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언 어휘 ‘숭악하다’의 의미 분화

        박지은 ( Park Jieun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방언은 지역의 정신과 문화가 담긴 언어이다. 한 방언 어휘가 동일한 형태로 통용되고 있으나, 지역별로 의미가 분화되어 사용된다면 그 의미는 지역의 문화와 특성이 담겨 있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주목하여 연구하고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방언 어휘 ‘숭악하다’의 의미가 표준어 대응 어휘인 ‘흉악하다’보다 약화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의미가 지역별로 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의미 분화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워 형태가 동일한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마다 다른 의미로 분화된 원인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숭악하다’는 일부 지역에서 긍정적인 사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모순어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부정적인 의미 또한 의미 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맥락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분화된 것과 지역적 정서에 의하여 의미적 혼태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지역별 의미 분화 현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그간의 연구에서 이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Dialect is a language that contains the spirit and culture of the region. Although the vocabulary is used in the same form, if the meaning is differentiated and used for each region, the meaning becomes evidence that contains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refo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se phenomena to study and conside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Sung-ag’ is used as a weakened meaning than the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word, ‘Hideous,’ and confirmed that the meaning is used in different regions. In addition, a hypothesis about the cause of semantic differentiation was established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tiation of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regions despite the same vocabulary. 'Sung-ag' has a contradictory character, as positive usage appears in some regions, and negative meanings also show a pattern of meaning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meaning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and that it was caused by semantic confusion by regional emo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discussion on the phenomenon of semantic differentiation by region and its caus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 사회구조와 의미론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Luhmann approached "semantics" by raising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hereas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explained the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on of existence" concept, Luhmann focused on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First of all, he explained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based on "complexity" concept. With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social complexity,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become correlated through particular mediums and forms. Social complexity reflects the situations, roles and differentiation of partial systems contained in semantics. On the other hand, semantics respond with concepts of "contingency" of "operation" that limits selectivity of “communications” and complexity of social systems. Luhmann classified social types in accordance with degree of social complexity. In societies stratified with hierarchy, special semantics are created, since communications are usually done within each social class. In today's society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exclusive semantics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al system are established, becau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llowed within the functional systems.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are inter-dependent because the process of their differentiation is based on their structural coupling. Such inter-dependence is a prerequisite of their individual "evolution." Semantics that are structurally linked to social systems can affect them, and semantics are affected by the disturbance of social systems. Evolution of semantics always remain at a "self-reference" level in everyday social life, and its exclusive stimulation is ensured only through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uctures. Social systems tend to rely on semantics in order to maintain communications, the basic operational mediums in society. Through such structural coupling, the “variability of historical and circumstantial distin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can be recognized. However,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plore semantics as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meanings and structural coupling concepts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s theory". First of all,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ystems theory and semantics. Next,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ill be analyzed by explaining the accessibility of meanings and their three different aspects,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systems theory. Finally,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with "systems" and "environment" will be explored through functions of semantic concepts in connection with structural coupling. 루만은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통적 지식사회학과는 다른 문제제기로 “의미론”에 접근하고 있다. 전통적 지식사회학이 “존재의 피구속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면, 루만은 오히려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루만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복합성”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복합성의 상승을 그 특징으로 하는 사회구조와 의미론은 특정한 매체와 형식을 통하여 그 변화관계를 형성한다. 사회적 복합성은 의미론이 함축하고 있는 상황, 역할이나 부분체계의 분화를 반영한다. 반면에 의미론은 사회체계의 복합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선택가능성을 제한하는 “조작”의 “우연성”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응답한다. 루만은 사회복합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위계질서로 계층화된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계층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에서는 특별한 의미론이 형성된다. 오늘날과 같이 기능분화된 사회에서 의미론은 특히 기능체계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궤적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체계에 적절한 독자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구조적 연계는 의미론과 사회구조가 분화 되는 과정에서 서로 그 필연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존성은 각기 “진화”를 하기위한 전제조건이다. 사회체계와 구조적으로 연계된 의미론은 사회체계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의미론 자체는 다시 사회체계의 교란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의미론의 진화는 언제나 일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자기준거"에 머물러 있으며, 사회구조의 분화를 통해서만 독자적인 활성화를 보장받을 수 있다. 사회체계는 다시 그 기초적 조작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미론에 의지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적 연계를 통하여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상황적 구분의 가변성”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의 목적은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의미의 기능분석과 구조적 연계 개념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해석패턴”으로서 의미론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선 이 글은 체계이론의 의미와 의미론을 살펴 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체계이론의 조작적 개념을 토대로 의미의 접속 가능성과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을 설명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 개념의 기능을 통하여 “체계”와 “환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석패턴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어 어휘의 의미 분화 양상 연구

