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권성연(Kwon So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이러닝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주도학습법’ 온라인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원격대학원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을 통해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약 2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응한 학생은 총 172명 이었다. 자료수집 후,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은 양호하였으나, 이러닝 준비도에서 ‘정보공유 및 관리’, 이러닝 학습전략으로 ‘과부하통제’와 ‘비동시성 통제전략’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의 하위요인들이 이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정보처리전략, 사회적 상호작용, 다중토론전략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이러닝 학습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volved in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and outcome in e-learning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For this study, the survey of 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tudent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o a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arning readiness and e-learning strategy was generally high, however,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ing’(from e-learning readiness),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asynchronous management strategy’(from e-learning strategy)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atisfaction) and their sub factors were positive. Third, information-processing strategy, social interaction, group discussion strategy had a main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order. Fourth, e-learning strategy had a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종선 ( Jong S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 관계형성, 온라인 읽기, 동영상 학습콘텐츠,팀 프로젝트, 수업성공을 위한 요소 등의 7개 영역, 38문항으로 구성된 이러닝준비도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러닝준비도 설문을 실시하여 1,37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들의 7개 영역에 걸친 이러닝준비도 조사결과는 평균 3.91로 나타나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보통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로, 이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인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 수업성 공요소, 온라인 읽기 변인이 학업성취와 상호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소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수업성공요소가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이러닝학습을 위한 준비도 특성을 파악하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학습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수업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adult learners of cyber university.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seven areas and 38 questions such as techniques,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relationships, online reading, video learning content, team projects, and success factors for teaching were used to investigate tool. In this study,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d for 1,375 student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ults across the seven areas of cyber university student recognized an average 3.91 and the majority of learners have a more normal leve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e-learning readiness factor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have some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classroom success factors, team projects, online reading had a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that e-learning readiness factor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does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success factors was found on a smal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nature of e-learning readiness for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may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what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structors will determine the nature of their learning targe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be able to take to support classroom activities for them.

      • KCI등재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안정민(Jeong Min Ahn),이경옥(Kyung O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성과를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이러닝 준비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토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7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신입생인 1학년의 이러닝 준비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성과와 교직열정 하위요인, 이러닝 준비도 하위요인, 자기조절학습능력 하위요인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교직열정과 이러닝 준비도에서 학습성과에 이르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력보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한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열정은 학습성과에 이르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이러닝 준비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성과에 있어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sion for teaching, e-learning readines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in untact situations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if their e-learning readin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s Data collected from 421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ev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shmen s e-learning readiness and self-study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assion for teaching, e-learning readin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for teaching and e-learning readiness with learning outcom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was found. E-learning readiness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Passion for teaching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which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Under the untact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long with passion for teaching and e-learning readines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KCI등재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윤경(Yunkyo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온라인 환경에서의 수업은 학습자에게 학업에 대한 포기와 학업 성취 저하와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과 함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이러닝 준비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방법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이러닝 준비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을 사용하여 회수된 자료는 SPSS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척도의 요인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들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이러닝 준비도 특성을 조사한 결과 영역별로 응답평균이 3.417에서 3.961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5개영역에 대한 이러닝 준비도 전체 평균은 3.76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다수 학습자가 보통 수준 이상의 역량과 인식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요인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결과를 통해 둘 다 상호간 63.3%의 비중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상호간 78.9%의 정적인 상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앞으로의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해서라도 양질의 온라인 환경의 한국어 교육은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 토대를 위하여 이 연구의 결과가 의미있게 사용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earners in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Methods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five areas and 22 question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relationship, video learning contents, collaboration learning and success factor for class were used to investigate tool. In this study,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 for 6 students,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Result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ults across the five areas of Korean learner recognized an average 3.768 and the majority of learners have a more normal leve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er’s achievement had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 that E-learning readiness factor of Korean learner does the effect on on-line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learning.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n effort to develop high-qualified on-line course in Korean educa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non-face-to-face class will be establish as a new course for learners, not only offline class.

      •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분석

        이준구(Lee Jun Gu),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방송고) 재학생의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이러닝 준비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광역시 소재의 방송고 재학생 193명으로부터 수집한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관계 형성, 동영상 학습자료, 팀프로젝트, 수업성공을 위한 요소로 구성된 이러닝 준비도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방송고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은 보통 정도이며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보다 낮은 편이다.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 직장인(상근)이 직장인(교대근무)나 자영업 종사자보다 이러닝 준비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방송고 학습자가 이러닝 환경에서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에 필요한 요소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Learning readines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learners. 193 students in B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responded on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5 items, including technology, self-directed learning, relationship building in on-line, reading on-line, learning contents, team project, and factors for success of teach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one-way ANOY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Learning readines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learners was quite low. In addition, women showed higher than men and office workers(full-time) showed higher than office workers(shift work) or self-employment in the e-Learning readiness.

