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장품 광고 모델로 본 스타문화사 연구

        정민아 ( Jeong Min-ah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광고는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으며,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동시에 삶을 만들어 나아가는 중요한 문화 행위이다. 기본적으로 광고는 물건을 파는 기능을 하지만 의미의 구조를 창조해 낸다. 다시 말해, 광고는 시대의 거울이며, 주체의 상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문화이데올 로기의 재생산 기제다. 그 중에서도 화장품 광고는 여성들의 미의식과 사고를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여 다른 생활문화 분야를 리드하며 소비자욕구를 반영한다. 화장품 광고는 현대 여성의 기호와 사고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라 할 수 있으며, 광고의 중심에는 광고 모델이 있다. 화장품 광고 모델은 당대의 미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당대의 미의식은 당대의 이상적인 여성상의 구체화이다. 본고는 광고 모델과 스타이미지를 문화사적인 관점에서 결합하여, 스타 현상의 본성이 무엇이며, 어떻게 생산되고 유통되는지, 또 스타가 텍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또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의미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며 기능하는지 주목하고자 하였다. 화장품 광고모델을 통해 살펴본 스타문화사 연구는 현 대중문화를 사회문화사적인관점과 관객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본고는 서양식 화장품 광고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던 1960년대, 그리고 현대 화장품 광고 모델 패턴의 형성기인 1970년대, 화장품 광고 모델 패션의 성장기인 1980년대까지 각 시대별 대표적인 화장품 광고 모델을 통해 스타이미지와 당대의 이상적인 여성상이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읽어 보았다. 화장품 전속 모델로서 장기적으로 활약한각 시기별 대표 스타로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까지의 홍세미, 1970년대 중후반에서 1980년대 초의 정윤희, 1980년대 중후반의 황신혜를 사례로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전통적 여성의 순응적이미지에서 소녀의 관능적 이미지, 현대적이고 활동적인 이미지로의 이상적 여성상의 시대적 변천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사회상과 집단적 가치를 읽어낼 수 있는 상징 기호이다. 광고는 당대의 사회적 가치와 이데올로기의 울타리를 벗어나지 않는 안정적인 이미지 제시로 소비자에게 호소하지만, 동시에 현실에서 충족하지 못하는 욕망을 과잉되게 투영하기도 한다. Commercial advertisement has become a part of our everyday lives and is an crucial cultural practice that at once reflects and shapes our lives. Its basic function is to boost sales of a product, but it also creates a certain structure of meanings. Advertisement is a mirror to a certain era and a reproduction mechanism that shapes symbolic images of a subject. Cosmetics advertisement, among others, is especially keen to women’s aesthetics and thoughts, and it promptly reflects consumers’ needs and in that sense leads the whole living culture. At the heart of cosmetics commercials lies an advertisement model. Aesthetic sense of a certain era is embodied in the era’s ideal image of a woman. Analyzing images of advertisement models in view of cultural history, I intend to reveal the nature of superstar phenomena and how a superstar, in relations with a text and in a sociocultural context, produces and distributes meanings. The cultural historical approach to advertisement models is a project to analyze contemporary mass culture in view of the industry and spectatorship.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representative cosmetics advertisement’ models of 1960s when western style cosmetics commercials were regularly introduced, of 1970s when modern cosmetics advertisement’ models began to take a certain pattern, and of 1980s when cosmetics advertisement modelling experienced substantial growth, and try to relate those superstar images to ideal image of women in respective periods. Hong Semi from late 1960s to early 1079s, Jeong Yunhui from mid-to-late 1970s to early 1980s, and Hwang Sinhye in mid-to-late 1980s are chosen here because they worked as cosmetics advertisement models under long-term and exclusive contracts. The transition of an ideal image of a woman from a traditional submissive image to a girly and sensual image to a modern and active image represents constantly changing social aspects and collective values. The advertisements try to appeal to consumers with stable images that are acceptable by contemporary social values and ideologies, but it also tends to over-project desires that are unfulfilled in reality.

