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남길임,안진산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semantic changes and semantic neologisms from a short-term diachronic approach. This paper is written as follows. Section 2 introduces the distributional methodology, related research trends, and the time-sliced 1990–2018 online news article corpus analyzed in this study. Section 3 discusses how collocation and lexical similarity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ct semantic neologisms.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have had a limited ability to detect semantic changes because frequency-based analysis is too sensitive to corpus size to be reliable. Accordingly, Section 4 suggests that type frequency-ba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oken frequency method. Collocation type trend analysis should be to detect semantic changes. 이 연구는 단기통시적 관점에서 의미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형태를 ‘의미적 신어’로 지칭하고, 형태적 신어와 동일한 관점에서 의미적 신어의 출현과 정착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분포적 가설을 따르는 기존의 접근법의 분석 원리와 의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을 제안한다. 의미 변화의 양적 분석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공기어 분석’과 ‘유사어 분석’은 새로운 의미와 관련된 공기어만을 고려하고 그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전제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분포 범위 내 대부분의 공기어는 의미 변화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점, 새로운 형태나 의미는 그 ‘새로움’ 때문에 본질적으로 저빈도로 나타난다는 특성으로 인해서 빈도에 기반한 공기어와 유사어의 자동 분석은 의미 변화의 양상을 충분히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고에서는 공기어 유형의 출현과 확산 추이를 연구자의 직관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과 정착을 식별하는 원리를 제안한다.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은 연도별 공기어의 유형과 토큰 수의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 확산, 정착 시기를 식별하고, 의미적 신어의 확산 원리를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의미 투명성이 단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배성봉(Sungbong Bae),이광오(Kwangoh Yi),박태진(Taej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3

        새로운 한자합성어의 학습에서 의미 투명성의 효과를 행동 실험과 ERP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구성형태소와 단어 의미의 관계가 투명한 조건(=투명 신단어)과 불투명한 조건(=불투명 신단어)에서 3회기에 걸쳐 새로운 단어-의미쌍을 학습하였다. 학습 단계에서는 자기 조절 의미 학습 시간과 ERP를 측정하고, 검사 단계에서는 학습한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시간과 의미 회상 점수를 측정하였다. 의미 학습 시간, 어휘판단, 의미 회상 검사 모두에서 의미 투명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투명 신단어의 경우, 불투명 신단어에 비해 의미 학습 시간이 더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어휘판단이 더 정확하고 빨랐으며, 의미 회상 검사 수행이 더 좋았다. 의미 투명성 효과는 ERP의 N400 성분의 진폭에서도 나타났다. 단어 의미가 투명한 조건에 비해 불투명한 조건에서의 N400 진폭이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어 재인 연구에서 발견된 의미 투명성 효과가 단어 학습에서도 나타남을 보여주며, 이는 단어 학습에서 형태소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mantic transparency on the learning of new words using both behavioral measures and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Participants studied novel words with either semantically transparent or opaque definitions while their brain potentials were recorded. Learning performance was assessed with both a lexical decision task and a recall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nsparent novel words were easier to learn than opaque words. More specifically, self-paced learning times were shorter for transparent novel words across three study sessions. Transparent words also elicited reduced N400s compared with opaque words in all sessions. Moreover, lexical decisions to both learned novel words and real words were faster and more accurate within the transpar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opaque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mantic transparenc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within word learning, just as within word recognition, further supporting the notion that morphological information is critical within lexical processing.

