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악적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음악 감상과 비평」 교수·학습 방법 연구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하여

        박시은,박진홍 한국음악응용학회 2019 음악응용연구 Vol.11 No.-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음악적 소통역량 함양을 위하여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음악 감상과 비 평」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 감상과 비평, 거꾸로 교실, 음악적 소통역량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음악 감상은 작품의 가치를 음미하는 개인적인 활동이고, 비평 활동은 해당하는 대상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고 분석하는 활동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음악 감상과 비평」은 음악의 가치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로 수용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타인의 표현을 이해, 공감하는 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들 간의 소통이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자들이 꾸준히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수업에서는 소통하기보다는 정 적인 학습 분위기가 조성되어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활용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절차를 구안하고 크게 교실 밖과 교실 안 으로 나누어 수업 설계모형을 만들었다. 교실 밖에서는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되 교사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교실 안에서는 교실 밖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심화 학습과 함께 학습자 간에 소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모형에 따라 쇤베르크의‘바 르샤바의 생존자’와 판소리 다섯마당 중 하나인‘춘향가’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감상과 비평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소통으로 학습자가 타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by using flipped learning in order to cultivate the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learners. To do this, I've looked between the relationship listening to music and criticism, flipped learning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Listening to music is a personal activity that appreciates the value of the work, and criticism is the act of judging and analyzing the value of a given object.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ims to Openly accept the value of music, think critically,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others' express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o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or learners is an important factor, and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But, in the traditional class, rather than communicating, a static learning atmosphere is established.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used the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the research procedure was devised and divided into large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inside of classroom to create a class design model. Outside the classroom, Configure to learners learn individually but communicate with teachers. In the classroom, focused on in-depth learning and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based on what they learned outside the classroom, and Depending on the model,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Arnold Schonberg’s “A Survivor from Warsaw” and “Chunhyangga.” one of the five pansori works, were proposed. The communication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is expected to improve thinking and expression through of the learner interacting with other learners.

      • KCI등재

        음악 교과교실 현대화 모델 개발 연구

        최은식,김일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2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MEST, 2009) has been carrying a plan to enforce the system of various space organization in "department system" in order to diversify class operation and rais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school. A music classroom is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affect the class operation and its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rnized models for music "variation types(B Type)" in schools. In the study, several researches on way to operating classrooms in department system are analyzed, and the FGI i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music teachers' variable demands on music classroom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ver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selected in order to suggest an ideal architectural design and way to operating music classrooms for schools. The model types of music classrooms for "general music classroom", "choral rehearsal room", "band/orchestra rehearsal room", "computer music room", "practice rooms" and "music facility standards" as application plan are suggested and recommended. The grounds for modifying classroom environment facilities should be rearranged and expanded. The enforcement of advanced and modernized system can be satisfying variable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flexible curriculum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improvement of basic competences, management of intensified classes and development & application of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교육과학기술부가 수업운영방식의 다양화와 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입한 교과교실제 활성화정책에 따라 교과교실의 공간구성과 제반시설의 기반 마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음악교과의 경우 다양한 음악활동을 위한 공간조성과 악기 및 교구의 여부가 음악학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요구 및 현황을 파악하고 음악교과교실의 현대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음악교과교실 구성계획과 관련된 연구를 탐색하고, 현장의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FGI)에 기초하여 음악교실 현장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초·중·고등학교들의 음악교과교실 현장실사를 통해 음악교과교실의 공간구성 및 교구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음악교과교실의 유형별 모델과 활용방안, 교구 및 설비기준을 구안하여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및 운영 방안 : 중등학교 음악교사 지망생 및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민경훈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1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정리하면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이란 “건전한 인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심리와 행동발달 상황을 올바로 이해하고,교사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학교의 현장에 연계하여 효과적·효율적으로 적용·실천하며,다차원적인 교육의 현상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과내용학적·교과교육학적 지식은 해당 전공학과 및 교육학에서 습득된다. 그러나 교사양성기관은 교사지망생들이 장래에 학교 교육에서 지도하여야 할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의 해결 방안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느냐 못하느냐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사가 청소년들의 이러한 문제들까지 고민하고 올바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할 때 비로소 교실친화적 교사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인적·인성적 문제에서 예술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일반적인 이론적·교수법적 지식의 차원을 넘어 중등학교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를 다루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학교 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효과를 선행 연구문헌들을 통하여 살펴 본 후,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필요성,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마지막으로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교육과정 개편,교사선발과 지원체제 구축,교사· 강사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마련,프로그램 지원과 개발,교사양성기관과 일선 중등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이 신중히 논의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실친화적 음악교사 양성 및 임용 강화 방안