      • KCI등재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김세련 ( Se Ryon Kim ),문은경 ( Eun Kyung Moon ),박인우 ( Inn 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교육이 학습과 수업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러닝 환경에서도 학습자와 교수자 변인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 실재감의 관계 및 이들이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자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이가 인지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기본 경로에서 교수실재감이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자 참여를 매개하며, 교수실재감이 인지된 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방송고에 재학 중인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총 287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 전원이 여성으로 50세 이상 응답자가 약 80%를 차지하였다.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 분석 및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AMOS롤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이론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모형수정 과정을 통해 수정모형을 도출 및 적합도를 검증하여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을 통해 교수실재감이 이러닝 준비도와 수업참여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은 수업참여도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준비도가 수업참여도에 주는 직접효과보다 교수실재감을 매개로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Elearning is a common delivery medium for education within many organizations. However, while both the supply and demand for elearning opportunities has risen in recent years, many professionals are beginning to question whether elearners are prepared to be successful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Elearning courses should offer learners both the opportunities and resources that are necessary to build useful learning strategies, skills, and techniques for adapting to the online classroom. Also, elearning courses should offer learners to teaching presence which means the level of students’ meaningful perception of education about instruct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elearning readiness and teaching presence variables influencing to learning effects (learner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287 students in K cyber highschool located in Seoul area. Amos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being colle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learning readiness predicted the learner participation in a positive way and teaching presence influenced positively on learners’ elearning readiness through learner participation as a mediator. Secondly, the elearning readiness predicted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 positive way. Also teaching presence influenced positively on learners’ elearning readiness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as a mediator. Thirdly, the elearning readiness predicted the perceived achievement in a positive way. Also teaching presence influenced positively on learners’ elearning readiness through perceived achievement as a mediator.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김정원,강민석,신성욱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로부터 도출한 기초문항을 토대로 국내 모기업 성인학습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23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223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구인 타당성 검증 결과, ① 정보기술 활용성, ② 사회적 상호작용, ③ 정보 공유 및 관리, ④ 자기주도성의 4요인 모형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의 구성 요소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를 실증적으로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e-learning preparation level of adults and verify its validity. In order to conduct, a survey consisting of a number of basic questions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as conducted on 250 adult employees of one company and, in total, data on 223 adults was collected. 4 main models were derived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level of the e-learning preparation for adul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1)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2) social interaction; (3) openness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4) degree of self-lead. This research attempted to do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our level of preparation for e-learning on the basis of domestic e-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isting concepts of learning preparation composition in conjunction with digital literacy. Among other important findings,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e unacknowledged ‘utilization of information’ as a new e-learning composition element and investigated its validity and credibility.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박종선 ( Jong Sun Park ),이영민 ( Young Mi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4

        상당 기간의 학습공백에서 벗어나 원격 혹은 사이버대학 수업에 참여하게 된 성인 학습자들은 초기 학습 참여에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신규로 사이버대학 수업에 참여하게 되는 신입생과 편입생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이러닝 준비도를 조사하고 학습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이들의 학습활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신입생과 편입생 학습자들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을 진단하고 이들의 학습활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과 편입생은 사이버대학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상호작용, 학습과제 문의, 학습방법 등에 관한 일상적인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과 편입생의 학습활동 양태 및 결과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y of learners in cyber universities have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participation because they have never participated courses of cyber universities before. One of main reasons why they have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was that they might have not received systematic guidances of university system as well as learning supports, depending on their readiness of e-learning. Otherwise, they may have lack of supports frequently and finally, fail to graduate. However, few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learning readiness of freshmen and enrollees in cyber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tivities of freshmen and enrollees of A cyber university and to support them more systematically and get them to succeed in studying. In th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freshmen and enrollees in basic competencies of cyber learning as well as interaction,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K-MOOC 수업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 비교분석

        도현미,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rategies between K-MOOC graduators and non-graduators and identify the core learning strategy factors differentiating the graduators from the non-graduato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K-MOOC attendants. Out of the 181 persons who responded to this study voluntarily, 109 persons who graduated from the K-MOOC course and 65 ones who did not were sampled. For this analysis, T-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earning readin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e-Learning strateg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e-Learning strategies differentiating the graduators from the non-graduators were expression and time-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determined the MOOC graduators’ learn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non-graduators and thereby, suggested a learning guideline for e-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수업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이수자와 미이수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학습전략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K-MOOC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응답한 총 181명의 데이터 중 이수자 109명과 미이수자 65명, 총 174명의 자료가 분석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t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수자와 미이수자의 이러닝 준비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닝 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자와 미이수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이러닝 학습전략 요인은 표현전략과 시간관리 전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수자와 미이수자로 구별되는 MOOC 학습자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학습가이드를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의 국제화 마케팅 전략 연구

        김진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4

        This study aims to deduce implications for the proper oper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in various bad environments such a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 COVID 19.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eign teachers, job preparation support, and E-learning classes)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It represent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oreign teacher education, preparation for employment means network formation and E-learning mean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221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foreign teachers, job applications and e-learning classes all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problem of reducing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can be solved by attracting foreign students through foreign teachers, and job preparation support, which is superior to other universities, can reach a competitive advantage. Foreign teacher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because they have more advantages than domestic professors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culture of foreign students. Finally, E-learning class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This means that even if offline classes are possibl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r expand E-learning clas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college students in preparing for the Post-Corona era.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only partially used to measur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variable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mall cornerstone for universities to prepare for internationalization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 인원 감소와 코로나 등 여려가지 안 좋은 환경 속에서 대학교의 국제화를 통해 대학교 올바른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대학교의국제화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대학생들에게 설문 가능한 교육의 국제화에 해당하는 외국인교원, 네트워크 형성에 해당하는 취업준비 지원, 인프라 구축에해당하는 이러닝(e-Learning)수업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2개 대학교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 한 결과 외국인요원, 취업준비 지원, 이러닝수업 모두 학교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내 대학생 인원 감소 문제는취업준비 지원을 통해 타 대학교와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고 또한 외국인요원을 통해 외국인유학생을 유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외국인요원은 외국인유학생과 언어, 문화 등 여러 면에서 국내 교수 보다 우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닝수업이 대학생들의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닝수업을 꾸준히 유지하고 코로나 국면이 지난 후 오프라인 수업이 가능 할 때도 이러닝수업을 병행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대학교 국제화에 대한 변수 중 일부만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현재 대학교들의 어려운 상황을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학교 국제화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