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정육묘장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 종 및 관리현황

        강택준,조명래,김형환,안승준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하고 있어, 기존 자가로 유묘를 생산하던 농가에서는 공정육묘장에서 생산된 플러그묘를 활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육묘산업 보호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관리적 기반 구축이 필연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종자에서부터 육묘단계까지 병해충 관리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한 공정육묘장의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병해충 관리 종합 매뉴얼 개발 필요하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의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1년 논산, 안성, 평택, 밀양 등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대상으로 육묘장내 해충 발생 및 피해 현황을 조사하였다. 육묘장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목화진딧물, 총채벌레, 복숭아혹진딧물, 가루이 등으로 육묘장내 재배 작물, 주변 식생 및 관리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六妙法門』의 수행체계 연구

        영원(승려)(Ven. Young Won )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1 종교문화학보 Vol.8 No.-

        『六妙法門』은 천태지의(天台智顗)가 瓦官寺에서 『次第禪門』이라는 점차 지관을 설한 후 두 번째로 설한 止觀法門이다. 天台의 중요한 세 가지 관법인 三種止觀 가운데 不定止觀의 修行法을 대표한다. 不定止觀이란 돈(頓)·점(漸)의 법문을 서로 교차하여 얕은 行法은 깊게 하거나, 또는 높은 行法을 낮게 이용하기도 하는 방법이다. 천태지의는 『六妙法門』을 설해놓고, 그후에 『法華玄義』와 『마하지관』에서 이 『六妙法門』의 내용에 대해 “六妙門이 不定止觀을 담고 있다”고하여, 근기에 따라 자재로 적용하는 지관수행법임을 밝히고 있다. 『六妙法門』에서는 경전상 설해진 모든 선법을 數․隨․止․觀․還․淨의 六妙門에 거두어들인 후에 이를 十門에 걸쳐 일정한 단계와 차례를 구별하지 않고 중생의 근기와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實修行에서 각자에게 가장 알맞은 수행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六妙門은 『안반수의경』의 핵심 내용인 數息․相隨․止․觀․還․淨, 즉 六事 행법이 기초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계에서 열반을 증득할 수 있는 妙門이 된다하여 六妙門이라 한다. 『六妙法門』의 수행체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안반수의경』의 六事 행법은 六事 각각이 별개의 수행법이 아니라 해탈을 얻기 위해 각각의 단계가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하나의 완성된 수행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자는 이러한 『안반수의경』의 六事 행법을 통하여 四禪을 성취하고 37助道品을 성취하여 깨달음을 얻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안반수의경』은 석존이 직접 행한 수행방법을 잘 전승했다고 평하는 중요한 경전이다. 『六妙法門』에서는 이러한 『안반수의경』의 근본 수행체계를 계승하면서도 실제 수행법 적용의 측면에서 대승 止觀法門의 자재한 禪法으로 전환하고 있다.『육묘법문』의 수행법은 『안반수의경』의 수행법을 수용 변용하고 있다. 六妙門은 三種止觀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나 『六妙法門』은 不定止觀의 法門이다. 不定의 의미는 수행의 계위나 순서의 부정, 수행자의 근기부정, 하나의 법이 나머지 5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석존의 깨달음에 핵심적 계기가 되었던 數息觀은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禪法의 기초로서 여러 경론에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數息觀이 『안반수의경』에서 六事라는 개념을 통해 열반에 이르는 하나의 완성된 수행체계로 이루어지고, 『안반수의경』의 구조와 수행체계가 『육묘법문』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고찰했다. 천태지의는 六事 行法을 大乘의 理法에 의한 대승선법을 포괄하여 대승 止觀 체계로 전환시켜 六妙門을 圓敎의 실천체계로 다양하게 풀어내고 있다. 이는 止觀法門에 의해 다양한 근기를 교화하기 위한 天台智顗의 慧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六妙法門』은 초기불교의 선법과 대승선법이 하나의 禪法 체계 안에 어울려 있으면서 근본불교의 禪定수행법을 대승의 禪法체계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According to both Hīnayāna and Mahāyāna Sūtra, there are various ways of meditation to reach infinite(究竟). On the other hand, T’ien-T'ai Chi-i unified all the meditations to reach infinite in one method for various capacities (根機), using variable application of mindfulness(不定止觀), which is one of “Three Forms of Meditation”(三種止觀) in Chih-i’s teaching. It is called ‘Six Wonderful Gates(六妙門)’. ‘Six Wonderful Gates(六妙門)’ was teachings of Hīnayā meditation, nevertheless Chih-i changed it to Mahāyāna meditation to help the various capacities to reach infinite. Based on 『Six Wonderful Dharma Gates(六妙法門)』, various meditations are absorbed into the meditations of Perfect Doctrine(圓敎). Variable application of mindfulness(不定止觀) uses both sudden(頓) and gradual(漸) Methods of Conversion to intersect the Conditioned things(行法) for the various capacities. ‘Six Wonderful Gates(六妙門)’ presents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Hīnayā Buddhism to maintain suited body and mind for meditation. Six Wonderful Dharma Gates(六妙法門)』 follows the fun- damental teachings of 『Anapanasati』and it converts the meditation of Hīnayā to Mahāyāna meditation. Although ‘Six Wonderful Gates(六妙門)’ has characteristics of Three Forms of Meditation(三種止觀), 『Six Wonderful Dharma Gates(六妙法門)』 mainly focuses on variable application of mindfulness(不定止觀). The word ‘variable’ refers to: 1)Variable stages of meditation, 2)Variable orders of meditation, and 3)Variable meditators, meaning various capacities of all human beings. Thus, Anapanasati is the foundation of all different types of meditation reference to both Hīnayā and Mahāyāna Buddhist Sūtras. General ideas of Anapanasati is to accomplish the perfect systems of meditation in the text according to 『Anapanasati』. 『Six Wonderful Dharma Gates(六妙法門)』was influenced by the text, 『Anapanasati』and T’ien-T'ai Chi-i who adopted the ideas of 『Anapanasati』, which is most important preliminary practices for attainment of the four absorptions and converted it to Perfect Doctrine(圓敎) for various capacities(根機) to attain the enlightenment.

