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관계의 의미 기능과 어법

        박병선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6 No.-

        This discussion categorizes Korean reason-cause expressions according to meaning and function and explicitly presents their semantic function. Accordingly, I suggest a method to clarify the semantic function of various reason-causal expressions in Korean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I can understand the semantic function of Korean causal expressions 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result from them and suggest the theoretical basis necessary for education. The causal relationship has been abundantly dealt with in studying the semantic connection between events. In particula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larify that semantic function expresses the speaker's cognitive interpretation method for the semantic connectivity of the two situations, centering on the link ending. Previous studies summarized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according to semantic function and its standards. However, research on how the connective link ending has multiple semantic functions while being used in various contexts and whether various forms of expression are possible in the same context and situation has been lackluster until recently.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mantic function and structure it by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mantic func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more systematically. In this discussion, the semantic function related to the reason-causal relationship was conceptually organized, and the relate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semantic structure and functional semantic system representing causal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mantic functions. 이 논의는 한국어 인과관계 표현을 의미 기능에 따라 범주화하여 그 의미적 특성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한국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인과관계 표현들의 의미 기능과 그에 따른 여러 언어학적 특성을 밝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인과관계 표현들의 의미 기능과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해 보았다. 인과관계는 사태 간 의미적 연관성을 연구하는 주제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다. 특히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두 사태에 대하여 의미적 연결성에 대한 발화자의 인지적 해석 방식을 표현하는 형식으로서의 그 의미 기능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의미 기능의 기준과 의미 기능에 따른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과 각종 제약 현상을 정리하였다. 그런데 같은 형태의 연결어미 등의 표현 형식이 다양한 맥락에서 쓰이면서 어떻게 여러 의미 기능을 갖게 되는지와, 동일한 맥락과 사태에서 다양한 형식의 표현이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도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더욱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미 기능 각각의 특성을 분명히 정리하고 의미 기능 사이의 상관성을 밝혀 구조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논의에서는 인과관계와 관련된 의미 기능을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이 의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언어학적 특성과 제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미 기능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의미 구조와 의미 기능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영어전치사 to의 다양한 의미-기능에 대한 효과적인 외국어학습방법

        백정혜 ( Jung Hye Bai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2

        범언어적으로 부치사 (전치사 또는 후치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는 달리 그 기능과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주어진 문맥에 따라 부치사는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질 수 있고, 또한 통사적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자들이 동일한 부치사가 지닌 다양한의미를 정확하게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치사가 지닌 이러한 독특하고 난해한 특성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의미-기능적으로 정확하게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영어 전치사 to를 문법화적인 시각에서 연구하였다. 문법화이론은 언어변화현상을 공시, 통시적인 시각과 관점에서 분석하고 언어변화의 주체가 인간이라는 전제하에서 언어현상을 다루므로 상당한 설명력을 지닌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에 입각해 영어전치사 to에 나타나는 의미-기능적 다양성을 통시적 자료를 통해 원형적 의미와 통사적 발달현상을 살펴보고,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to의 이러한 의미-기능적 발달이 아무런 연관성 없이 그냥 각각 아무렇게나 파생되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담화적상황과 사용빈도수, 또한 인지활동에 의해 의미적으로 상호 연관성을 갖고 발달하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즉, 전치사 to의 기본의미에 기초해 여러 가지 다양한 의미들이 파생되어진다는 가설에 입각해 to의 통시적 변화과정을 통해 어원적의미를 파악하고 그 어원어로부터 다양한 의미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그리고 어떠한 과정 속에서 파생되어졌음을 문법화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전치사 to의 다양한 의미-기능에 대한 설명은 언어학습에서 유의적 정보(meaningful information)로 학습자의 이해를 증대시키고, 또한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지는 전치사의 다양한 의미-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언어학습, 특히 외국어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전치사의 다양한 의미-기능들을 문법화 이론에 입각해 의미확장현상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면 효과적인 언어학습을 실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preposition to from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In Present-day English, to shows diverse characteristics as an allative, dative, and complementizer marker. Considering such a diversity of a single form 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pragmatics and cognitive reanalysis,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semantic-functional change of to undergone over time and the semantic extension patterns triggered by cognitive mechanisms. To explore the diverse paths and the semantic development shown in to, this paper suggests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t is largely enabled by the conceptual mechanisms along the event schema, and presents and explic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llative and dative concepts based on the cognitive forces that operate in language use. The role of frequency is also discussed as a major trigger to cause the semantic generalization and functional shifts of this clause linker. Finally, this paper illustrates what is an ideal method to learn such adpositions that have functional-semantic diversity, suggesting the cognitive-oriented model grounded in a grammaticalization theory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models for language learner.

