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성효모 및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육계에 있어서 효모제품의 첨가효과-

        유종석,남궁환,백인기 한국가금학회 1991 韓國家禽學會誌 Vol.18 No.3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제품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rbor Acres종으로 2차에 걸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육계 숫 병아리 200수를 무첨가 대조구, yeast culture 0.25%구(YC-0.25%) 및 2.5%구(YC-2.5%), 활성효모 0.05%구(LY-0.05%) 및 0.1%구(LY-0.1%)의 5처리에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battery에 완전임의배치하여 6주간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2는 육계 감별추 암, 수 각 120수씩을 성별로 무첨가대조구, 후기(4~6주)에만 0.1% 활성효모첨가구 그리고 전기간 0.1% 활성효모첨가구를 2$\times$3 요인 배치하고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7주간 사양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증체율과 사료섭취량 및 폐사율에 있어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YC-0.25%와 LY-0.1%가 대조구나 타처리구에 비해 3주 이후부터 증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사료효율은 LY-0.05%가 대조구, YC-0.25% 및 LY-0 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영양소 이용율은 처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a 및 P의 이용율은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소장내의 미생물총균은 Lactobacilli spp., Streptococcus spp. 그리고 yeast 수는 첨가구들에서 높고 Coliforms세균수는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사료, 성별,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증체량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를 전기간 첨가한 구가 증체량이 가장 높은 반면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섭취량과 폐사율은 숫 육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료효율은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 전기간 첨가구가 그리고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율에 있어서 숫 육계는 암 육계보다 건물, Ca및 P의 이용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활성효모 첨가구들은 Ca및 P의 이용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근위, 소장 상, 하부 및 맹장의 세균수를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spp.와 yeast는 소장 상, 하부 그리고 Streptococcus spp는 소장과 맹장에서 활성효모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Coliforms 세균수는 소장 상, 하부에서 대조구가 첨가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장의 pH는 활성효모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다.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produ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tow feeding trial using Arbor Acres strain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1, 200 hatched male broiler chicken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10 birds each and four groups were given each of the five dietary treatments : control, 0.25% yeast culture supplemented (YC-0.25%), 2.5% yeast culture supplemented(YC-2.5%), 0.05% live yeast supplemented(LY-0.05%) and 0.1% live yeast supplemented(LY-0.1%) . In experiment 2, 240 hatched broiler chickens(120 birds in each sex) were assigned to 2$\times$3(sex$\times$feed) factorial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0.1% live yeast supplementation in finisher diet(LY-Finisher) , and 0.1% live yeast supplementation in whole period (LY-Whol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weight gain,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weight .gain of YC-0.25% and LY-0.1% tended to be greater than other treatments after 3wks of age Feed efficiency of LY-0.05% was poorer than those of control, YC-0.25% and LY-0.1% . Although nutrients avail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availiabilities of Ca and P were greater in yeast products supplemen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Lactobacillus spp., Streptococcus spp . and yeast in small intestine tended to be greater in supplemented groups while that of Coliforms bacteria tended to be greafter in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actors (feed and sex) and interaction on growth rate. LY-Whole groups showed best weight gain in male while LY-Finisher groups did best in female broiler chickens.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broiler chickens. Feed$\times$sex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eed efficiency. LY-Whole groups showed best feed efficiency in male while LY-Finisher did best in female broiler chickens. Availabilities of dry matter, Ca and P were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broiler chickens. Availabilities of Ca and P were higher in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s.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tended to have greater number of Lactobacillus spp . and yeast in the small intestine and Stre))tococcu spp. in the small intestine and cecum, and lesser number of Coliforms bacteria in the small intestine The pH of small intestinal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in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 KCI등재

        반복적인 고온환경이 사전고온 적응한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양영록,윤형숙,김지민,박병성,최희철,최양호,Hwangbo, Jong,Yang, Young-Rok,Yoon, HyungSook,Kim, Jimin,Park, Byungsung,Choi, Hee Chul,Choi, Yang-Ho 한국가금학회 2015 韓國家禽學會誌 Vol.42 No.3

