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이기주의 연구

        최용철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This study have five arguments concerning ethical egoism. The first aims to solve problems of misunderstood egoism, empathizing that egoism has been distorted. The second discusses the reason why should be ethical egoist. There are no reasons why mankind have to be enslaved by any altruism which demands self sacrifices. I have my right to live my own life. The third asks whether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ed between ethical egoism and psychological egoism. There is no specific reasons to attribute two theories to each peculiar sphere. The fourth is a respond to critics who have questioned about cooperations of ethical egoists. The answer is that ethical egoists accept reciprocal beneficient cooperations, instead of exclusive self—interests. The five is a conclusion that ethical egoism supports rule egoism. Because of lacking a human nature of unconditional benevolence, observing rules can be achieved by getting self—interest. Concludingly, just only ethical egoism can justify my institutional life of observing rules. 이 논문은 윤리적 이기주의에 관한 연구로서, 크게 다섯 문제를 다룬다. 첫째, 이기주의에 대한 오해이다. 이 부분은 지금까지 이기주의가 크게 왜곡돼 왔음을 밝힌다. 둘째, 왜 윤리적 이기주의이어야 하는가이다. 윤리적 이기주의를 외면해 왔던 까닭은, 특정 종교에 물든 이타주의가 희생과 봉사를 요구해 왔기 때문이다. 셋째, 심리적 이기주의와 윤리적 이기주의가 구별될 수 있는가이다. 심리적 이기주의가 윤리적 이기주의의 성립에 필요조건으로서, 실제로 이 두 가지는 구별되지 않는다. 넷째, 과연 윤리적 이기주의가 협동을 배제하는가이다. 윤리적 이기주의는 배타적으로 이익을 추구하기는커녕 상호 호혜를 이끌어내는 협동의 전략을 구사한다. 다섯째, 윤리적 이기주의는 규칙 이기주의의 발판이다. 인간의 삶은 규칙을 준수하는 제도적 삶이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본성상 규칙을 지키는 성향이 없다. 따라서 규칙의 준수는 자기 이익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며, 윤리적 이기주의는 이러한 관점을 정당화한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와 윤리적 이기주의

        이영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9

        Ethical egoism is often attributed to Socrates. Given the common-sense notion of egoism, this attribution of ethical egoism to Socrates would seem perplexing to ordinary readers outside the academic circle. Even among the scholars who attribute ethical egoism to Socrates, there is a considerable controversy on what kind of ethical egoism is at issue. I go over some of the recent scholarly contributions on this subject and discuss whether Socrates is an ethical egoist and, if he is, in what sense of ethical egoism and eventually whether the ethical egoism attributed to Socrates is to be named egoism. I take sides with Vlastos in construing the relation between virtue and happness to be non-instrumental. Given this interpretation in which the content of happines is filled with virtues, Socrates’ eudaimonism does not imply egoism. Scholars who adopt the egoistic interpretation of Socrates suggest that Socrates’ egoism is benign egoism, that is, egoism in which an agent’s interest does not conflict with that of others. I raise doubt as to whether it is adequate to describe such a view as egoistic. I argue that the framework of egoism and altruisim, as opposed to the framework of eudaimonism, is not adequate to approach Socratic ethics and brings more harm than good. 소크라테스는 종종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분류되곤 한다. 하지만 이기주의에 대한 상식적인 이해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윤리적 이기주의자라는 주장은 쉽게 이해되는 주장은 아니다. 사실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이해하는 학자들 사이에도 그 때 윤리적 이기주의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이견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와 윤리적 이기주의에 대해 최근에 제기된 몇몇 연구를 일별하고 소크라테스가 윤리적 이기주의자인지 그리고 혹시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분류한다 하더라도 그 때의 윤리적 이기주의는 과연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를 다룬다. 필자는 블라스토스를 따라 덕과 행복의 관계를 비-도구적인 관계로 이해하는데 그렇게 행복의 내용을 덕이 채우게 될 경우 소크라테스가 행복주의eudaimonism, 즉 모든 인간은 행복을 자신의 모든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욕구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이 사실은 소크라테스가 이기주의를 받아들인다는 결론을 함축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를 이기주의자로 이해하는 연구자들은 소크라테스의 이기주의를 양성 이기주의benign egoism, 즉 각자의 이익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 형태의 이기주의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는데 사실 추구하는 좋음들의 본질적인 성격 때문에 각자가 추구하는 좋음들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다면 그런 사상을 굳이 이기주의로 이해하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자들이 ‘윤리적 이기주의’를 학문용어로서 약정적으로 정의하는 한에서는 소크라테스에게 적용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애초에 행복주의와는 달리 이기주의/이타주의의 틀로 소크라테스를 접근하는 것이 부적절한 만큼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와 연관시키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현대사회에서 합리적 이기주의의 필요성 연구

