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키지디자인에 표현의 의외(意外)성이 소비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박규원,이서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6 No.2

        날로 늘어나는 제품들 속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매장상황에서 포장디자인은 다른 제품과는 다른 차별화가 필요하다. 제품구매 과정에서 우선 진열대 앞에서의 소비자의 시선을 자극하고 선택받기 위해서다. 독자적인 디자인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설득 요소뿐 아니라 포장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들이 브랜드와 어우러져 소비자의 기억 속에 인식될 수 있는 역할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감각은 시각적 자극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포장디자인에서 연출되는 색채나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등 조형 요소들이 특색 있게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일반적인 패키지디자인보다 의외성을 적용시킨 패키지디자인에 강한 흥미를 보이고 장기적인 기억으로 남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의외성과 그 요소의 이해를 바탕으로 패키지디자인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구체적인 분석에 있어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의외성이 적용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소비자 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키지디자인에 색상과 형태에 의외성 표현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을 경우 소비자가 제품을 인지하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색상이나 형태적 특성 두 가지 디자인요소 가운데 한 가지 표현만 의외성이 높아도 강한 주목성을 보였다. 둘째, 소비자의 시선이 한 제품에 머무는 시간은 굉장히 짧다. 패키지디자인의 의외성 표현은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타 제품들과 차별적 요소로서 장기기억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 콘셉트에 적절한 의외성 표현은 제품 속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이는 의외성의 콘셉트 내용들 중 한 가지만 강하게 표현되어도 제품의 속성을 확실하게 표현하는 특성이 보였다. 의외적인 표현은 소비자들로부터 호기심과 자극을 주기쉽다. 특히 시각적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는 디자인표현은 주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패키지디자인에 있어서 의외성 표현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패키지디자인에 표현되는 의외성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ackage design needs to be differentiated if they are to be selected among ever-increasing number of products in shops. That i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onsumers to products displayed in shop in the process of purchase. Distinctive design helps drive the image of product deep into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s as visual factors of package design are incorporated well into the brand as well as factors that convince them to buy. Visual stimulation is highly effective in grabbing the attention of consumers, and therefore, formative artistic factors which are presented by package design, such as color, logo, illustration, etc, need to be expressed in a unique way. Therefore, consumers are considered to have a strong interest in package design that incorporates extraordinariness unlike ordinary package design, which may be stored on their memory over the long term. Besid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ordinariness and package desig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volved factors. This study considered the effect that the package design which incorporates extraordinariness has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for more detailed analysis. The findings of consumer surve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shape and extraordinariness of package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if they were made to stand out. The attention-grabbing effect was very high if either color or mor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wo factors of design, had a high extraordinariness. Second, consumer attention stay on product for a very short time. The extraordinariness of package design stimulates the attention of consumers, a differentiated factor compared to other products, which is more likely to be stored on their memories. Third, the extraordinariness that suits the concept of product helped convey properties of product more eff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trong re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istics relative to the concepts of extraordinariness is enough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product clearly. Extraordinary expression is more likely to stimulat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consumers. Specifically, the design that stimulates visual interest and fun is highly likely to grab the attention. Therefore, a conclusion may be drawn that the expression of extraordinariness may work as an effective tool for communication in package design. Researches and studies have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o ensure an increased effect of extraordinariness of package design.