      • KCI등재

        미국문화사 강의에서의 소설과 영화의 활용 - 1920년대 재즈 시대를 중심으로 -

        노진서(Roh, Jin Seo)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이 논문은 소설과 영화 작품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미국 문화사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F. S.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와 배즈 루어먼 감독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뛰어난 문학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은 문예 작품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재즈 시대 또는 광란의 시대라고 일컫는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좋은 텍스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 폭스트롯과 찰스턴 댄스, 음주와 흡연, 화려한 파티, 짧은 치마를 입고 단발머리에 짙은 화장을 한 신여성 플래퍼의 등장, 그리고 자동차 문화 등으로 대변되는 1920년대의 미국 문화사를 강의할 때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소설 작품 『위대한 개츠비』와 동명의 영화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길드 에이지에 구축된 기간 산업을 바탕으로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업사회로 접어든 미국은 소비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비약적인 발전 덕택에 기업은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고 이것은 개인에게 분배되어 미국은 바야흐로 대중 소비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변동과 더불어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은 정신적 방황을 겪었다. 이른바 길 잃은 세대라고 불린 이 시기의 미국인들은 전통적인 청교도 풍의 기성 질서에 대하여 반기를 들면서 도덕적인 타락과 환락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1920년대 미국 사회의 모습은 소설과 영화 작품으로도 소개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앞서 언급한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이며 그것을 영화로 만든 사례 가운데 최근 것이 바로 배즈 루어먼 감독의 작품이다. 이들은 각 장르의 특성, 즉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강점을 살려 기존 도덕과 질서가 붕괴된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러므로 문화사 강의에서도 이러한 점을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소설가와 영화 감독이 만든 문예 작품이므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사 강의에 있어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해야 할 필요는 충분하다. 그 이유는 스토리텔링과 이미지 매체에 익숙한 신세대 학생들의 교육 현장에서는 소설과 영화를 이용하는 것이 기대 이상으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사 강의의 보조 자료로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권장되어야 하며 또한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하여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how instructor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of America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of America in 1920s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1920s of America has been called the Jazz Age or the Roaring Twenties which is usually represented by money and gaiety. And also in that era, the trend of laissez-faire had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lives, values and American ways of thinking in the age. All of these things in the 1920s had resulted from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of America. The American of the 1920s found so-called ‘magic formula’ that had produced their wealth and satisfied their desire. The magic formula was composed of high level wages, mass-production, standardized products, nationwide marketing strategy, and mass-consumption. The industry had made various durable products such as cars, radios, movies, electrical iron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etc. and the consuming society had been formed in 1920s as a result.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necessity to use novel and film texts as a supplementary in cultural history class of the American 1920s. To accomplish this paper’s purpose, the novel and film texts I have explored are the works of F. Scott Fitzgerald and Baz Luhrmann, whose title is The Great Gatsby. While criticizing American materialism, Fitzgerald described that American idealism essentially had the same root as the shallow materialism of America. His novel text depicted American life style and social aspect of 1920s such as the use of automobiles, the appearance of flappers and fox-trotters, the culture of drinking and partying etc.. Similarly, Baz Luhrmann’s film text showed the phases of American society of the 1920s realistically. By adapting the original novel work in his own way, Baz Luhrmann showed the real lives of the American in the 1920s, which were represented by the actors who had the distinct individualities. As above-mention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American culture in 1920s have been found in novel and film works of The Great Gatsby. But the novel and film texts can not be used as the main text in the American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just have describ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ose days fragmentarily and also are not able to establish their credibilities as historical sources. Nevertheless, they need to be used as a supplementary text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help the students figure out the outline of the historical realities. Thus, the study aiming at finding out the teaching method using novel and film text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needs to be conducted in succession.

