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靑陽義婦傅〉의 구조와 의미

        송철호(Song, Chul-Ho)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2 No.-

        〈청양의부전〉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는 전란전이다. 본고가 〈청양의부전〉을 논의한 이유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전란전으로서의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에 있다. 〈청양의부전〉은 두 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논리체계로서 액자구조와 서술체계로서 혼사갈등구조가 그것이다. 작자는 액자구조를 통해 현실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혼사갈등구조를 통해 현실극복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 개의 구조는 상호 협력적이다. 액자구조는 혼사갈등구조를 통해 논의의 근거를 얻고, 혼사갈등구조는 액자구조를 통해 논의의 가치를 얻고 있다. 액자구조를 통해 보여준 작자의 현실비판은 매우 구체적이고 직설적이었다. 현실비판의 주된 내용은 당대 양반사대부 관리들의 처세에 관한 것이다. 작자는 액자 속 의부의 이야기에 빗대어 그들의 처세를 비판하고 있다. 액자 속 이야기는 혼사갈등구조로 되어 있다. 작자는 만남에서부터 혼인까지의 과정을 그리면서 전란으로 인한 의부의 상흔을 치유하고 있다. 이 작품의 가치는 여기에 있다. 전란의 참상을 그리는 전들은 많아도 전란으로 인한 상흔을 치유하는 작품은 이 작품 외에는 달리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청양의부전〉은 전이면서도 인물의 일생을 그리지 않고 혼사라는 단일한 사건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그런데 사건은 인과적 계기에 따라 서술되고 있으며, 주변 인물들의 존재의 독자성을 가질뿐더러 입전인물과 주변인물의 지속적 상호관계에 의해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품은 입전인물인 의부, 선비, 선비의 외종형 내외간의 지속적인 얽힘을 통해 사건이 발전된다. 그리고 선비 및 그 외종형 내외는 입전인물인 의부와 대등한 조명을 받고 있다. 이 외에 이 작품은 인물들 간의 상세한 대화와 상화의 허구적 재현, 그리고 플롯의식 등을 보여주고 있다. 〈청양의부전〉이 소설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청양의부전〉이 전으로 창작되었으면서도 소설이 된 것은 서술의식 때문이다. 전의 서술의식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쉽게 넘나드는 데 있다. 논픽션을 장르적 속성으로 하면서도 창작의도가 분명한 전의 작자들은 전을 창작하면서 최대한 픽션을 지향하려고 한다. 반면에 전을 읽는 독자들은 전은 논픽션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독자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전의 작가들은 픽션을 지향하면서도 논픽션인 것처럼 지어야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전의 작자들은 이러한 데서 조금 자유로워졌다. 그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전란이다. 전란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전의 작자가 픽션지향의식을 자유롭게 발휘하게 해주었고 그러한 현상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회 분위기와 어우러지면서 전의 장르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Cheongyanguibujeon〉 is war ‘Jeon’, a biography of a person her or his criticism on society with educational lesson, based on the Manchu war in 1636. This writer decided to write 〈Cheongyanguibujeon〉 in light of the fact that this Jeon has a value of a war story and significance of novel history. 〈Cheongyanguibujeon〉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a story-within-a-story on a logical structure and another is a marriage conflict on a descriptive structure. The author shows critical mind about realities through the story-within-a-story structure while the marriage conflict story illustrates to overcome difficulties from realties. These two parts connect each other in the story. the first structure gains a basis about discussion and the second structure obtains values of discussion. Through the story-within-a-story, the author’s criticism on society is considerably specific and direct. The main story about criticism on society is focusing on noblemen’s lives. This novelist criticizes noblemen’s behaviors compared to ‘Uibu’, a righteous woman, in the story. The story of within a tory composes of the marriage-conflict structure. This creator describes Uibu’s first meeting with her man to her wedding day and how her scars from the war were treated; it is the value of this literature. There are numerous Joen which depict the terror of wars, but there are few Jeon which portray the treatment of scars from wars. Even though 〈Cheongyanguibujeon〉 is a Jeon, it does not describe the whole life of the character, it illustrates one simple story which is the main Uibu’s marriage. The event, however, describes in chronological order and supporting characters have special existence. In addition, the story develops on continuous relations between main characters and supporting characters. To be more concrete, 〈Cheongyanguibujeon〉 develops events based on continuous conflicts with peoples: Uibu, ‘Seonbi’, a nobleman, and supporting characters who are cousins of Seonbi’s. Seonbi and his cousins are equally important characters with Uibu. Furthermore, 〈Cheongyanguibujeon〉 show detailed discourse between characters, fabricated stgory of incidents, and a plot.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at 〈Cheongyanguibujeon〉 si a novel. 〈Cheongyanguibujeon〉 created as a Jeon but it became as a novel because of the style of description. Jeons’ description could easily cross the borderline between fact and fiction. Authors of Jeons who had own special creations were normally based on non-fiction but they tried to aim for fiction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read Jeon consider that Jeon should be non-fiction. Jeons’ writers ought to reflect on the readers; therefore, they wrote stories like non-fictions despite supporting fictions. However, these authors were free from the rul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re were several reasons but one of the biggest reasons was wars. Wars were unusual circumstances and they changed authors’ method of narration to support freely fiction style. By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is phenomenon was harmonious with social conditions and caused changes about genre of Jeon.

