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본주의 리얼리즘’과 한국 소설의 상상력-윤고은 소설 세 편을 중심으로-

        신성환 ( Shin Sung-hw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코로나 팬데믹은 자연적이고 우발적인 재난이 아니라, 세계 자본주의 활동을 통해 발생하고 확산된 사회경제적 재난이다.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 개념은 재난이 열어젖힌 자본주의 시스템의 틈을 균열 내어 새로운 공동체와 사회계약을 상상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논문에서는 자본주의가 유일하게 존립 가능한 정치경제 체제이며 자본주의 바깥의 어떤 대안을 상상하는 것조차 불가능하다는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세계관이 윤고은 소설 세 편 속에서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부재함으로써 존재하는 대안적 희망을 구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윤고은 소설의 상상력은 현실을 지배하는 자본과 상품화의 논리를 정확히 관통하여, 자연화된 환경으로서의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조건을 강조한다. <부루마불에 평양이 있다면>에서는 통일조차 투기적 욕망으로 인식하는 비즈니스 존재론, < Q >에서는 외부도 중심도 없는 자본주의의 담장에 갇혀 고갈된 소설적 상상력, <월리를 찾아라>에서는 자본주의의 폐쇄적인 미로에서 이음새를 탐색하는 청년 세대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소설은 대안적 상상 행위의 연습이고, 자본주의가 표방하는 상투적인 언어와는 다른 것을 숙고하고 창안하며, 자본주의가 만들어냈지만 만족시킬 수 없는 욕망의 차원을 다루면서 우리 세계를 외삽하거나 세계가 악화된 모습을 그려낸다. 윤고은 소설의 인물들은 자본주의 상품 논리에 철저히 포획되어 자본주의 바깥을 상상할 수 있는 힘을 잃어버린 듯 보이지만, 이러한 공백 상태를 그대로 드러내거나 자본주의의 약속이 결코 지켜지지 못할 것을 암시하면서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공황 상태를 폭로한다. Corona pandemics are not natural and accidental disasters, but socioeconomic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and spread through global capitalist activities. This paper sought to find the implications of imagining new communities and social contracts through contradictions in the capitalist system exposed by disasters in Mark Fisher’s concept of ‘Capitalist realism’. Specifically, the world recognition of ‘Capitalist realism’ was discussed in Yun Go-eun’s novel and examines how the missing social imagination is implemented in three novels by being included in the capitalist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a glimpse into the reality of hope. In 「If there is Pyongyang in ‘Blue Marble’」 the theory of business existence that recognizes unification as a speculative desire, in 「Q」 the novel imagination depleted from capitalism without external or centrality, and in 「Where’s Wally?」 analyzed the young generation’s search for gaps in the closed maze of capitalism. The novel is an exercise of alternative imaginative behavior, deliberates on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cliché of capitalism, and deals with the desire that capitalism has created but cannot satisfy. Yun Go-eun’s characters seem to have lost the power to imagine outside capitalism because they were thoroughly captured by capitalist product logic, but they criticize the panic of ‘Capitalist realism’, revealing this vacuum or hinting that capitalist promises will never be kept.

      • KCI등재

        재난 서사에 담긴 종교적 상징과 파국의 의미 ― 김애란, 윤고은, 정용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