      • KCI등재

        의미와 형태의 불일치

        이경희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3

        수사의문문이란 자신의 생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표현 기교 중의 하나로 상대방의 대답을 요구하지 않지만 형태상으로는 의문문의 구조를 갖는 특수한 의문문의 유형이다. 텍스트, 담화에서 다양한 의미를 산출하는 수사의문문은 내용상 극성역전(부정의문→긍정 단언, 긍정의문→부정 단언)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간접화행, 함축의미, 언표내적 효력과 기능을 표출하는 단위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수사의문문으로 기능할 수 있는 요인은 복합적이다. 형태적 표지 뿐 아니라 억양, 말투 등의 초분절적 요소와 몸짓 등의 비언어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 상 일반의문문과 전혀 변별성을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맥락에 따라 수사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사의문문을 맥락과의 의존성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그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정보획득을 위한 질문이 직접화행이라면 수사적 질문은 간접화행 중 하나이다. 러시아어에선 질문의 구조적 변별성 보다 맥락을 통해서 명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사의문문의 해석상의 중의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수사의문문은 보다 효과적인 표현 방법이다. 효과적이라는 것은 단언을 통해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 보다 부드럽게 표현한다는 것 이외에 여러 가지 언표내적 기능과 상황의미를 하나의 질문 안에서 표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수사의문문의 기본기능은 명제에 대한 강한 진술을 질문에서 역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기본기능은 사회적 규범이나, 보편적 가치를 담는 명제에 관한 수사적 질문일 경우에 주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맥락에 의존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보편적인 가치를 수사적인 질문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해석상의 중의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유형의 수사의문문에는 확실한 대답이나,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투적인 질문 문구도 해당된다. 담화 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수사의문문은 맥락의존적이다. 맥락을 통한 수사의문문의 의미는 진술 의미이외에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는데 이를 수사의문문의 이차적 기능으로 볼 수 있다. 이 기능은 맥락을 통해 나타나는 의미인데, 맥락의미를 인지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 주는 형태적 보조장치가 있다. 언어마다 형태적 보조장치는 다른데, 러시아어에서는 다양한 소사, 부사, 화법조동사와 미래시제 등이 이 역할을 담당한다. 형태적 보조장치는 독립적으로 언표내적 효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의문사, 맥락과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맥락의존적 수사의문문에서는 부정질문은 긍정의 진술, 긍정질문은 부정의 진술을 전달하는 것 외에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비동의, 불만, 거부, 정당화 등의 화자의 태도를 보여준다. 수사의문문에서 사용되는 의문사는 어휘의미가 대부분 상실되어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일반 의문문과의 형태적 변별성을 갖는 수사의문문은 형태적 표지와 시제 등의 요소에 의해 맥락에 덜 의존적인경향을 보이는 반면, 이러한 표지가 없는 경우 대화 맥락에 더 의존하게 된다. 형태적 표지와 맥락의존성과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는데, 의문성분과 더불어 형태적 표지가 사용된 수사의문문은 상대적으로 맥락의존성이 낮고 중의적 해석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수사의문문에 사용된 의문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화용적 의미와 기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구운몽>의 구조와 소설미학적 실상 -(1) 다포액자(多包額子)-