      • KCI등재

        의미이론 기반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LMP) 개발 연구

        손정아(Son, Jung 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의미이론에 기반하여 중년기우울 여성을 대상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조기중재하는데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의미이론에 대한 이론적고찰을 실시한 후,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단계 절차에 따라 총 3단계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1단계 : 목표수립 단계, 2단계 : 프로그램 구성 단계, 3단계 : 예비연구 단계이다. 결과 목표수립단계에서는 의미이론을 기반으로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를 ‘너와 나의 참 만남’, ‘자기발견 및 내 안의 긍정성’, ‘내 안의 고유성 발견 :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선택의 자유와 책임’, ‘자기초월’, ‘새로운 미래로의 전환’으로 도출하였고, 이에 따른 구체적 목표를 수립하였다. 프로그램 구성단계에서는 총 8회기로, 각 회기는 주 2회, 90분으로 도입, 전개, 마무리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예비연구 단계에서는 개발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 타당도를 검증받고 이를 바탕으로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년기우울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고 지역사회 간호사 및 기타 건강관리자가 용이하게 적용가능 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3단계 프로그램 개발절차에 따라 의미이론에 기반을 둔 중년기우울 프로그램이 완성되었고, 지역사회 중년기우울 여성에게 적용가능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이 최종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한 국내 중년기 여성에게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조화되고 우울 조기중재 방법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Based on the theory of mean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ment of a Life Meaning-Promotion(LMP) Program for educational programs necessary for early intervention of Middle-age women with Depressive symptom. Methods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of theory of meaning was conducted,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a total of 3 stages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Result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based on theory of meaning, key elements of the Life meaning promotion program(LMP) for middle-aged depressed women, self-discovery and inner positivity, “creative value”, “uniqueness discovery within me”, “freedom and responsibility”. In the programming stage, a total of 8 sessions were organized, with each session being introduced, deployed, and finished twice a week, at 90 minutes. In the preliminary research stage, the developed life meaning promotion program(LMP) was verified through a meet.ing of experts and based on this, the life meaning promotion program(LMP) was finally developed for middle-aged depressed women. The final developed program was designed to discover the by reflecting the theory of meaning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depressed women, and to make it easier for community nurses and other health managers to apply it was presen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Life Meaning-Promotion(LMP)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ory of meaning wa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3 stag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a program to promote the meaning of life applicable to middle-aged depression women in the community was f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rganized a program to promote the meaning of life that can be easily applied as a structured and depression early mediation met.hod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의미된 대상과 의미 양태의 구분'과 '유비' 개념의 관계

        박승찬(Park, Seung-Ch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베토마스 아퀴나스가 중세 언어철학으로부터 수용하여 활용한 주요 도구 중의 하나가 ‘의미된 대상(res significata)과 의미의 양태(modus significandi)에 대한 구분(이하 RS-MS 구분으로 약칭)’과 ‘유비’(analogia)개념이다. 이 도구들은 토마스의 『신학대전』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대 해석가들 사이에서 “토마스가 사용하는 RS-MS 구분과 일의성 및 다의성과 구별되는 유비 개념 사이에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A)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큰 견해차가 나타나고 있다. 토마스 철학의 전문가로 인정받던 학자들을 비롯하여 비교적 최근에 이 주제들을 다루었던 연구자들조차도 중세 언어철학 연구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연구들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텍스트 자체와 역사적 배경에 부합하지 않는 받아들이기 힘든 해석을 내 놓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마스의 주요 텍스트(I Sent 22, 1, 2; STh I, 13, 1-6 등)들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RS-MS 구분’과 유비 개념의 관계를 확정짓고자 시도한다. 논문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의미의 양태’와 관련된 차원에서 변화가 일어날 경우에는 ‘동반의미’(consignificatio)의 차원에서만 변화가 일어날 뿐, 그 ‘근원적인 의미’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선차적-내지-후차적-의미지시’라고 설명되는 유비가 ‘근본적 의미’ 또는 ‘의미내용’의 변화와 상관관계에 주목했다면 RS-MS 구분은 한편으로 존재론적인 차원에서의 완전성이나 이에 수반되는 ‘존재의 양태’와,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인식의 양태’와 이에 의존하고 있는 ‘의미의 양태’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는 것이 드러났다. 따라서 RS-MS 구분과 유비개념은 하나가 다른 한쪽으로 환원되거나 동일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 고유한 역할을 가지고 신에 대한 올바른 진술 가능성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 사용되었던 도구들이었던 것이다. The main tools that Thomas Aquinas accepted from medieval language philosophy are the “distinction between a signified thing (res significata) and a mode of signifying (modus significandi)” (=RS-MS-distinction) and the concept of analogy. He frequently used these tools in his works, for example, Summa Theologiae. Among modern schola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RS-MS-distinction and the concept of analogy as proposed by Thomas Aquinas?” Thomism experts and recent scholars dealing with these themes were unaware of the latest research in medieval language philosophy, and consequently some Thomists misinterpreted the texts of Thomas. Therefore, in this paper I critically analyze the main texts of Thomas (I Sent 22,1,2; STh I,13,1-6 etc.) and investigate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se texts. I als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RS-MS-distinction and the concept of analogy. Through analysis I show that in the case of changing the “mode of signifying” the “principal meaning” of a word is not changed, but only in the dimension of consignification does the change occur. Consequently, if the analogy that is “per-prius-et-posterius-signification” draws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principal meaning,” the RS-MS-distinction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 in the ontological dimension or “mode of being” and the human “mode of understanding” and the following “mode of signifying.” Accordingly, the RS-MS-distinction and the concept of analogy should be treated as distinct concepts as each has its proper role as a tool used in the ceaseless efforts to make correct statements about God.