        김지혜 ( Kim Ji-hy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0

        2000년대 이후 우리사회에는 세계의 파국을 담고 있는 묵시록적 재난 서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 경제, 종교적 분쟁과 질병, 그리고 환경재난 등에 기반하고 있는 이러한 재난의 상상력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시스템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공포를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재난 서사는 위협의 존재를 명확하게 포착할 수 없는 현대 사회의 `포보포비아(phobophobia, 공포에 대한 공포증)`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구약성경의 심판을 모티프로 하고 있는 김애란, 윤고은, 정용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종교적 상징과 파국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성경에 등장하는 묵시록적 심판은 금기에 대한 처벌을 통해 질서와 규율을 바로잡고, 하나님과 인간의 언약을 굳건하게 하는 `정화`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들 소설에서는 성경 모티프를 차용하여, 신의 언약과 정화가 부재한 현대사회의 불안과 공포를 그려내고 있다. 노아의 방주를 패러디한 김애란의 「물속 골리앗」은 거대한 홍수 속에 남겨진 소년의 서사를 통해 국가가 실종된 `액체시대`에 철저히 고립된 개인의 문제를 보여준다.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은 재난의 공포와 고통까지도 상품화하는 현상을 통해 인간의 비틀린 욕망을 포착한다. 이 소설은 구약성경의 예언자 요나와 이름이 같은 주인공 `요나`를 등장시켜 재난을 경고하는 묵시록적 서사를 취하고 있다. 재난 상품을 점검하기 위해 파견된 재난 여행 프로그래머 요나는 돈벌이를 위해 인공적 재난을 만들려는 자본주의의 권력에 맞서다 죽음을 맞이하지만, 그의 죽음 역시 재난 여행 상품에 활용되고 만다. `요나서`의 재앙은 부패의 정화로 이어졌으나, 이 소설 속 재난은 생명과 공포 역시 상품으로 재탄생하는 신자유주의 사회의 거대 자본의 논리를 비극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이 된다. 요나의 서사는 신자유주의 사회의 거대 자본의 논리의 폭력성과 그로 인한 파국에 대한 경고를 독자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다른 차원의 `계시` 기능을 하고 있다. 정용준의 『바벨』은 인간의 교만함과 타락을 다룬 `바벨의 탑`과 노아의 방주, 요나 모티프를 패러디하여 언어를 뛰어넘고자 하는 욕망을 인류 종말과 연결시켜 보여주고 있다. 소설에서는 잘못된 과학 실험을 통해 인간의 말이 펠릿(pellet)이라는 물리적 형태로 전환되는 파국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이 소설은 인간의 교만함을 경계하는 성경과 달리 국민들을 침묵하게 만드는 폭력적인 국가 권력을 비판함으로써 잘못된 권력이 초래할 수 있는 재앙의 공포를 전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성경의 재난과 심판 모티프를 차용하고 있는 이들 소설에서는 기독교적 의미의 심판이 지닌 `정화`의 기능을 소거한 채 현대사회에 대한 파국적 상상력을 비극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들은 심판자로서의 신이 부재한 시대의 불안과 공포를 드러내는 한편, 신을 대신하여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정치적, 경제적 권력자의 폭력에 대한 비판을 담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김애란, 윤고은, 정용준의 소설을 통해 살펴본 재난 서사는 불안정한 폭력이 난무하는 우리 사회를 향한 암울한 전망이자 경고의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Since the 2000s, our society has shown remarkable apocalyptic disaster narratives containing the world catastrophe. Such imagination of disaster based on political/economic/religious disputes, diseases, and environmental disasters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includes vague anxiety and fear of system threatening the survival of mankind. The disaster narratives show `phobophobia` of modern society where the beings of threat cannot be clearly captured. This paper considered the meanings of catastrophe and religious symbolism shown in Korean modern novels, focusing on novels by Kim Ae-Ran, Yun Go-Eun, and Jeong Yong-Jun, with a motif of judgment in the Old Testament. The apocalyptic judgment shown in the Bible plays a function of `purification` like correcting the order and rules through punishment for taboo, and also strengthening verbal promises between God and human. However, borrowing the motif of the Bible, these novels describe the anxiety and fear of modern society with absence of God`s verbal promise and purification. Kim Ae-Ran`s 「Goliath in the Water」 parodying Noah`s Ark shows an individual completely isolated in `liquid time` when states disappear through the narrative of a boy left in the middle of a huge flood. Yun Go-Eun`s 『Travelers at Night』 captures humans` twisted desires through the phenomenon of commercializing the fear and pain of disaster. This novel shows the apocalyptic narrative to warn disaster through the appearance of a main character `Jonah` in the same name with a prophet Jonah of the Old Testament. A disaster tour programmer, Jonah who is sent to inspect the disaster product dies by fighting against the capitalistic power aiming to create artificial disaster for making money, and the death is even used for the disaster tour product. Even though the disaster of `The Book of Jonah` was led to the purification of corruption, the disaster of this novel becomes a symbol tragically showing the logic of massive capital in neo-liberalistic society where life and fear are reborn as products. Jeong Yong-Jun`s 『Babel』 parodying the motif of Jonah, Noah`s Ark, and `Tower of Babel` dealing with humans` arrogance and corruption, shows that a desire for exceeding language becomes the grounds for the end of mankind. The novel describes a situation of catastrophe in which human`s language is changed into a physical form as pellet through a wrong scientific test. Contrary to the Bible showing humans` arrogance, this novel shows the fear of disaster caused by a wrong power, by criticizing the violent state power that makes people silent. Like this, modern novels borrowing the motif of disaster and judgment of the Bible show the anxiety and fear of the time with the absence of God as a judge, and also contain the violence of political/economic men with great power in place of God.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자본과 죽음 - 김애란, 윤고은, 김영하의 소설을 중심으로