        조성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4

        A classroom-friendly teacher is a person who can effectively perform educational activities that meet the values and principles in the classroom. They also should have appropriate views and minds on education and general capabilities of expertise and techniques in teaching, counseling students, classroom management, classroom researc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In addition, a classroom-friendly teacher should have the capabilities to absorb and utilize knowledge on music class so tha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help students to learn i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ways to relate education and appointment of a classroom-friendly teacher. To that end, this study considers the required capabilities of a classroom-friendly music teacher, current training curriculum for teachers and appointment system and suggests the ways to reinforce education and appointment of a classroom-friendly teacher. A classroom-friendly teacher can be nurtured by training through human, material, and administrative assistance that the government and training centers of each province provide. It is also expected that classroom teachers can be nurture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by expanding the third round of appointment examin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capabilities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and improving the overall system of the appointment examination. 교실친화적 음악교사는 학교 교육의 현장에서 교육 본연의 가치와 원리에 부합하는 교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른 교육관과 교직태도를 가지고 교과수업, 생활지도, 학급경영, 현장연구, 특활지도, 자기개발 등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등의 일반적인 교실친화적 교사 능력과 더불어 음악교과 내용지식의 습득 및 활용 그리고 이러한 내용지식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이며 효율적, 매력적으로 가르칠 수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의 양성과 임용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실 친화적 음악교사의 능력 요소와 현행 음악교사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현행 음악교사 임용시험 체제 등을 고찰하여 보았고, 교실친화적인 음악교사의 양성 방안과 임용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실친화적 음악교사는 대학의 양성기관이나 각 시·도교육청의 연수기관 그리고 국가의 적극적인 관심 속에 인적, 물적, 제도적(행정적) 지원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양성될 수 있으며,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의 능력과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임용고사 3차 시험의 확대와 임용고사의 전체적인 체제 개선은 교실친화적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음악 교과 수업을 위한 거꾸로 교실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정재은,류미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e paradigm of 21st century education focuses on cultivating talented person for future. In each subject including music,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performed and studied to develop thinking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which ar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talented person. The flipped classroom, inverting the general aspect of classroom teaching, can suggest an effective way to teach in music classroom.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it basically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for learning activities. For the next, individual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all applied in music class. The third, a range of the level of learners is wide. It is possible to take an advanced learning, if the flipped classroom are adapting to music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meaning of flipped classroom,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music curriculum, and suggested a level of music lessons adapting a flipped learning to music classroom. Through this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music class adapting flipped learning are drawn as follows; a learner-centered music lesson, a circulating process for music activities, a extension and change of learning environment. 21세기 교육의 패러다임은 미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각 교과에서는 미래 인재의 핵심능력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교수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일반적인 수업 양상을 뒤집는 거꾸로 교실은 음악교과의 수업에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음악 교과의 수업은 기본적으로 활동을 위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이 모두 가능하며, 학습자의 수준 차이의 범위가 넓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에 거꾸로 교실 이론의 적용이 보다 효율적인 교과 심화학습이 가능하리라 전제하고 음악교과에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거꾸로 교실 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음악교과의 전통적 특성에 대해 제시하고, 거꾸로 교실 이론을 적용 한 음악교실 안과 밖의 수업단계 제시를 통해 거꾸로 교실의 음악교과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거꾸로 교실을 음악 교과에 적용 했을 경우 학습자 중심의 음악수업, 순환하는 음악활동 과정, 학습 환경의 확장과 변화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음악 교과교실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최은식,김일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음악실 공간구성에 관한 기초 이론연구로 음악 교과교실의 현대화에 목적을 두었다. 전국 중등학교로 확대되고 있는 교과교실제 운영체제의 변화에 발맞춰 신축 혹은 리모델링 학교를 대상으로 음악 교과교실의 공간구성과 배치방법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음악 교과교실 공간은 가창실과 기악실을 중심으로 연습실, 컴퓨터음악실, 교사사무실, 보관실 등의 부가적 공간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기능별로 공간을 그룹화함으로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실 공간 구성 및 배치 시에는 공간 활용의 근접성, 소리전달 최소화, 이동거리 최적화, 교사감독의 효율성, 복합 활동 지향성 및 확장성, 공간면적과 음향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음악 교과교실 공간배치 모형 제시를 통해 공간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순환 모델(Rotation model) 간 혼합적 접근에 의한 다중모델(Multiple models) 기반의 블렌디드 중등 음악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김일영(Kim, Il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미래 디지털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의 설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등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순환 모델 간 혼합적 접근에 의한 다중모델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순환 모델의 유형별 수업 설계 방법을 기반으로 ‘스테이션 순환’, ‘거꾸로 교실’, ‘랩 순환’ 모델을 상호 혼합한 다중모델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음악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 설계하였으며, 수업 도구로 AI와 3D프린터, VR 등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였다. 결과 ‘거꾸로 교실과 스테이션 순환’ 혼합의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가정에서 온라인으로 학습한 음악 개념을 기초로 하여, 학교에서 교사의 지도에 따라 협업 음악 활동과 온라인 음악 수업을 병행하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랩 순환과 스테이션 순환’ 혼합의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교사의 직접 교수 방식으로 진행되는 통합수업을 적용하여 교사의 지도하에 음악 협동학습과 온라인 음악학습 및 과제 활동을 순환하도록 설계하였다. ‘랩 순환과 거꾸로 교실’을 혼합한 다중모델 음악 수업은 통합수업을 기반으로 가정 내 온라인 음악학습과 학생 주도적인 음악 연습 및 프로젝트 활동으로 설계하였다. 결론 순환 모델 혼합의 다중모델은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에 수반되는 여러 교육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미래 음악 수업 설계를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application method of multi-models by a hybrid approach between rotation models with the purpose of preparing a plan for blended music teaching and learning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secondary music classes in the future digitized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Methods Based on the class design method for each type of rotation model, multiple models that are mixed by ‘station rotation’, ‘flipped classroom’, and ‘lab rotation’ are proposed, and based on th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were designed, and digital devices such as AI, 3D printer, and VR were used as classroom tool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ulti-model music class of ‘flipped classroom and station rotation’ was designed as a way to combine collaborative music activities and online music classes at school under the guidance of the teacher, based on the concept of music learned online at home. The multi-model music class of ‘station rotation and lab rotation’ is designed to circulate music cooperative learning, online music learning, and task activities under the guidance of the teacher by applying the integrated class taught by the teacher’s direct teaching method. The multi-model music class that mixes ‘lab rotation and flipped classroom’ is designed as an online music study at home and student-led music practice and project activities based on an integrated class. Conclusions The multi-model by mixing between rotation models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accompanying blended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o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diverse and systematic method for future music class design.