      • KCI등재

        의미의 원천으로서의 세계 : 메를로퐁티의 의미론

        강미라 ( Mi-ra Ka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4

        이 논문의 목적은 메를로퐁티의 의미론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것이 내포하는 현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메를로퐁티의 의미론은 ‘세계가 의미의 원천이다.’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전기에는 세계에 연루된 신체적 주체의 실존을 통해 제시된다. 후기에는 의미가 세계와 인간의 공동의 질료이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서로 엮임인 살로부터 발생한다고 설명된다. 메를로퐁티는 언어, 문학, 회화를 통해 세계가 어떻게 의미의 원천이 된다는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언어를 통해 의미를 소통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세계를 공유하는 상호적 주체이기 때문이다. 말하는 자, 작가, 화가는 자신이 경험한 세계의 비밀-보이지 않는 것을 자신의 몸-스타일을 통해 보이는 것으로 만든다. 예술은 나의 살의 원천인 세계의 살로 돌아가서 그것의 가공 되지 않은(naive)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의 위상을 갖는다. 미술관에 박제된 작품에서도 새로운 의미는 솟아날 수 있으며 의미는 확정되지 않는다. 메를로퐁티의 의미론은 의미의 개방성을 옹호하면서도 의미의 원천을 세계에서 찾기에 회의주의로 귀결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실재성은 의심받는다. 그러나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보자면 가상세계조차 물리적 세계의 확장이다. 가상세계를 통해 주체는 새로운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은 주체성을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세계의 경험은 주체의 의미의 원천일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theory of meaning of M. Merleau-Ponty and demonstrate its current significance. He summarizes his theory into the statement "the world is the source of meaning." In his early text, titled Phenomenology of Perception, he presented the theory using the concept of a bodily subject involved in the world. In his latest work titled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he suggested that meaning originates from the flesh, common 'hyle' of the world and humans, and "chiasm" of the visible and invisible. We are intersubjects for we share the world. Thus, we make significance to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 showed how meanings of language, literature, and art are originated from the world. A speaker, an author, or an artist makes the visibility of the invisible secret with her/his bodily experience. Art is characterized by metaphysics that discloses the naive meaning of the world. This meaning cannot be confirmed. The new meaning is originated from the artwork exhibited for a long time in the museum. M. Merleau-Ponty's theory of meaning advocates the openness of meaning and does not lead to any skepticism. In the postmodern society today, reality has many uncertainties. But, in the view of M. Merleau-Ponty, the virtual world is only an expansion of the physical world. The subject can make new experiences in the virtual world, generating new subjectivity. The subject would still make significance based on the world.