        김지혜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2

        This study analyzed death in modern novels since the 2000s, focusing on ‘Vita Capitalism’, to explore how death discourse is changing in the era of transnational capital- ism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Kim Ae-ran’s “My Life is Pit-a-pat” (2011), Yoon Go-eun’s “The Disaster Tourist”(2013), and Kim Young-ha’s “Goodbye” (2022) as the subjects for analysis. In "My Life is Pit-a-pat”, Arum’s compressed aging and death with progeria make us think about the human life captured by the modern medical system and capitalism. “The Disaster Tourist” deals with the issues of life, death, and capital through hypothetical dark tourism. This novel shows the power of transnational capitalism, which commercializes death while showing the late modern ‘banalization of death’ through a fake disaster project. And “Goodbye”, a science fiction novel, asks about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in the post-humanism era through the existence of a humanoid indistinguishable from humans. In this way, the three novels show the human body and death caught in the huge net of capital. As such, the three novels show the human body and death caught in a vast trap of capitalism. As such, life and death in contemporary novels exist within the power of capitalism.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novel prove themselves to be human within the power of capitalism by creating their own stories. Human life, from birth to death, is like a story with a beginning and an end. The story of humans confirms the individual existence of humans, makes human vulnerability valuable, and transforms its finiteness into infinity. 본 연구에서는 초국가적 자본주의의 시대이자 인공지능(AI)의 시대에 죽음 담론 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를 고찰하기 위하여 ‘생명자본(vita capitalism)’을 중심으 로 2000년대 이후 현대소설에 등장한 죽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죽 음의 문제를 담고 있는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2011),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2013), 그리고 김영하의 『작별 인사』(2022)를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두근두근 내 인생』에서는 조로증에 걸린 주인공 아름의 압축적 노화와 죽음을 통해 현대 의학 체계 및 자본주의 내에 포획된 인간 생명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면, 『밤의 여행자들』은 가상적인 다크 투어리즘을 통해 생명과 죽음, 그리고 자본의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가짜 재난 프로젝트를 통해 지그문트 바우만이 말한 후기 근대의 ‘죽음의 범속화(Banalisierung)’를 보여줌과 동시에 죽음마저 상품화하고 있는 초국적 자본주의의 위력을 보여준다. 그리고 SF소설인 『작별 인사』에서는 인간과 구 별할 수 없는 휴머노이드라는 존재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생명과 죽음의 의 미를 묻고 있다. 이처럼 세 소설에는 거대한 자본의 그물망에 걸려든 생명자본으로서 의 인간의 신체 및 죽음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최근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과 죽음은 자본주의의 권력 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소설 속 인물들은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이러한 자본주의 권력 내 에서 스스로 인간임을 증명해 내고 있다. 탄생에서 죽음으로 가는 인간의 생은 시작 과 끝이 있는 이야기와 같다. 이야기는 무한한 시간 속의 유한한 존재인 인간이 자신 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확인하는 중요한 매개라고 할 수 있다. 인간들의 이야기는 인 간의 개별적 존재를 확인시키고, 인간의 취약성을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며 그 유한 성을 무한성으로 변모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현대소설 속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사회에서 고민하고 있는 인간적 삶과 생명의 문제 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외부 없는 세계의 여행 서사 -2000년대 해외여행서사에 나타나는 억압과 탈주