      • KCI등재

        戰國文字에 나타나는 異體字 義符 자형의 변화 연구

        김계화(Kyehwa Ki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戰國文字는 당시 복잡한 사회상황의 영향으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자형의 변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다른 시대와는 구별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戰國文字字形表≫를 기본자료로 삼아 戰國文字 이체자 의부 자형의 변화규칙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의부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체자를 선정한 후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변화과정을 살펴보며,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전국문자 의부 자형의 변화규칙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戰國文字 異體字 義符 자형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규칙은 의미와 자형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미와 관련된 의부 자형의 변화규칙은, 1) 의미의 유사함으로 인한 대체, 2) 의미범주에 따른 대체, 3) 材料와 구성 사물의 대체, 4) 연상되는 의미의 의부 대체, 5) 한자의 의미와 관련된 대체 등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자형과 관련된 의부 자형의 변화규칙은 訛變, 互換, 增加, 省略, 飾筆, 簡化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의부 자형의 변화 특징은 자형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지역 간 자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국시대의 이체자가 현재는 正字로 쓰이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국문자에 나타나는 이체자 의부 자형의 변화과정과 규칙을 연구하는 것은 전국시대 문자 중 일부 해독이 어려운 이체자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고대의 여러 典籍을 바르게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한 작업으로 보인다. 동시에 전국문자를 전후로 나타나는 이체자 의부 자형의 변화과정과 특징을 파악하는데도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eaning symbol of variant form that appear in the Warring States' written words show various changes in different regions or even in the same region. This study uses the <Collection Of Warring States' Character Glyph> as basic data to select those variant forms with various changes in meaning symbol and classify them. So that we can learn about the changing process and find out the regularity and characteristics of it. The regularity and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meaning symbol's changing process of the Warring States­character's variant for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ere the regularity of meaning symbol's changing process is discussed in three parts : character's meaning, shape, and pronunciation. In terms of meaning it includes : Similarities in meaning, replacement of opposite meaning symbol, replacement according to semantic category, being replaced by Constituent part or material, replacement of extended meaning, behavior related to people and body parts, and behavior related to objects. In terms of character shape it includes : decorative strokes of the meaning symbol, changes in composition, replacement, assimilation, increase or decrease, interconvertibility, omiting, symbolization.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the meaning symbol is replaced due to the similarity of pronunci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symbol's changing process includes : various patterns of change, organic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regions, variant form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now being used as official letters. This study helps to accurately interpret some variant forms of Warring States­characters that are difficult to decipher, as well as many ancient books and reco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understand the meaning symbol's changing process of variant forms before and after the Warring States Period.