      • KCI등재

        들뢰즈와 『무문관』의 화두들

        박인성(Bak, In-Se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들뢰즈는 그의 저서 『의미의 논리』에서 신라 스님 파초혜청의 화두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있다면, 주장자를 주겠노라.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주장자를 빼앗겠노라.”에 담긴 부정의 의미를 말라르메와 크뤼시포스가 말하는 부정의 의미와 나란히 놓으면서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풀어낸다. 파초혜청의 이 화두는 공안집 『무문관』제44칙이다. 이 파초혜청의 화두를 포함한 『무문관』의 화두들을 해명하고자 필자가 들뢰즈의『의미의 논리』에서 선택한 논제들은 의미의 역설들, 비의어와 혼성어, 무의미와 부조리이다. 각 논제에 대한 들뢰즈의 설명을 정리하고 나서, 이를『무문관』의 화두들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펼쳐가고, 최종적으로 파초혜청의 화두에 대한 들뢰즈의 생각을 밝혀보았다. 의미는 생성 중인 사건이기에 역설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가장 잘 포착될 수 있다. 들뢰즈는 의미가 계열화할 때 의미의 역설이 발생한다는 점을 간취하고 이 역설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계열화로부터 의미를 떼어내어 무한퇴행의 역설, 불모의 이중화의 역설, 중성의 역설, 부조리한 것의 역설을 찾아내고 단계별로 이를 규정해 간다. 화두도 또한 역설로 이루어져 있기에 들뢰즈가 전개하는 의미의 역설들에 맞추어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 먼저 의미의 네 역설들을 들뢰즈가 서술하는 순서대로 이해해 가면서『무문관』의 화두들을 적용해보았다. 또, 의미가 역설로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되는 것은 의미가 무의미와 부조리에서 유래하고 또 이것들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에 무의미와 부조리가 적용될 수 있는 화두들을『무문관』에서 찾아보았다. 『무문관』의 화두들을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분석한 결과, 간화선 수행에 원용되는 모든 화두들을 학적 체계에 넣을 수 있는 실질적인 단서를 얻게 되었다. 무문관의 화두들은 전반적으로 역설적 심급x를 향해 있으면서도 이 심급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역설적 심급x만을 이야기하는 화두(제5칙 향엄상수), 역설적 심급x 중 말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18칙 동산삼근), 역설적 심급 중 사물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3칙 수산죽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 여기서 더 나아가 무의미와 의미의 구조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4칙 파초주장), 무의미와 부조리를 이야기하는 화두(제26칙 이승권렴) 등이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Deleuze, French modern philosopher tries to solve Pachohaecheong[芭蕉慧淸]s Hwadu [話頭] in his work Logic of Sense, saying that if you have a cane, I am giving you one; if you do not have one, I am taking it away. He succeeds in catching the correct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the hwadu, along with the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Mallareme words and Chrysipposs phrases. This hwadu is the forty-fourth hwadu of the Collections of Precedent Stories[公案集], No-Door to Gate[『無門關』]. When we try to solve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including Pachohaecheongs hwadu, we can use all the topics in Logic of Sense as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on them. But the topics that I selected in this paper are the four paradoxes of sense, the esoteric words and the portmanteau words, and nonsense and absurdity. I summarize Deleuzes exposition on each topic, and then apply it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and lastly elucidate Deleuzes interpretation on Pachohaecheongs hwadu. Since sense is the event that is becoming, we can apprehend it in terms of paradox. Deleuze find out that the paradox of sense occurs when sense is serializing. In order to make this paradox clear, he seperates the sense from serialization and discover the paradox of regress, the paradox of sterile division, the paradox of neutrality, and the paradox of the absurd. Since hwadu is composed of paradox, it can be grasped when grasp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ox of sense Deleuze is stating. Therefore, we can apply these four paradoxes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The reason why sense is grasped as paradox is because sense is derived from, and dependent on nonsense and absurdity. So I try to find from No-Door to Gate hwadus that may be applied to nonsense and absur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Deleuzes ‘logic of sense’, I was able to attain a substantial outcome, which is as in the following. Basically, all the hwadus from No-Door to Gate is directed toward nonsense and absurdity. Most of hwadus from No-Door to Gate tell stories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s, but make differences according to which aspect they are emphasized on. That is,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 x alone(the 5th archetypal story),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word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18th archetypal story), and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thing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43th archetypal story). In addition,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structure of nonsense and sense(the 44th archetypal story), and about nonsense and absurdity(the 26the archetypal story).