        유병환 ( Byung Hwan You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구운몽> 액자의 외화인 성진 단계에는 작은 단위의 액자들이 양파처럼 겹을 형성하며 장치되어 있다. 본고는 이것을 다포액자라고 이름하였다. 여타의 고소설에서는 보기 힘든 액자 형태이다. 본고는 액자의 개념으로 기능을 중시했다. 형식론적 관점이든 의미론적 관점이든 액자의 내화와 외화는 서사문맥 속에서 작품 전체, 또는 다른 서사 단위 및 작품 요소와 연계하며 어떤 기능을 수행할 때 액자로서의 진정한 존재이유와 비중을 확보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일정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여 그것을 액자로 인정한 것은 아니다. 내화의 앞과 뒤에 장치되어 내화의 유도와 형성, 그리고 수렴과 통합을 통해 내화의 서사나 의미를 감싸 포괄하는 것들을 액자로 규정하였다. 와 같은 개념을 적용하면 <구운몽>의 작은 외화액자들은, 그것이 비록 하나의 어휘이거나 소재일지라도, 이유 있고 비중 있는 액자로 그 존재 가치가 분석되었다. 이들은 단순한 어휘액자나 소재액자로서의 기능적 함량을 초월하고 있었다. 이들은 작품의 전체 구조와 서사 문맥, 다른 서사 단위 및 서사 요소, 전체 액자와 다른 작은 외화액자들과 연계하며 스스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다. 그 기능은 서사기능과 의미기능으로 분석·종합 되었다. 서사기능은 서사의 전개와 반전의 암시, 서사 개방의 유도, 서사의 종결과 수렴 등으로 확인되었다. 의미기능은 의미의 암시와 상징, 의미의 생성, 의미의 수렴과 통합 등으로 분석되었다. <구운몽>의 다포액자는 여타의 고소설처럼 우연이나 타성에 의해 기계적으로 장착된 장식액자가 아니라, 작가의 치밀한 구성과 조직의 구도에 의해 의도적·독창적으로 구조화된 기능액자로 판독되었다. <구운몽>의 다포액자가 담당하는 모든 서사기능과 의미기능은 불교의 현상론과 실상론을 원리적 근거로 하고 있었다. 현상론은 연기·윤회이고, 실상론은 空·中道이다. 연기와 윤회는 다포액자의 서사기능 원리로, 공·중도는 의미기능의 원리로 작용하고 있었다. <구운몽>의 다포액자는 불교사상의 근본과 궁극 모두에 대한 서사적 허구화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구운몽>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전적으로 불교적 관점에 의거해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결국은 불교적 관점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겠지만, <구운몽>에는 또 다른 관점으로 수용 될 수 있는 요소도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는 수용미학적 관점이나 독자반응비평적 관점의 논의가 필요하다. <구운몽>의 액자 단위는 여러 겹의 작은 외화액자와 그것들의 총합인 큰 외화액자, 그리고 내화액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크고 작은 단위의 모든 외화와 내화는 각각 그 자체로서의 기능을 감당하면서, 상호간에 내포와 외연의 긴밀한 문맥을 연계해 냄으로써, <구운몽>의 구조와 미학적 실상은 유기적 전체로서의 통합상을 지향하고 있었다. In the stage of Sungjin, external narrations of <Guwoonmong> frame, small units of frames are formed as manifoldly as a onion. Each of them is a vocabulary and a material itself. This thesis named it `多包額字(manifolded frames)`, which is rarely found in other ancient novels. This thesis attaches much importance of a function as a notion of frame. The reason is that whether it is a viewpoint of formalism or semantic, internal and external narrations of frame, when connected with overall pieces of work or other epic units & elements and perform some function, can be seen to ensure genuine value and priority of existence. This concept adapted, small external narration frames of <Guwoonmong>, even though each of them is small vocabulary or material, its existence value is analysed as valuable and significant frame. They rise far above simple vocabulary or material frame of function. Each of them associates with entire structure of work, epic contexts, other epic units and elements, and overall and other small frames to perform its functions faithfully. Its functions are analysed and integrated into epic and meaning functions. Epic function is identified to involve epic development and allusion of turnover, induction of epic open, epic end and convergence. Semantic function is analysed as allusion and symbol of meaning, generation of meaning,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meaning. The `多包額字` of <Guwoonmong> is not mechanically decorated frame by accidence or inertia usually seen in other ancient novels, but interpreted as function frame which is formed intentionally and creatively by author`s elaborat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Every epic and semantic function that the `多包額字` of <Guwoonmong> contain is based on phenomenology and real image theory of Buddhism. Phenomenology is karma·reincarnation, and Real image theory is 空(naught)·中道(mulamadhyamakakarika). Karma·reincarnation is working on the principle of epic function, whereas 空(naught)·中道(mulamadhyamakakarika) semantic function. The 多包額字 of <Guwoonmong> can be called epic fictionalization to the both the basis and the ultimate of Buddhism. But that doesn`t mean that the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about `Guwoonmong` should be done entirely on the basis of buddhistic viewpoint. Although ultimate integration would be made from a standpoint of Buddhism, there may be elements together which can be accepted from another standpoints. Further discussion would be necessary from the receptive aesthetic viewpoint or critical viewpoint from reader responses. The Units of frame in <Guwoonmong> consist of small manifold external, internal narrations. Every external, internal narrations of all dimensions has its function to work itself and, by connecting close context of connotation and denotation with each other, the structure and aesthetic reality <Guwoonmong> aims at integration as organic whole.