        김세정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6

        본고는 2000년대 해외여행서사에 나타난 유동적 근대의 양상을 지도적 국경의약화와 내면적 국경의 강화라는 징후로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탈주/월경의 문학적 상상 양상을 살펴본다. 2000년대 해외여행서사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인식한것은 비장소성과 익명성, 그리고 기존의 여행서사의 여행구조를 벗어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착-떠남-장착 플롯을 벗어나 2000년대 여행서사들의 구조는 귀환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유동하는 근대의 증후군이었으며, 이러한 현대가 주체를 내적인 본향의 자리가 결여된 존재로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특성들은 지도적 국경의 약화와 이에 반하는 내재적 경계의 강화를 드러내는데, 이 내재적 경계는 슬럼이나 게토라는 공간적 측면과 혐오와 공포의 정서라는 심리적 측면이 함께 한다. 여행자들은 떠나지만 다시 벽 안으로 들어서는데 그것은 ‘방’과 ‘길(미로)’의 모습으로 펼쳐진다. 이 속에서 그들은 철저하게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서지만, 그것은 곧 유동적이고 압축적인 지구화된 세계의 경험과 다르지 않다. 밖을 향해 탈주하지만 결국 더 견고하고 거대한 틈 안에갇혀있다는 것은 인식하는 것은 이 서사들에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떠났지만 다시 갇힌 존재로, 그러나 정착할 수 없는 존재로 구성되는 주체는 나름의 방법으로 다시 한 번 탈주를 준비한다. 일부는 잃어버린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 입사의 의식을 완주하여 불안을 넘어서고 기억을 통해 고유성을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이웃을 향한 애도와 배려를 잊지 않음으로써 갇힘 벽에문을 내거나, 성실하게 이동을 지속하는 신체의 물리적 경험을 지속하며 비효율적이고 서툴지만 끈덕진 ‘통역’, 곧 소통을 위한 인내와 배려를 지속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 소유의 불안정성을 적극적 무소유로 향유하는 유목의 삶의 방식을 지속하기도 한다. 현재 우리가 놓여 있는 곳은 마치 ‘국경의 밤’과 같다. 명확한 선은 보이지 않아도 경쟁과 혐오로 그은 무수한 선들이 어디서든 우리를 억압한다. 소설 속 인물들은 열림 공간 속의 벽과 선에 대한 인식을 통과하여 월경의 상상력으로 나아간다. 아마도 소설은 끊임없는 이 상상력의 역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fluid modernity in the overseas travel narrative in the 2000s as a sign of weakening of the leading border and strengthening of the inner border, and examines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breakout / menstruation corresponding to it. Recognized as a distinguishing feature of overseas travel narratives in the 2000s is their non-placement and anonymity, and the structure of the travel narrative. Unlike traditional travel narratives, which consist of a circular structure of origin return, which is usually a settlement-leave-mounted (snacks-travel-snacks) plot of travelers, the structure of travel narratives in the 2000s is omitted. It is the modern syndrome that flows that can be read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 that this modern constitutes the subject as being without the place of inner home. On the one hand, these traits reveal the weakening of leading border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rinsic boundarie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spatial aspects of slum or ghetto 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aversion and fear. Travelers leave but enter the wall again, unfolding in the form of a room and a path. In this they enter themselves thoroughly, but it is no different from the experience of a fluid and compact globalized world. It is common to these narratives to escape outward, but eventually realize that they are trapped in a stronger, larger gap. The subject, who is departed but trapped again, but cannot settle down, prepares to escape again in his own way. Some want to acquire a unique position by completing the consciousness of entry to reconstruct their lost identity. Others continue the physical experience of the body, which continues to move in good faith, and continue to be inefficient and clumsy but persistent “interpreters,” patience and consideration for communication. It also continues the nomadic way of life, which enjoys the instability of ownership with no active ownership. The place where we are now is like 'border night'. There is no clear line, but the world, which has drawn a myriad of lines with more hate and disaster, is an open cell. In any case, the perception of the walls and lines leads to the imagination of Crossing the border. The novel cannot be free from the power of this endless imagination.