      • KCI등재

        「意外性」を表す取り立て詞一考察

        李埈瑞 동아시아일본학회 2009 일본문화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일본어의 토리다테조사(取り立て詞) 중 기존 “의외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온 「さえ」 「も」 「まで」에 「でも」와 「だって」를 추가해 이들 조사간의 관계성을 규명하려고 한 것이다. 이들에 대한 개별연구는 활발했지만 5개의 조사를 일괄해서 연구하는 데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사이의 연속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어용론적 이론(theory of pragmatics)을 적극 적용하였다. “의외성”의 본질적인 의미가 어용론적 함의(implicature)라는 점을 감안하면 각각의 토리다테조사에서 나오는 “의외성”의 의미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문맥(context)과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주로 개별 토리다테조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토리다테조사의 “의외성”의 생기(生起) 원인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も」 「まで」 「さえ」 「でも」 「だって」의 문맥의존도와 “의외성”의 정도 〈그림삽입〉 극단의 상정요소를 제시하는「さえ」는 문맥의존도(context-reliance)가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의외성의 정도가 다른 토리다테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고, 전적으로 문맥에 의존하는 「も」의 의외성은 완전히 취소가능(cancellability)할 정도로 약하다(「まで」의 의외성은 취소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한 문형의 도움으로 의외성이 발생하는 「でも」, 「だって」(양자 중 보다 극단의 요소를 제시하는 「だって」의 의외성이 「でも」보다 우위에 있다)의 의외성은 어의 자체의 강한 극단제시에서 만들어지는 「さえ」와 전적으로 문맥에 의존하는 「も」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패키지디자인에 나타나는 의외(意外)성 표현이 시각적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이서현,박규원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According to the cultural and social changes, in the contemporary market environment, new visual expressions using unprecedented colors and forms are emerging. Their purpose is to effectively convey and imprint product information in the consumers' mind. As companies are competitively producing countless products and product information, and as their technology advancements are similar, it is now difficult to attract consumers just by product functions and quality. Besides, due to similar product designs, consumers can hardly distinguish products. In this context, not only being selected but also being remembered is by no means easy for a produ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package designs that have outstanding originality and unusualness, examine the effects of such designs on consumer behaviors, and find out their usability and values. On the hypothesis that a package design that gives strong visual stimulation by adopting an unusual expression arouses consumer interes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of unusual expressions in design. To understand unusual expressions, case studies were reviewed to examine factors of unusualnes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unusualness, consumers' visual perception was needed to be understood beforehand. On this basis, through the case analysis, how unusual expression factors were used in domestic and overseas package designs was examined. In the concrete analysi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drinking water package designs, the relationship between package design and unusual expression was examin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op five ranking drinking water products and two new products, a total of seven, were selecte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lor and shape,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Through this survey, whether unusual expressions in package designs have an effect on consumers' visual perception was examined. The empirical analysis findings indicated that an unusual expression in a package design differentiates the product and makes it stand out to consumers at the point of purchase, leaving its impression in consumers' long term memory due to its interesting visual stimulation.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when an unusual expression is positively used, it goes beyond giving a mere visual stimulation, differentiates the product, gives a positive product image, and meets the consumers' needs. At present, there are not sufficient studies of unusual expressions appearing in package desig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unusualness,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consumer perception is required and companies need to conduct surveys and research extensively. 문화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현대 시장환경에서 이전에 보지 못했던 색상, 형태 등을 이용한 새로운 시각적 표현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기업들마다 시장에 출시시키는 많은 제품들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각인시키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제품들과 그에 따른 수많은 정보들이 경쟁적으로 쏟아져 나오고, 평준화된 기술로 인해 기능과 품질만으로는 소비자의 흥미를 얻기 어렵게 되었다. 유사한 디자인으로 인해 제품을 구별하는 것조차 힘들게 되어버렸고 그 사이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것은 물론 제품을 기억하는 것조차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는 독자성이 강하고 의외성이 높은 패키지디자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디자인이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그 활용성과 가치를 파악하는데 있다. 의외성 표현을 활용하여 강한 시각적 자극을 주는 패키지디자인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으로 기억에 남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이에 의외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디자인에서 의외성 표현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외성 표현에 이해를 위해 광고를 사례로 그 요소를 살펴보았다. 패키지디자인의 의외성 표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소비자의 시각적 인지반응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의외성 표현 요소가 국내⋅외의 패키지디자인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 분석에 있어서는 생수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패키지디자인과 의외성 표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실증적 분석에서는 생수 국내 판매순위 1위에서 5위, 5개와 신제품 2개, 총 7개를 선정하고 색채와 형태를 분리하여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통해 패키지디자인의 의외성 표현에 대해 소비자의 시각적 인지반응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통해 패키지디자인의 의외성 표현이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주목성을 높이고 제품을 차별화 할 수 있는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써 흥미로운 시각적 자극으로 인해 장기기억으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곧 의외성 표현이 긍정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단순한 시각적 자극을 주는 것을 넘어서 제품을 차별화하고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함께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패키지디자인에 나타나는 의외성 표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의외성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기 위해서 소비자의 인지반응에 대해 보다 많은 이해가 필요하며 기업의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KCI등재