      • 음악적 동기유발 과정 이해

        박지현(Park Ji-Hyun)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왜, 어떻게 특정 음악 활동이나 학습을 선택하고 배우게 되는지, 반대로 무엇 때문에 음악 활동을 그만두게 되는지에 관한 심리적 근거인 '동기유발'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음악 활동이나 학습을 하게끔 하는 원천인 동기유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동기유발을 설명하고 이와 유의미하게 관련된 요소들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고, 관련 요소들이 동기유발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동기유발을 설명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각각 동기유발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함과 동시에, 요소들 간에 인과관계를 형성하며 동기유발과 간접적인 상호작용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음악적 동기유발에 미치는 직접적인 관계 요소로는 기대-가치, 자기효능감, 목표구조 등의 인지적 요소 그리고 교실 및 가정이라는 외부적 요소 등을 들 수 있었다. 또한 기대-가치는 자기 효능감과 목표구조를 매개로, 자기효능감은 목표구조를 매개로, 그리고 교실 및 가정 등의 외부 요소는 인지적 요소들을 매개로 동기유발과 간접적으로도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특정 음악 활동을 선택하고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는 다양한 요소들의 복잡한 직접적 및 간접적 상호작용 관계로 유발된다는 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to learn in music activities. Previous literature indicates that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 students'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musical motivation may include internal/individual factors, such as expectancy-value,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external/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school, and teacher. Various internal factors inter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to influence musical motivation. This supports the notion that musical motivation is determined by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우쿨렐레 음악프로그램 개발 및 실효성 연구-사천시 초등돌봄교실 저학년(1, 2학년)을 중심으로-