      • KCI등재

        ‘카지노 세계’에 연민은 없다-2000년대 금융자본주의와 한국소설의 대응-

        한만수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현대소설연구 Vol.- No.68

        This article roughly examines how Korean novels are responding to financial capitalism, which has been brought to Korea since the so - called IMF crisis in 1997. Financial capitalism is pushing the economy of mankind to the catastrophe by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the rich and poor, the nickname of casino capitalism.Resistance to this is also being done on a global scal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ocioeconomic areas such as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basic income and Tobin tax are some of the attempts.. Exploitation taking place in financial capitalism, unlike the capitalist agricultural or industrial capitalism does not look good in the eyes, the force is more powerful and widespread.It is not just a matter of the economy, it is also a problem that is closely related to ethics and morals of conscience. In the 2000s, Korean novels also deal with this poverty very heavily, and this paper analyzed and analyzed the works of Yeom Seung-suk, and Yun Go-eun. Kim Aa-ran describes the suffering of poverty by introducing occupations familiar to the unemployed and his generation, such as part-time students and lecturers. This phenomenon is common to most of the poverty novels in the 2000s, and the exceptional one is Yeom Seung-suk, and Yun Go-eun's work. Yeom Seung-suk‘s <NOWHERE MAN> depicts the process of bankruptcy of both low-education self-employed father and son. Over time, it shows that poverty has become worse, and has extended the fictional area to the lives of people who are far away from writers in generations and education. It extended the novel sphere to the less educated and older generations than most of Korean writers. The Night Travelers introduce a person who is suitable for showing the global character of the capital movement, a middle executive who works for the third world branch office of a midsize company, and accuses the inhumanity through narrative and symbolism. It is very impressive that this company is making a third world sinkhole artificially, selling this artificial disaster as a travel product and accumulating profits, and setting up the hero's labor to serve it. Common to all three writers, and thus possibly flaws in the 2000s novels, defects, There are two kinds of things. First, it failed to draw the cause of poverty, the mechanism of financial capitalism.I wonder if these novelists would make a fund manager appear. Second, there is no search for outside of capitalism.Even the Third World, which Yoon Eun is drawing, is entirely subsumed to capitalism, and there are no alternatives to the globalization of poverty, which is being tried variously even in conservative camps. In short, readers of Korean fiction in the 2000s will not know at all about the cause and way out of their suffering poverty, but this topic is being explored very actively in reality.I think this divergence is one of the forces that let readers get away from Korean novels. 이 글은 1997년 소위 IMF사태 이후 한국에도 본격 도입된 금융자본주의에 대해 한국소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점검한다. 금융자본주의는부익부빈익빈의 세계화를 추동하면서 인류의 경제를 파국에 몰아넣고 있어카지노자본주의라는 별명까지 얻고 있다. 이에 대한 저항도 지구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으니, 협동조합․사회적 기업 등 전통적인 사회경제의 영역 말고도 기본소득․토빈세 등의 제안들이 그 일부이다. 카지노자본주의에서 일어나는 수탈은 농업자본주의나 산업자본주의와는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그 힘은 훨씬 강력하며 광범위하다. 또한 이는 단순한 경제의 문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윤리나 양심 도덕 등과도긴밀하게 관련되기도 한다. 2000년대 한국소설은 이 빈곤문제에 대해 큰비중으로 다루고 있지만 막상 빈곤의 원인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했다. 이 글은 김애란을 살피면서 빈곤소설의 주요한 경향을 비판하고, 그 경향에서 자유롭지는 못하지만 나름의 변별점을 지니는 사례로서 염승숙과 윤고은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빈곤소설의 방향을 제시한다. 염승숙의 「노웨어맨」은 저학력의 자영업자가 2대에 걸쳐 파산하는 과정을 그린다. 아버지 세대보다 아들 세대에 빈곤화가 더 심화되었음을 보여주며, 문학담당층과 거리가 있는 자영업자라는 직업에까지 소설적 영역을확장시켰다.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은 중견기업의 제3세계 지사에 근무하는 중간간부라는, 자본운동의 세계성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인물을 등장시키고, 서사와 상징을 통해 그 비인간성을 고발한다. 이 기업이 제3세계에 인공적으로 싱크홀을 만들고 이 인공재난을 여행상품으로 팔아 이윤을축적하며, 주인공의 노동이 이를 위해 복무한다는 설정이다. 세 작가에게 공통적인, 아마도 2000년대 소설 전반에 해당될 수 있을, 문제점이라면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빈곤화를 가져오는 원인, 즉 금융자본주의의 메커니즘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했다. 둘째, 자본주의의 외부에 대한 모색이 전혀 없다. 윤고은의 제3세계조차도 완전히 자본주의에 포박된 상황으로만 그려지며, 보수진영에서조차 다양하게 시도되는대안적 흐름도 보이지 않는다. 결국 2000년대 한국소설을 읽는 독자는 빈곤화의 원인과 탈출구에 대해서 전혀 알 수 없게 된다. 현실의 인접학문과대안운동이 그 원인과 대책을 활발하게 모색하고 있음과 매우 대조적이다. 이 괴리는 한국소설로부터 독자들이 멀어져가게 만드는 힘 중 하나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