        김진선 ( Jin S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2 No.1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가치들이 충돌하면서 윤리 규범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많은 이들이 이타적 행동을 윤리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지만 그것은 실천 가능한 도덕규범으로서 충분하지 않다. 이타주의 규범은 행위자의 복지가 아닌 타인의 복지를 우선시 한다. 행위 주체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이러한 식은 실천에 있어서 심각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윤리는 실천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행위자의 선을 산출 할 수 있는 도덕규범이 현실적으로 보다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논자는 이타주의적 규범보다 이기주의적 규범이 더욱 적절하다고 본다. 하지만 기존에 논의 되어 왔던 심리학적 이기주의와 윤리학적 이기주의는 각각 가치와 당위의 혼동, 가치 간의 혼란과 충돌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현대에 나타나는 여러 가치의 혼재 상황 속에서 윤리적 실천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행위 규범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합리적 이기주의’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합리적 이기주의는 개인의 선, 그러한 선의 사회적 허용 가능성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가장 실천 가능한 행위 양식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인간의 본성에 가장 가까운 규범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ur society is changing fast. Accordingly, various problems and issues those which have not predicted previously are emerged. People discuss the importance of ethics to solve these. It is hard to play that role for‘altruism.’ Most people think that altruism considers welfare and well-being of others, but its core is the absence of one’s own selfishness or the other person as a standard of an action. This is the reason why altruism cannot be a criterion of a behavior or the norm. If one regards the other as a criterion, then he cannot realize what the real goal of the action is. That is, for altruism, it is not clear to know grounds of‘good actions.’So, we need the other principle capable of causing an action, not an altruistic principl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a possibility of ‘egoism’ as the new standard. But, each of psychological egoism and ethical egoism have rational weaknesses so they are not enough to be universal norms. The former only describes the present situation not what one should do. And the latter does not distinguish the important conceptions, selfishness and self-interest. Hence, I wish to assert that‘reasonable egoism’is the alternative of altruism. Reasonable egoism does not argue that satisfaction of our pleasure of selfishness is simply not just. It suggests that the real pleasure is the satisfaction of one’s own purpose and this is the natural human tendency. Ethics ‘should’ be natural to human. In this point, reasonable egoism can be a universal and strong ethical standard.