      • KCI등재

        의미 단서가 중등도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if differences in naming abilities existed when presenting K-BNT semantic cues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o moderately impaired Broca aphasics. Methods :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oderate impaired Broca's aphasia by P·K-WAB-R. The experimental tools used by Jung (2016)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tological semantic cues on the naming. Results : First, compared with three conditions, namely before presenting semantic cues, and after presenting K-BNT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he naming ability was shown to be high when semantic cues were presented.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K-BNT semantic cues or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have more influence on naming,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ere more effective in naming in patients with moderate Broca's aphasia. Third, the mean of each stage of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corrective responses between the three st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Although the study's population is small and difficult to generalize, we could see that semantic cues are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word retrieval in naming in aphasic patients. However, in the case of hierarchical semantic cues, such as ontology, it can improve naming ability, and the presentation of semantic cues is considered a good approach for naming intervention in aphasic patients. 목적: 이 연구에서는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제시하였을 때 이름대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대상자는 파라다이스ㆍ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에 의해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으로 진단된 15명을대상으로 Jung(2016)이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경도의 명칭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도구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의미 단서를 제시하기 전과 K-BNT 의미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 제시한 후 이름대기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 단서를 제시하였을 때이름대기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 중 어떤 단서가 이름대기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세 단계로이루어진 온톨로지 의미 단서간의 정반응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의미 단서단계에 따른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든 단계간의 의미 단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어의 의미 자질을 고려하여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가 이름대기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단서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 이번 연구의 모집단이 너무 작아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있지만, 의미 단서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단어 인출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있었다. 온톨로지 의미 단서처럼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일 때 이름대기 수행력을 더 향상시킬 수있으며, 의미 단서 제시는 임상에서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중재 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법이라고생각된다.

