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영국제음악당의 공연콘텐츠 활용방안 : 3D 대안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정훈,강인숙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2002년부터 개최된 통영국제음악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현대음악축제로 평가되고 있다. 2014년 통영국제음악당 개관으로 또 다른 도전을 시작했으며 2015년엔 그간의 성과를 인정받아 국내 최초로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에 선정되었다. 통영국제음악당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아티스트들이 꾸준하게 공연을 이어가는 최적의 자연음향을 자랑하는 클래식 전용공간이다. 그러나 통영국제음악당의 공연콘텐츠는 공연예술의 특성인 일회성과 지역성으로 인해 똑같은 재연이 어렵고, 시간예술이 지니는 제한성 때문에 공연콘텐츠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통영국제음악당은 최근 일부 공연장에서 시도하고 있는 실황콘텐츠의 제작을 통한 제 3지대에서의 관객과의 만남, 이른바 대안 콘텐츠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이루어지는 공연물의 대안 콘텐츠로서의 가치와 잠재력, 생산적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불교음악과 그 대안

        손인애(孫仁愛)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5 No.-

        본고는 코로나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불교음악의 방향성과 그 구체적 대안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기존 방식과 틀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리부트(reboot) 시대로도 예상되듯이, 불교음악도 세상과 진정한 소통, 협업의 마인드로 변화와 혁신을 준비해야 되는 차원에서 현대 불교음악 콘텐츠를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대중음악 콘텐츠’는 현재 광풍을 일으키는 ‘트롯’을 통해 그 성공 요인과 현재 갈망하는 대중들의 음악적 니즈(Needs)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공연 콘텐츠’는 20세기 후반 찬불가와 영산재 콘텐츠로 출발하였지만,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도전, 성공이 지속될 수 있는 환경(교육 시스템)과 인재 양성이 절실한 현실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SNS 콘텐츠는 불교음악과 관계성이 큰 ‘명상음악’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이미 전 세계의 수많은 명상 단체와 음악제작사에서 현대적이며 대중화된 콘텐츠들을 창작 보급하고 있고, 음악 고유의 파동 에너지를 통한 효과적인 내면 치유와 업장 소멸의 원리와 방법론도 엿볼 수 있다. 요컨대, 이제 ‘치유(힐링)’, ‘소통’, ‘공감’이라는 명제가 수행과 음악에서 가장 큰 화두가 되는 시대가 왔다. 불교음악에서도 현대적이고 체계적인 불교음악 콘텐츠 교육과 인재 양성을 통해 전문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종단과 제도권 교육의 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실현 가능한 대업이기도 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direction of Buddhist music and new possibilities for it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Buddhist music faces various challenges. Just as the post-coronavirus age is predicted be as “reboot” age in which the previous frames and ways of doing things will no longer be relevant, Buddhist music, as well, needs to prepare to change and revolutionize itself by embracing true communic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siders Buddhist music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paper considers popular music, examining the elements behind the success of Korean ‘trot’ music and its popularity with the public as well as the musical needs of the people. Second, this paper looks at Buddhist performance, which bega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with Buddhist hymns(찬불가) and yeongsanjae(영산재), but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and nurture talent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innovation, and success of diverse cultural content. The third item discussed is contents on social networks. Modern and popular mediation music, which is deeply related to Buddhist music, is being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ediation groups and music production companies around the world. Also the principles and methods which harness the unique energy of music to effectively treat the soul and remove karmic obstacles can be observed. In our current times, they key words of ‘healing’, ‘communication’, and ‘sympathy’ are the most pressing matters for practice and music. In Buddhist music as well,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s human talent. Through contemporary, systematic Buddhist music education and talent nurturing, we must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future of Buddhist music. Moreover, when Buddhist religious orders and the official sector of education effectively cooperate, such an initiative has the potential to deliver great results.

      • KCI등재

        Smart Education, Creating Music Education Contents : Songs that Express How Beautiful You Are

        Hye Seung Shin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이화음악논집 Vol.19 No.2