        정유남 ( Cheong Yunam ),최창원 ( Choi Chang-won ) 겨레어문학회 2021 겨레어문학 Vol.66 No.-

        이 연구는 지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의미 분화 양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역어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의미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미 분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지역어의 의미 분화 양상은 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데 어휘의 의미가 같은데 형태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가 같고 의미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와 의미가 다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표준어와 비교하여 의미가 같고 형태가 다른 경우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개념을 나타내는 유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가 같은 경우는 동음이의어로도 볼 수 있으나 어원적으로 동일하거나 의미적 유연성이나 근접성을 기준으로 한 어휘소의 다의 관계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도 다른 경우는 음운이나 형태 변화에 기인하여 의미 분화가 나타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differentiation patterns in Korean regional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emantic differentiation by applying lexical semantic methodology to regional words. The patterns of meaning differentiation of regional words are reflec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s, and the words classified as three types, firstly, same meaning-different form, secondly, same form-different meaning, thirdly, different meaning-different form patterns of words. They reflect the synonymous relation, polysemous relation, and heteronomous 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vocabulary and regional vocabulary. First of all, the meaning is the same and the form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t represents the synonymous relation. Next,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the same, it represents homophonic or polysemou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words based on etymological identity or semantic relation. Finally,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different, the meaning is differentiated due to phoneme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vocabulary.