        생후 초기에 고온을 경험하게 되면 이후 고온환경에 대하여 저항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일령의 병아리에게 단시간 고온을 경험하게 한 다음, 29일령에 1차 고온환경을 경험한 육계에서 반복된 고온환경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버에이커 초생추를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사육실에 수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조명 환경 조건은 점등 23시간, 소등 1시간이었다. 사전 고온 적응구는 5일령에 $37^{\circ}C$의 고온에 24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정상 온도로 돌려졌고, 대조구의 감온 일정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21일령에 육계를 기존에 수용된 사육실에서 반을 다른 사육실로 옮겨, 한 사육실 내 대조군와 열 적응구가 각각 4개의 Pen에 배치되게 하였다. 1)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양자 모두를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CON+CON), 2) 사전고온 적응을 경험했지만 고온환경을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HC+CON), 3) 사전고온 적응 없이 고온환경만 경험한 육계집단(CON+HS), 4)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모두를 경험한 육계집단(HC+HS) 을 가지는 이원배치법(HC vs. HS) 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29일령부터 3일 동안 고온환경에 노출된 육계들은 43일령부터 재차 고온환경을 경험하였다. 고온환경 처리구에서 사육실 온도를 $32^{\circ}C$($2^{\circ}C$/1 h)까지 올려 3일 동안 유지하였으며, 대조구는 $22^{\circ}C$로 유지되었다. 고온환경은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체중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직장 온도와 폐사율 및 corticosterone의 농도를 증가시켰고, 혈액 생화학 성분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사전열적응한 육계에서는 비장의 상대무게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사전고온 적응은 반복적으로 고온환경을 경험하는 육계에게 고온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Heat conditioning at an early age has been known to help chickens cope with heat stress later in lif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t conditioning at 5 days of age in broilers repeatedly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later in life. A total of 256 day-old Arbor Acre boiler chicks were housed in two identical rooms with a 23-h light/1-h dark cycle and provided with feed and water ad libitum. At 5 days of age, the birds in one room were exposed to $37^{\circ}C$ for 24 hours, while those in the other room served as controls. On day 21, half of the birds in each room were moved into the other room so that each room contained both control and heat-conditioned birds. After a 7-day adaptation period, the birds in one room were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21^{\circ}C{\rightarrow}31^{\circ}C$) for 3 days, whereas those in the other room were kept at normal temperature. The same 3-day exposure to high ambient temperature was repeated two weeks later. Hence,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CON+CON: control+control; CON+HS: control+high ambient temperature; HC+CON: heat conditioning+control; and HC+HS: heat conditioning+high ambient temperature). Repeated heat stress resulted in decreased feed intake, water intake, body weight gain, and spleen weight (p<0.05) and increased rectal temperature (p<0.05), mortality, and plasma corticosterone concentrations. The relative weight of the spleen was increased in the heat-conditioned group (p<0.05). Plasma biochemicals were also influenced by high temperature. Thus, no beneficial effects of heat conditioning at an early age were detected in broilers repeatedly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later in life.

      • KCI등재

        횃대의 두께가 육계의 생산성, 피부염증 및 횃대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임천익,김성준,김주은,송성은,류경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2

