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휘군집의 의미확장 양상

        서정행(Seo, Jeong-Haeng),윤애선(Yoon, Ae-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6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생활 행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의식주 중에서도 식생활과 관련된 한국어 가열요리동사 어휘군집의 의미확장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다의어에서 의미가 연결된 구조와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의미들 간의 연관관계를 밝히고, 의미가 확장되는 방향성과 확장되는 거리를 결정하는 언어학적 요인과 인지적 동기를 찾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인지의미론적 방법론과 구조주의적 방법론을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우선, 가열요리동사 어휘군집에서 각 어휘의 의미를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로 구분하고, 의미가 확장되어가는 과정이 의미성분을 매개로 설명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이어, 해당 의미장에서 유사한 의미확장 양상을 지닌 어휘를 군집화한 결과와 의미성분분석을 통해 계층화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Nida(1975)가 제안한 변별적 자질의 세 가지 분류인 공통요소, 구분요소, 보충요소의 교체에 따라 원형의미에서 확장의미로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는 공통요소의 교체가 가장 멀리, 다음으로 구분요소의 교체이고, 보충요소의 교체는 최단 거리로 의미가 확장되어 해당 의미장 내부로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아울러, 원형의미와 확장의미가 지닌 논항의 선택제약이 의미가 확장되는 방향성과 확장의미가 위치하게 되는 의미장의 종류 그리고 의미가 확장되는 거리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lexical sense extension of Korean heating verbs in culinary semantic field. We examined the aspects of lexical sense extension of word cluster by surveying the structure of senses within each polysemy and the relation of lexical senses therein, thereby exploring the underlying linguistic factors and cognitive motives that dictate the direction and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In the course of this analysis, potential integration of methodologies of cognitive and structuralist semantics was also explored. We divided into corresponding prototype and extended senses and verified that the process of lexical sense extension was explainable on the basis of componential analysis. Additionally, in the culinary semantic field, the results from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attern of lexical sense extension and the lexical clusters based on the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As a result, we show that the variation of the three variables components of distinctive feature suggested by Nida(1975) determines the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from prototype to extended senses. The impact on the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appeared to be in descending order of common component, diagnostic component, and supplementary component. Moreover, we found that selectional restriction conditions of argument embedded in prototype and extended senses provide with substantial information, which could be useful in predicting the direction and extent of lexical sense extension, and the type of semantic field where the extended senses are located.

      • KCI등재

        ‘뻗다’의 의미 확장 연구

        임태성(Lim Tae-sung)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9

        이 글은 한국어 동사 ‘뻗다’의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았다. ‘뻗다’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이를 나타내는 동사로, 이러한 속성을 통해 다양하게 의미가 확장됨을 살펴볼 수 있다. 2장에서는 의미 확장의 본질과 기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의미 확장은 신체화된 의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의미 확장의 기제는 개념적 은유와 환유, 가상성이 있다. 개념적 은유와 환유는 본질상 개념적으로 이해되고, 가상성은 비진실적 현상으로 실제 비이동체가 가상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3장에서는 한국어 동사 ‘뻗다’의 원형 의미를 탐색하고 그 확장을 살펴보았다. 우선 사전에 제시된 15c~18c의 자료를 추적하고, 현대 국어 말뭉치에 나타난 용례들 중 물리적 대상에 사용된 용례들을 근거로 원형 의미를 추출하였다. 한국어 동사 ‘뻗다’는 식물, 사람에 두루 쓰이는데, 이를 통해 ‘뻗다’의 원형 의미를 한정된 범위에서 뻗는 상태 혹은 과정으로 삼았다. 그리고 ‘뻗다’의 확장 의미를 일차적, 이차적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일차적 의미는 개념적 환유, 은유, 가상성에 바탕을 둔 의미 확장이 나타났고, 이차적 의미는 개념적 은유에 바탕을 둔 의미 확장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ddresses the meaning extension of Korean verb ‘ppeotdda’, which signifies the transition from one state to the other. The mechanism of the meaning extension is based on conceptual structures we construct such as ‘embodies meaning’, ‘conceptual metonymy’, ‘conceptual metaphor’, and ‘fictivity’. First, ‘embodies meaning’ can be constructed from embodied experiences. Specifically, relatively abstract conceptual representations can arise from our bodily experiences i.e. everyday interaction with and observation of the world around us. For instance, our physical experience of the motion of ‘ppeotdda’ enables ou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ppeotdda’. Second, the central insight of ‘conceptual metonymy’ and ‘conceptual metaphor’ is that figurative patterns in language lie at the level of conceptual structure i.e.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meaning. Third, ‘fictivity’ is characterized as representational discrepancy.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discrepancy between two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the same entity within a single individuals cognition. This is a cognitive mechanism to examine the nature of dynamics in the meaning extension. According to the in-depth study, the verb ‘ppeotdda’ is conceptualized through the embodied meaning extension from our bodily experience to an abstract entity. In addition, the basic meanings of the verb ‘ppeotdda’ are analyzed to establish the features of ‘human’, ‘animal’, and ‘plant’. The meaning extension of the verb ‘ppeotdda’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meaning extension arises from the basic meaning of the verb ‘ppeodda’, which is related to the features of ‘human’, ‘animal’, and ‘plant’. The other meaning extension is activated outside the boundary of the basic meaning of the verb ‘ppeotdda’.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extension of the verb ‘ppeotdda’ and presents how human beings construct the construal structure in the process of the meaning extension.

