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행동의사결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영원 ( Ha Young-wo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5

        소비자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소비자 연구자들에게 핵심적인 중요성을 갖는 연구 분야이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 60여년 간의 행동의사결정론(Behavioral Decision Theory; BDT)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소비자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를 전망하고 바람직한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행동의사결정론 분야에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학자들의 이론인 Herbert Simon의 제한된 합리성, Daniel Kahneman의 프로스펙트 이론, 그리고 Richard Thaler의 행동경제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이론들이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나서 저자는 1970-2000년의 기간에 걸쳐 소비자 연구자들이 BDT 연구에 호응하여 새롭게 형성한 새로운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흐름을 구성적 의사결정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검토하였다. 1970-2000년에 걸친 기간동안 BDT기반 소비자연구의 두드러진 특징은 의사결정에 관한 규범적 이론에 위배되는 변칙 현상(anomaly)들을 찾아내는데 주력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변칙 현상들을 찾아내는데 그치지 않고 그 근저에 깔려 있는 심리적 기제를 밝혀내는 작업에 더 큰 가중치를 두는 쪽으로 연구의 중심이 옮겨갔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에서 일어난 새로운 움직임은 (1) 이미 확립된 발견들의 심리과정에 대한 천착, (2) 시간지각과 시간이 개입된 선택에 대한 관심, (3) 감성적 요인에 대한 연구의 증가, (4) 행복 연구에의 관심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000년 이후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흐름은 사회심리학자들의 이론적 틀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Bargh의 비의식 과정(nonconscious processes)에 대한 연구, Higgins의 조절 초점 이론, Trope and Liberman의 해석 수준 이론, Wilson and Gilbert의 감성예측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이론들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친 영향을 간단하게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에 대한 전망과 미래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소비자 의사결정을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로 나누었을 때 심층구조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소비자/마케팅 중심의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 새로운 방법론의 활용, 외적타당성과 계량적 분석 방법의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Consumer decision ma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reas for consumer researchers. In this article, I review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that is based on behavioral decision theory (BDT). Furthermore, I predict on where the field may be headed in the future, and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onsumer decision making. First, I briefly review the work of the scholars who won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their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human decision-making behavior: (1) Herbert Simon’s bounded rationality, (2) Daniel Kahneman’s prospect theory, and (3) Richard Thaler’s behavioral economics. Then, I examined how these contributions impacted research on consumer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I also reviewed BDT-based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conducted in the period of 1970-2000. One of the most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BDT-based consumer research in the period of 1970-2000 was that researchers concentrated on identifying anomalies that violated normative theories in decision making.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however, researchers began to lay more emphasis on clarifying the mechanism underlying these anomalies. I reviewed BDT-based consumer research that examined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well-established anomalies such as the attraction effect. In addition, I also reviewed research on time perception and intertemporal choice, the role of emotion in decision making, and decision-making researchers’ studies on happiness. Another important stream of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since 2000 is the impact of theoretical frameworks proposed by social psychologists. I review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that is based on Bargh’s studies on nonconsciousness, E. Tory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Trope and Liberman’s construal level theory, and Wilson and Gilbert’s affective forecasting. Finally, I predict on the directions that the BDT-based consumer decision making may be headed for, and I make several suggestions for possible future research topics for this field. I emphasize the ne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ep structure of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its environment. In addition, I suggest that (1) future research might be better off concentrating on consumer-centric decision making research as opposed to generic decision making research, (2) relatively new methodologies such as EEG or fMRI should be used whenever they might be appropriate, and (3) we need to enhance external validity of research and improve our ability to handle big data.