        본 연구는 육계사육에서 횃대의 제공효과와 최적 두께를 구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12일령 육계(RossⅹRoss) 288수를 24개의 독립된 공간(7.3 수/m2)에 균등한 평균 체중으로 분배하여 42일령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룹은 일반 평사사육(대조구)과 3개의 횃대 처리구(두께: 3, 4 및 5 cm)인 총 4개로 구성하였으며, 각 그룹은 6반복과 반복당 12수씩으로 배치하였다. 각 반복 별로 횃대의 길이는 1.3 m (0.11 m/수)로서 높이 15 cm에 설치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육계의 생산성, footpad dermatitis (FPD)과 hock burn (HB) 지표 및 횃대이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육계사육에서 횃대의 유무와 두께에 따른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FPD는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HB 지표는 4와 5 cm의 횃대를 제공한 처리구에서 일반 평사와 3 cm 두께의 횃대에서 사육한 육계에 비해 개선되었다(p<0.05). 육계가 횃대를 이용한 시간은 사육전기(12~24일령)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육후기(25~42일령)에 횃대를 이용한 총 시간은 5 cm 두께에서 3과 4 cm 두께보다 높았으며(p<0.05), 올라간 횟수에 비해서도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p<0.05). 그러므로 횃대는 육계의 다리질병을 줄이며, 4~5 cm의 두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presence and thickness of the perch in broiler house. A total of 288 broiler chickens (RossⅹRoss) were equally allocated into floor pen from 12 to 42 days old. Treatments were consisted of no perch group (control; floor pen) and three perch groups (control + perch thickness of 3, 4, and 5 cm) having six replicates of twelve birds (7.3 birds/m2). The perches were provided with 1.3 m (0.11 m/bird) length and 15 cm height from the floor in each pen. The broilers wer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footpad dermatitis (FPD) and hock burn (HB) scores and perch availability. There were no statistical (p>0.05) differences with presence and thickness of the perch on the body weight,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CR of broile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reatments in FPD score. However, the HB score was improved in the treatments provided with 4 and 5 cm perch than groups provided with no perch and 3 cm perch (p<0.05). The perch thickness had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its availability for broilers at the starter (12 to 24 days of age), although broilers provided with 4 and 5 cm perch spent time in more (p<0.05) perching behavior than those provided with 3 cm perch at finisher (25 to 42 days of age). In conclusion, Perch is beneficial to the leg health of broilers, and 4 to 5 cm thickness i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for broilers.

      • KCI등재

        계사 내 광원이 육계 후기의 생산성, 도체수율, 육질 특성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강환구(Hwan-Ku Kang),전진주(Jin-Joo Jeon),유아선(Are-Sun You),김현수(Hyun-Soo Kim),손지선(Jiseon Son),김찬호(Chan-Ho Kim),김희진(Hee-Jin Kim) 한국가금학회 2020 韓國家禽學會誌 Vol.47 No.3

        본 연구는 계사 내 광원이 육계 후기의 생산성, 육질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 동물은 육계 초생추(42.2±0.1 g) 수컷 240수를 이용하였으며, 3주령부터 광원을 백열등, LED등 및 형광등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사육한 후 체중이 유사한 육계(3.4±0.07 ㎏)의 도체수율과 육질 특성을 조사하고, 혈액 성분을 분석하였다. 시험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시판 사료를 육계 초이(CP 22.5%, ME 3,020 ㎉/㎏), 전기(CP 18.5%, ME 3,050 ㎉/㎏), 후기(CP 18%, ME 3,100 ㎉/㎏)로 나누어 이용하였다. 조사 항목은 육계의 생산성, 도체수율, 육질 특성 및 혈액성분이었다. 본 연구의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체중과 도체중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도체수율은 세 처리구에서 각각 77.7%, 78.2% 및 77.5%로 처리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육색, 전단력 및 보수력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가열감량은 LED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pH와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혈구(leukocyte, WBC)의 구성 성분인 HE, Ly, MO, EO 및 BA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H/L 비율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혈액 적혈구(erythrocyte, RBC)의 구성 성분인 Hb, HCT, MCV, MCH 및 MCHC는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 조성 중 GLU는 세 처리구에서 각각 234.5㎎/dL, 256.9 ㎎/dL 및 250.1 ㎎/dL로 ICD 처리구에 비해 LED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다른 혈액 생화학 성분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육계 계사의 점등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light sources in the poultry house on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finishing broilers. Two hundred and forty male broilers (1-day-old, 42.2±0.1 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subjected to different light source treatments (incandescent, LED, and fluorescent lamps) from 3 weeks of age (four replications/treatment, 20 birds/replication). After breeding for 6 weeks, the carcass yield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with similar body weight (BW; 3.4±0.07 ㎏) were investigated, and blood components were analyzed. Corn-soybean meal-based feed was provided as starter (CP 22.5%, ME 3,020 ㎉/㎏), early (CP 18.5%, ME 3,050 ㎉/㎏), and finishing (CP 18%, ME 3,100 ㎉/㎏). Performance, carcass yield, meat quality, and blood components were evaluated. BW, BW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live weight and carcass yield among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eat color, shear force, and water holding capacity; however, cooking loss at 17.2% was the highest in the LED treatmen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blood components except for glucose (blood biochemistry component) among treatments. Glucose was 234.5 ㎎/dL, 256.9 ㎎/dL, and 250.1 ㎎/dL in the three treatments, respectively,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candescent and LED treatments (P<0.05). These results are used useful as basic data for investigatg the effect of lighting in broilers production.