      • KCI등재

        파프리카 육묘기간 및 육묘블록의 크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최경이(Gyeong Lee Choi),조명환(Myeung Whan Cho),정재완(Jae Woan Cheong),노미영(Mi Young Roh),이한철(Han Cheol Rhee),강윤임(Yun im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파프리카 공정육묘시 육묘일수와 적정 육묘소요면적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묘블록의 크기를 5 × 5㎝, 7.5 × 7.5㎝, 10 × 10㎝로 달리 하여 25, 30, 35, 40, 45, 50일간 육묘하는 시험처리를 하였다. 묘소질은 25일 육묘시에는 육묘블록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면 5 × 5㎝ 블록처리에서 나빠졌다. 7.5 × 7.5㎝와 10 × 10㎝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을 제외한 생육은 차이가 없었다. 정식이후 생육은 정식 후 35일까지는 육묘기간이나 블록크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빠졌다. 개화시기도 35일 육묘처리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이후 육묘기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화가 지연되었다. 수량은 30일과 35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이상 육묘할 경우 육묘기간이 길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on seedling quality and fruit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Seed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were sown in rockwool plugs. Seedlings were transferred and grown to the rockwool block different sizes: 5 × 5, 7.5 × 7.5 and 10 × 10 ㎝ at sowing after 15 days. The plants were transplanted by 25, 30, 35, 40, 45 and 50 days we planted the seeds to the rockwool slabs. Seedling growth was not influenced by block size in the 25 day old plant, since then growed poorly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in the 5 × 5 cm block size, plant height, stem diameter, fresh weight, dry weight have no difference from 10 × 10 cm and 7.5 × 7.5 ㎝, but leaves and leaf area were higher 10 × 10 ㎝ than the 7.5 × 7.5 ㎝ block size. Growth of the paprika in field 80 days after saw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old,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Flowering did not differ from nursery period and block size below 35 days, but delay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30 and 35 days ol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nursery period and decreasing block size beyond 40 days old.