      • KCI등재

        한⋅중 착탈 어휘 확장 의미 대조 연구

        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types of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Korean and Chinese, based on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Korean and Chines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Methods To this end, Korean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such as ‘ipda’, ‘sinda’, ‘ssuta’, were entered in “Pyojungugeodaesajeon” to examine their original meaning and extended meanings, and then those with extended meanings were extracted. Next, similarly, Chinese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such as ‘chuan’, ‘dai’, ‘ji’, were entered in “XinHuaZiDian” to examine their original meaning and extended meanings, and then those with extended meanings were also extracted. Finally, based on this,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Chinese and Chinese-Korean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were presen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extended meanings such as ‘gamda’ and ‘ji’, ‘ipda’ and ‘chuan’ did not correspond at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Chinese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t was also found that extended meanings such as ‘pei’ and ‘chada’, ‘zhai’ and ‘ppaeda’ did not correspond at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corresponding types of Chinese-Korean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Although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such as ‘ssuta’ and ‘meng’, ‘dureuda’ and ‘wei’, ‘geolda’ and ‘gua’, ‘pulda’ and ‘jie’ were partially correspond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Korean and Chinese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which extended meanings fully corresponded, whether Korean-Chinese corresponding types or Chinese-Korean corresponding types. Conclusions Corresponding types of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Korean and Chinese showed a certain difference. To be specific, extended meanings of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Korean did not correspond at all or partially corresponded to that of vocabularies in Chinese. What's more, no Korean-Chinese Wearing-Taking off related vocabularies in which extended meanings were completely 1:1 corresponded. 목적 본 연구는 문헌 연구법을 활용하여 도출한 한⋅중 착탈 어휘의 확장된 의미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입다’, ‘쓰다’, ‘신다’ 등 한국어 착탈 어휘를 입력하여 그들의 기본 의미 및 확장 의미를살펴본 다음 확장된 의미가 있는 한국어 착탈 어휘를 추출하였다. 다음, 마찬가지로 新華字典에서 ‘穿’, ‘戴’, ‘系’ 등 중국어 착탈어휘를 입력하여 그들의 기본 의미 및 확장 의미를 살펴본 다음 확장된 의미가 있는 중국어 착탈 어휘도 추출하였다. 마지막, 이를바탕으로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 한⋅중 대응 양상과 중⋅한 대응 양상을 제시하였다. 결과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 한⋅중 대응 양상을 고찰한 결과 ‘감다’와 ‘系’, ‘입다’와 ‘穿’ 등의 확장된 의미는 전혀 대응되지 않는것을 발견하였고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 중⋅한 대응 양상을 살펴본 결과 ‘佩’와 ‘차다’, ‘摘’과 ‘빼다’ 등의 확장 의미도 전혀 대응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착탈 어휘 ‘쓰다’와 ‘蒙’, ‘두르다’와 ‘围’, ‘걸다’와 ‘掛’, ‘풀다’와 ‘解’ 등의 확장 의미는 비록 부분적으로대응되지만,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 한⋅중 대응 양상이든지 중⋅한 대응 양상이든지 확장 의미 모두가 완전히 대응되는 한국어와중국어 착탈 어휘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 한국어와 중국어 착탈 어휘 확장 의미의 대응 양상은 일정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구체적으로 한국어 착탈 어휘의 확장 의미가중국어 착탈 어휘의 확장 의미와 전혀 대응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대응되고 확장된 의미가 완전히 1:1로 대응되는 한국어와 중국어착탈 어휘는 존재하지 않는다.