      • KCI등재

        세 가지 서로 다른 화학제재를 깔짚에 첨가시 육계 생산성, 계사내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남기홍,Nahm K. H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시험은 깔짚에 3가지 화학제재($FeSO_4,\;AlCl_3\;+\;CaCO_3$ 및 $KMnO_4$)를 처리하였을 때 육계 생산성에 대한 영향과 계사내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발생량에 대한 6주 동안의 변화와 저감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사양시험은 육계 초생추 총 96수(6처리$\times$4반복$\times$4수)를 공시하여 42일 동안 실시하였다. 화학제재는 깔짚 kg당 $FeSO_4$ $\cdot$ $7H_2O$ 200 g, $AlCl_3$ $\cdot$ $6H_2O$ 200 g + $CaCO_3$ 50 g 및 $KMnO_4$ 비율로 top dressing하였으며 대조구는 화학제재를 첨가하지 않았다. 육계 생산성은 화학제재 처리구와 대조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비교한 $FeSO_4$와 $AlCl_3$+$CaCO_3$ 처리구의 암모니아 발생량은 6주째에서 각각 $91\%$와 $53\%$가 감소되었고(P<0.05), $KMnO_4$ 처리구의 암모니아 발생량은 대조구보다 6주째에서 $69\%$ 감소되어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깔짚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AlCl_3+CaCO_3$와 $KMnO_4$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할 때 6주째에서 각각 $59\%$와 $65\%$ 감소되었다(P<0.01). 결론적으로 깔짚에 화학제재를 처리했을 경우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가스 발생량은 현저하게 감소되며, 육계생산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ying three different chemical additives to the litter (rice hull) on broiler performance, ammonia and carbon dioxide gas reduction in a poultry house at 6 weeks. A total of 96 broiler chicks (6 treatments$\times$4 replicates$\times$4 bird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The chemical additives were applies as a top dressing to the litter at a rate of 200 g ferrous sulfate $(FeSO_4)$, 200 g aluminum chloride $(AlCl_3)$ + 50 g calcium carbonate $(CaCO_3)$ and 20 g potassium permanganate $(KMnO_4)$ per kg litter,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the three different chemicals added to the litt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oiler performance between the three chemical additives and control group. $FeSO_4\;and\;AlCl_3\;+\;CaCO_3$ treatment reduced ammonia production from the litter at 6 weeks by as much as 91 and $53\%$, respectively (P<0.05). $KMnO_4$ treatment decreased ammonia production at 6 weeks up to $69\%$ compared to the controls (P<0.05). Poultry litter amended with $AlCl_3\;+\;CaCO_3\;and\;KMnO_4$ also caused a decrease (P<0.01) in carbon dioxide productions at 6 weeks (59 and $65\%$, respectively). In conclusion, although broiler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by the three chemical additives an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SO_4,\;AlCl_3\;+\;CaCO_3\;and\;KMnO_4$ application to litter in a poultry house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atmospheric ammonia and carbon dioxide gas.