      • KCI등재

        윤리학적 이기주의 비판과 이에 대한 반론의 검토 —바이어와 칼린의 주장을 중심으로—

        문병도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0 No.3

        바이어는 윤리학적 이기주의 원리가, 특정한 경우, 모순에 처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궁극적 도덕원리가 될 수 없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타인의 이익이 곧 자신의 손해로 연결되는 상황에서, 이기주의에서는 상대방의 이익을 저지하는 것이 도덕적 의무가 된다. 그러나 도덕적 관점에서는 타인의 의무를 막는 것이 옳지 않기에, 이기주의는 상대방의 의무를 막는 것이 옳으면서 동시에 옳지 않다고 말하는 모순에 처한다는 것이다. 칼린 등은 바이어의 이러한 이기주의 비판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서 전쟁터에서 죽음의 전투를 벌이는 두 병사의 예 등을 들고 있다. 타인의 도덕적 의무를 막아서는 안 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막을 수 있는 것이기에, 바이어의 비판은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이론윤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바이어의 논증은 타당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바이어의 이기주의 비판의 핵심은 칸트의 정언명법 내지는 현대 메타윤리학에서 말하는 보편화가능성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칼린 등이 제시하는 반례들은 흔히 접할 수 있는 갈등사태들 이긴 하지만, 상대방의 ‘실제적 의무’의 수행을 행위자가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케이스들은 아니다. 이는 다만 특정 상황에서 ‘실제적 의무’의 기능을 상실한 ‘조건부 의무’를 제지하는 케이스들로서, 보편화가능성 원리에 기초한 바이어 논증의 전제 4의 반례가 될 수 없다. 칼린의 반론은 이론윤리학과 실천윤리학의 범주를 구분하지 않고, 특정 상황에서 제지 가능한 ‘조건부의무’와 제지할 수 없는 ‘실제적 의무’의 차이를 간과함으로서 생기는 오류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론윤리학적 측면에서, 우리는 윤리학적 이기주의를 거부할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Baier argues that ethical egoism cannot be the supreme principle of morality by showing that it contradicts in a special situation. Ethical egoism justifies one to prevent the other from maximizing the self-interest, in case that they seek the same goal but cannot both achieve the goal. But, in the moral point of view, it is not morally right for anyone to prevent one from doing what one ought to do. So, according to Baier, ethical egoism has inconsistent result that thwarting other's effort to maximize self-interest is both morally right and not right. However, Kalin criticizes Baier's argument on the ground that one can thwart other's moral obligation sometimes, contrary to Baier's key premise. I defends Baier's argument on the ground that Baier's key premise is based on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and what is called the universalizability thesis in the modern meta ethics. Kalin's counter examples are not cases that the agent denies the other's doing ‘the actual duty’. These are cases that the agent reject ‘the prima-facie duties’ which lost the status of ‘the actual duties’ in those special situations. As a result, in the sphere of theoretical ethics, we have a good reason to reject ethical egoism.

      • KCI등재후보

        현대적 효 개념에서 이기적인 효행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성원 한국효학회 2013 효학연구 Vol.0 No.17

        본 논문은 그동안 효의 연구 분야에서 소외되었다고 판단되는 ‘이기성(利己性)’을 중심 으로 ‘이기적인 효행’의 특성과 장단점을 논변하는데 목적을 두고 학술 한다. 연구는 우선 이기적인 효행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효의 개념을 먼저 살펴본 후 이에 대응하여 효의 이기적 속성의 논의를 끄집어내고자 한다. 그간 전통적 효 개념은 이 타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효 개념이었지만, 현대의 효 개념은 이타성의 저변을 넘는 새로 운 패러다임의 효가 논의되고 있다. 흔히 ‘이기적’이라는 것은 일반인들에게 부정적으로 느 껴지나 실제로는 인간의 본유적 특성으로서 그 자체로는 악하지 않은 자연스러움이다. 따 라서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이기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오해를 풀고 이기적인 효행을 재 발견 하는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기주의 효행의 특성에 근거하여 논지를 서술한다. 첫째, 효란 강압적 의무에서 보다는 자발적인 마음에서 오는 행위가 더 가치를 인정받음으로 이기적 인 효행은 동기유발의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일반인들에게서 효는 효 행자가 불쾌한 마음으로 하는 것은 인정받지 어려우며, 효행자가 효도의 기쁨을 느낄 수 있어야 참된 효행으로 여겨짐으로 자신의 기쁨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효행은 올바른 효행 의 근거로서 적절하다. 셋째, 이기적인 효행은 이타적인 효행에서 오는 의무-강요, 타인의 휘둘림, 개인독립자아의 상실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그 내용이 해결적이다. 넷 째, 이기주의는 인간의 본성을 따르는 행위임으로 효행을 하는데 있어서 자연스럽게 만들 어줄 뿐만 아니라 효행을 지속적이고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물론 이기적인 효행은 이기주의가 가지는 자기중심주의의 파괴적인 힘 때문에 문제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타적인 효행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효의 동기유발과 효 행의 지속성에서 도움이 되는 만큼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들은 계속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ill talk to ‘selfish filial piety’(Pros and Cons)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describes as follows, First, ‘selfish filial piety’ to describe refers to ‘concept of filial piety'. Second, the ‘traditional filial piety’ concepts and ‘modern filial piety’ concepts describe. According to this study, ‘traditional filial piety’ concept is primarily altruistic but ‘modern filial piety’ concept is primarily varies. We think that Often selfishness is negative, but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is selfishness. Therefore this think is not Rationally interpretation. So us to solve misunderstanding of modern people is worth. This paper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selfish filial piety’ is significant act as an incentive. Second, a 'real(human nature) filial piety’ should be a pleasure so ‘selfish filial piety’ come to based. Third, ‘selfish filial piety’ is expected to solve a number of current issues of filial piety problem. Fourth, ‘selfish filial piety’ makes we steadily of HYO(=filial piety act). However, there is still the problem. Likely we continue to look for solutions to mediate the 'selfish problem'. But now we will see ‘selfish filial piety’ good and This study needs to be continued.