        스마트 미디어 시대,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프라 기반조성이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음악교육콘텐츠’를 창작해 보고자 함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음악교육콘텐츠는 교육에 적용될 정보와 자료를 단순히 디지털화 하여 제공하는 차원이 아니라 인문학적 재구성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형태로 구축된 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로써 혁신적인 음악지식의 재생산은 물론 다른 교과들과의 간학문적 성격의 교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을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문화향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를 표현하는 노래들을 핵심으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이 노래들과 연관된 정황들을 추출하여 제시된 지식들 간에 서사적 연결을 갖도록 음악교육콘텐츠를 기획해 보고자 하였다. 시대의 어떤 단면을 대변하는 노래 한곡 한곡은 정적인 음악작품으로서만이 아니라 하나의 동적인 사건이기도 한 복합적 사회문화 현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보여주는 중요한 교육 소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를 표현하는 각 시대의 노래들을 통해 노래 자체만이 아니라 음악을 만들고 향유했던 역사적, 문화적 맥락과 함께 텍스트의 사회학적인 상황을 디지털 환경 안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기술기반과 음악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려는 이 시도를 통해 음악교육의 의미와 역할이 더욱 확대되길, 또한 음악을 중심으로 타 예술분야, 문학, 역사 등과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융・복합 학습콘텐츠로서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특히 음악교육콘텐츠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이 마치 놀이와도 같은 상황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즉 놀이와 학습이 함께 어우러진 교육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디자인함으로써 창의력을 길러주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모델로 자리 잡게 되기를 기대한다.

      • 모바일음악콘텐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양승규,김건아,황성훈,이중정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본 연구는 음악콘텐츠를 생산, 유통, 판매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과연 소비자들의 어떤 인지요인들이 모바일음악콘텐츠 상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모델로는 모바일음악콘텐츠 상품을 정보기술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이러한 정보기술의 수용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기술수형모형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주요 이론적 토대로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모바일음악콘텐츠를 벨소리콘텐츠, 통화연결음콘텐츠, 음악 전곡 다운로드콘텐츠로 유형화하고, 각 분류에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설문을 실시한 결과, 첫째, 회귀분석을 통해 벨소리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차별성, 편재성, 신뢰성, 보안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화연결음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인 경우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차별성, 편재성, 신뢰성, 보안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전곡 다운로드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인 경우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복제가능성, 신뢰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고, 이는 모바일음악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끼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특히 이동통신기기 특유의 콘텐츠와 일반음악콘텐츠의 경우 큰 차이를 구매의도와 독립변수간의 관계에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실용음악 고등교육의 새로운 콘텐츠 개발연구

        유상일(SangIl Ryu),홍성규(SungKyoo H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이 연구는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입시에 맞춰진 교육에서 벗어나 입시가 목적이 아닌 하나의 뮤지션으로서 성장시키기 위한 새로운 교육콘텐츠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의 교육과정으로부터 파생된 공연콘텐츠들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드럼전쟁’이라는 콘텐츠 발표를 통해 또 다른 교육콘텐츠 개발 및 드럼공연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능동적인 참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학교와 학생들에게 창의성 개발 및 음악적인 실력까지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와 기대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타 전공 학생들에게도 드럼전쟁이라는 콘텐츠의 만족도 결과를 통해서 많은 도전 및 타 전공들과 콜라보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이 결과로 서울실용음악 고등학교와 실용음악 고등교육의 새로운 교육콘텐츠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education model to educate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music and to develop them as a musician rather than an college prep student for exams, and to achieve it, analyzed performance contents derived from the curriculum of Seoul Music High School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new contents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Drum Battle for students. Through this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active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 has many positive results and expectation effects such as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mprovement of musical skills. Furthermore, it could be related to the motivation of other students of different musical majors working together for collaborated contents. As a result, it has been a new educational contemporary music contents of Seoul Music High School. In this study, this result was examined through the curriculum of Seoul Music High School.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

        신광철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9

        한국이 문화콘텐츠 강국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 가운데 하나가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창출’이다.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창출은 ‘우리 예술의 콘텐츠화’로부터 시작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현황을 정리하는 한편,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1) 전통음악의 현재적 위상과 전통예술 콘텐츠의 가능성, (2) 전통공연예술 콘텐츠의 현주소와 전통음악 세계화의 가능성, (3) 축제를 통한 콘텐츠화, (4) 전통음악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킬러 콘텐츠의 창출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현재,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민속악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들어서 정악의 경우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악은 정악 나름대로 민속악은 민속악 나름대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전통음악의 문화콘텐츠화를 통한 세계화를 단순히 문화상품 차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 전통음악을 세계시민들에게 나누어줄 문화적 의무의 차원에서 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Introducing On-line Music Room

        Yukiko Fukami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3 음악교육공학 Vol.- No.3