      • KCI등재

        <靑陽義婦傳>의 구조와 의미

        송철호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2 No.-

        <Cheongyanguibujeon> is a war ‘Jeon’, a biography of a person her or his criticism on society with educational lesson, based on the Manchu war in 1636. This writer decided to write <Cheongyanguibujeon> in light of the fact that this Jeon has a value of a war story and significance of novel history. <Cheongyanguibujeon>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a story- within-a-story on a logical structure and another is a marriage conflict on a descriptive structure. The author shows critical mind about realities through the story-within-a-story structure while the marriage conflict story illustrates to overcome difficulties from realties. These two parts connect each other in the story. The first structure gains a basis about discussion and the second structure obtains values of discussion. Through the story-within-a-story, the author’s criticism on society is considerably specific and direct. The main story about criticism on society is focusing on noblemen’s lives. This novelist criticizes noblemen’s behaviors compared to ‘Uibu’, a righteous woman, in the story. The story of within a story composes of the marriage-conflict structure. This creator describes Uibu’s first meeting with her man to her wedding day and how her scars from the war were treated; it is the value of this literature. There are numerous Joen which depict the terror of wars, but there are few Jeon which portray the treatment of scars from wars. Even though <Cheongyanguibujeon> is a Jeon, it does not describe the whole life of the character, it illustrates one simple story which is the main Uibu's marriage. The event, however, describes in chronological order and supporting characters have special existence. In addition, the story develops on continuous relations between main characters and supporting characters. To be more concrete, <Cheongyanguibujeon> develops events based on continuous conflicts with peoples: Uibu, ‘Seonbi’, a nobleman, and supporting characters who are cousins of Seonbi’s. Seonbi and his cousins are equally important characters with Uibu. Furthermore, <Cheongyanguibujeon> shows detailed discourse between characters, fabricated story of incidents, and a plot.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at <Cheongyanguibujeon> is a novel. <Cheongyanguibujeon> created as a Jeon but it became as a novel because of the style of description. Jeons' description could easily cross the borderline between fact and fiction. Authors of Jeons who had own special creations were normally based on non-fiction but they tried to aim for fiction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read Jeon consider that Jeon should be non-fiction. Jeons' writers ought to reflect on the readers; therefore, they wrote stories like non-fictions despite supporting fictions. However, these authors were free from the rul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re were several reasons but one of the biggest reasons was wars. Wars were unusual circumstances and they changed authors’ method of narration to support freely fiction style. By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is phenomenon was harmonious with social conditions and caused changes about genre of Jeon. <청양의부전>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는 전란전이다. 본고가 <청양의부전>을 논의한 이유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전란전으로서의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에 있다. <청양의부전>은 두 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논리체계로서 액자구조와 서술체계로서 혼사갈등구조가 그것이다. 작자는 액자구조를 통해 현실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혼사갈등구조를 통해 현실극복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 개의 구조는 상호 협력적이다. 액자구조는 혼사갈등구조를 통해 논의의 근거를 얻고, 혼사갈등구조는 액자구조를 통해 논의의 가치를 얻고 있다. 액자구조를 통해 보여준 작자의 현실비판은 매우 구체적이고 직설적이었다. 현실비판의 주된 내용은 당대 양반사대부 관리들의 처세에 관한 것이다. 작자는 액자 속 의부의 이야기에 빗대어 그들의 처세를 비판하고 있다. 액자 속 이야기는 혼사갈등구조로 되어 있다. 작자는 만남에서부터 혼인까지의 과정을 그리면서 전란으로 인한 의부의 상흔을 치유하고 있다. 이 작품의 가치는 여기에 있다. 전란의 참상을 그리는 전들은 많아도 전란으로 인한 상흔을 치유하는 작품은 이 작품 외에는 달리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청양의부전>은 전이면서도 인물의 일생을 그리지 않고 혼사라는 단일한 사건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그런데 사건은 인과적 계기에 따라 서술되고 있으며, 주변인물들이 존재의 독자성을 가질뿐더러 입전인물과 주변인물의 지속적 상호관계에 의해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품은 입전인물인 의부, 선비, 선비의 외종형 내외간의 지속적인 얽힘을 통해 사건이 발전된다. 그리고 선비 및 그 외종형 내외는 입전인물인 의부와 대등한 조명을 받고 있다. 이 외에 이 작품은 인물들 간의 상세한 대화와 상황의 허구적 재현, 그리고 플롯의식 등을 보여주고 있다. <청양의부전>이 소설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청양의부전>이 전으로 창작되었으면서도 소설이 된 것은 서술의식 때문이다. 전의 서술의식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쉽게 넘나드는 데 있다. 논픽션을 장르적 속성으로 하면서도 창작의도가 분명한 전의 작자들은 전을 창작하면서 최대한 픽션을 지향하려고 한다. 반면에 전을 읽는 독자들은 전은 논픽션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독자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전의 작가들은 픽션을 지향하면서도 논픽션인 것처럼 지어야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전의 작자들은 이러한 데서 조금 자유로워졌다. 그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전란이다. 전란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전의 작자가 픽션지향의식을 자유롭게 발휘하게 해주었고 그러한 현상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회 분위기와 어우러지면서 전의 장르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 KCI등재후보