      • KCI등재

        漢字語의 意味 形成 因素와 意味 演變 樣相- 국어사전의 한자어 뜻풀이 문제와 관련하여-

        조영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is is an outline of studying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 do not have studying of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m is not proper. According to this situation, mistranslations and misuses of Chinese can cause serious problems as time goes by. As a part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I would like to focus on aspects of these; how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areestablished, and how they are changed with specific examples. Compared with meaning of Koreanand them, I would like to indicate errors of existing problems. First, I would give you semantics, morphemic, the sources, and history of the characters as structural elements of meaning of them. All of them can effect o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we cannot get proper meanings with only one element of them. The tru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can have several other meanings, and we call it changed meaning. There are dilatation, reduction, metaphor, vicissitude, and they can be mixed. The divergence from true meaning to changedone can be analogized, and according to it, it can be possible to not only understand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improve logic through association and reasoning. I hope we can use Chinese characters properly by studying them thoroughly and issuing Chinese dictionaries. 이 논문은 한자어 의미 연구의 개론적인 성격을 띤다. 한자어 의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고, 국어사전의 한자어 풀이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한자어의 誤譯과 誤用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자어 의미 연구의 一環으로, 본고는 한자어의 의미가 어떤 因素에 의해 성립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實例를 들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확인된 한자어의 의미를 국어사전의 뜻풀이와 비교하여, 기존 뜻풀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먼저, 한자어 의미 파악에 있어 선결 과제인 한자어의 本義를 바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자어의 本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字義, 字形, 聲韻, 典故를 들었다. 본의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字義는 다시 原義, 轉義, 假借義로 구분하여, 그것이 한자어에 어떤 의미요소로 작용하는지를 살폈다. 또한 한자의 의미는 字形의 변화에 따라서도 달라지므로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假借字와 後起本字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밖에 字義만 가지고는 풀이가 안 되는 경우로, 聲韻을 고려해야하는 한자어와 典故가 있는 한자어를 분석하였다. 성운에 관한 것은 주로 쌍성자와 첩운자, 전고에 관한 것은 주로 고사 보다는 출전이 있는 한자어를 대상으로 하여 올바른 의미를 제시하였다. 열거한 자의, 자형, 성운, 전고와 같은 因素들은 모두 한자어의 본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이므로, 각각의 例에 따라 올바르게 접근해야 본의를 정확히 규정할 수 있다. 한자어의 본의는 여러 갈래로 파생되어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轉義라고 한다. 전의의 갈래는 확장, 축소, 비유, 변전의 형태이며, 이들이 서로 착종되는 경우도 있다. 확장은 인신과 마찬가지로 점점 의미가 불어나는 것으로, 연쇄식과 방사식, 그리고 이 두 가지가 혼용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축소는 점점 의미가 줄어드는 것으로, 한자어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字義가 소멸되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이 하나로 통합되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비유는 한자어 전체가 비유의 의미를 지닌 것과, 구성단위인 하나의 한자가 비유의 의미를 지닌 경우로 구분되는데, 비유의 대상이 되는 사물의 특징을 정확히 간파해야 올바른 의미를 얻을 수 있다. 변전은 본의와 전혀 상관없는 의미로 쓰이거나, 반대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에 해당된다. 주로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른 것이지만, 이들 중에 어떤 것은 본의를 오용하는데서 기인하기도 한다. 本義에서 轉義로의 의미 분화는 類推가 가능한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어휘를 습득한다면 한자어의 의미 파악은 물론 聯想과 推論을 통해 논리력도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어사전의 한자어 뜻풀이는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한자어의 본의와 전의 파악이 분명하지 않고, 또한 둘 사이의 인과 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둘째, 한자어의 상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셋째, 한자어 표기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 넷째, 출전이 분명한 말들에 대하여 출전을 명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한자어 의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지속되고, 올바른 뜻풀이가 제시된 한자어 사전들이 출간되어, 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어의 의미를 보다 바르게 사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亯’의 의미파생 관계 및 분화과정 고찰

        유현아 한국중문학회 2019 中國文學硏究 Vol.0 No.75

        ‘亯’은 갑골문 시기에 출현한 상형자로, 자형과 본의, 의미파생 관계 등에 대한 의론이 분분하며, 특히 ‘亯’자의 造字 근거에 대해서는 종묘설, 조리기구설, 穴居설, 天壇(제단)설, 가옥(주택)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견해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亯’의 의미파생관계 및 분화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면, ‘亯’의 字形과 字義, 문헌상의 용례 분석 등을 통해 각각의 造字근거, 본의와 파생의미 간의 의미체계, 의미파생의 양상 및 분화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종합해보면, ‘亯’은 ‘제사 지내는 곳’을 본뜬 한자로 本義는 ‘제사지내다’이다. ‘亯’의 의미파생 체계는 상당히 복잡한 편이어서 本義인 ‘제사지내다’를 기점으로 바치다’, ‘흠향하다’, ‘누리다’, ‘합당하다’, ‘끓이다’, ‘손님을 접대하다’ 등의 다양한 파생의미를 생성하였는데, 그 의미파생 관계 또한 連鎖式과 輻射式이 혼재된 混合式의 양상을 나타낸다. ‘亯’은 후에 ‘享’, ‘亨’, ‘烹’으로 분화되었는데, 이들은 서로 同源字 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미체계의 발전 및 분화는 사회의 발전을 따라 언어문자가 함께 풍부하고 다양해진 결과이다.