      • KCI등재

        계층적 의사결정과 컨조인트 분석의 타당성 비교: 화장품 선호 사례 조사

        이지혜,정형철,Lee, Ji Hye,Jeong, Hyeong Chul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대안이 많지 않은 의사결정에서 계층적 의사결정론(analytic hierarchy process)과 컨조인트 분석 간의 비교를 다루었다. 계층적 의사결정론은 속성들의 쌍대비교 과정을 거쳐 속성의 중요도를 추정한 후 대안들의 순위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컨조인트 분석은 대안의 순서로부터 속성의 효용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의사결정의 과정이 다르기에 두 방법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다소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holl (2004)의 타당도 척도를 사용하여 두 방법을 S대학 여학생들의 화장품 선택 사례 연구를 통하여 두 방법을 서로 비교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컨조인트 분석은 내적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계층적 의사결정분석 방법은 예측타당도가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omparisons of the personal preferences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conjoint analysis (CA) which contain very relatively small number of alternatives. However, a direct performance comparison is not easy because these two methods have a much different process to achieve the final decision. Therefore, we adopt a validity and reference method with empirical case study for cosmetics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case study, conjoint analysis has the merit of measuring internal validity; however, AHP has the merit of measuring predictive validity.

      • KCI등재

        교원 승진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엄문영(Eom, Mo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교원들이 승진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과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 진술을 통해 파악하고, 교사들의 대응과 선택을 행동적 의사결정론 관점과 교직 문화에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행동적 의사결정론의 이 론적 틀을 고려하여, 교사 심층면담과 FGI를 통해 살펴본 교사들의 교원 승진제도에 대한 경험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승진제도에서 근무성적 평정의 점수 비중에 비해, 관리자가 확인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한 구조로 분석되었 다. 둘째, 교사들은 승진을 위한 대가로서 경제적 비용과 시간, 다른 성취에 대한 포기 등을 희생하면서도 손실 회피 현상과 매몰비용 효과 때문에 쉽게 승진 경로를 포기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현재의 교원 승진제도는 관리자의 잘못된 프레이밍 효과 를 제거하고 견제·보완하는 장치가 현저히 부족하여 긍정적인 교직문화를 창출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올바른 교원 승진제도로의 정립을 위해 크게 세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의 승진을 위한 노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로스펙스 이론에 근거하여 구조 재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관리자의 인지적 편향성을 방지하기 위해 다면적 근무성적 평정 설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경력평정, 연수 성적 평정, 가산점 등의 넛지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승진 트랙을 수업전문 트랙과 관리 전문 트랙으로 이원화하면서 교사 선택권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옵트 인(opt-in) 원리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choice and experience on the teacher promotion system in terms of a behavioral decision making theory. Furthermore, the promotion system to be rationally accepted is suggested based on teachers’ thoughts and problems by depth interview’s results. N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performance rating system has the possibility to let principal’s cognitive bias executed. Multiple process that can balance between principal perspective and other coworkers’ evaluation on a teacher is also propo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theory. Second, there are some cost and benefit together through teacher’s pursuing the promotion. For example, it is natural to confront for teachers to pay for high expenditure and to give up for other achievement for themselves considering the loss aversion and sunk cost principles. In order to improve these kinds of problems on teachers’ promotion system, opt-in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into teacher promotion system. Second, cognitive bias that managers like a principal produce inappropriately should be prevented by multiple performance rating design. Third,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plan to make the different two tracks in teacher promotion system: one is a teaching professional track and the other is a manager professional track in order to secure teachers’ choice right and autonomy.