      • 저면관수와 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한 딸기 우량묘 생산 시스템

        김원태 ( W. T. Kim ),이기명 ( K. M. Lee ),송재관 ( J. K. Song ),김창수 ( C. S. Kim ),김태욱 ( T. W.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최근 딸기 생산이 확대 되면서, 고품질 다수확이 가능한 딸기 우량묘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딸기 육묘에 관한 관심이 더욱 늘고 있다. 그러나, 육묘시 작물에 따른 포트 혹은 트레이 선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의 세정 능력은 이미 산업현장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를 이용한 시스템 개발은 농업분야에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딸기 육묘에 적합한 마이크로버블 시스템을 설계하여 실증 개발함으로써 딸기 육묘 농가의 자립능력을 제고하고, 딸기 육묘 생산시스템의 확대 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실험방법은 생육에 적합한 육묘용 트레이를 선정하고, 마이크로 버블 시스템을 적용한 육묘와 기존 방법에 의한 육묘의 비교 실험하였다. 포트의 용량에 따른 뿌린 근부의 성장변화를 관찰하고, SEM 촬영을 통하여 딸기 뿌리근부의 조직의 치밀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저면관수의 경우 딸기탄저병 확산을 억제하지만, 반입에 의한 감염주의 발병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포트 및 트레이를 청결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기포(micro-bubble)를 사용한 클리닝이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의 치밀도을 측정하기 위해 딸기 육묘 조직을 SEM 촬영하여 분석하였으며, 미세기포를 이용한 딸기 육묘 방법이 기존의 딸기 육묘 방법에 비하여 조직이 치밀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배지량 및 육묘 트레이가 딸기 육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제1액아가 1개밖에 발생하지 않는 포기가 많아지고 「눈 없는 포기」의 발생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어 적정 육묘 트레이의 선택 및 배지량 조절하는 비교 실험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선된 육묘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제1액아의 형성이 촉진되어 정과방 후의 제1액과방의 수확량이 증대한다는 것에 의해서 1월 혹은 2월부터의 수량이 증대되어 소득향상이 기대되며, 마이크로버블을 저면관수에 적용함으로써 트레이의 청결을 유지하여 병해를 예방하고 딸기모종의 조직을 치밀하게 함으로써 딸기의 우량육묘를 얻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공정육묘장 환경별 발생 주요 해충 종 및 발생생태

        강택준,김동환,김형환,양창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최근 국내 공정육묘(플러그묘) 보급 확산으로 전용 육묘시설 면적의 급속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재배 면적 및 환경이 다양하여지고 있다. 종자에서부터 육묘 단계까지 병해충 관리체계의 기반 구축을 위한 공정육묘장의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병해충 관리 종합 매뉴얼 개발 필요하다. 이번 조사는 공정육묘장 관리를 위한 병해충 분야 법적체계 기반 조성 및 관련 자료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와 공정육묘 산업 활성을 위한 육묘장의 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2년부터 논산, 안성, 평택, 밀양 등에 위치한 주요 공정육묘장을 대상으로 육묘장내 재배 환경 및 해충 종류 및 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육묘장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가루이류,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나방류 등이 주요 해충으로 육묘장내 재배 작물, 주변 식생 및 관리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