        낯설게 하기기법을 활용한 브랜드디자인의 의외성 표현 연구

        김병옥(Byeong O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마케팅 현장에서는 브랜드의 양적 팽창에 따른 제한된 소비자의 주의 용량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그것은 소비자들이 선택적 지각에 따라 대부분의 브랜드 정보들을 무시해 버리거나 차단해 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케팅 상황에서 브랜드에 대한 주목과 기억효과의 측면에서의 ‘의외적 표현’은 매우 효과적이고 설득적인 방법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브랜드 차별화 요소로서 독창적이며 신선한 표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브랜드디자인 표현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통해 의외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의외적 표현을 도출하는 ‘낯설게 하기’의 방법론으로는 두 가지의 접근 방법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 첫째가 사물의 내면에 깔려 있는 다양한 의미를 찾아내어, 습관화를 지향하는 디자인에 자극을 주는 ‘의미 지향적’인 낯설게 하기와 새로운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라는 특질화된 대상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질서를 찾아내어 기존의 디자인 방식의 친숙함을 새롭게 관계 맺는 ‘의미 부재적’인 낯설게 하기이다. 또한 이러한 ‘낯설게 하기’를 통한 의외성 형태의 생성 매커니즘을 통해 디자이너들이 형태를 발전시킴을 청각적 의외성과 시각적 의외성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청각적 의외성 사례로는 현재의 시장 경쟁상황이 첨예한 통신관련 업종의 브랜드 네임을 제시하였고, 시각적 의외성의 사례로는 브랜드 차별화의 현장성이 강한 패키지디자인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의외적 표현의 매커니즘은 전형적 표현과 비교하여 볼 때 훨씬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와 의미를 발견하고 브랜드 마케팅 측면에서 브랜드 인지, 주목성, 기억성을 제고하고 브랜드 차별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제 브랜드 차별화를 위해서는 경쟁 브랜드와는 다른 방식으로 고유의 개성을 살리는 의외적 표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소비자는 자신의 독특한 내면적 가치, 즉 사회적으로 자신이 드러내고자 하는 가치와 개성에 부합하는 대상에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반응하기 때문이다.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brands, the field of marketing is overheated with competition for attracting consumers` limited attention. It is because most of brand information is ignored or blocked by consumers` selective perception. In such a marketing situation, ‘unexpected expression’ is a very effective and persuasive method for making consumers pay attention to and memorize a brand, and can be a new original expression that differentiates the brand through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unexpected expression method through ‘defamiliarization’ as a new approach to brand design expression. We suggest two approaches as the methodologies of ‘defamiliarization’ that derives unexpected expressions. One is ‘meaning?oriented’ defamiliarization that finds various meanings underlying the inside of things and stimulates designs pursuing habituation, and the other is ‘meaningless’ defamiliarization that finds various orders using characterized objects, which are substances created by new relations, and establishes a new relation with the familiarity of conventional ways of design. In addition, we found cases of auditory and visual unexpectedness showing that designers develop forms by the mechanism of generating unexpected forms through ‘defamiliarization.’ Brand names of communication?related businesses in the situation of sharp market competition were suggested as cases of auditory unexpectedness, and package designs with strong field contextuality as cases of visual unexpected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chanism of unexpected expression had a possibility of finding much more diverse fresh forms and meanings compared to conventional expressions, enhancing brand recognition, attention and memory, and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to brand differentiation. For brand differentiation, accordingly, we need unexpected expression that exposes the unique originality of a brand in a way different from competing brands. It is because consumers assume a positive attitude toward and respond to objects that agree with their unique internal value namely, the value and individuality that they intend to reveal socially.