      • KCI등재

        데카르트는 윤리적 이기주의자인가?

        이재환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19 No.-

        There has been an interpretation that regards Cartesian ethics as ‘ethical egoism’ or ‘egoistic indivi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reason Descartes emphasizes virtue in his philosophy is because virtue helps us with promoting our individual perfection, and thus Descartes’ ethics should be construed as ethical egoism or egoistic individualism. The overarching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cartesian ethics should be interpreted as altruism or communitarianism. Furthermore, in light of this interpretation, we will be in a position to pave the way for construing cartesian ethics as virtue ethics. 데카르트 윤리학을 ‘윤리적 이기주의’로 해석하는 입장이 있다. 바로 데카르트가 자신의 철학에서 덕(virtue)을 강조하는 이유는 덕이 우리에게 완전성(perfection)을 주기 때문이고, 따라서 데카르트의 윤리학은 개인의 완전성만을 최우선으로 삼는 ‘윤리적 이기주의(Ethical Egoism)’ 혹은 ‘이기주의적 개인주의(Egoistical Individualism)’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데카르트 윤리학은 윤리적 이기주의가 아니라 이타주의 혹은 공동체주의를 향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데카르트가 엘리자베스에게 1645년 9월 15일에 보낸 편지이다. 이 논문에서는 데카르트 윤리학을 ‘윤리적 이기주의’로 해석할 수만은 없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데카르트는 오히려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으로 여기는 공동체주의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데카르트 윤리학을 덕윤리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 KCI등재