      • KCI등재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의 의미 변화 양상

        강현주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the aspect of semantic changes in the ‘monosyllabic root+ha(하)-’ adjective. A vocabulary adds efficiency to the use of the vocabulary while extending the meaning by semantic extension theory. And over time, some meanings disappeared. In this sentence, we will see how the meaning of ‘Monosyllabic roots+ha(하)-’ adjectives changes from time to time. The ‘Monosyllabic roots+ha(하)-’ adjectives we use today have been used unchanged since the 1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n this process, some vocabularies have changed. And unnecessary or redundant vocabulary is already disappeared. As a result, it became firmly established as the current daily language.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 ‘Narrowing, Widening, Narrowing and Widening’. ‘Narrowing’ is a type of some of the meaning items have disappeared though registered in both dictionary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Dictionary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t is common for the semantic items that do not share a common core meaning to disappear. ‘Widening’ is a type with additional meaning. And ‘Narrowing and Widening’ is a case of simultaneous disappearance and expansion of meaning. In most cases, the semantic items that do not share a common core meaning to disappeared and additional extensions in the original sense occurred at the same time. In this sentence, it was limited to adjectives. But, If we looking at the semantic changes in the whole monosyllabic root language, including verbs, and other vocabulary sets, we expect that we can examine the transitional semantic changes in Korean vocabulary. 어휘는 의미 확장 이론에 따라 의미를 확장해 가며 다의어로서 그 어휘의 사용에 효율성을 더하기도 하나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의미는 소멸하기도 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를 대상으로 하여 어휘 의미가 통시적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는 15세기부터 지금까지 의미 변화 없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 일상 언어로서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반면 일부 어휘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는데 크게 ‘축소, 확장, 축소 및 확장’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축소’는 어휘를 구성하는 의미 항목의 일부가 소멸한 유형으로, 의미 확장의 기준점에서 멀어진 의미 항목이 소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강하다(强하다), 능하다(能하다), 야하다(冶하다), 흔하다’이다. ‘확장’은 반대로 의미 항목이 추가된 유형으로, 모두 일반적인 의미 확장 이론에 부합한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냉하다(冷하다), 둔하다(鈍하다), 박하다(薄하다)’이다. ‘축소 및 확장’은 의미 변화의 양상이 일방향적이 아닌, 의미 소멸과 확장을 함께 일으킨 경우이다. 의미 확장의 기준점에서 멀어진 의미 항목이 소멸함과 동시에 의미 확장 이론에 부합하는 방향의 확장이 추가로 일어난다. 이때 의미 확장의 기준점이 변화여 새롭게 확장이 시작되기도 한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곤하다(困하다), 약하다(弱하다), 연하다(軟하다), 온하다(溫하다), 험하다(險하다)’가 있다. 이를 통해 어휘가 언어생활에 정착하기 위해 다의어로서 의미를 확장해나감과 동시에 의미를 축소하기도 한다는 점, 또는 확장과 축소가 함께 일어나 의미를 견고히 해 나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형용사에 한정하였으나, 동사를 포함한 단음절 어근 용언 전체나 또 다른 어휘 집합의 의미 변화 양상을 살핀다면 한국어 어휘의 통시적 의미 변화 양상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 어휘의 의미확장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의미 확장에서 발생하는 은유 및 환유를 중심으로 동사 및 명사를 살펴보았다. 동사의 의미 확장은 동사 그 자체의 의미가 확장하던가 혹은 이와 결합하는 지시체부류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동사 자체의 의미확장의 경우, 유사성의 은유, 인접성의 환유 등을 통해 다의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동사와 결합하는 명사가 추상적인 성격을 지닐 때, 그 동사는 구체적인 동작이 아닌 사고의 과정으로 은유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환유는 원의소는 간직된 채, 변별적 의소가 더 강하게 전면으로 나오면서 발생하는 의미의 포커스 이동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문장에서 태의 변화는 환유적으로 고려된다. 반면 명사에서는 지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은유적으로 지시대상을 확장하는 측면과,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 전이되는 측면에서 몇몇 어휘들을 살펴보았다. 이때 은유는 유사성을 근거로 한 만큼, 원의미와 파생의미 간에 연상적으로 유사성을 찾아내야 하며,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의 전이에서는 추상적 측면으로의 전이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그 가치적 특성을 부여받기도 한다. 이처럼 의미확장 혹은 변형에서 인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 은유 및 환유적 기제는 우리가 어휘의 다의성을 쉽게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어휘 의미의 확장 양상과 화용적 의미