      • KCI등재

        방언 어휘 ‘징하다’의 의미 분화

        박지은 한국방언학회 2023 방언학 Vol.- No.37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although the dialect vocabulary ‘Jing -hada’ is known as a corresponding vocabulary of the standard words ‘Jeung (憎)-hada’ and ’Jinggerup-da’, the meanings do not correspond. Therefore, I would like to confirm that 'jingha-da' is used in a differentiated sense when used as a dialect vocabulary. It also establishes a hypothesis on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of meaning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vocabulary is differentiated close to positive meanings. And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cause. The range of use of 'Jingha-da' in the regional language is widened, and positive use appears. In addition, negative meanings have multiple meanings and show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in the meaning of 'Jing- hada', I insisted on ‘Jeung (憎)-hada’ and ’Jinggerup-da’, ‘Jeongsangmad -da’.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interpret this as a result of the differentiation of meaning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situation and the hybridization derived from similarit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iscuss this in previous studies where the phenomenon of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its causes were not actively studied. 이 연구는 방언 어휘 ‘징하다’가 표준어 ‘증(憎)하다’와 ‘징그럽다’의 대응어휘로 알려졌지만 그 의미가 대응을 이루고 있지 않다는 데에서 출발하여, ‘징하다’가 방언 어휘로 사용될 때 분화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의미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워 부정적인 어휘가 긍정적인 의미에 가깝게 분화되고 있는 과정을 살피고, 그 원인을 고찰하고자 한다. ‘징하다’는 지역어에서 사용 범위가 넓어지며, 긍정적인 사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모순어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부정적인 의미 또한 의미분화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징하다’의 의미로 ‘증상맞다, 징그럽다, 증하다’를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맥락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분화된 것과 유사성에서비롯한 혼태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는 의미 분화 현상과 그원인에 대한 고찰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그간의 연구에서 이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안귀남(Kwi-nam An) 운곡학회 2021 운곡논총 Vol.9 No.-