        칸트의 정신병리론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모색

        권오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4

        This thesis is written for the analysis of the concept ‘prejudice’ in Kant’s Vorlesung über Logik, and how it have an effect to the mental disorder. Kant uses the term ‘prejudice’ to describe the set of way in which otherwise healthy understanding err. Prejudices are faulty principles connecting cognitions, and it’s action arouses various error of cognitions, and distorts actual action of understanding in the meaning of psychology. Kant gives an account of the origin of prejudices, then it's important concepts are imitation, habit, tendency. And there are various forms of prejudice, that is the prejudices of excessive trust and mistrust, and the prestige of multitude, and the prestige of ancients, etc. Especially, in the forms of prejudice, logical egoism can be the cause of mental disorder. Kant makes a division the human mental disorder, mental deficiency and mental illness. Above all, mental illness fall into four categories, that is to say, insanity, amentia, craziness, dementia. Kant also describes mental illness for each higher cognitive faculty, there are insanity, amentia, craziness. And Kant assign the lower faculty for dementia and melancholia/hypochondria. 본 논문은 칸트의 『논리학』에 나타난 편견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것이 정신장애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또한 그것이 정신장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 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 칸트가 논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편견의 개념과 그 원인, 형태들에 대해 설명하고, 그 형태들 중에서도 논리적 이기주의가 무엇이며, 그것이 정신장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칸트의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에 나타나는 정신장애의 종류들에 대해 고찰해 보고, 그것이 편견 특히 논리적 이기주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해 보고자 한다. 칸트는 편견의 개념을 건강한 지성이 오류를 일으키는 방식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편견은 인식의 잘못된 원리들로서 그 작용은 여러 가지 인식의 오류들을 일으키며, 심리학적으로는 지성의 실제적 작용을 왜곡시킨다. 칸트는 그러한 편견이 모방, 습관, 그리고 경향성이라는 세 가지 원천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한 원천에서 발생하는 편견에는 과도한 신뢰와 불신을 일으키는 편견, 군중의 위세에 의한 편견, 위신에 의한 편견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논리적 이기주의는 중요한 정신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논리적 이기주의란 나의 개인적인 지성에만 일치하고, 다른 사람들의 보편적 지성의 법칙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서 그러한 인식은 올바른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칸트는 그의 인간학에서 인간의 정신장애를 정신지체와 정신착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정신착란은 다시 정신박약, 정신이상, 치매, 광기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다시 높은 인지기능에 의한 질병과 낮은 인지기능에 의한 질병으로 구분하여, 전자에는 정신박약, 정신이상, 광기를, 낮은 인지기능에는 치매와 우울증을 배정하고 있다. 정신이상은 착란된 판단력에서, 정신박약은 지성능력의 곡해에서, 광기는 착란된 이성에서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본다. 또한 치매는 객관적인 상상력의 표상을 외감으로부터 온 지각으로 보는데서 발생한다. 그리고 우울증이나 심기증의 정신장애는 지체나 착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력의 장애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칸트는 우울증은 정신착란의 다른 쪽 경계면에 있다고 지적하고 그것은 아직 정신착란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러한 정신장애에 대한 설명과 논리적 이기주의에 대한 논의에서 칸트가 강조하는 것은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들의 것에 의해서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방해받는다는 사실이다. 정신착란의 원인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의 시금석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데 있다. 논리적 이기주의는 칸트의 제 1비판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볼 때 주관적 타당성만을 지닌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아직 보편 필연적인 객관적 타당성을 갖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보다 객관 타당한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철학상담의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그것은 왜곡된 인지구조가 정신병리를 유발한다고 보고 그것을 수정하여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지치료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철학상담은 사고의 편향성과 경직성을 제거함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고통을 완화시키고 현실의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공감은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

        소병일(Byoung il So)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4

        쇼펜하우어는 공감을 윤리학의 중심에 놓는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명이다. 그는 ‘이기주의(Egoismus)’를 변화할 수 없는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고 ‘고통에 대한 공감(Mitleid)’을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윤리의 기초로 삼는다. 왜 쇼펜하우어는 공감에서 윤리학의 가능성을 찾았을까? 기간 쇼펜하우어의 윤리학에 대한 연구들은 그의 철학 체계 내에서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공감 개념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적다. 본 논문은 쇼펜하우어의 공감 규정에 주목할 것이고, 이를 통해 그가 공감을 윤리학의 기초로 삼을 수 있는 근거와 여기서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난제를 검토할 것이다. 공감과 이기주의의 관계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입장은 명확하고 일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모호하고 난해한 주장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쇼펜하우어의 태도는 단순히 철저하지 못한 논의구도 때문이라기보다는 공감윤리학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 상황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 상황은 역설적으로 현대의 공감윤리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암시한다. Arthur Schopenhauer is a philosopher who centered on compassion in the ethics. He thought that ‘egoism(Egoismus)’ is a human nature. And he situates the ‘empathy for pain(Mitleid)’ as the basis of ethics to overcome egoism. Why did Schopenhauer find the possibility of ethics in compassion? The Studies on the ethics of Schopenhauer has focused on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physics and ethics within his philosophical system, in-depth studies on the concept of compassion has been les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efinition of compassion in Schopenhauer’s philosophy, through which it will be reviewed his grounds to make compassion as the basis of ethics and the conundrum contained in his grounds. Schopenhauer’s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egoism seems clear and consistent, but includes vague and obscure claims. This ambiguous discussion structures of Schopenhauer seems to emerge not because of failure to thoroughly discuss the compassion but because of the internal limit for empathy ethics itself. And this limit paradoxically implies a direction that empathy ethics should go forth today.