      • KCI등재

        책임성의 가치와 기능

        류기환(Ryu Gi Hwan)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29 No.-

        법은 행위자에게 일정한 행위를 명하지만, 가능한 것만을 요구할 수 있고, 행위자는 이러한 법의 요구에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행위자가 이와 같은 법의 요구에 따르지 않을 때에는 법에 의해 비난받게 되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책임 없으면 범죄는 성립하지 않고, 형량도 원칙적으로 책임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책임성은 범죄론에서 범죄성립요건 요소로 논의되고, 범죄행위를 범죄인의 책임으로 돌리기 위한 귀책성 개념으로 논의되며, 형벌의 답책성 또는 가벌성 요건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형법에서 책임성의 의의처럼 다의적인 관념을 지닌 개념도 드물다. 책임론에서 가치론적 문제와 함께 목적론적 기능문제를 논의하게 되면서 책임성에 관한 학설도 책임성의 가치 중심 이론에서 책임성의 기능 또는 역할에 관한 이론으로 그 중심이 옮겨지게 되었다. 결국 책임성을 범죄의 적극적 성립요건으로 볼 것이 아니라 범죄 객관화 원칙에 따라 범죄성립범위의 축소기능을 가지게 되는 범죄의 소극적 성립요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Responsibility in criminal jurisprud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ttling criminal offenses. It is not only because the notion of responsibil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ultimate philosophical thoughts about the cause and effect of human behavior, but also because in practical term it is inseparably linked with social order of everyday life. The discussion of responsibility is ultimately a matter of clarifying the legal bases for penalties, i. e., on what grounds state authorities can inflect penalties. Composition of a thesis is same at this. 1. Introduction 2. Theory of Responsibility and thought 3. Essential factor and standardization of responsibility 4. Function of responsibility and objective of punishment 5. Conclusion

      • KCI등재

        책임의 의미와 성격에 관한 역사적 탐색

        이영록 ( Lee Young-lok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一鑑法學 Vol.0 No.42

        이 글은 책임 개념의 역사를 통해 책임의 의미와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로 책임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8세기 중반이고, 프랑스혁명 이후 민주주의 이념의 확산과 함께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후 철학 영역에서 책임은 귀책(imputation)을 대체하는 용어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책임은 이전 귀책 개념을 통해 논의되던 내용과 책임이 끌고 온 새로운 내용이 중첩적으로 책임의 의미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한자어 책임이 사용되어 왔으나, 오늘날과 같은 새로운 의미의 추가는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자유에 선행하는 책임의 전면화 주장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책임 개념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끌어낸 책임의 의미와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책임은 행위의 정당성을 둘러싸고 벌이는 의사소통적 대결이다. 둘째, 책임은 의사소통의 당사자들 사이의 관계적 개념이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개념이다. 셋째, 책임 개념은 기계론적 결정론과는 양립 불가능하나, 행위 당시의 타행위 불가능성과는 양립 가능을 전제로 발전해 왔다. 넷째, 우리말 책임은 수용 과정에서 문답의 뉘앙스는 약화되고 부담의 뉘앙스는 강화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서양의 책임 인근 단어들까지 포괄하는 번역어로 사용됨으로써 책임 실천에 혼란을 초래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This paper pursues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ibility by the way of the conceptual history of responsibility. The word ‘responsibility’ began to be used in the mid 18th century, and had been spread out with the idea of democracy since the French Revolution. It had soon replaced the word ‘imputation’ in the field of philosophy. As a result, responsibility, until now, has the double structure of meaning. In other words, it includes the meaning structure which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word ‘imputation’ brought as well as the new meaning structure which the word ‘responsibility’ has newly added. Recently, some philosophers with more and more persuasion maintain that responsibility should be precedent to freedom. The historical inquiry as above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ibility. ⅰ) Responsibility is a kind of communication over the justification of an action. ⅱ) It is not the fixed, but relational concept in that its content depends on the relation of the parties of the communication, and also the practical concept for solving social problems. ⅲ) It has been developed on the premise that it is compatible with the weak determinism in the sense of impossibility of other acts other than the act done. ⅳ) The Korean word ‘responsibility’(책임) has weakened the nuance of communication, but strengthened the nuance of burden.