        이 연구는 『원주 지역어 조사(2018)』를 대상으로 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양상을 통해 어휘의 형태 분화와 의미 분화를 보이는 방언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징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 원주방언은 음운적인 연구는 많이 있지만, 어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시점에서 원주지역 9개 지점의 하위 방언에 대한 어휘 분화양상을 통해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원주방언의 어휘적 특징은 강원도 방언형과 함께 경기도 방언과 충북 방언영향을 입은 방언형이 병존형으로 실현된다. 이는 원주의 대부분 지역이 지리적으로 경기도, 충북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것에 연유하며, 원주방언이 강원도 내에서 영서방언과 영동방언으로 구분되게 하는 전이 지역의 특징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원주방언에는 인접 방언의 영향에 의해 한 의미소에 두 개 이상의 어형이 대응되는 어휘의 형태 분화를 보이는 어형이 확인되었다. 예컨대 우박(우박/유리/누리), 애벌빨래/매다(아이매다/애벌매다/초벌빨래), 가위(가위/가이/가새), 오디(오동/오동애/오둥에, 오데/오데이), 누에(누에/뉘에/눼), 부추(부추, 분초/분추), 곁두리(제누리/제느리/새참/새이), 김매다(김매다/짐매다/기심매다/지심매다), 키(키/치) 등이 있다. 셋째, 원주방언의 어휘에는 고대연구에 도움이 될 고어의 모습을 간직한 방언형이 많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중세국어의 어형으로부터 음운 변화를 거친 어형으로 남아있다. 국어 음운사 연구에 많은 관심을 받았던 ㅿ, ㅸ 음가가 소실되어 탈락된 어형도 있지만(가이(가위), 아이-(애벌), 뉘에, 눼(누에)), ‘ㅅ, ㅂ’으로 남아 있는 어형들(가새(가위), 지심매다(김매다), 새뱅이(새우))과 어중 ‘k’가 탈락된 어형(어둥애)과 ‘k’가 남아 있는 어형(얼게미, 얼기미)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고어의 모습을 간직한 ‘누리(우박), 오데, 오동(오디), 부초(부추), 제누리, 새이(곁두리)’ 방언형에서 어휘의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어휘의 의미적 분화 이루는 방언형은 표준어나 인접지역과 구분되는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예컨대 ‘얼게미/도디미(어레미, 구멍의 크기), 보굼치/다래키(바구니, 끈의 유무), 방가치/한가치(방아깨비, 암수구분), 징게미/새뱅이(새우, 大小/민물), 냅다/맵다/시굽다(맵다, 의미 확장)’는 의미적인 차이에 따라 분화를 보인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Wonju dialect through the form of vocabulary differentiation in Wonju area for the data of 『Wonju Regional Language Survey (2018)』. In sum,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To summarize the research we have looked at so far, we will: 1. Th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Wonju dialect tend to be mixed with the words influenced by Gyeonggi-do and Chungbuk dialects and the words characterized by Gangwon-do dialects. This is because most parts of Wonju are geographically bounded by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In addition, Wonju dialect, which belongs to the Yeongseo dialect within Gangwon-d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area that distinguishes it from Yeongdong dialect. 2. The lexical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 Wonju dialect has many types of words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types of fish in one semantic ele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dialect. Vocabulary distinctions are as follows;ubak, ebeolp’alle/ebeolmaeda 3. In Wonju dialect, there are many types that retain the old word that will help reconstruct the image of ancient Korean language-nuri/yuri, ai(maeda/p’llae), gasae, ode/odong/odonge, nwie/nwe, bunchu/boncho, jenuri, kisimmaeda/jisimmaeda, ki/chi etc. Some of these vocabulary words include ‘ㅿ’ and ‘ㅸ’ which were highly interested in studying Korean phonetic history, but some of the remaining ‘ㅅ’, ‘ㅂ’ and ‘k’ were eliminated and others were maintained. 4. The form showing semantic differentiation is as follows.; eolgemi/dodimi(the size of the hole), bogumchi/daraki(with or without strings),banggachi/hanggachi(female/male), jinggemi/saebangi(size), naepta/ maepta/sigupta(meaning expansion) etc. They exhibit semantic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specific semantics when compared to the standard language or adjacent regions.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본색채어, 분석