        식물공장 육묘공정 자동화를 위한 육묘트레이 자동적재장치 개발

        박상민,민영봉,이공인,김동억,강동현,문성동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automatic loading equipment that can load seedling trays on loading position of the seedling bed driving on enclosed-type rail installed for interconnecting each process of raising seedlings in plant factory. The experiment of transferring the seedling tray by monorail pusher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required transfer force and problems during push type device of transporting the plastic seedling trays, that has completed its sowing process, which are installed onto the board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loading equipment which can exactly load three of the seedling trays orderly on the loading position of the seedling bed was designed and made. When three sowed trays on every board are transferred by pusher with the speed is at 30 cm/s, the maximum peak transfer force with maximum overshooting at initial transient state and the maximum transfer force at stead state are were respectively 32.8 N, 29.4 N on rubber board, 29.7 N, 22.5 N on a wooden board, 26.9 N, 19.6 N on a acrylic board, and 27.6 N, 19.1 N on an iron board. Changes in the transfer force occurred its maximum at the moment when the pusher collided with the tray, after the collision gradually decreased until it became stable. When two or three trays placed it in order of widthwise are transferred, it is occurred the overlapping of the tray's external bracket. The developed automatic loading equipment with PLC controller did not make any operation error through 100 times of tests, its maximum seedling tray loading speed was 2 sec/tray and its maximum error of transferred location of the tray was 0.5 cm.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각 공정 간을 연결하는 육묘라인을 폐쇄형 레일로 설정하고, 그 레일 상에서 구름바퀴 이동을 하는 육묘베드가 있고, 이 육묘 베드위의 일정위치에 육묘트레이를 자동으로 올려놓는 자동적재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장치의 개발을 위한 기초시험으로 바닥재 위에 육묘트레이를 올려놓고 밀기이송을 하는 시험을 실시하고, 밀기이송력의 변화를 측정 분석하여 최적의 육묘트레이 자동적재장치를 개발하였다. 바닥 위에 파종완료한 트레이를 올려놓고 밀기 이송을 할 때 최대 이송력은 이송속도 30 cm/s에서 트레이 3개를 이송할 때로 초기이송시점에서 최대 피크이송력과 초기 과도상태 이후 최대 정상상태 이송력이 각각 바닥재료가 고무판에서는 32.8 N, 29.4 N, 목재판 29.7 N, 22.5 N, 아크릴판 26.9 N, 19.6 N, 철판 27.6 N, 19.1 N으로 나타났다. 이 이송력의 변화는 모노레일 컨베이어가 트레이와 충돌 직후 최대로 발생했으며, 이후 점차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이를 2개 이상 맞대어 밀기이송 시 트레이 외각 받침날의 겹침현상이 일어났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육묘트레이 적재이송장치는 100회의 작동시험 결과 작동에러는 없었으며, 최대 육묘트레이 적재이송 작업속도는 2초/매, 트레이 이송위치 최대오차는 0.5 cm로 나타났다.

      • 참깨 기계 정식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파종 및 육묘의 기계 적합성 구명

        전현종 ( Hyeon-jong Jun ),유승화 ( Seung-hwa Yu ),최일수 ( Il-su Choi ),김진구 ( Jin-gu Kim ),이상희 ( Sang-hee Lee ),강태경 ( Tae-gyoung Kang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참깨는 대부분 인력식 기계파종이나 손으로 파종하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 트레이에 파종하여 묘를 길러 인력으로 정식하고 있다. 참깨는 소립종자로 파종시 한 곳에 많은 양이 파종되어 발아 후 1주만 남기고 나머지 참깨를 솎아내야 한다. 이러한 솎음작업은 많은 노력이 소요되어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참깨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참깨를 육묘하여 인력으로 정식하는 농법이 늘어나고 있으나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화 정식기술의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깨 생산의 노력절감을 위하여 플러그 트레이에 효과적으로 소립종자를 정밀하게 파종할 수 있는 방법과 기존의 채소정식기를 이용한 정식기의 작업성능 및 기계정식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육묘의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정식기(TAP1)용의 128구 육묘 트레이에 간이용 128구 인력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 시험을 하였다. 들깨종자는 타원형으로 파종기의 파종성능을 높이고자 직경 5 mm 이하로 코팅한 종자를 사용하였다. 참깨용 간이 파종기는 직경 5mm의 구멍이 128개 이고 손으로 흔들어 종자를 구멍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후 트레이에 파종하여 파종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장에서 기계 정식시험을 위하여 육묘의 기계 적합성을 구명하였다. 참깨 육묘의 기계적합성 시험을 위해 자동 정식기(TAP1)과 반자동 정식기(KTP-30)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인력식 간이파종기의 파종성능은 1립 파종률이 99.4%, 2립파종 0.004%, 미파종 0.002%로 양호하였다. 정식기의 포장성능은 육묘의 초장이 0.2 m 이상일 경우 정식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초장 0.2 m 이상일 경우 식부 호퍼가 정식한 육묘를 다시 끌어올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트레이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 상태 및 초장과의 관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식기(TAP1)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 상태 및 초장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식기(KTP-30)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이 손으로 뽑아서 부서지지 않을 정도에서도 정식작업이 가능하여 육묘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단호박 착과율 향상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 육묘효과