      • KCI등재

        행동경제학에 기초한 포지셔닝 개념의 분석

        원지성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5

        Positioning is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making a firm's brand occupy a distinctive position against competitors in the minds of target customers. The concept of positioning was first proposed by advertising consultants Jack Trout and Al Ries in 1970s. Later the concept got combined with the concepts of market segmentation and targeting (as often called STP process), and thus became one of the core concepts in strategic marketing. This study reviews the original concept of positioning as proposed by Trout and Ries, and investigates the concept based on the theories in behavioral decision theory or behavioral economics, which has gone through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for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introduces a wide range of theories developed in behavioral decision theo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positio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decision making. Especially, several theories deem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e field, such as the prospect theory(Kahneman and Tversky 1979) or the elimination-by-aspects model(Tversky 1972), are used for systematic analyses of the positioning concept. Based on these theories, the act of positioning can be considered as manipulating the following perceptual variables. The first ones are the similarity between alternatives and the prototypicality of the focal alternative in the product category. The second is the reference point used for evaluating the alternatives. The third is the perceived attribute importance in evaluating alternatives. To summarize, positioning is to manipulate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so as to influence consumers' evaluation and choice and thus ultimately maximize the firm's market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the rationale for proposing such a definition of positioning. Thorough discussions on how such practices of positioning are related to the theories in the field of behavioral economics will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positioning strategy starts with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firm's competitive position in the market. Marketing implications on how a firm can develop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ir competitive position in the market will be presented. 포지셔닝이란 자사 브랜드가 표적 고객의 마음 속에 경쟁자와 대비하여 독특하고 차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작업이다. 포지셔닝의 개념은 광고 컨설턴트였던 Trout and Ries에 의해서 1970년대에 제안되었고, 이후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선정 개념과 결합되어 (흔히 STP라고 불리는) 마케팅 전략수립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포지셔닝 개념의 창시자인 Trout and Ries가 제시했던 포지셔닝의 본래 의미를 되짚어 보고, 최근 수십년간 많은 발전을 이룬 행동적 의사결정이론 혹은 행동경제학 이론들에 기초하여 포지셔닝의 개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포지셔닝 개념을 소비자의 의사결정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한다. 특히 행동적 의사결정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몇 가지 이론들, 예를 들어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Kahneman and Tversky 1979)과 Tversky (1972)가 제시한 속성별 제거모형(Elimination-by-Aspects)모형 등의 관점에서 포지셔닝의 개념을 재정립해보고자 한다. 이들 행동적 의사결정 이론들에 기초하여 볼 때 포지셔닝은 다음의 주요 지각관련 변수들을 조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는 대안들 간의 유사성 및 범주 내 전형성이고, 둘째는 대안 평가의 준거기준이며, 마지막으로 셋째는 대안평가에 있어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속성 중요도이다. 정리하자면, 포지셔닝이란 이상의 변수들을 조작함으로써 소비자의 평가와 선택에 영향을 주어 시장 성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적절한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서 기업은 자사가 우월한 속성을 강조하여 선택확률을 높여준다. 또한 자사 브랜드의 평가에 유리하도록 평가기준을 바꾸거나, 대안들 간의 유사성, 그리고 범주 내 전형성 등을 변화시키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단순히 효용 혹은 선호도를 높여야 한다는 경제학적인 시사점 이외에 왜 포지셔닝에 대한 이러한 접근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러한 포지셔닝 실행형식들이 행동경제학의 어떤 이론들과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포지셔닝 전략의 성공은 자사 브랜드가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경쟁적 위상에 대한 명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여 기업들이 경쟁적 위상에 따라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행동경제학에 기초한 포지셔닝 개념의 분석