        채춘자,송미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Ukulele Music Program-Focusing on the Lower Grades (1st and 2nd Graders)of the Elementary Care Class in Sacheon-si-Chunja Chae & Misuk Song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Ukulele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more easily and happily, applied it to an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Sacheon, and studied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Ukulele music program in the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n Gyeongsangnam-do before the outbreak of Corona, the 16th instruction plan was formulated as an improvement pl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this program, children’s intimacy and preference for musical instruments were high. Second, as they played musical instruments through an ensemble, mutual sociality was enhanced. Third, interest in music and artistry improved through Ukulele performance.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Ukulele program in the elementary school care classroom of this study can be confirmed.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used meaningfully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However, as this program is developed and applied to a specific theory and region, there will b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it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follow-up studies in various fields that can verify this. Key Words: Ukulele, Music Program,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Artistry, Lesson Plan 우쿨렐레 음악프로그램 개발 및 실효성 연구-사천시 초등돌봄교실 저학년(1, 2학년)을 중심으로-채 춘 자*ㆍ송 미 숙** 요약: 본 연구는 학생들이 좀 더 쉽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우쿨렐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천시의 한 초등돌봄교실에 적용하고 이의 실효성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 발생 전까지 경상남도 초등돌봄교실의 우쿨렐레 음악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한 후 개선방안으로 16차시 지도계획안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으로 아동의 악기에 대한 친밀도 및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앙상블을 통해 악기를 연주하면서 상호간의 사회성이 높아졌다. 셋째, 우쿨렐레 연주를 통해서 음악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성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초등돌봄교실 저학년 우쿨렐레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특정 이론과 지역에 한정하여 개발하고 적용한 만큼 교육 현장에 전반적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향후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방면의 후속 연구들을 기대한다. 핵심어: 우쿨렐레, 음악프로그램, 초등돌봄교실, 예술성, 수업지도안 □ 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일: 2022년 4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한국우쿨렐레음악교사협회 강사(First Author, Lecturer, Korean Ukulele Music Teacher Association, Email: chchj0117@daum.net)** 교신저자, 진주교육대 체육교육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Jin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Email: 3688sms@daum.net)

      • KCI등재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와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김명자 ( Kim Myeong-j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3 No.-