      • KCI등재

        처소 기원 여격조사의 형태와 의미

        이광호(Lee Kwang ho)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6 No.-

        여격조사는 처격조사와 형태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진다. 단지 처소 관련 지시 대상이 유정성이냐 무정성이냐에 따라 유정성일 경우 여격, 무정성일 경우 처격으로 구분한다. 이들은 처격과 여격으로 기능상의 구분을 하고 있지만 의미적 유사성을 가진다. 처소기원이라고 하는 것은 구결자료에서 나타나는 '良中'이 '어긔'에 대응한다는 전제하에 출발한다. 특히 구역인왕경에서 장소를 지시하는 '上中'의 '中'에 대응하는 '*ᄀᆡ/긔>ᄋᆡ/의'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처소 기원의 여격 형태를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여격조사로 '게, 그에, 거긔, 손ᄃᆡ, ᄃᆞ려, 더브러'를 설정하는데, '손ᄃᆡ'와 'ᄃᆞ려, 더브러'는 어휘적 기능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이 높아, 처소 기원의 조사인 '게, 그에, 거긔'와는 형태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게, 그에, 거긔'를 처소 기원이라는 공통성뿐만 아니라 서로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역할을 함께 고찰하였다. 문법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그+어긔'와 동일한 구성을 보이는 '이+어긔'와 '뎌+어긔'도 함께 살필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이들은 문법적 요소인 허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는 상이점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어휘적인 기능이 뚜렷하다는 것은 문법화로의 진행을 방해한다. 따라서 '이+어긔'와 '뎌+어긔'는 지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어휘적 기능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문법화의 진행이 드러나지 않는다. 반면에 중립적인 기능을 가진 '그+어긔'는 상대적으로 어휘적인 기능이 약하여 문법화의 진행이 용이하여 허사화된다. 물론 단순히 어휘적 기능만을 문법화 진행의 요인으로 진단하기엔 '손ᄃᆡ/ᄃᆞ려/더브러'의 어휘적 기능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이들은 상대적 기능의 대응 요소가 없다는 점에서 '이, 그, 뎌'의 문법화 과정과는 다르다. '븥다>브터, 좇다>조차' 등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실사의 허사화는 실질적 어휘 기능에서 문법적 요소를 확보하지만, '이,그,뎌'의 경우에는 화자와 청자의 중칭적인 거리뿐만 아니라, 공동의 인지 의미를 전달하는 '그'가 상대적으로 문법화가 쉽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게, 그에, 거긔'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문법적 기능과 의미적 기능 등도 본 연구에서 함께 다루어 이들의 기원적인 문제와 관련한 형태, 의미적인 요소를 점검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into preceding study for the form of '게, 그에, 거긔', and is to show the forming process of these case makers on 15th Centure. Dative case maker has a similar point in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with place maker. They are divided into dative and locative case maker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object. In this paper, the environment of occurrence of '良中(어긔)' and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게/그에/거긔' in Middle Korean are examined. The result show that the dative makers mainly used in the 15th century were 'ᄋᆡ/의+게/그에/거긔' and thar 'ㅅ+게/긔' was attached to honorific nouns. '손ᄃᆡ' and 'ᄃᆞ려, 더브러' are more likely when starting from a lexical function, '게, 그에, 거긔' show the difference in form and aspect. Considering the grammatical side, '이+어긔' and '뎌+어긔' which show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그+어긔', also have to consider. But these differences do not appear to have a function as a grammatical component. To be general, lexical features are apparent to impede the progress of a grammaticalization. Therefore, '이어긔' and '뎌+어긔' are the progress of this grammaticalization not obscured because a lexical feature associated to these. And in this paper, different grammatical features and semantic features dealt with in the study of the origins of thes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form appearing in '게, 그에, 거긔', it was checked semantic elements.