      • KCI등재후보

        현대패션에 나타난 위트에 관한 연구 ╶ 제레미 스캇(Jeremy Scott)과 모스키노(Moschino) 컬렉션을 중심으로╶

        이정화(Jeong Hwa Lee),전재훈(Jae Hoon Chun)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제레미 스캇(Jeremy Scott)과 모스키노(Moschino)의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분석을 통해 그 안에담긴 ‘위트(Wit)’ 및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트라는 개념의 정립을 위해 관련 전문서적과 선행연구를통한 문헌연구를 시행하였다. 제레미 스캇과 모스키노의사례연구는 컬렉션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범위는제레미 스캇의 경우 최근5년 간 (2013F/W~2017F/W)의컬렉션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스키노의 경우 제레미 스캇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 된 후인 2014년 F/W컬렉션부터 가장 최근인 2017F/W 컬렉션까지를 대상으로하였다. 연구 결과 제레미 스캇과 모스키노의 컬렉션에나타난 표현특성 중에는 의외성이 두드러졌는데, 이를 다시 오브제 사용의 의외성, 소재조합의 의외성, 형태 변형의 의외성, 텍스트에 의한 의외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제레미 스캇과 모스키노의 디자인은 의외성을 통해 디자인 수용자들에게 놀라움을 야기하거나 신선한 충격과 재미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wit’ and analyze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Jeremy Scott’s and Moschino’s fashion design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wit,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related books and prior research. The case study of Jeremy Scott and Moschino has done through analysis of their collections.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Jeremy Scott’s collections for the last five years(2013F/W~2017F/W) and Moschino’s from the 2014F/W collection to 2017F/W.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wit in the designs of Jeremy Scott’s and Moschino’s was the unexpectedness; the unexpectedness of object use, the unexpectedness of material combination, the unexpectedness of form deformation, and the unexpectedness by text. Especially, Jeremy Scott’s and Moschino’s designs gave surprise or fresh shock and fun to people through the unexpectedness of their wit.

      • KCI등재

        OTT 플랫폼 추천 에이전트 특성이 지각된 진단성, 의외성, 이용 만족을 통해 구독 유지 의도 및 타 대안 무관심에 미치는 영향

        윤재현(JaeHyun Yoon),김한구(HanKu K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2

        최근 미디어 환경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성능의 발달로 다양한 미디어들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환경에서 물리적 제약 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즐기려는 시청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OTT 서비스 플랫폼들의 성장세가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서비스 구독을 유지하려는 의도 및 타 대안 무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OTT 서비스에 대한 구독자들의 태도 및 행동에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OTT 서비스 내 추천 에이전트 특성(일치 점수 정확성, 추천 콘텐츠 다양성, 썸네일 이미지 매력)을 선행 변수로 하여 지각된 진단성, 지각된 의외성, 이용 만족, 구독 유지 의도 및 타 대안 무관심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추천 콘텐츠 다양성과 썸네일 이미지 매력은 지각된 진단성 및 지각된 의외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일치 점수 정확성의 경우 지각된 진단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의외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진단성 및 지각된 의외성은 이용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용 만족은 구독 유지 의도 및 타 대안 무관심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OTT 플랫폼 서비스의 특성뿐 아니라 검색 경험 및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도 함께 고려하여 OTT 서비스에 대한 구독자들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에 효과적인 플랫폼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media environment and the increase in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various media have emerged, and the market for the over-the-top(OTT) services has particularly expanded rapidly, as the demand of viewers who want to watch video contents without physical confinements is satisfied in the online environment. In this context, our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a OTT service subscription and indifference to alternatives, and expand the study on subscribers'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oward OTT servi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diagnosticity, perceived serendipity, use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a subscription and indifference to alternatives with recommendation agent characteristics(match score accuracy, recommended content variety, thumbnail image appeal) as leading variable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commended content variety and thumbnail image appeal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diagnosticity and perceived serendipity. However, in the case of match score accuracy,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diagnosticity, but i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serendipity. Second, perceived diagnosticity and perceived serendipity have positive(+) effects on use satisfaction. Finally, us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a subscription and indifference to alternat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bscrib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OTT services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OTT platform services but also search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erms of consumer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establishing effective platform management strategies for companies providing OTT services.

