as they both consider the body scale and deal with spaces between bodies. Recently, design exchange between these two areas is getting more vibrant, and the boundary between them is gradually being blurr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ses of shop designs reflecting fashion and fashion properties of a Japanese fashion Designer, Issey Miyake who has explored a relation between clothes and a body, based on a correlation between fashion and interior space in, and investigate which way of expression was used to design and display the correlation.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와 이사벨 톨레도의 기하학적 원형에 의한 패션디자인

        남윤진 ( Yoon Jin Na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기하학은 디자인 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이 되어 왔다. 패션 분야에서도 관련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기하학적 외형인 실루엣이나 문양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하학적 형태를 ‘원형’ 즉 구조를 만드는 형태에 적용한 패션디자인에 대해 분석한 것으로, 이와 같은 디자인과 실험적 발상 과정을 컬렉션, 전시, 저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여준 이세이미야케와 이사벨 톨레도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전개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패션디자인에 나타나는 기하학적형태의 발상을 외형과 원형으로 나누어 각 특징을 살펴보고, 두 디자이너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개 양상과 디자인 전개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세이 미야케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사벨 톨레도는 예술과 기술의 조화를 중시하면서 기하학적원형을 전개해 왔으며, 기하학적 형태가 외관상 잘 드러나지 않게 변형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두 디자이너의주된 디자인 변형 방법은 중심 이동에 의한 비정형적 흐름, 접기에 의한 방향의 전환, 휘기에 의한 모순된 형태, 중첩에 의한 공간의 확장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와 같은 변형을 통해 자유롭고 역동적인 형태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기존의 기하학적 디자인 분석에서 벗어나 기하학적 원형의 관점에서 패션디자인을 조명하고, 이세이 미야케와 이사벨 톨레도의 사례 분석을 통해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역동적인 조형으로 변형할 수 있는 흥미로운 전개 방법을 제시하는데의의가 있다. Geometry has been the important subject of design research. It has been continued on a fashion field, but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geometric appearance like silhouette and motif.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s specific development methods of fashion design by geometric original form, making a structure of clothes, focusing on Issey Miyake and Isabel Toledo who have been presenting the design of geometric original form and the experimental idea process through collections, exhibitions and books. It examines each characteristic of ideas of the geometric form in fashion design by classifying into an external form and an original form, and draws the development aspect and design development methods according to case analysis of two designers. In terms of developing geometric original form, Issey Miyake has been emphasizing on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 and Isabel Toledo has been focusing on the harmony of art and technique, and they have a tendency of transforming designs to make geometric forms not to be exposed externally. The design transform methods of two designers are a irregular flow by displacement of center, a switch of direction by folding, a contradicted form by curving and an extension of space by overlap. Theses methods enable the design to create free and dynamic fig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lluminate the fashion design by geometric original form, surpassing the existing analysis of geometric design, and to suggest interes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s that transform simple geometric form to dynamic design by case analysis of Issey Miyake and Isabel Toledo.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에 표현된 친환경적 디자인 특성

        하승연(Seung Yeon Ha),이연희(Yun Hee Lee) 한국복식학회 2012 服飾 Vol.62 No.3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rising in all the sectors of industry and culture. Even in the fashion industry, fashion designers have recently begun delivering messages on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Issey Miyake has been constant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nd has been deemed as a designer who values practicality and universality in clothing. This study seeks to examine Issey Miyake`s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 eco-friendly design. This research analyzed collections of Issey Miyake from 1980 to 2010 through photo works and www.firstview.com. The research method was to study 8 people who have professionalism in fashion design and have analyzed 201 works of Issey Miyake from 1980s to 2000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design.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design in Issey Miyake`s fashion : naturality, simplicity,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bility. First, Issey Miyake preferred natural materials and used Japan traditional dyeing that integrated modern techniques for naturality. Second, he expressed simplicity in his fashion by applying the least cutting and sewing in geometric panels. Third, he pursued sustainability with comfortable clothing that anyone could wear regardless of trend, age and body shape. Finally, he developed the A-POC system that eliminated the usual needs for cutting and sewing and tried transformability on clothing using buttons, strings, belts, zippers, and layered styling.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철학을 통해 나타난 디자인 특징에 관한 연구

        김미성(Kim Mi Seong),배수정(Bae Su Jeong) 한국복식학회 2003 服飾 Vol.53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fashion and trend. and examine how his fashionable philosophy reflects design. What affects his fashion philosophy is Western culture and Paris Revolution. Taking this opportunity. he outgrew the concept of haute couture and established specific fashion philosophy. His fashion philosophy is classified under consideration for women, respect for free emo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 and an active intercourse with many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through his philosophy are as following: 1. He wanted to release women from clothing restrained the body and make comfortable clothing which everyone can wear. This implies the consideration for women.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design to the harmony of functionality. simplicity. decoration and popularity. 2. He respected the free emotions and induced people to wear each parts of clothing which is dismantled freely within the limits coincided with clothing teleology-`wear`. It implies autonomy. He also unfolded experimental design:gives the regular space between the clothing and the body and then distorts the body or maximizes modeling. It implies the beauty of space. 3. He elicited the modern design through recognition of tradition. It implies contemporaneousness. 4. As he thought that all of the concepts is based on human. he derived inspiration firm an active intercourse with many people. He established a new style through an active intercourse with artists because if he works alone. he would rise above the popular trend. It comes to the gest artist series and implies popularity.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in his fashion philosophy is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design and practical design. But the important factor of his fashion philosophy is popularity so he would like to make popular clothing. He designs clothing which fit the public. It results from his firm fashion philosophy that his clothing is practical and decorative and he establishes his works meeting needs of modern. It is the reason that his clothing has perpet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