      • KCI등재

        심리기능에 따른 자기효능감, 페르소나, 영성이 중년기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박정묘,심혜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in life at mid-life according to psychological function in a demonstrative way using self-efficacy, persona and spirituality to predict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in life according to psychological function mark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most illustrative variance which explains meaning in life among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ST, SF and NF, was orderly spirituality, self-efficacy, and persona. For the NT psychological function, the most illustrative variances was self-efficacy, spirituality and persona. Third, for the effect of persona on meaning in life, the playful child, perfectionist, and pleaser persona had a positive effect, while the critic persona had a negative one.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페르소나, 영성을 예언변인으로 설정하여 심리기능에 따른 중년기 생의 의미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서울과 부산지역의 40, 50대 성인 남녀 242명(남 88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기능에 따른 생의 의미는 사랑체험, 자기초월, 관계체험, 헌신 요인에서 심리기능 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ST기능과 NF기능 간의 차이로 두드러졌다. 둘째, ST, SF, NF 심리기능의 생의 의미를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영성이며, 그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페르소나 순이었다. 그리고 NT 기능의 경우 생의 의미를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며 다음으로 영성, 페르소나 순이었다. 또한 이 변인들이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력은 ST기능에서 총변량의 87%, SF기능 85%, NF기능 84%, 그리고 NT기능에서 80%를 설명하였다. 셋째, 유희적 어린이페르소나, 완벽 페르소나, 배려 페르소나는 생의 의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비판 페르소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어휘적모호성 단어 정의하기