        김선희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한국어와 일본어에 발달해 있는 색채어, 중 기본색채어, 를 밝히고 어, 간 형태적 분화 규칙과, 의미적 변이에 관하여 대조 분석한 것이다. 기본색채어, 는 한국어의 경우 붉다, 푸르다, 노르다, 검다, 희다가 속하며 이는 음양오행사상의 우주를 이루는 5가지 요소와 연관 지어 만물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이 5가지 색으로 구분이 된다고 하는 사고에 의한 것이다. 또 이들 기본어, 는 언어의 문법적, 음운적 체계에 있어서도 규칙성이 관찰된다. 문법적으로는 단어의 복합구조를 형성한 합성어, 그리고 접두어, 접미어의 첨가로 발생한 파생어의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의미의 차이도 발생한다. 어, 가 가지는 본래의 의미에 공간적인 범위확대를 나타내기도 하고, 강도, 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또한 어, 적 의미차를 넘어 정서적 의미 즉 감정, 심리적 의미상태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음운적인 특징에 있어서는, 자음, 모음과 같은 어구성의 음운차이로 인한 물리적 색채 특성의명도, 채도의 가감효과를 나타내기도 하고, 의미의 강조, 정서적 의미차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한국어와 달리 あか, あお, くろ, しろ 가 기본색채어, 로 간주되며, きいろ는 어구성, 음운적 특징 등과 같은 언어 규칙에 따라 기본어, 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きいろ로 표현되어야 할 사물에 あか, あお 등으로 표현되는 방언의 예가 발견되고 있다. 일본어의 기본색채어, 는 문법적 요소 특히, 다양한 접두어, 접미어 표현에 따른 미묘한 색채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형용사, 부사도 색채어, 를 수식하는데 사용되어 세세한 의미차를 보인다. 문법적 특징으로 볼 때, 한국어는 단어형태로 의미의 전이가 일어난다고 한다면, 일본어는 구구조로 확대되어 그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 양 언어에서 보이는 큰 차이라 할 수 있고, 또 일본어의 경우는 음운구조의 변이에 의한 의미차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本論文は韓國語と日本語において發達している色彩語彙の中で基本色彩語を明らかにし, これら語彙間に現れる形態的分化規則と意味的變異について對照分析したものである。基本色彩語は韓國語の場合, 붉다, 푸르다, 노르다, 검다, 희다が屬するがこれは陰陽五行思想によるものとされる。また, これら基本語彙には文法的, 音韻的體系における規則も觀察される。文法的には複合構造からできる合成語, また接頭辭, 接尾辭がつけられてできる派生語の多樣な形があり, それに意味差も生じ, 語彙が持つ本來の意味に加えて, 色の表す範圍の擴大, 强度, 濃度の差をもたらしている。このような意味の變異は語彙的意味の次元を越え, 情緖的な意味, 心理的意味の狀態を同時に表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音韻的特徵においては, 語を構成する子音, 母音の違いにより物理的性質の明度, 彩度の違いを現したり, 意味の强調, 情緖的意味差を現すこともある。日本語の場合は, あか, あお, くろ, しろが基本語彙であり, いろいろな言語規則から見てきいろは外れる。文法的要素特に, 多樣な種類の接頭辭, 接尾辭により微妙な意味差を示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が, この他にもいろいろな形容詞, 副詞が色彩語を修飾するのに使われていて, 意味の差を示している。文法から見ると, 韓國語は單語レベルで多樣な意味の轉移を表しているとしたら, 日本語の場合は句構造に擴大されてその機能を袒っている点が相互言語の違いであるということがわかった。また日本語では音韻構造の違いによる意味差は生じない。

      • KCI등재

        ‘괄호’와 ‘쉼표’의 (무)의미 생성 연구—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공라현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0