        節婦, 烈婦, 烈女

        강명관(Kang Myeong-K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열부·열녀는 조선조에 발명된 것이다. 그것은 고려조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고려시대에는 "절부"만 있었다. 절부는 유일한 성적 대상자인 남편의 부재(주로 사망)시에 다시 결혼하지 않는 여성을 지칭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아내의 부재(주로 사망)시에 결혼하지 않는 남성인 의부와 짝을 이루고 있었다. "수절"은 여성에게만 강요된 윤리가 아니었던 것이다. 조선의 양반-남성은 건국 이후 한동안 효자·순손·절부·의부를 한 세트로 하는 표창을 계속하다가『경국대전』에 와서 의부를 삭제함으로써 배우자에 대한 성적 종속성을 오로지 여성의 윤리로 강제하였다. 이것으로 가부장제 확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불충분하였다. 절부는 유일한 남성의 부재, 즉 남편의 죽음 이후에도 성적 종속성을 실천할 것을 요구한 것이었을 뿐이다. 성적 종속성은, 여성이 생명을 위협 받는 폭력적 시공간에서도 실천되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양반-남성은 열부와 열녀를 발명해냈던 것이다. 열녀를 정의하는 행위, 곧 열행의 실천을 여성의 대뇌에 심기 위해「열부최씨전」「배열부전」이 쓰였고, 나아가『삼강행실도』의「열녀편」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열부와 열녀는 거의 같이 쓰이는 어휘이나 엄밀히 말해 열녀는 열부를 포함한다. 열부가 공인된 성적 대상자를 갖는 여성을 의미한다면, 열녀는 결혼하지 않은 여성까지 포괄하는 어휘이다. 남성-양반의 여성에 대한 성적 종속성의 실천은 궁극적으로 열녀를 지향하고 있었던 바, 그것은 언제 어떤 상황의 시공간에서도 결혼한 여성은 물론 결혼하지 않은 여성까지 미래의 유일한 성적 대상자에게 성적 종속성을 실천할 것을 요구했던 것이다. 여성의 성적 종속성의 실천은 외견상 윤리의 형태를 띠고 있었지만, 사실상 그것은 남성-양반 국가의 건설을 위하여 여성을 성적으로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책략이었을 뿐이다. 이 책략의 성공으로 조선은 가부장제 사회로 전환할 수 있었다. In the period of Koryo, such words as "yeolbu" and "yeolnyeo" didn"t exist, but just a similar expression, "jeolbu" was used. "Jeolbu" meant a woman who didn"t remarry after her husband as only one sex partner became absent(died in most cases). A male counterpart to "jeolbu" was "euibu" meaning a man who didn"t remarry after his wife became absent(died in most cases). Keeping abstinence was not an ethical duty as given only to women. In the Koryo period, it was common that men lived in their wife"s home and that women could freely remarry after losing their husband. In that period, being "jeolbu" was up to women themselves.It was not ethically or legally forced. For some time after the foundation of Chosun, men―especially, noblemen―kept awarding men of filial piety and those who might be titled "sonsun", "jeolbu" or even "euibu". But later,〈Gyeongguk Daejeon〉 was published with no use of the words "euibui", defining sexual subordinateness to the spouse as an ethical obligation of women only. This set a basis on which patriarchism could be established. However, it was not sufficient only with such basis. "Jeolbu" indicates that women of Chosun were forced to be sexually subordinate to only one man, that is, their husband even after he became absent, or died. Such subordinateness had to be kept even when or where women"s lives were being violently threatened. In this sense, men of Chosun―especially, noblemen―devised two concepts, "yeolbu" and "yeolnyeo". "Yeolbu" and "yeolnyeo" were words that were nearly same in meaning. But strictly speaking, the former belonged to the latter. "Yeolbu" meant a woman who had a socially recognized sex partner while, "yeolnyeo" was used to call even unmarried women. In the Chosun period, men―especially, noblemen―stressed that being "yeolnyeo" was the ultimate of women"s sexual subordinateness. This means that in that period, not only married, but also unmarried women were forced to be sexually subordinate to only one man as their present or future sex partner. Practicing such subordinateness was apparently an ethic, but, in fact, just a strategem that was designed to sexually govern women by men―especially, noblemen. Such strategem was successful, and Chosun was moved into a patriarchical society.