        성기철(Ki-Cheol Seong),김천환(Chun-Hwan Kim),이진수(Jin-Soo Lee),김두섭(Doo Seob Kim),엄영철(Yeong-Cheol U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5 No.4

        단호박의 억제재배시 착과율 향상 및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해발 600m) 육묘 효과를 검토 하였다. 정식직전 묘의 T/R율은 평지 육묘 9.5로 도장된 경향을 보였으나 중산간지 육묘에서는 5.4로 건실한 묘 생육을 보였다. 육묘 지역에 따른 1번 암꽃의 착생 위치는 평지 육묘 26.0마디에 비하여 중산간지 육묘 19.4마디로 크게 낮아졌으며 2번 암꽃 및 그 이후에 착생되는 암꽃들도 평지 육묘에 비하여 3~5마디 아래에서 착생되어 유인노력을 20%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2번과 착과율은 중산간지 육묘 17.2%로 평지 육묘 1.4%'에 비하여 16%정도향상 되었다. 상품수량의 경우 평지 육묘 3,500㎏/10a에 비하여 중산간지 4,460㎏/10a로 27%가 증가 하여 한라산 중산간지를 이용한 여름철 육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ising seedling at Hallasan area of subalpine (altitude of 600m above sea level) to improve fruiting rate of Squash (Cucurbita maxima) in retarding culture. “Ebis” cultivar was seeded in plug tray of 32 cells and the seedlings were grown for 25 days. They were transplanted on August 26, 2004, following L-stem training method under rain-shielding condition. Seedling height, number of nodes and leaf area were higher in lowland than in sub-alpine area. T/R ratio of seedling in sub-alpine was much lower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land. The first fruiting was on the 19th node in sub-alpine area, and on the 26th node in the lowland area(control). The succeeding fruiting nodes were lower by 3 to 5 node than those of control. Fruiting rate of second flower was improved by 17.2% compared with the 1.4% in control. The marketable yield was increased by 27% by raising seedling in sub-alpine area (4,460 ㎏/10a). This also brought out 20% labour saving effect. Th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raising seedling in the sub-alpine area of Hallasan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quash(Cucurbita maxima) fruiting rate compared with lowland area.

      • 들깨 기계 정식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파종 및 육묘의 기계 적합성 구명