        김춘수는 1960년대 전후(戰後)의 혼란한 현실 속에서도 ‘무의미시’라는 전복적인 시학을 추구하여 언어적 실험을 통한 텍스트의 절대 자유를 실천한다. 그는 대상으로부터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배제하고 관념과 의미를 소거하여 대상의 기표와 기의 사이의 연결이 해체될 때 무의미 시가 생성된다고 본다. 즉, 무의미는 대상에의 속박에서 벗어난 순수언어의 ‘무한으로의 해방’, 혹은 ‘허무’를 함의한다. 따라서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새로운 시적 의미를 생산하는 것이자 대상이 새로 소생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김춘수는 이러한 무의미시의 언어를 형성하는 시적 장치로서 문장 부호인 ‘괄호’와 ‘쉼표’를 유의미하게 활용한다. 그는 모난 괄호(「 」)를 통해 인간은 관념, 의미 체계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비극성을 환기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은 이 공간에서 고립감과 안전함을 동시에 느낀다. 또한, 김춘수는 주체적인 욕망의 발동으로 인해 발설하지 않고는 못 견디는 은밀한 내면의 목소리와 다중적 목소리를 둥근 괄호(( ))로 표시함으로써 텍스트의 무의미 작용을 강화한다. 다음으로 그는 문장의 종결부에 마침표가 아닌 쉼표(,)를 표기하여 ‘의도적인 미완성’으로 시를 완성한다. 이러한 쉼표의 배치는 ‘의미의 공백’을 만들어 의미의 진행을 유보한다. 이것은 시인이 설계한 일종의 ‘방해’이자 ‘지연’으로서 ‘무의미시’를 구성하는 준거가 된다. 이때 ‘쉼표’는 ‘무한으로의 확장’을 시도하여 김춘수가 갈망했던 허무의 세계로 유도한다. 또한, 김춘수는 물음표(?), 느낌표(!), 마침표(.), 말줄임표(……)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쉼표를 사용하여 그로 인한 ‘자유연상’이 나타나 의미의 그림자들이 분화·확장되는 현상을 다룬다. 이러한 쉼표의 표기는 본래의 부호가 갖는 의미들과 이미지들이 역동적으로 중첩되고 결합되는 무의미 생성과정과 연관된다. 종합하면, ‘괄호’와 ‘쉼표’라는 기표는 언어 기표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의미 작용을 수행하여 무의미시에서 새로운 (무)의미를 생산하는 중요한 시적 기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Kim Chun-su pursues the subversive poetics of ‘nonsense poetry’ and practices the absolute freedom of text through language experiment even in the chaotic reality of the postwar in 1960s. He considered that nonsense poetry is create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of the object is dismantled by excluding history and ideology from the object and eliminating ideas and sense. Nonsense implies liberation to infinity, or ‘nihility’ away from the bondage to the object. Therefore, Kim Chun-su’s nonsense poetry can be defined as producing a new poetic sense and reviving an object. Kim Chun-su uses the punctuation marks as ‘brackets’ and ‘comma’ meaningfully as a poetic device that forms the language of nonsense poetry. He evokes the tragedy that all human beings are born and raised in angulate brackets, so they can never escape from the ideology and sense system that the brackets symbolize. However, humans ironically feel both isolated and secure in this space. In addition, Kim Chun-su reinforces the nonsense creation of the text by indicating the secret inner voice and multiple voices that cannot be endured without speaking due to the invocation of subjective desire with parentheses. Furthermore, he completes the poem with ‘intentional incomplete’ by marking a comma at the end of the sentence, not a period. This arrangement of commas creates a ‘blank of sense’ to reserve the progression of meaning. This is a kind of ‘interference’ and ‘delay’ designed by the poet, which is the reference for composing nonsense poetry. At this time, the ‘comma’ attempts to ‘expand to infinity’ and leads to the world of nihility that Kim Chun-su longed for. Kim Chun-su also deals with the phenomenon in which ‘free association’ appears and the shadows of sense are differentiated and expanded by intentionally using commas where question marks, exclamation points, periods, and ellipsis should be placed. This notation of commas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reating nomsense in which the sense and images of the original punctuation marks are dynamically overlapped and combined. In conclusion, the signifiers of brackets and commas, like the language signifiers, could be an important poetic mechanism for producing a new (non)sense in nonsense poetry by performing independent significations.