        이희란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2

        Word definition skills are closely related with semantic development and metalinguistic skills in child language acquisition. The assessment of children’s word definitions can provide useful clinical information about how children use their lexical knowledge and the type of educational and clinical interventio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efinition skill of ambiguous words betwee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and children with low functioning autism. 22 children with AS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fine using both meanings(a dominant and a subordinate meaning) of the presented 14 polysemous words. The definitions were analysed into six categories: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categorical, indicating, and variety of definition.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FA children’s variety of definitions ha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LFA in both the dominant and the subordinate meanings. (2) LFA group sticked to the indicating category compared with the HFA group. (3) The definitions with the subordinate meaning were poorer than the dominant meaning in both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FA group produce the verbal definition skill more than the LFA children.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reflect the HFA children’s deficiency in the cognitive flexibility.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적모호성을 가진 단어에 대한 단어정의하기 능력을 우세의미와 열세의미에 따른 정의정확도와 정의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특히,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고기능자폐성장애와 일반 자폐성장애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전반적으로 우세의미와 비교해 열세의미 정의하기에서 정의정확도가 낮았다. 하지만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모두에서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정의정확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정의하기 모두에서 보다 다양한 정의유형을 사용하여 단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우세의미 정의하기에서 분류와 정의다양도의 정의유형에서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반면, 열세의미에서는 관계와 분류개념의 정의유형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의유형 빈도에 따른 순위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전체 정의유형 가운데 기능적 정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그 다음 정의유형으로 관계(관련실체)정의를,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물리적 정의 중 속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아동이 하나의 단어를 하나 이상의 의미로 사용하는 인지적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 사회구조와 의미론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Luhmann approached "semantics" by raising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hereas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explained the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on of existence" concept, Luhmann focused on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First of all, he explained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based on "complexity" concept. With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social complexity,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become correlated through particular mediums and forms. Social complexity reflects the situations, roles and differentiation of partial systems contained in semantics. On the other hand, semantics respond with concepts of "contingency" of "operation" that limits selectivity of “communications” and complexity of social systems. Luhmann classified social types in accordance with degree of social complexity. In societies stratified with hierarchy, special semantics are created, since communications are usually done within each social class. In today's society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exclusive semantics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al system are established, becau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llowed within the functional systems.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are inter-dependent because the process of their differentiation is based on their structural coupling. Such inter-dependence is a prerequisite of their individual "evolution." Semantics that are structurally linked to social systems can affect them, and semantics are affected by the disturbance of social systems. Evolution of semantics always remain at a "self-reference" level in everyday social life, and its exclusive stimulation is ensured only through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uctures. Social systems tend to rely on semantics in order to maintain communications, the basic operational mediums in society. Through such structural coupling, the “variability of historical and circumstantial distin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can be recognized. However,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plore semantics as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meanings and structural coupling concepts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s theory". First of all,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ystems theory and semantics. Next,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ill be analyzed by explaining the accessibility of meanings and their three different aspects,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systems theory. Finally,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with "systems" and "environment" will be explored through functions of semantic concepts in connection with structural coupling. 루만은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통적 지식사회학과는 다른 문제제기로 “의미론”에 접근하고 있다. 전통적 지식사회학이 “존재의 피구속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면, 루만은 오히려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루만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복합성”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복합성의 상승을 그 특징으로 하는 사회구조와 의미론은 특정한 매체와 형식을 통하여 그 변화관계를 형성한다. 사회적 복합성은 의미론이 함축하고 있는 상황, 역할이나 부분체계의 분화를 반영한다. 반면에 의미론은 사회체계의 복합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선택가능성을 제한하는 “조작”의 “우연성”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응답한다. 루만은 사회복합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위계질서로 계층화된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계층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에서는 특별한 의미론이 형성된다. 오늘날과 같이 기능분화된 사회에서 의미론은 특히 기능체계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궤적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체계에 적절한 독자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구조적 연계는 의미론과 사회구조가 분화 되는 과정에서 서로 그 필연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존성은 각기 “진화”를 하기위한 전제조건이다. 사회체계와 구조적으로 연계된 의미론은 사회체계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의미론 자체는 다시 사회체계의 교란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의미론의 진화는 언제나 일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자기준거"에 머물러 있으며, 사회구조의 분화를 통해서만 독자적인 활성화를 보장받을 수 있다. 사회체계는 다시 그 기초적 조작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미론에 의지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적 연계를 통하여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상황적 구분의 가변성”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의 목적은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의미의 기능분석과 구조적 연계 개념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해석패턴”으로서 의미론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선 이 글은 체계이론의 의미와 의미론을 살펴 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체계이론의 조작적 개념을 토대로 의미의 접속 가능성과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을 설명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 개념의 기능을 통하여 “체계”와 “환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석패턴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불완전동사에 대한 통사 의미적 특성 연구 - 불완전동사의 제한적 분포 원인을 중심으로 -