      • KCI등재

        지리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재 개발의 전략

        양병일(Yang Byung-i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재 개발의 기본적인 전략을 구체적인 사례를 이용해 제시하는 것이다. 교재의 다양한 요소 중 지리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는 의외성을 들 수 있다. 교재의 의외성이 발현되는 경우는 학습자가 ‘제시 되는 자료를 일반적인 추론 능력과 지리스크립트를 바탕으로 해석한 결과가 자료가 제시하는 결과와 다른 경우’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 지리적 사상에 더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지리교육에서 의외성을 발현시키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지역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사회과 교과서가 가지는 오류 및 한계점을 이용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trateg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facilitating geographical thinking. ‘Unexpecte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eaching materials of facilitating geographical thinking. The occasions for ‘unexpected’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for the occasion when students notice that their answers, made by their ordinary reasoning, are not appropriate to teaching materials that seem very easy. The second type is for the occasion when students recognize that there could be more meanings about geographical objects that they think they have well known.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releasing ‘unexpected’ are categorized into the two. The first strategy is to focus on ‘region-specific’. And the second strategy is to focus on errors of social studies’ text book.

      • KCI등재

        만주어 첨사 nikai와 의외성의 관계

        도정업 한국알타이학회 2019 알타이학보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Manchu particle nikai shows mirativity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nikai and defining the meaning of nikai. In previous studies, nikai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word. The studies that recognized nikai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word were Uehara (1960) and Seong (1971). In Uehara (1960) and Seong (1971), the function of nikai was described as emphatic confirm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function of emphatic affirmation is related to mirativity which is the core of the concept of realization. From a distributional point of view, nikai is used only in a statement, whereas ni can be used both in a question and a statement. Semantically, nikai could indicate something someone did not expect. This feature is related to the nature of mirativ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chu particle nikai can perform the function of mirativity. 본 연구는 만주어 첨사(particle) nikai의 분포를 ni와 대조하여 검토하고 ni와 kai의 의미를 논의하여 nikai가 의외성을 표현하는 단어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nikai는 독립된 문법적 단어로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nikai를 독립된 문법적 단어로 본 연구는 上原 久(1960)와 성백인(1971)이다. 이 연구들에서는 nikai의 기능을 ‘강조적 확언’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강조적 확언’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이 ‘깨달음’이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하는 의외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滿文老檔』, 『金甁梅』, 『三國志』, 『滿漢西廂記』 등 네 문헌에 나타난 nikai의 분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nikai를 구성하는 ni와 kai의 의미 분석을 시도하여 nikai가 기대하지 않았던 어떤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nikai는 최근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의외성과 관련한 의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각의 주의과정에서 부조화에 관한 연구 -시각적 부조화, 시각적 의외성, 시각 기대불일치의 광고사례를 중심으로-

        남고은(주저자) ( Ko Eun Nam ),김현석(공동저자) ( Hyun Suk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8 No.-