        원지성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포지셔닝이란 자사 브랜드가 표적 고객의 마음 속에 경쟁자와 대비하여 독특하고 차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작업이다. 포지셔닝의 개념은 광고 컨설턴트였던 Trout and Ries에 의해서 1970년대에 제안되었고, 이후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선정 개념과 결합되어 (흔히 STP라고 불리는) 마케팅 전략수립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포지셔닝 개념의 창시자인 Trout and Ries가 제시했던 포지셔닝의본래 의미를 되짚어 보고, 최근 수십년간 많은 발전을 이룬 행동적 의사결정이론 혹은 행동경제학 이론들에 기초하여 포지셔닝의 개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포지셔닝 개념을 소비자의 의사결정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한다. 특히 행동적 의사결정이론에서 가장 중요한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몇 가지 이론들, 예를 들어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Kahneman and Tversky 1979)과 Tversky (1972)가 제시한 속성별 제거모형(Elimination-by-Aspects)모형 등의 관점에서 포지셔닝의 개념을 재정립해보고자 한다. 이들 행동적 의사결정 이론들에 기초하여볼 때 포지셔닝은 다음의 주요 지각관련 변수들을 조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는 대안들 간의 유사성 및 범주 내 전형성이고, 둘째는 대안평가의 준거기준이며, 마지막으로 셋째는 대안평가에 있어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속성 중요도이다. 정리하자면, 포지셔닝이란 이상의 변수들을 조작 함으로써 소비자의 평가와 선택에 영향을 주어 시장 성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적절한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서 기업은자사가 우월한 속성을 강조하여 선택확률을 높여준다. 또한 자사 브랜드의 평가에 유리하도록 평가기준을 바꾸거나, 대안들 간의 유사성, 그리고 범주 내 전형성 등을 변화시키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단순히 효용 혹은 선호도를 높여야 한다는 경제학적인 시사점 이외에 왜 포지셔닝에 대한 이러한 접근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러한 포지셔닝 실행형식들이 행동경제학의 어떤 이론들과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포지셔닝 전략의 성공은 자사 브랜드가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경쟁적 위상에 대한 명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여 기업들이 경쟁적 위상에 따라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Positioning is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making a firm's brand occupy a distinctive position against competitors in the minds of target customers. The concept of positioning was first proposed by advertising consultants Jack Trout and Al Ries in 1970s. Later the concept got combined with the concepts of market segmentation and targeting (as often called STP process), and thus became one of the core concepts in strategic marketing. This study reviews the original concept of positioning as proposed by Trout and Ries, and investigates the concept based on the theories in behavioral decision theory or behavioral economics, which has gone through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for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introduces a wide range of theories developed in behavioral decision theo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positio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decision making. Especially, several theories deem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e field, such as the prospect theory(Kahneman and Tversky 1979) or the elimination-by-aspects model(Tversky 1972), are used for systematic analyses of the positioning concept. Based on these theories, the act of positioning can be considered as manipulating the following perceptual variables. The first ones are the similarity between alternatives and the prototypicality of the focal alternative in the product category. The second is the reference point used for evaluating the alternatives. The third is the perceived attribute importance in evaluating alternatives. To summarize, positioning is to manipulate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so as to influence consumers' evaluation and choice and thus ultimately maximize the firm's market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the rationale for proposing such a definition of positioning. Thorough discussions on how such practices of positioning are related to the theories in the field of behavioral economics will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positioning strategy starts with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firm's competitive position in the market. Marketing implications on how a firm can develop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ir competitive position in the market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막장전방 예측기법에 근거한 TBM 터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정희영,박정준,이강현,박진호,이인모,Chung, Heeyoung,Park, Jeongjun,Lee, Kang-Hyun,Park, Jinho,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1