      • KCI등재

        사이먼 샤마와 이미지의 문화사 -다큐멘터리《파워 오브 아트》를 중심으로-

        박순준 ( Soon Joon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이 논문은 사이먼 샤마의 다큐멘터리《파워 오브 아트》와 그것을 방송하면서 나란히 발간한 동일 제목의 저서를 통해 미술이 역사적 증거로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이미지의 문화사’라는 틀에 맞추어보는 시론이다. 카라바조, 렘브란트, 베르니니, 터너, 다비드, 반 고흐, 피카소, 로스코 등 서양미술사의 여덟 거장을 불러와 그들의 삶과 작품들을 대중적으로 풀어내는 BBC 다큐멘터리의 특징과 구성을 살펴보고, 이들 거장의 작품들이 역사적 증거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샤마의 저서를 통하여 정리하면서 ‘이미지로서의 미술이 지향하는 문화사’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how to use the arts as historical evidence,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series <Simon Schama`s Power of Art>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of his same title book. <Power of Art> deals with the works and lives of eight great artists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Michaelangelo Merisi da Caravaggio(1571 1610), Gian Lorenzo Bernini (1598 1680),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1606 1669), Jacques Louis David(1748 1825), Joseph Mallord William Turner (1775 1851), Vincent Van Gogh(1853 1890), Pablo Picasso(1881 1973), Mark Rothko (1903 1970).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series and summarizing Schama`s book, I try to find the insights and impact of these artists on the societies in which they lived and worked. Their themes, according to Schama`s narrative, were not matters of aesthetics but rather of ‘salvation, freedom, mortality, transgression, the state of the world, the state of our souls’. And the findings through these tries can be involved in the category of ‘cultural history of images’.

      • KCI등재

        인천지역 다방의 정치문화사 연구를 통한 해양관광콘텐츠화 방안

        김은희,김용완,이웅규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관광을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홍보 등의 만병통치약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관광이 그 본래의 기능이나 역할을 하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이나 지역 지도자에 의해 이용되면서 파편화된 형태의 관광개발, 알맹이가 없거나 베끼기 식의 재탕 지역문화축제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특색 있는 관광콘텐츠나 관광자원으로 관광스토리텔링화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최초·최고의 관광콘텐츠를 지니고 있는 인천지역의 관광자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에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커피라는 소재를 발굴하여 인천의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고자 한다. 인천지역에 파편적으로 떠돌고 있는 인천의 커피 관련 스토리(story)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관광스토리텔링으로 잘 엮어준다면 개항장, 자장면과 차이나타운, 광신제면과 쫄면, 인천의 성냥공장 조선인촌회사, 영국 군함 플라잉스호에 의해 소개된 축구, 서구식 호텔 대불호텔, 서구식 공원 자유공원, 내리교회, 천일제염을 제조한 주안염전 등으로 정의되는 인천관광의 핵심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천지역의 커피와 관련된 다양한 목소리와 그 문화의 기록을 꾸준히 모은다면 이는 인천이라는 지역이 가진 개항장의 한계 또는 해양도시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최근 감성 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커피문화의 유입경로였던 인천항과 커피믹스의 신화를 창조한 동서식품의 설립과 관련된 인천지역의 다방의 정치문화사를 분석함으로서 인천관광의 발전 방안 또는 더 큰 흐름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논의해 볼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성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니라 커피산업과 관광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통해 커피 관련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객이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인천지역의 다양한 커피문화를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카페문화가 우리 사회의 하나의 상징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기회로 삼아 커피와 관련된 역사적·정치적·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나 공간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이 있는 인천의 다방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천의 정치문화적 추억을 지킨 다방의 문화적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관광콘텐츠화, 도심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사나 이야기 거리가 풍부한 다방의 관광콘텐츠화, 노동·사회운동단체의 매개 장소로 사용되던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서의 관광콘텐츠화, 모던다방, DJ음악다방, 믹스커피다방 재현을 통한 ‘추억과 낭만의 인천’ 관광콘텐츠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인천지역의 다방이 지닌 정치·경제적인 요인들이 인천지역의 해양관광의 매력요인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인천관광브랜드 이미지의 확립과 지속가능한 인천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ach local government is using tourism as a panacea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or promoting local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ourism storytelling with tourism contents or tourism resourc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are unique. Therefore, in view of the necessity to actively utilize the tourism resources of the Incheon region, which has the first and best tourism contents in Korea,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material of coffe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and as a marine tourism contents of Incheon. To this end, if we consistently collect various voices related to coffee in the Incheon region and records of its culture,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Incheon region's open port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marine c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tourism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coffee shops in the Incheon area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Port,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and Dongseo Foods that created the myth of coffee mix. Or, it may be tim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arger flow.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coffee-related storytelling techniqu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Urinira coffee industry, which is developing based on the emotion-oriented consumption culture, and tourism storytelling.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time to discover various coffee cultures in Incheon that tourists can experience most directly as marine tourism contents. To this end, this study takes the fact that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coffee industry and the fact that cafe culture is developing as a symbol of our society as an opportunit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many cafes in Incheon.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tourism content for the diversity of cultural values ​​of a tea room that preserv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mories of Incheon, to make a tea room tourism content rich in local history and storytelling to revitalize urban tourism, and a mediating place for labor and social movement groups It has been proposed as a tourism content as a sacred place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 modern tea room, a DJ music tea room, and a mixed coffee tea room to make'memory and romantic Incheon' tourism contents. This will be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the attractive factors of Incheon marine tourism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tea houses in the Incheon region. In the end,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tourism brand image and sustainable tourism in Incheon.