      • KCI등재

        한방이학요법 중 경피경근온냉요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최보미 ( Bo Mi Choi ),홍서영 ( Seo Young H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literatural evidence about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for Korean medicine through literatural review. Methods :Applicable paragraphs which were related to the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f cutaneous and muscle meridian were phrased from in 『Yibujicheng(醫部集成)』 and 『Dongyibaojian(東醫寶鑑) 』where were archiving of Oriental or Korean medicine literatures. Searched paragraphs were analysed for establishing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ses of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in Korean medicine. Results :Thermotherapy of cutaneous and muscle meridian(經皮經筋溫熱療法) such as hot pack, warm water therapy, paraffin bath, ultrasound is originated from yu(위), warm water(溫水), hot water(熱水). Matching indications are various pain conditions(caused by coldness(寒), hard-work(勞苦), extravasated blood(瘀血)), inflammatory skin disease, frostbite and several internal diseases. It also treats gynecological diseases and facial palsy. Diathermic therapy on acupuncture points(穴位照射溫熱療法) such as infra-red, microwave, shortwave is originated from huolu(火爐), wenlu(溫爐), xianglu(香爐), lamp light(燈火). Its objective is to improve the effects of herb medicine by aiding sweating or to treat the residual symptoms of fever disease or to care skin disease and pain from bone fracture, contusion. Cryotherapy of cutaneous and muscle meridian(經皮經筋寒冷療法) such as ice pack, ice spray, iced whirpool, cool water bath is originated from lengfu(冷敷), lengtie(冷貼), lengshiyu(冷石위). Matching indications are contusions, animal bite injury, corn(肉刺) and linbing(淋病), eye disease, nasal bleeding, hemorrhoid, inflammatory skin disease and chicken pox. Conclusions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f cutaneous and muscle meridian(經皮經筋溫冷療法) are the treatments which were widely used in Korean medicine from the ancient Korean medicine. As scientific equipments were originated from yu(위), huolu(火爐), wenlu(溫爐), xianglu(香爐), lamp light(燈火), lengfu(冷敷), lengtie(冷貼), lengshiyu(冷石위). It can be said that these are elements of Korean medicine. More rigorous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clinical evidence about not only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but also the other physiotherapy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 KCI등재

        Abgrenzung der Schadensarten und Aufwendungsersatz

        Stephan Lorenz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5 No.-

        Die Schuldrechtsreform des Jahres 2002 hat die Systematik desdeutschen Leistungsstörungsrechts äußerlich stark verändert. Es existiertnun in Gestalt von § 280 Abs. 1 BGB eine Grundnorm der Haftung desSchuldners. Danach hat dieser im Falle einer „Pflichtverletzung“ den„hierdurch entstehenden Schaden“ zu ersetzen. § 280 BGB regelt aber inseinen weiteren Absätzen 2 und 3 Schäden wegen Verzögerung derLeistung (Abs. 2) und Schäden statt der Leistung (Abs. 3) eigenständig. Der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Klärung dieser wichtigen Begriffe. Erzeigt auf, dass das deutsche Leistungsstörungsrecht mit dieserDifferenzierung auch nach der Reform des Jahres 2002 die traditionelleUnterscheidung zwischen Unmöglichkeit der Leistung und Verzögerung derLeistung (Verzug) fortführt. Auch die Rechtsinstitute der culpa incontrahendo (c.i.c.) und der positiven Forderungsverletzung (pFV) bleibenerhalten. Sie werden lediglich in ihrem Ausgangspunkt im Begriff derPflichtverletzung integriert. Neu ist allerdings die durch § 284 BGB eingeführte Möglichkeit, stattdes Schadensersatzes statt der Leistung Ersatz von Aufwendungen zuverlangen, die der Gläubiger im Vertrauen auf den Erhalt der Leistunggemacht hat und die sich wegen des Ausbleibens oder derMangelhaftigkeit der Leistung als vergeblich erweisen. § 284 BGBkodifiziert nicht etwa eine Regelung, die bereits vorher von derRechtsprechung praktiziert wurde, sondern stellt eine sehr nützliche Neuerung dar, die Aufwendungen ersetzbar macht, die keinen Schadendarstellen können oder bezüglich derer der Nachweis eines Schadens fürden Gläubiger schwierig wa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