        TBM 시공 중에는 설계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지반과 조우할 수 있다. 그 중에서 TBM 굴진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위험지반과 조우할 경우, 예상치 못한 문제로 인한 공사비 증가, 공기 지연 등으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 중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은 TBM 프로젝트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TBM 시공 중 막장전방의 위험지반을 사전에 예측하는 방안과 해당 위험지반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리스크 사건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대응이 필요한 리스크 사건에 대하여 대책공법을 제시할 수 있는 TBM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TBM 굴진 중 안정성을 저해하는 위험지반들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정리하였으며, 시공 중 막장전방의 위험지반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비저항 탐사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렇게 예측한 위험지반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의 위험도 평가는 위험지반 조우 시 리스크 사건의 발생확률과 리스크로 인한 다운타임의 크기에 대한 상호 영향도를 고려하여 수행한다. 평가 결과 등급에 따라 대응이 필요한 리스크 사건에 대하여 대책공법들을 제시하였으며, 여러 대책공법 중 최적의 대책공법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공사비와 공사기간 등을 속성으로 한 다기준 의사결정론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실제 리스크가 발생했던 EPB Shield TBM 현장에 개발 시스템을 적용하여, 시공 중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의 사전 대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When utilizing a Tunnel Boring Machine (TBM) for tunnelling work, unexpected ground conditions can be encountered that are not predicted in the design stage. These include fractured zones or mixed ground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reduce the stability of TBM excavation, and result in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such as construction delays or increases in costs. Minimizing these potential risks during tunnel construction is therefore a crucial issue in any mechanized tunneling project. This paper proposed the potential risk events that may occur due to risky ground conditions. A resistivity survey is utilized to predict the risky ground conditions ahead of the tunnel face during construction. The potential risk events are then evaluated based on their occurrence probability and impact. A TBM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an suggest proper solution methods (measures) for potential risk events is also developed. Multi-Criterion Decision Making (MCDM) is utilized to determine the optimal solution method (optimal measure) to handle risk events. Lastly, an actual construction site, at which there was a risk event during Earth Pressure-Balance (EPB) Shield TBM construction, is analyze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system.

      • KCI등재

        실용주의와 행정학: 듀이(J. Dewy)의 도구주의와 탐구논리를 중심으로

        강용기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1

        행정학은 학문의 성격상 실천과 실제를 강조하는 실용주의적 가치와 방법론을 토대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 다. 실용주의는 인간의 생존 조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지식을 진리로 간주했고, 경험 과 사실에 근거한 판단을 중시했으며, 올바른 행동 대안의 선택을 위한 문제해결의 탐구의 논리를 제시했다. 이러한 입장은 듀이(J. Dewy)에 의해 체계화 되었다. 이러한 듀이의 입장은 진리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도구주 의와 문제해결을 위한 탐구의 논리학으로 정립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용주의의 인식론의 관점에서 행정학 이론을 검토해 보았다. 윌슨(W. Wislon) 이후의 초기 행정학은 실용주의라기보다는 영국의 공리주의 전통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1960년대 들어서 면서 제기된 신행정학은 가치와 사실의 연결, 인간을 위한 사회과학, 사회적 형평성 등을 주장했으나, 연구 방 법에 있어서 해석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실용주의 방법론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실용주의와 행정학이 접목하고 있는 실질적 영역은 의사결정론과 정책과학론이라고 보았다. 의 사결정론과 정책과학론은 수단과 목적, 사실과 가치를 연계하고, 수단의 분석과 선택에 있어서 검증과 관찰의 방법을 강조했으며, 사실의 발견보다는 문제해결의 대안을 발견하고자함으로서 실용주의적 기본 가치와 방법 론을 공유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 KCI등재

        네트워크 수집정보를 이용한 정보보호 위험도 예측지수 개발

        박진우,윤석훈,김진흠,정형철,Park, Jin Woo,Yun, Seokhoon,Kim, Jinheum,Jeong, Hyeong Chul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7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가입자들로부터 수집된 악성코드 감염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코드 감염에 대한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수 산출 문제를 다루었다.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악성코드들의 상대적 위험 가중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들 가중치를 결합하여 위험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위험도지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통계적 모형 적합을 시도하였으며, 관리도를 통해 정보보호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지수의 활용성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to diagnose users' malware infection situations (such as computer virus and adware) by gathering data from KT network systems. To develop the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we us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and estimated the risk weights of malware code types using the judgments of experts. The control chart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forecast the information security risk for the proposed information security risk index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