        강연임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This thesis is represented using aspect of word’s extension meaning and its real condition, and its pragmatic feature. The word’s extension meaning is spread of media. These using is for a freshness of new language expression, and for an emphasis on speaker’s utterance intention. The conclusion is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summary present. First an extension using of word meaning is so crowded because of listener’s desire searching for new expression and speaker’s desire searching for good messaging of his intension. So an extension using of word meaning is revealed as maximized expression and provocative expression. As people want to show the strong expression, maximized expression or exaggeration expression piles up more and more. And provocative expression that titillated modern people’s spirit of language is strong enough to effect of delivery of language expression or listener’s cognition. Second People accept the maximized expression, and meaning of the maximized expression will be standardized downward. So the meaning of the maximized expression has become a common level or a little emphasized meaning. These situation can degrade a primary meaning of a word, and can strengthen a new meaning or extension meaning of it. Third, it is studied about pragmatic characteristic of extension word meaning. Extension using of word meaning inheres persistent change for word meaning’s effective delivery and acceptance. And extension using of word meaning popularize a metaphorical expression. An extension using of metaphorical expression is frequently used, so it becomes an extension meaning. Lastly an extension using of word meaning searches for new expression, it can not be interrupted by limitation on meaning category. These new expression emphasizes discrimination of an existing expression and utterance’s intension. 이 논문은 어휘의미의 확장 양상과 수용 실태를 살피고, 그것의 화용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새로운 언어표현을 통한 참신성과 화자의 강조적인 발화의도 때문에 어휘의미의 확장이 양산되고 있다. 어휘의미의 확장은 극대화된 표현과 자극적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언중이 어휘의미를 극대화시켜 발화하는 경향이 강하고, 감각에 호소하는 자극적인 표현이 빈번해졌기 때문이다. 즉 더 신선하고 더 강력한 발화효과를 위해 언중은 점점 더 확장된 표현을 찾게 되었고, 이것이 극대화되고 자극적인 어휘의미를 양산한 것이다. 어휘의미의 확장과 그에 따른 의미의 수용에서는 어휘의미의 하향평준화와 기본의미의 희석과 확장의미의 고착화 현상을 살펴보았다. 극대화된 언어표현을 빈번히 수용하는 언중은 어휘의미가 갖고 있는 극대화된 의미를 하향평준화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어휘의 기본의미를 퇴화시키면서 새로 파생된 확장의미를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어휘의미의 확장에는 어휘의미의 지속적인 변화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어휘의 은유적 표현을 대중화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휘의미의 확장은 표현의 참신성을 추구하다 보니 의미범주의 제약을 받지도 않는다.

      • KCI등재

        우리말 '입'의 의미 확장 연구

        배도용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1 No.-

        이 연구는 한 낱말에 관련되는 다양한 여러 의미들이 하나의 범주를 이룬다고 할 때, 우리말 신체어 '입'의 형식상의 구성 방식과 의미 확장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또한 의미 확장은 어떤 방향으로 범주화되는가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의미 확장에서 중심의미를 어떻게 규정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앞선 연구에서는 이를 가볍게 취급한 면이 없지 않았다. 중심의미를 올바로 규정하여야만 비로소 중심의미의 어떤 요소가 어떻게 주변의미로 확장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미는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정한 순서나 체계를 지니고 확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입' 관련 어휘장을 통해 한국어 어휘 체계의 한 단면을 확립할 수 있고, '입'의 의미장을 통해 한국인의 정신세계의 한 면을 해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말 신체어 '가슴'의 의미 확장과 개념망

        배도용 우리말학회 2002 우리말연구 Vol.12 No.-

        이 연구는 한 낱말에 관련되는 다양한 여러 의미들이 하나의 범주를 이룬다고 할 때, 우리말 신체어 '가슴'의 형식상의 구성 방식과 의미 확장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또한 의미 확장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가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의미 확장에서 중심의미를 어떻게 규정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앞선 연구에서는 가볍게 취급한 면이 없지 않았다. 중심의미를 올바로 규정하여야만 비로소 중심의미의 어떤 요소가 어떻게 주변의미로 확장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주변의미는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정한 순서나 체계를 지니고 확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가슴' 관련 어휘장을 통해 한국어 어휘 체계의 한 단면을 확립할 수 있었고, '가슴'의 개념망을 통해 한국인의 정신세계의 한 면을 해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과 해석