      • KCI등재

        활동적인 노인의 일상적 활동 참여가 시민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이주일,김태웅,김필현,이한송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2

        Since the early 2000s,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low fertility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a result, Korea has now entered the aging society. Because of this demographic change, proportion of active elderly have increased, and many academics, such as sociology, economics, and psychology,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active elderly. This study focused on active elderl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of old age and the positive effect of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y on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ctive elderl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citizen participation actively in society as a citizen, and in the process, mediates the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This study performe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700 elderly people who are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small communities. As a resul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was also show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and interested parties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e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elderly citizens in consideration of their small community activities,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small community egoism.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국내 고령인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연령과 상관없이 노년기의 활동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활동이론에 기반을 둔 활동적 노년에 관심을 갖고 활동적인 노인의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활동적 노인의 일상적 활동과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지역사회 문제해결이나 선거 참여 등 사회적 시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공동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활동 참여,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시민참여를 측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적 활동 참여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사회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점증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활발한 시민참여가 사회에 미칠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가 및 이해관계자들이 노인의 일상적인 활동 참여와 소공동체 응집성 및 소공동체 이기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시민참여 정책이나 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적절한 이타주의와 현명한 이기주의

        최제윤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5 No.-

        이타주의와 이기주의는 윤리학에서 인간의 행동을 구분하는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구분의 기준은 행동의 동기가 자기이익을 위한 것인가, 혹은 타인의 이익을 위한 것인가와 관계되어 있다. 칸트와 같은 의무론자들은 행동의 결과보다는 자기이익이 완전히 배제된 순수한 동기를 도덕적인 행위의 조건으로 중시하였으며, 공리주의자들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오는 결과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논자는 자기이익이라는 동기의 유무로써 도덕적인 행동을 구분하는 이타주의와 이기주의의 양분법을 넘어서서 자기이익이 지닐 수 있는 도덕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즉 논자의 관심은 타인의 이익만을 중시하는 이타적인 행동과 자기이익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기적이라고 구분되는 행동들의 중간에 위치한 도덕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자기이익적이면서 도덕적일 수 있음을 찾아내는 작업은 자기이익이 도덕성을 지닐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는 작업이기도 하다. 자신을 개발하고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행위자들은 타인을 위하고 자신의 이익을 배제하는 행위가 순수하게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행위란 것은 알고 있지만, 모든 행동에서 자기이익을 완전히 배제하기란 것은 어려운 일이며 불가능한 일이다. 나 자신을 완전히 배제하는 무조건적인 희생을 도덕적이라고 하여 권장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자기이익을 중시하는 행위자들이 자신에게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은 ‘나는 나 자신의 이익을 배제하면서 타인의 이익만을 추구해야만 하는 것인가’의 문제이다. 논자 역시 도덕을 강조하여 자기이익을 도덕적으로 나쁜 것만으로 취급하여 도덕의 영역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행위자들의 본성을 무시하는 것이므로 도덕의 영역에서 자기이익이라는 것이 완전히 배제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본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자신의 완전한 희생을 담보로 하는 이타주의의 무의미성을 드러내고 자기이익의 적절한 추구는 도덕적임을 보였다. Altruism and Egoism are two standards of judging the human behavior in moral philosophy. It relates with the motivation of behavior which means the motivation of behavior is for self-interest or for other's interest. If the motivation serves for self interest, it is an egoistic behavior. In another hands, if the motivation serves other's interest, it will be a moral behavior. But a human in a real world cannot ignore his self-interest. Without self-interest his life will be meaningless. So this thesis notices that the sharing part of self-interest and morality. This kind of work will admit that self-interest can include morality in a certain part. Every human being conceives that pure altruistic behavior is good and moral. But doing only altruistic behavior with ignoring self-interest totally is impossible. So an agent can asks to himself, "Do I have to act for only other's interest?" So this thesis focused the egoistic agent's moral behavior. Altruism and Egoism can go together in an agent's moral life, An endless Altruism and selfless behavior are meaningless in some parts of an agent's good and meaningful life. Human beings have to act in egoistic and altruistic way together. Egoism and Altruism have to cooperate in person'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