      • KCI등재

        어촌 생활어에 나타난 ‘-바리’의 의미 분류와 의미 파생 양상 연구

        김지숙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20

        이 글은 어촌 지역에서 다양한 의미로 실현되는 ‘-바리’를 그 의미 분화기제에 따라 의미 분류를 한 후 ‘-바리’의 결합 환경, 의미적 특징을 고찰해 ‘-바리’의 의미 파생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국립국어원의 민족생활어 사업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한 조사에 근거하여 동해안 지역의 강릉, 경주, 울릉도 어촌에서 조사된 생활어에 나타난 ‘-바리’형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 ‘-바리’는 사전에 제시된 ‘어떤 성질을 많이 지니고 있는 사람이나 그 사람의 성질을 낮잡아 이르는 말’을 중심으로 ‘X를 잡는(채취하는) 행위 또는 X를 하는 사람, X를 잡기 위해 필요한 위치, 도구, 시기와 관련한 행위 또는 잡은 후에 하는 행위, X를 잡는 사람의 능력 또는 속성을 지닌 사람, X의 특정 부분 명칭, X 명칭’으로 의미 구분을 할 수 있었다. 의미 파생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는 처음에는 ‘비바리’와 동일하게 어떠한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다가 점차 그 사람이 갖는 속성과 관계되는 행위로 의미 확장이 일어나면서 지금의 ‘-잡이’의 의미와 유사한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이다. 둘째, 어떤 대상물을 잡는 행위를 나타내는 ‘-바리’는 도구, 시기, 위치 등을 통해 의미적 파생이 일어났다. 이 중 시기는 하루를 기준으로 하면 ‘-치기’와 의미 속성을 공유하고, 절기를 기준으로 하면 ‘-지기’와 의미 속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는 사람을 나타내는 ‘-바리’가 행위로 1차적 의미 파생이 된 후 도구, 시기, 위치 등에 따라 2차 의미 파생이 된 것이다. 셋째, 해녀나 어부들이 하는 일에 대한 능력 또는 그런 속성을 지닌 사람을 ‘상바리, 중바리, 하바리’로 나누었는데 이는 해녀의 능력에 따라 ‘상군, 중군, 하군’으로 나누는 것과 동일한 방식과 의미로 파악되어 ‘-바리’의 의미가 중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단위명사인 ‘바리’와 접미사인 ‘-바리’가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머리, 마리> 바리’의 변화로 나타난 ‘-바리’는 ‘주변머리’와 같은 ‘비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와 한 마리 또는 이천 마리를 의미하는 단위명사로 쓰여 두 개의 수량 단위로 사용된다. 다섯째, ‘다금발+-이’로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물고기와 해조류 명칭에 나타나는 ‘-바리’는 접사 ‘-이’로 볼 수 있다. 이는 ‘-바리’와는 다른 어원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semantic derivations of ‘-bari’ after examining the conjunctive circumstances and the semantic features of ‘-bari’. In doing so, this study classifies semantically ‘-bari’ according to its diversification mechanism, which is realized into various meaning in fishing villag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es carried out from 2010 to 2012 in the national everyday word projec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extracts random samples of the ‘-bari’ types in the everyday words which were investigated in the fishing villages of the east coast areas such as Gangneung, Gyeongju, Ulleungdo. As a result, focused on ‘an underrating word for a man having a certain nature a lot and his natur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dictionary, it is found out that ‘-bari’ has following semantic diversifications: ‘an act to catch(collect) X or a man does X, an act in relation to location, tool, time which are necessary to catch X or an act after catching X, an ability of a man who catches X or a man who has the catcher’s attributes, a name of X’s specific part, X name ’. The aspects of the semantic deriv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bari’ at first equally with ‘Bibari’ was used as a word which refers to a man who does a certain work professionally. And, with the gradual semantic extension into an act related with his attributes, ‘-bari’ comes to have a similar meaning with the today’s meaning of ‘-jabi’. Secondly, ‘-bari’ which refers to an act to catch a certain object underwent a semantic derivation by tool, time, location. Among them, the time shares semantic component in relation to ‘-chigi’ by the one day basis and the lunar calendar's marking of seasons shares semantic component in relation to ‘-jigi’. This means that ‘-bari’ which refers to a man underwent first semantic derivation by an action, and then underwent second semantic derivation by tool, time, location. Thirdly, a man who has some abilities or attributes for the work of Haenyeo(woman diver) or fisherman was diversified into ‘Sangbari, Jungbari, Habari’, which is the same method and meaning with the Haenyeo’s diversification into ‘Sanggun, Junggun, Hagun’ by the ability of Haenyeo. Fourthly, it is found out that unit noun, ‘Bari’ and suffix, ‘-bari’ coexist. The ‘-bari’ appeared by the change of ‘Meori, Mari>Bari’ is used as suffix to add the meaning of ‘belittlement’ like ‘Jubyunmeori’. The unit noun, ‘Bari’ was used as two units of the quantities meaning one fish or two thousand fish. Fifthly, The ‘-bari’ appeared in the name of fish and seaweed, through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analyzed by ‘Dageumbal+-yi’, can be considered as affix ‘-yi’, which also suggests a possibility that its origin is different from that of ‘-ba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