      • KCI등재후보

        혹서기 사육 밀도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유동조,나재천,장병귀,이덕수,김상호,김지혁,강근호,강환구,서옥석,강희설,Yu, D.J.,Na, J.C.,Jang, B.G.,Lee, D.S.,Kim, S.H.,Kim, J.H.,Kang, K.H.,Kang, H.G.,Suh, O.S.,Kang, H.S.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육계의 개방 계사에서 사육 밀도에 따라 고밀도(0.050$m^2$/수), 관행(0.066$m^2$/수), 저밀도(0.083$m^2$/수) 사육구로 구분하여 사육 밀도가 여름철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육계 초생추 Ross로서 684수를 이용하였으며,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기초 사료 영양소 함량은 사육 전기($0{\sim}3$주)에 ME 3,100 kcal/kg, CP 22.0%, 후기($4{\sim}5$주)에는 각각 3,100 kcal/kg, 20.0%로 하였다. 사육 밀도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5주령에 고밀도 처리구인 T1이 관행적인 T2와 저밀도구인 T3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사료 섭취량도 체중의 변화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사료 요구율은 관행적인 T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개선되었다. 음수 섭취량과 깔짚 수분 함수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성분의 분석결과에서는 total protein, cholesterol 및 albumin의 수치가 T3에서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육계의 사육 밀도 증가는 생산성을 감소시키며 개체에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폐사율의 증가와 도체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 in summer. One day-old 648 male commercial broiler chicks(Ross strain)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4 replicates(12 pens), 41 to 69 birds per pen, to compare the stocking density difference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Birds in T1, T2 and T3 were reared in different size 0.050, 0.066, 0.083 $m^2$/bird floor, respectively. The birds were fed the same experimental diet ad libitum for 5 weeks. Chickens were weekly weighed and one bird was selected from each pen to measure blood characteristics at the end of experiment. Body weight and feed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in low density treatment(T3) compare to that of high density treatment(P<0.05). Feed conver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ustomary treatment(T2) relative to that of other treatments(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oisture contents of bedding among treatments. In blood characteristics, low density treatment(T3) decreased the total protein, cholesterol and albumin, but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higher stocking density might give more stress to the birds from physical stimuli and thus were harmful environment causing lower productions compared to the lower ones

      • KCI등재

        건지황 첨가가 육계의 성장과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성진,박희성,유성오 한국가금학회 1998 韓國家禽學會誌 Vol.25 No.4