        유혜원 ( Yoo Hye-won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문법 연구에서 불완전동사로 다루어 오던 동사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기반으로 이들이 형태적으로 제한된 분포를 보이는 이유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불완전동사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불완전계열의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는 데 집중되어, 불완전동사의 통사 의미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완전동사의 통사 의미적 특징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통해 불완전동사가 불완전성을 획득하게 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불완전동사로 분류되어 온 동사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면서, 동사의 의미적 특성이 불완전 동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불완전동사의 이러한 의미 특성이 문장에서 부가어의 의미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체계기능문법의 부가어의 분류 체계를 통해 입증하고, 이들이 문장에서 하나의 후치사구로서 의미 기능을 발현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사의 의미 특성이 통사적 행동을 결정한다는 레빈(Levin(1993))의 가설과 표현적 문법 분류와 의미 분류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라이언스(Lyons(1977))의 인식이 불완전동사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부가어가 담당하는 의미와 높은 연관성을 가진 동사들이 부사형 어미 등과 결합하여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특히 이러한 형태가 특정 동사 구성과 공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날 경우, 이 불완전동사들은 완전동사로서의 성격을 잃고 불완전동사로 고착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음을 기존 논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불완전 동사의 의미가 현재의 분포와 기능을 형성하는 주요한 원인임을 고찰했으며, 이러한 논의는 동사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정밀하게 제시될 때 뒷받침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y the incomplete verbs exhibit a morphologically limited distribution based on the syntactic semantic features of verbs that have been treated as incomplete verbs in Korean grammar studies. The prior studies of incomplete verbs were mainly focused on considering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incomplete paradigms, and the studies of the syntactic semantic features of relatively incomplete verbs we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y incomplete verbs acquired incompleteness through careful surveys of the syntactic semantic features of incomplete verbs. To this end, we research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that have been classified as typical incomplete verbs, suggesting tha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may be the main cause of their function as incomplete verbs. Furthermore, we demonstrate the fact that these semantic properties of incomplete verb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adjuncts in the sentence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djuncts of the systematic functional grammar, and suggest that they express semantic function as a postposition in the sentence. Through this, we prove Levin (1993)'s hypothesis that the semantic properties of verbs determine syntactic behaviors and Lyons (1977)'s perception that high association between expressive grammar classification and semantic classification can also be applied in the explanation of incomplete verb composition. In previous discussions, when verbs with high association with the meaning of adjunct words are used at high frequencies in combination with adverbial endings, and especially these forms often co-occur with a particular verb configuration, these incomplete verbs may lose their characters as complete verbs and become stuck as incomplete verbs.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meaning of incomplete verbs is the main cause of forming current distributions and functions, and this discussion may be more supported when studies of the meaning of verbs are presented more precisely.

      • KCI등재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김도연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2

        본 연구는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용론적 중의성을 인지적 접근법으로 설명한 Sweetser(1990)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어 접속 부사 ‘그러니까’에 어떻게 대응되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니까’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이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결 어미 ‘-니까’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형성의 동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러니까’는 영어의 ‘because’와 마찬가지로 내용 영역과 인식 영역, 그리고 화행 영역 세가지 영역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셋째,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는 인식 영역에서의 쓰임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내용 영역에서의쓰임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 기능에 따라 ‘그러니까’의 통사적 위치가 달라졌다. 본고는 대상 말뭉치의 장르가 한정되 었다는 점과 ‘그러-’ 계열의 다른 접속 부사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and to explore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and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through an analysis of a written Korean corpus. Therefore, Sweetser’s(1990) cogni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ragmatic ambiguity was examined, and his theor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realization aspect in a written Korean corpus of the conjunctive adverb ‘Geureonikka’. Subsequently, fou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the semantic function of ‘-nikka’ correlates with that of ‘Geureo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was verified as a cause for the semantic function formation of ‘Geureonikka’. Second, similar to ‘because’ in English, ‘Geureonikka’ was used in every domain: content connection, epistemic connection, and speech-act connection. Third,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extensively used in epistemic connection while it was infrequently used in content connection. Fourth, the syntactic position of ‘Geureonikka’ was determined by the 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identified: (i) The analyzed genre of a written Korean corpus was limited, and (ii)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similar conjunctive adverbs to ‘Geureo’ to reveal their differences from ‘Geureonikka’. Neverthel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was classified and the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demonstrated. (Yeungnam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