        필자는 판소리치료 시론에서 밝혔던 판소리치료의 특징을 수정 보완하고 수정 보완된 판소리치료의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판소리 취미교실의 화자A와 화자B, 그리고 판소리치료 교실의 화자C이 사례를 통하여 판소리의 치료적인 요소와 효과를 다음과 같이 밝혀내었다. 첫째, 판소리가 약이라면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한국인뿐만 아니라 국적에 관계없이 그 효험이 있을 것이다 → 이 부분은 앞서 외국인의 사례도 보았고 화자A, 화자B, 화자C 모두 판소리의 효험을 보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들은 판소리를 통해서 생활의 활력을 얻고 있고 미래를 계획하는 창조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둘째, 오랜 세월 집체적으로 쌓인 사설의 깊이가 사람의 감정을 섬세하게 조율할 수 있다. → 화자A는 슬픈 대목을 특히 좋아하고 화자B는 판소리 사설이 자신과 연결되지 않은 것이 없다 할 정도로 그 깊이를 실감하고 있고 겸손하고 감사한 성격으로 변모하게 되었다고 했다. 화자C의 경우 단가 <사철가>와 <강상풍월>을 통해서 인문학 공부를 한다고 생각할 만큼 깊이를 느끼고 있다. 욕심을 내려놔야한다고 느꼈고 조상들의 지혜를 느낀다고 했다. <사철가>의 `그만 먹게`란 사설을 통해서 술을 절제하게 되었다. 셋째, 판소리가 장르의 복합체란 특수성으로 인해 음악치료, 문학치료적인 면이 동시에 수행되고 치료효과도 복합적일 것이다. → 둘째 사례에서 사설로 인한 것은 증명되었고 판소리의 음악적인 부분을 좋아하는 것은 이면이 잘 그려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넷째, 단전에서 토해지는 통성발성법으로 오장육부에 강력한 자극을 주어 몸이 기혈순환은 물론, 근·골격계, 소화기, 순환기 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 이 부분은 판소리치료의 요소 중에 신체적인 부분에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화자B와 화자C의 사례에서 누차 설명한바 있다. 다섯째, 판소리 장단은 기(起)·경(景)·결(結)·해(解), 일어나고 펼치고 맺고 푸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푸는 것이 중요하다. 박은 리듬의 가장 작은 구성요소로 박의 나열은 안정성과 예측성을 느끼게 해주며 이로 인해서 안정감을 강화시켜 준다. → 판소리는 모두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소리로 안정감을 느꼈다면 장단을 특별히 거론하지 않더라도 그 영향으로 생각해야 한다. 여섯째, `소리는 원래 기계문화 이전의 육성(肉聲)문화로써 본인이 직접해야 재미가 나고 사람들과 같이 현장 공유를 한다면 외로움과 우울증, 화병 등의 병증에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부분은 취미교실의 회원들에게 매우 뚜렷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취미교실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 이유로 `사람`을 꼽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판소리 활동 사례를 통해서 판소리의 치료적인 면은 호흡과 발성, 음악, 사설, 장단 등 판소리의 구성 그 자체가 치료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단체별로 보았을 때 판소리 취미 교실이나 판소리치료 교실 모두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와 효과가 다 발견되는데 이것은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가 판소리의 본래 기능에서 오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단지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를 염두에 두고 판소리 전수가 되는 판소리치료 교실은 판소리 취미 교실에 비해 판소리치료의 효과가 훨씬 강력하고 빠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author has made corrections to and improved the claims in her previous essay about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Building on her theory regarding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through case studies of Participants A and B in her Pansori hobby class and Participant C in her Pansori therapy class, the author has found the following therapeutic elements and effects of Pansori. First, as a medicine, Pansori will be effective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s situation) not just for Koreans, but regardless of nationality. We have previously seen case studies involving foreigners, and Participants A, B, and C have all been seen to be experiencing the efficacy of Pansori. Second, the depth of the narratives in Pansori, developed collective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finely tune a person`s emotions. Participant A particularly enjoyed sad passages, and Participant B keenly felt the depth of the Pansori narratives, even going so far as to say that no part of it was unconnected to him and that his character had been transformed into a humbler and more thankful one. Participant C felt the depth of Pansori so much that, through the short songs “Sacheolga” and “Gangsangpungwol,” he felt as if he were studying the humanities. He also felt that he should let go of greed and that he could feel the wisdom of the ancestors. Moreover, he reduced his alcohol consumption after listening to the “Stop Consuming” passage in “Sacheolga.” Third, because of the Pansori genre`s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being many-sided, its therapeutic effect will also be many-sided, with its music therapy and literary therapy aspects being administered simultaneously. In the second study, the effects were shown to derive from the narrative aspect, and it seems that people like the musical aspect of Pansori because it depicts the inner psyche well. Fourth, whole-body vocalization, originating from the lower abdomen, strongly stimulates the internal organs and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lood circulati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igestive system. This feature is most central to the physical aspect of Pansori therapy and has been discussed repeatedly in the case studies of Participants B and C. Fifth, Pansori`s rhythm is in the form of “Gi, Gyeong, Gyeol, Hae”; that is, rise, spread, tie, and loose, and of these, the loosening part is the most important. The beat is the smallest element of rhythm, and so the arrangement of the beat gives a sense of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ereby strengthening the participant`s own sense of stability. As Pansori is made up of rhythms, if a sense of stability is felt through Pansori, even if the rhythm is not commented on prominently, its effect should be considered. Sixth, Pansori is part of the natural voice age that preceded the machine age, and so it is only fun if a person takes part directly and experiences it live with other people; this may lead to therapeutic effects in people suffering from loneliness, depression, and nervous disorders arising from pent-up anger. This aspect is very apparent in those participating in the Pansori hobby classes, and those who continually take part in these classes give “people” as their main reason for continuing to take part. In conclusion, through the case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breathing and vocalization, music, narrative, rhythm and structure of Pansori, group activity) themselves have therapeutic effects. Both the Pansori hobby classes and Pansori therapy classes have therapeutic effects, and these effects seem to come from the essential nature of Pansori itself. It was also confirmed that Pansori therapy classes, which go more deeply into the study of Pansori with a focus on its therapeutic aspects, had much stronger and more rapid therapeutic effects than Pansori hobby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