      • KCI등재

        시에 있어서의 미술과 음악 이론ㆍ기법의 차용

        김철교(Kim, Chul-Kyo),이승하(Lee, Seung-H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음악·미술·문학은 서로의 이론이나 방법론을 교환해가면서 발전해왔다. 김춘수는 미술과 음악에 기대어 무의미시론을 전개한 대표적 시인이다. 이 글은, 다 장르의 예술들이, 무의미시론 형성과 시 쓰기에 어떻게 공헌하고 있는지, 김춘수의 「이중섭」 연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김춘수는 무의미시론을 전개하면서 세잔·잭슨 폴록·피카소 등의 화가와 모차르트 등의 음악에 힘입은 바 크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비유적 이미지’보다 ‘서술적 이미지’가 더 순수하다 하여 이에 천착했으며, 의미·대상·이미지마저도 극복하여 ‘리듬’을 얻고자 하였다. 김춘수는 시에서 내용과 의미와 이미지를 버리면 리듬만 남는다고 한다. 교향곡 작곡가들은 제목을 붙이지 아니하고 작품 번호로 발표하고 있는데, 제목이나 구체적인 대상이 없어 보이는 ‘절대음악’들이 훌륭한 호소력을 갖고 있는 것처럼, 시 작품에서도 대상이나 의미, 더 나아가 ‘통일된 이미지’까지 제거해도 훌륭한 작품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김춘수의 생각이었다. 잭슨 폴록이 그리는 대상이나 의미 없이 물감을 흩뿌려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시도 대상이나 의미가 없다고 해도 훌륭한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춘수의 작품에 ‘처용단장’ 같은 제목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예술가의 의도, 즉 해석의 가이드라인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제음악과는 달리 절대음악에서는 작품번호, 장조, 단조 등으로 작품을 구분표시하고, 작곡을 하게 된 대상(제목)을 명시하지 않은 것처럼, 시(時)에 있어서도 ‘처용단장’ 같은 구체적인 제목 대신 ‘무제’라고 했다면 수용자는 대상과 의미와 이미지에 대한 선입견 없이 오직 수용자 자신의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을 것이다. 김춘수의 ‘서술적 이미지’는 미술의 ‘미니멀 아트’에서 그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신이 창안한 무의미시 이론을 활용한 작품들이 세잔과 잭슨 폴록에 기대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중섭」 연작’은 세잔과 피카소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폴록의 `흩뿌리기 기법’은 대상도 의미도 통일된 이미지도 없이 오직 그리는 행위만 있으나, 피카소의 ‘분석적 큐비즘’은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대상과 의미와 통일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미술과 음악의 기법을 차용하여 형성되었고, 한국시단을 풍성하게 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과 기법을 모색하는 시인들에게 꾸준하게 주목을 받아 왔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시문학이 이웃 예술로부터 얻은 영감으로 그 영역을 풍성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 현대는 모든 예술이 통합하고 융합하면서 새로운 창조 에너지를 발산하는 시대이므로, 시작(時作) 과정에서도 단지 언어적 기교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언어 외적인 상상력으로 시의 내포와 지층을 깊게 해야 한다. 그 방법을 다른 예술장르에서 찾아보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Music, fine arts and literature have developed by exchanging theories or methodologies with each other. Especially, Kim Chun-Su developed his nonsense poetry theory based on fine arts and music.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these other genres of arts contributed to the forming of his nonsense poetry theory and the writing of his poetry focusing on his poem “Lee Jung-Seob Series.” The poem suggests that he was heavily indebted to painters including Cezanne, Jackson Pollock, and Picasso and Musicians including Mozart, etc in developing his nonsense poetry theory. He also developed descriptive images believing they were more pure than metaphorical images and tried to overcome even the meaning, object, and image of poetry. While Kim Chun-Su said that he borrowed descriptive image in his poetry from the minimal arts of fine arts and his poetry was based upon his nonsense poetry theory that was influenced by Cezanne and Jackson Pollock, it seems clear that that Lee Jung-Seob Series also came under the influence of Cezanne and Picasso. Kim said that if a poem failed to possess content, meaning, and images, there would remain only rhythms. Just as we think that symphonies don’t have any particular subject matter or refer to specific objects, because composers don’t confer any title on them except numbers, and so are quite appealing to us, Kim thought that a poem could be considered a good poetic work even if its objects, meanings, and unified images were removed.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just as Jackson Pollock produced his work of arts by scattering paints over the canvas, a poem could be a wonderful poetic work without particular objects or meaning. However, a title such as “Cheoyongdanjang” appears in his poems, which means that his intention was presented as a guideline for interpretation. If he had given such a title as “Untitled” to his poem instead of a specific title, his readerscould embrace the poem without associating their own impression with any object, meaning or images. Furthermore, the poem “Lee Jung-Seob Series” is not a genuine nonsense poem because it contains image conveyed by phrases related to Lee Jung-Seob’s life and paintings as well as having a title. However, his nonsense poetry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poets who are seeking new theories and techniques because it borrowed the techniques of fine arts and music and enriched the Korean world of poetry based on theories and techniques of poetry. In the future, poetry should borrow theories from the neighboring arts and expand its domain as a form of literature. Especially as all arts are being integrated and blended as a way of seeking new directions, poets should not depend on only linguistic techniques but seek methodologies beyond language when writing poems. The theories and techniques of neighboring arts could provide a rich source or wellspring for such a quest.