        임지룡 ( Lim Ji-ryong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9 No.-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신체화의 관점에서 `머리, 얼굴, 눈, 코, 귀, 입, 턱, 목, 고개`를 대상으로 의미 확장 양상과 해석을 논의한 것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어는 의미 확장의 중심지이며, 의미 확장 기제에는 개념적 환유 및 은유, 범주적 은유, 문법화가 있다. 둘째, 신체어의 의미 확장 양상은 환유에 의한 신체 내부 영역의 확장, 범주적 은유와 문법화에 의한 비신체적 영역의 확장이 일어나며, 합성어를 통해 의미 확장이 한층 더 고착화된다. 신체 관련 어휘의 다의적 확장은 동음이의어의 제약성, 다의어의 인지적 경향성, 범주적 은유 및 문법화의 보편성에 의해 뒷받침 된다. 셋째, 신체어의 의미 확장에 나타난 해석은 다음과 같다. 개념적 환유에 의해 신체어 영역 안에서 의미 확장이 이루어지며 `신체어+서술어` 구조의 관용 표현이 매우 생산적이며, 개념적 은유에 의해 합성어 및 `눈이 밝다`와 같은 중의성 가운데 비유적 표현이 이루어진다. 또한, 미시적으로 볼 때 신체를 기준으로 `동물, 식물, 사물, 공간, 시간, 추상`에 대해 의미 확장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확인되며, 거시적으로 볼 때 신체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데서 비신체적인 영역으로 확장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aspects and construals of the semantic extension of body part terms such as `head`, `face`, `eye`, `nose`, `ear`, `mouth`, `chin`, `neck` and `nape of the neck,`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dy part terms are at the center of semantic extension, with conceptual metonymy, conceptual metaphor, categorial metaphor and grammaticalization being among the mechanisms of this extension. Second, aspects of semantic extension include the extension of internal body parts and non-body parts, through categorial metaphor and grammaticalization. Semantic extension becomes more entrenched through complex words, while polysemous extension of words related to body parts is supported by the restrictiveness of homonymous words, the cognitive tendencies of polysemous words, categorial metaphor, and the universality of grammaticalization. Third, the construals of the semantic extension of body part terms are as follows: First, semantic extension occurs in the domain of body part terms through conceptual metaphor. Second, idiomatic expressions like `body part term + predicate` are very productive. Third, a figure of speech is coined in complex words and ambiguous expressions such as `눈이 밝다` (“the eyes are bright”) through conceptual metaphor. In addition,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emantic extension and animals, plants, things, spaces, time, and abstraction can be found on the basis of body parts, from a microscopic viewpoint. The semantic extension goes from the body part terms toward the domain of non-body part terms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 KCI등재

        신체어 ‘입’과 ‘嘴, 口’의 의미 확장 대비 연구

        주자우 춘원연구학회 2019 춘원연구학보 Vol.0 No.14

        이 논문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확장이 잘 이루어진 대표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한중 신체어인 ‘입’과 ‘嘴, 口’의 다의 현상을 대조 분석하여 그 의미 확장이 각각 어떠한 유연성(有缘性)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지를 밝히었다. 그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다의적 신체어에서 드러난 인지과정의 동질성과 이질성도 살펴보고 나아가서 동질성과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을 고찰하였다. 동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인간의 인지 심리 과정이 보편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고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구조와 감지기관(感知器官)이 똑같음은 한․중 양국이 신체부위에 대한 인지가 대동소이하는 것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세 번째는 한․중 양국은 동일 문화권에 속해 있는 관계로 제도, 문화, 관습, 풍조, 생활이나 생산 경험 등 많은 면에서 동질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또한 , 의미 확장에서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의미 확장의 횟수의 영향, 전통적인 민족문화, 관습 및 제도 등의 영향, 언어 자신 특징의 영향, 인지 차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는 일정한 명사 의미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확장된 주변 의미들에 의미 자질을 부여하고 이들을 유형화함으로써 ‘입’과 ‘嘴, 口’ 의미 확장의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포착하고 제시하였다. 첫째, 신체어의 주변 의미들이 <자연물>, <물체>, <부분>의 자질을 가장 많이 갖고 있고 이는 인간이 신체와 신체 경험을 바탕으로 외부 세계를 인지하여 신체 부위의 특징이 다른 어떤 사물에 전용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입’과 ‘嘴, 口’의 의미 확장이 <속성>이란 자질에서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실체 명사인 신체어가 은유와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져 상태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嘴, 口’가 <분류사>라는 부류에서 의미 확장이 많이 이루어졌고 이는 중국어가 어의형(語義型)언어인 것과 관련된다고 본다. 주제어: 신체어, 의미 확장, 은유, 환유, 동질성, 이질성, 경향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