        유승화 ( Seung-hwa Yu ),전현종 ( Hyeon-jong Jun ),최일수 ( Il-su Choi ),김진구 ( Jin-gu Kim ),이상희 ( Sang-hee Lee ),강태경 ( Tae-gyoung Kang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들깨의 다양한 건강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국내 들깨 생산면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들깨는 대부분 인력식 기계파종이나 손으로 파종하고 있고 일부 농가에서 트레이에 파종하여 묘를 길러 인력으로 정식하고 있다. 들깨는 소립종자로 파종시 한 곳에 많은 양이 파종되어 발아 후 1주만 남기고 나머지 들깨를 솎아내야 한다. 이러한 솎음작업은 많은 노력이 소요되어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들깨재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들깨를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하여 인력으로 정식하는 농법이 늘어나고 있으나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화 정식기술의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들깨 생산의 노력절감을 위하여 플러그 트레이에 효과적으로 소립종자를 정밀하게 파종할 수 있는 방법과 기존의 채소정식기를 이용한 정식기의 작업성능 및 기계정식을 위한 트레이 육묘의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정식기(TAP1)용의 128구 육묘 트레이에 간이용 128구 인력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시험을 하였다. 들깨종자는 원형으로 파종기의 파종성능시험을 위헤 파종기의 구멍을 직경 3.1 mm, 3.4 mm, 3,5 mm로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들깨용 간이 파종기는 구멍이 128개 이고 손으로 흔들어 종자를 구멍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후 트레이에 파종하여 파종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포장에서 기계 정식시험을 위하여 육묘의 기계적합성을 구명하였다. 참깨 육묘의 기계적합성 시험을 위해 자동 정식기(TAP1)과 반자동 정식기(KTP-30)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인력식 간이파종기의 파종성능은 파종기의 구명 직경 3.5mm 일때 1립 파종률이 86.5%, 2립파종 12.5%, 3립파종 1.0%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들깨 종자의 크기가 작고 종자 간에 크기 편차가 있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정밀한 파종을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로 종자를 코팅하여 파종할 경우 1립 파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험용 정식기 모두 육묘의 초장이 0.2 m 이상일 경우 식부 호퍼가 정식한 육묘를 다시 끌어올려 정식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았다. 특히 정식기(TAP1)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 상태 및 초장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식기(KTP-30)은 육묘 뿌리의 매트형성이 손으로 뽑아서 부서지지 않을 정도에서도 정식작업이 가능하여 육묘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딸기 육묘기 완효성비료 공급량에 따른 묘소질, 개화반응 및 수량 특성