        정보처리과정에서 시각적인 부조화, 의외적 표현, 그리고 기대했던 예상과 다른 불일치 정보는 인간의주의를 더 집중시키며 대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를 위한 인지적 노력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인간의 시각정보처리과정에서 일어나는 부조화의 표현요소들임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부조화, 시각적 의외성 그리고 시각요소의 기대불일치가 스키마 불일치를 유발하는 개념이라 판단하여 각 개념의 이론적고찰을 토대로 인쇄광고 사례를 분석하고 각 개념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를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는 첫 번째, 시각적부조화에서 색채.형태.공간의 부조화는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머릿속에 내제되어 있는 규범적 표상이 확실할수록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반면, 운동성은 규범적 표상보다는 단일 또는 다중시점에서 보는 대상의 움직임 포착이나 옵아트와 같이 착시를 일으키는 구조를 활용하여 규범적 표상과의 관계는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시각적 의외성은 데페이즈망 기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긍정적 효과의 기법은 규범적 표상의 범주에서 벗어난 시각적 충격이라기보다는 유머러스하고 위트있는 긍정적 감성의 전위를 통해 시각적 의외성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시각요소의 기대불일치에서 관련성은 관련성이 높으면 쉽게 브랜드 이미지와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적절히 관련성이 낮을 때 이미지에 대한 주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대성이 낮은 경우는 브랜드 또는 제품이 표현하고자하는 메시지에 딱 부합하지 않지만, 기존에 규범적 표상에 어긋난 갈등적 단서가 긍정적 인지과정을 수반한다. 이러한 부조화의 기준과 특성들은 광고 뿐 아니라 시각으로 표현되는 모든 분야에서 시각적인 차별화와 유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시각정보처리과정에서 일어나는 주의의 요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시각과 인지의 관계규명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Visual elements are the central role to make people to give attention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This study approaches a topic from psychological viewpoints, which are Visual Dissonance, Unexpected Visual Expressions and Visual Incongru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Then, analyzed the cases of the incongruent in advertis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Visual Dissonance : The dissonance of color, figure, space are larger when canonical representation is indisputable. On the other hand, mobility is focused on the visual movement in single point of view and it sometimes occur with visual illusions. 2. Unexpected Visual Expressions : Using techniques of depaysement and visual humor. 3. Visual Incongruity : When relevancy and expectancy of visual comes with conflictual clue, it involves with positive cognitive processes.

      • KCI등재

        「からして」「さえ」「まで」における他者の特徴

        白松宗(백송종)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62

        본 연구는 일본어 조사의 한 분류인 도리타테시 「さえ」, 「まで」와 도리타테 성격을 띠는 「からして」의 의미의 특징에 대해 기술한 논문이다. 이 셋은 모두 의외성을 나타낸다. 공통점은 문장에 드러나는 ‘자자(自者) X’의 성질은 의외성이지만, 문장에 드러나지 않는 ‘타자(他者) Z’의 성질은 당연성이라는 점이다. 차이점은 문장 안에서 드러나지 않는 요소인 ‘타자(他者)’의 특징에 있다. 「さえ」, 「まで」, 「からして」의 ‘타자(他者)’의 특징은 첫째 ‘타자(他者)-긍정(肯定)’이 ‘단정(断定)’인지 ‘상정(想定)’인지에 따라 다르다. 둘째 ‘타자(他者) Z’를 제외한 그 나머지 ‘타자군(他者群)Y’의 성질이 당연성인지 의외성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따라 이 셋은 각각 문장에서 역할을 나누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まで」의 ‘타자군(他者群)Y’의 성질이 당연성에서 의외성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향후에 고찰이 더 필요하다.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s of Toritateshi Sae and Made, and Karashite which has the nature of Toritate. These three particles basically indicate unexpectedness in sentences. A common feature of these three particles is that the nature of ‘jisya X’ (or the element marked by these particles), which is revealed in sentences, is unexpectedness, and the nature of ‘Tasha Z’ (or the other element in the range) is reasonableness. Differences of these three particles are in the characteristics of ‘Tasha’, which is an element not revealed in sentences. The characteristics of Tasha vary depending on, first, whether the ‘Tasha-Positive’ is ‘assertive’ or ‘presumptive’, and second, whether the nature of the remaining Y excluding ‘Tasha Z’ is reasonableness or unexpectedness. It is thought that the three postpositional particles play different roles according to these two differences. In particular,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the transition of the nature of Y of Made from reasonableness to unexpected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