        ‘온라인 음악실’은 (주)교육예술사가 발행한 음악교과서에 게재되어 있는 악보와 해설에, CD음원, LD영상, 새롭게 제작한 음성․동화상 데이터 등을 추가하여 웹 상에 구축한 “음이 나오는 교과서”이다. 이 사이트는 전 교과교사가 음악전공교사와 같은 수준의 수업을 실현하고,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켜 음악의 기초 기본 습득 및 연주 기술의 향상을 지원하며, 게시판과 링크를 통한 정보수집 및 교원간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은 악보와 파트별 연습을 통하여 합창․합주 등의 개인/그룹 연습을 실현하는 콘텐츠이다. ‘전체 듣고 파악하기’, ‘노래 레슨’, ‘반주’, ‘표현하기’, ‘합창하기’, ‘리코더와 함께’, ‘서양음악공부’, ‘지도의 포인트’의 8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등학교 5, 6학년용 16곡이 수록되어 있다. ‘음악연표’는 중학교 교과서의 감상 교재 중 악곡해설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선택하였으며, 일본 음악은 아악을 비롯하여 4작품, 서양 음악은 43인의 작품이 게재되어 있다. ‘일본의 음악’과 ‘세계의 음악’에는 악보, 사진, CD음원, 동화상, 문자를 활용하여, 아악과 세계 15개 지역의 민족음악의 연주형태와 주법, 악곡의 구조, 악기의 구조와 음색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해설은 대상을 아동과 교사로 구분하여 두 단계로 수록하였다. ‘게시판’에는 ‘음악관련’, ‘시스템 관련’의 두개의 범주에 대해 정보교환을 하고 있다. 투고되는 내용은 플러그인과 시스템에 관한 질문, 악곡 및 사이트 등에 관한 질문, 음악실에 관한 의견, 수업에서 사용한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한 질문, 음악교사 지망에 관한 질문, 작곡가 등에 대한 질문, 음악(교육)에 관한 정보 등이다. 초등학교 두 곳에서 온라인 음악실을 사용하여 실험 수업을 한 결과 알게 된 점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음악실’은 문부성이 종래의 패키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인터넷 콘텐츠 개발로 전환한 최초의 모델 사업에 상응하는 것이었다. 음악지도 및 음악학습지원 시스템으로서 최대공약수적인 존재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교사의 역량을 넘어 개인이나 그룹으로 지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일반화된 오늘날, 음악 교과서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가 도움이 됨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콘텐츠의 장점으로서 이하의 점을 알게 되었다. 갱신이 용이하므로 교육현장의 필요를 수시로 반영할 수 있다. 데이터를 서버에 보관해 둘 수 있으므로 DVD등의 미디어로 공급하는 것보다 큰 용량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온라인 음악실’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을 채용하여 데이터 파일이 열람자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지 않으므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학교의 인터넷 보급 상황이 열악하고, 인터넷설정(방화벽의 설정 시)에 의해 음성․동화상 콘텐츠를 열람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열람에 필요한 프로그램(Real Audio Player, Quick Time Player, Shockwave Player등)을 다운로드 할 수 없으므로, 음이 나오지 않거나 동화상을 볼 수 없는 사례가 많았고, 데이터를 읽는데 시간이 걸려 소리는 나지만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콘텐츠의 유용한 활용을 위해서는 학교 내 정보인프라의 정비와 시스템 담당자, 컴퓨터 담당교원, 학교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요구된다. ‘온라인 수업’에 제공되어있는 곡의 수가 적고, 학년 범위가 좁으며, ‘음악연표’, ‘일본의 음악’, ‘세계의 음악’의 내용이 양과 질의 측면에서 불충분하다. 음악의 제요소와 음악 용어에 대한 콘텐츠가 요구된다. 또한, 웹사이트 관리 운영, 콘텐츠 갱신에 대한 예산 조치가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넷트워크 콘텐츠 제공에 대한 부과금의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민간기업, 총무성, 문부성, 경제산업성에 의한 ‘교육용 콘텐츠 통신 플랫폼 형성 협의회’가 2001년 8월에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으므로, “밀레니엄 프로젝트 ‘교육의 정보화’”를 향한 관민협동을 기대해 본다. (번역 및 요약: 안효정)