      • KCI등재

        클래식 발레작품에서 표상되는 노인 이미지 : 「코펠리아 Coppelia」의 코펠리우스(Coppelius)와 「호두까기 인형 The Nutcracker」의 드러셀마이어(Drosselmeyer)를 중심으로

        김주희 ( Kim Joohee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6 무용예술학연구 Vol.62 No.5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al history of the elderly in dance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roles and images of the aged in classical ballet works. Dancers, not actual senior citizens, play the roles of the aged in classical ballet works, because a dance performance requires various body movements. Nevertheless, what the ballet performances represent, along with impressions of the aged given by the dancers’ movements, costumes, and make-up, space was found as follows. In conclusion, Coppelius and Drosselmeyer showed movements, and roles opposite to each other. Agedness of Coppelius include images of scorn,and ridicule. Meanwhile, agedness of Drosselmeyer is represented with a respect image. This opposition suggests duplex recognition about the aged.

      • KCI등재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홍선표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discusses issues related to meta-methodological exploration in Korean art history, aiming at breaking away from the narrow modern-era framework of theoretical concepts and ideas to make this discipline correspond to the dawning ag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oncretely, the paper discusses tasks needed for drawing up a roadmap for such a new methodological explor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how we can broaden our research perspectives and expand areas of research interests and how we can diversify research and interpretation methods. The paper, however, does not propose specific new directions or methods, but is rather an attempt to pay attention to the need for the discipline of Korean art history to renew and reinvent itself in this chapter of postmodern evolution where we are headed for an ag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n the face of the sea-changes brought about by the digital revolution. I argue that the concept of art should today be extended from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to include visual culture and image culture as a whole; that culture, being a complex phenomenon like life itself,cannot be accurately or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rough the existing framework with its rigid and narrow concepts; and that cross-disciplinary research and holistic knowledge are indispensable for meaningful interpretations of cultural manifestations. Among the important task for future generations of scholars to shape a new paradigm for Korean art history are to adopt various modern approaches in their research to produce more richly diversified and interesting results and to take methodological stances by restructuring existing methods and integrating new methods. 한국미술사학이 근대적인 관념과 수법의 한정된 틀을 확장하고 개편하여 융복합시대의 지식 패러다임으로 거듭나기 위한 메타적 방법 모색과 결부하여 그 확대 발전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 필요한 과제들을, 연구시야와 영역의 확장과 연구 방법과 해석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한 것이다. 새로운 방안의 제시 보다는 근대적인 분화시대에서 탈근대적인 융복합시대로의 전환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에 따른 지각구조의 변동 등과 같은 변화된 시대적 조건에 대응하려는 문제의식을 개진하였다. 미술을 ‘예술’의 한정된 영역에서시각문화와 이미지문화로 확장해야 하며, 이들 문화는 생명처럼 워낙 복합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기존의 분과적인 체제로는 온전하게 이해할 수 없음으로 학제적인 방법과 통섭적인 지식으로 연구하지 않으면 올바르게 해석하기 힘들다는 관점에서 언술하였다. 후학들이 수행해야 할 한국미술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향한 과제는 하이브리드모던의 관점에서 한층 다양하고 풍요롭고 흥미롭고 진전된 연구와 궁극적인 앎을위한 기존 방법과 새 방법의 抱越的인 재구조화 작업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