      • KCI등재후보

        {색}과 {빛}의 의미에 관한 비교 연구

        신현숙(Shin Hyon Sook),박건숙(Park Keon Sook)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색}과 {빛}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ㆍ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색}과 {빛}에 대한 한국어 화자의 인지 방법을 밝히는 데에 있다. {색}과 {빛}은 색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색}은 색채어와 결합한 [색]을 비롯하여 [대상물/ 자연/ 신체]의 [색]을 기본 의미로 갖는데 비해서 {빛}은 [대상물/ 자연/ 신체]가 발하는 [빛]과 [색]의 [빛]을 기본 의미로 갖는다. 곧 한국어 화자는 {색}을 볼 때에는 제일 먼저 ‘어떤 종류의 색’인지를 본다면 {빛}은 ‘어떤 대상의 빛’인지를 먼저 인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장 의미를 살펴보면, {색}은 대표적으로 [특성]을 의미하며 [수]와 결합하여 {색} 자체가 [종류]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한국어 화자가 {색}을 ‘구체적인 개체’이면서 가장 주요한 ‘변별적 자질’로 인지하는 것을 알수 있다. 반면에 {빛}은 추상적 대상인 [가치]와 [희망]을 의미하고, {색}과는 달리 [양]이나 [크기/ 세기] 등과 결합하여 나타나는데, 이는 {빛}이 {색}에 비해서 ‘추상적 개체’이면서 가장 최상의 ‘긍정적 가치’로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색}과 {빛}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e present paper is to compare the meaning of {color} and {light} and to show the cognitive process. To undertake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News 9’ for the six years. In Korean, the meaning of {color} is similar to {light},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LOR]. But [COLOR], the basic meaning of {color}, expands into [EMOTION], [KIND], [PROPERTY] etc. The other side [LIGHT], the basic meaning of {light}, expands into [EMOTION], [HOPE], [VALUE] etc. This represents that Korean language users recognize 'what kind of color' at [COLOR], and 'what object is radiating light' at [LIGHT]. Also [COLOR] is recognized a core feature of the object, [LIGHT] is recognized ideal value.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COLOR] is visible and concrete better than [LIGHT], while [LIGHT] is positive and abstract better than [COLOR].

      • KCI등재

        U-WIN을 이용한 한국어 복합명사 분해 및 의미태깅 시스템

        이용훈,옥철영,이응봉,Lee, Yong-Hoon,Ock, Cheol-Young,Lee, Eung-B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통계기반의 복합명사 분해 방법과 어휘의미망(U-WIN)과 사전 뜻풀이에서 추출한 의미관계 정보를 이용하는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태깅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크게 복합명사 분해, 의미제약, 그리고 의미 태깅의 세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분해과정은 세종말뭉치에서 추출한 위치별명사 빈도를 사용하여 최적의 구성 명사 분해 후보를 선정하고 의미제약을 위한 구성 명사 재분해와 외래어 복원의 과정을 수행한다. 의미범위 제약과정은 유사도 비교의 계산량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원어 정보와 Na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해 가능한 경우 구성 명사의 의미를 선 제약한다. 의미 분석 및 태깅 과정에서는 bigram 구성 명사의 각 의미 유사도를 구하고 하나의 체인을 만들어가며 태깅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추출한 3음절 이상의 40,717개의 복합명사를 대상으로 의미 태깅된 테스트 셋을 구축하였다. 이를 이용한 실험에서 99.26%의 분해 정확도를 보였으며, 95.38%의 의미 분석 정확도를 보였다. We propose a Korean compound noun semantic tagging system using statistical compound noun decomposition and semantic rel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lexical semantic network(U-WIN) and dictionary definition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phases including compound noun decomposition, semantic constraint, and semantic tagging. In compound noun decomposition, best candidates are selected using noun location frequencies extracted from a Sejong corpus, and re-decomposes noun for semantic constraint and restores foreign nouns. The semantic constraints phase finds possible semantic combinations by using origin information in dictionary and Naive Bayes Classifier, in order to decrease the computation tim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semantic tagging. The semantic tagging phase calculates th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decomposed nouns and decides the semantic tags. We have constructed 40,717 experimental compound nouns data set from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which consists of more than 3 characters and is semantically tagged. From the experiments, the accuracy of compound noun decomposition is 99.26%, and the accuracy of semantic tagging is 95.38%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