      • KCI등재

        음악적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이보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for online music listening classes for secondary school learners. In general, unlike face-to-face classes, it is true that discussions for designing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 classes are somewhat insufficient. Accordingly, music listening education e-learning professor content that can be used appropriately for online e-learning content will be developed. To this end, in this study,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strategy for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 was considered, and the musical transfer-based appreciation class model was analyzed. And based on this, after developing a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design form for the listening area in the music subject, it was applied to teach the music of "Good Morning Baltimore" in the musical "Hair Spray." The implications gained from conducting a study on the design of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s classes in the appreciation area to foster such musical transf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so that the instructor's sense of rea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valuation and feedback, and the promised platform for this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so that the learner's interest is maintained without deteriorat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use authorized information and specify the exact source of the cited data. Fifth, learning conn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Sixth, teacher training is needed to produce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Seventh, various devices should be set up in which the learner's musical transition can be triggered. Eighth, classes should be designed in which learners' musical participation can continue. Finally,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n appreciation class where musical characteristics can be well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non-face-to-face music listening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carried out smoothly and that learners' musical transfer ability can be cultivat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감상수업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면수업과 달리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수업 설계를 위한 논의가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음악감상교육 이러닝 교수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를 위한 교수설계모형 전략을 고찰하고, 음악적 전이기반 감상수업모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기반하여 음악 교과 내 감상영역을 위한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을 개발한 후, 이에 뮤지컬 ‘헤어 스프레이’ 중 <굿모닝 볼티모어> 악곡을 교수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적 전이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수업 설계 연구를 진행하면서 얻게 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실재감이 나타나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평가와 피드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약속된 플랫폼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 흥미도가 떨어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 자료 준비가 필요하다. 넷째, 공인된 정보의 활용 및 인용된 자료의 정확한 출처 명시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습 연계성이 특별히 더 고려되어야 한다. 여섯째,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가 촉발될 수 있는 장치가 다양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여덟째, 학습자의 음악적 참여가 지속될 수 있는 수업이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적 특질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감상수업이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비대면 음악감상 교수·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능력이 함양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

        윤성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아래 연구자는 이 연구의 구조를 기초, 설계, 결과로 설계한다. 제2장 연구 기초는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배경,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의 개념 및 단계,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에 대해 고찰한다. 제3장 연구 설계는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성격,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8과정의 설정,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의 적용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4장 연구 결과에서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해,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을 위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의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별 내용 체계,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 방향, 평가 등 4개의 절을 제시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교과교육학자는 교육공학적인 접근으로 가상 현실 교육 콘텐츠를 이해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교육학자는 교과교육학적인 접근으로 음악교과교육의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음악교과교육의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 등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음악 감상 능력 계발의 과정을 정교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for the cultivation of music appreciation ability. Under this goal, the investigator designed the study in a structure of basics, designs, and results. Chapter 2 for the basics of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he concept and stages of raising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hapter 3 for the research design describes the nature of develop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the eight course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principle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m, Chapter 4 for finding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to raise music appreciation ability in four paragraphs cove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o develop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for raising music appreciation ability, the content system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the direction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and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first, music subject educators should understand virtual reality education content in an approach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conduct research on ways to apply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secondly, music subject educato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an approach of subject pedagogy and sophistic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ability as the basi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in music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연구 : 2차적 영상 저작물을 중심으로

        김재원(Jaewon Kim),안남일(Namil An)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8

        음악 실기 교육은 그동안 온라인상의 수업이 쌍방간 전달력과 역량 측정 판별 면에서 미흡할 수 있는 한계로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코로나 19 이후 수업 방침이 비대면 중심으로 정해지면서 음악 실기 교육 또한 온라인상 에서 수업이 편리하도록 형태가 크게 바뀌어야 했다. 음악 실기 교수자들은 비대면 음악 실기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의 음악 저작물을 활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행 저작권법에서는 교육목적의 음악 저작물 이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에 대한 문제가 나날이 대두되고 있는 형편이다. 비대면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를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조사한 결과 첫 번째, 기존 콘텐츠를 활용한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문제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두 번째, 현행 저작권법에서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의 법적 지위와 권리처리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저작인격권의 저작 재산권적 속성으로 인해 이용허락에 따른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의 획득 여부와 관계없이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수업목적 저작물 관련 조항들에서도 권리 간 충돌이 발생하며 수업목적 보상금 기준이 낮아 원저작자의 이용허락을 받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번째, 인터뷰를 통한 사례 연구 결과 저작인접권 침해 가능성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악 실기 교육 콘텐츠 관련 저작권 문제의 법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not been performed a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in Korea. There could be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it is not easy to evaluate the learner s competency. As a result, practical music instructors have adhe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teaching method for the above reasons. However,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classes in domestic education sites have been converted to non-face-to-face online methods, and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also been conducted onlin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non-face-to-face music practical education method, practical music instructors hav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on-face-to-face class by using various types of music creations. However,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has been raised by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for music creations for educational purposes used in non-face-to-face music practice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on the copyright issue of non-face-to-face music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ects practical music education using existing music content will cause more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s. Second, this study conducts the legal status and related rights analysis of music practical education content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This study finds that the current law recognizes the copyright property nature of personal rights of authorship.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copyright infringement may occu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opyright holder has obtained the right to write a secondary work with the copyright holder s permission to use music content. Third, this study reveals a mutual conflict between legal rights provisions in the conditions related to copyrighted works for music classe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it difficult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original author because the compensation standard for the copyright of music class content is still low. Fourth, the case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practical music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examines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opyright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content, proposing solutions by seeking improvement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