        윤혜숙,김주영,안재욱,장영호,홍광표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1

        본 연구는 딸기 자묘를 육묘하는 기간에 완효성 비료의 공급량을 달리하였을 때 자묘생육, 개화반응 및 정식 후 수량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매향’과 ‘설향’의 모주를 2013년 4월 5일에 정식하여 24공 육묘트레이(cell 용량135mL)에 자묘를 증식하였다. 육묘용 상토에 혼합하는 완효성 비료(N-P-K, 11-11-17, 비료용출기간 6주)의 양을 4수준으로 달리하여, 자묘 1주당 공급하는 질소, 인산, 칼륨의 양이 각각 25-11-32mg(이하 25-11-32), 50-22-63mg(이하 50-22-63),100-43-127mg(이하 100-43-127)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육묘기간 비료 공급량이 많을수록 자묘의 관부직경, 엽면적 그리고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또한, 생체중 30g 이상 대묘의 비율이 높아졌고, 20g 이하 소묘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비료 공급량이 많을수록 잎의 N, P, K 함량이 높아졌다. ‘매향’의 화아분화일은 0-0-0, 25-11-32, 50-22-63 처리에서 9월 13일로 빨랐다. 처리구100-43-127에서는 제1화방의 출뢰가 약 11일이 늦었지만, 그 후 제2화방 출뢰까지의 소요일수가 9일 단경기 단축되었다. ‘설향’의 화아분화일은 0-0-0 처리구에서 9월 13일로 가장 빨랐고, 25-11-32 처리구에서 4일, 50-22-63 처리구에서 9일, 그리고 100-43-127 처리구에서 19일이 지연되었다. 수확개시일도 0-0-0 처리구와 비교하여, 50-22-63와 100-43-127 처리구에서는 각각 10일, 27일이 늦어졌다. 육묘기간 비료 공급량이 적을수록 수확개시가 빨라져 판매가격이 높은 11월부터 1월까지의 수량 이 많았다. 100-43-127 처리구에서 ‘매향’은 1월-2월 수량이 다른 처리보다 많았으나 ‘설향’은 1월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2월에는 감소하였다. 다음해 5월까지 ‘매향’의 총수량은 육묘기간 비료 공급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3,339-3,519kg 범위였다. ‘설향’의 총수량은 0-0-0 처리구가 5,106kg으로 가장 많았고, 50-22-63과 100-43-127 처리구에서는 약 12%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육묘기간 비료 공급량이 많을수록 화아분화와 수확개시가 지연되었다. ‘설향’과 같이 비료 공급량에 민감한 경우, 육묘기 질소(N) 공급량이 50mg 이상 많아지면 개화가 지연되고, 그것은 1화방의 과도한 착과와 총수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비료 공급량에 둔감한 품종의 경우, 육묘기간 비료공급을 늘리면 제1화방의 출뢰는 다소 지연되지만 제2화방 출뢰 소요일수가 단축되어 조기에 수량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tilization dosage on seedling growth, flowering response, and fruit yield of strawberry plants. Mother plants of the ‘Maehyang’ and ‘Seolhyang’ were planted on April 5, 2013. Daughter plantlets were proliferated in seedling trays with 24 cells. Each conical cell consisted of a 135 mL cup filled with a mixture of substrate and commercial fertilizer (11-11-17, 6 weeks, Osmocote®) at four different ratios: 1) N, P, K was supplied at 0-0-0 mg per daughter plantlet, 2) 25-11-32 mg, 3) 50-22-63 mg, and 4) 100-43-127 mg. Higher fertilization levels produced plantlets with increased crown diameter, leaf area and dry weight. Increased fertilization levels resulted in more large- and medium-sized plantlets and less small-sized plantlets. The N, P and K contents in the leaves also increased. The flower bud initiation time of ‘Maehyang’ plants treated with N, P, K at 0-0-0 mg, 25-11-32 mg, and 50-22-63 mg was earlier (September 13) than the flower bud initiation time of plants with N, P, K at 100-43-127 mg. The first flower budding time of ‘Maehyang’ plants treated with N, P, K at 100-43-127 mg was delayed by 11 days, but the second flower budding time was shortened by 9 days. The flower bud initiation of ‘Seolhyang’ plants occurred later when the level of fertilization was increased. The date of flower bud initiation was the earliest (September 13) under N, P, K at 0-0-0 mg treatment, and it was delayed by 4, 9, and 19 days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N, P, K at 25-11-32 mg, 50-22-63 mg, and 100-43-127 mg, respectively. The first harvesting time under treatment with N, P, K at 50-22-63 mg and 100-43-127 mg was delayed by 10 and 27 days, respectively. Both cultivars showed earlier first harvesting time with lower fertilization levels, resulting in increased fruit yield from November to January. For ‘Maehyang’ plants, the yield under N, P, K at 100-43-127 mg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January and Febuary. However, for ‘Seolhyang’ plants, the yield was the highest in January but the lowest in February. The total yield of ‘Maehyang’ plants (from November to May) under the four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s was not different, ranging from 3,339 to 3,518 kg. However, for ‘Seolhyang’ plants, the total yield was the highest (5,106 kg) under the N, P, K treatment at 0-0-0 mg, and it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12% in the treatments with N, P, K at 50-22-63 and 100-43-127 mg. These results show that increased fertilization levels delayed the initiation time of the first inflorescence and the first harvesting time. For cultivars that are sensitive to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such as ‘Seolhyang’, fertilization levels higher than 50 mg nitrogen during seedling period, could delay flowering and cause excessive fruit load of the first cluster and result in reduced total fruit yield. For cultivars such as ‘Maehyang’ which are less sensitive to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higher fertilization levels could promote successive flower budding, thus increasing an early yield with higher market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