        본 시험은 건지황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급여하여 육계의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도체율 등의 생산성과 육질의 근육의 색도, 혈액 조성, 다리의 뼈의 강도, 근육내 지방과 지방산 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급육 생산의 기초자료와 사료 첨가제 개발을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브로일러 병아리 160수를 건지황 0(대조구), 0.5, 1 및 2% 첨가급여한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시험은 사양시험이 끝난 직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지황을 육계사료에 0.5, 1 및 2%씩 첨가급여시 증체량, 사료 섭취 량, 도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1%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2. 대퇴근육의 명도(L)은 타처리구에 비하여 1% 처리구에서 밝게 (P<0.05) 나타났다. 3. 혈청 총단백질, GOT및 GPT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총 cholesterol 함량은 타처리구에 비하여 0.5% 첨가구에서 낮게 (P<0.05) 나타났고 혈당함량은 타처리구에 비하여 2% 첨가구에서 낮게 (P<0.05)나타났다. 헤모글로빈 농도는 대조구 에 비하여 모든 건지황 첨가구에서 낮게 (P<0.05) 나타났다. 4. 대퇴근의 조지방 함량은 타처리구에 비하여 1% 첨가구에 높았고 다리뼈의 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건지황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육내 포화지방산 함량은 타처리구에 비하여 대조구와 0.5% 첨가구에서 높았으나 불포화 지방산함량은 건지황 1 및 2%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육계사료에 건지황을 l∼2% 정도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육계의 성장과 생리적 변화가 현저히 개선되었으므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질 좋은 육계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l dry powder of Rehmannia radix (RR) root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status of broiler chick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corn-soybean meal control diet, and RR 0.5, 1, and 2% diets. A total of 160 Arbor Acre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6 pens ; four pens per treatment and 10 birds per pe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carcass weigh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but feed conversion was significantly lower (P< 0.05) in RR 1%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muscle color was lighter (P < 0.05) in RR lof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 blood concentrations of protein, glutamic-oxaloacetic-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transaminase (GPT) were not different (P > 0.05) among the treatment groups, but the blood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in RR 2% group than those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 blood concentration of sugar was lower (P <0.05) in RR 2%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groups,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 <0.05) by addition RR. Crude fat content of thigh muscle was higher in RR 1%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groups, and bone hardness of broiler chicks fed RR was higher (P < 0.05)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the thigh muscle tende to be high in control and RR 0.5% groups,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tende to be high in RR 1 and 2% groups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groups

      • KCI등재후보

        효모(Saccharomyces exiguus)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맹장내 미생물 및 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동욱,장병귀,김지혁,유동조,강근호,강환구,나재천,김상호,이덕수,서옥석,Kim, D.W.,Jang, B.G.,Kim, J.H.,Yu, D.J.,Kang, K.H.,Kang, H.G.,Na, J.C.,Kim, S.H.,Lee, D.S.,Suh, O.S.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Saccharomyces exguus의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 및 분내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strain) 270수를 공시하여 3처리 3반복 반복당 30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인 항생제 첨가구 및 효모 0.5와 1.0% 처리구를 두었다. 본 실험에서 5주 종료 체중 및 증체율이 효모의 첨가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 요구율은 효모 첨가시 개선되는 경향이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맹장 내 E. coli, Salmonella, Lactobacillus 수는 대조구인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가스의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계분 내 저급 지방산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육계에 Saccharomyces exguus급여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계분 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켜 항생제 대체 및 환경 개선제로 이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yeast (Saccharomyces exguu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cecal microflora and fecal ammonia gas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two hundred seventy, 1-d-old male broiler chicks (Ross strain) were randomly allotted to nine pens (replicates), 30 birds per pen. There were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The treatments were control (virginiamycin 0.05%+salinomycin 0.03%), Saccharomyces exguus 0.5 and 1.0%. Total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ccharomyces exguus1 1.0% treatment than the control (P<0.05). Although not significant, the yeast supplementation tended to improve the feed conversion ratio.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the numbers of cecal E. coli, Salmonella and Lactobacillus in yeast treatment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production of fecal ammonia gas was significantly lower in yeast treatments than the control (P<0.05). The concentrations of fecal short chain fatty acid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yeast (Saccharomyces exguus)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In addition, dietary yeast could improve the environment of broiler houses by reducing fecal ammonia production.

      • KCI등재

        인공 및 천연 제올라이트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류경선,박재홍,이덕배,김상호,신원집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2

        본 실험은 석탄재를 이용하여 합성한 인공제올라이트 (AZ)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천연제올라이트(NZ)와 동일한 수준으로 첨가 .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중 콜레스테롤 등에 미치는 영향을 5주간 고찰하였다. 전기 3주 동안 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 3,100 kal/kg으로 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kcal /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제올라이트 0%), AZ와NZ를 각각 1.5,3.0% 씩 육계용 사료에 배합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전체 320수를 공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다. 장내 미생물, 혈중 콜레스테롤 및 뉴켓슬병 백신에 대한 항체가는 실험종료시에 측정하였다. 증체량은 NZ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AZ 3.0%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사료섭취 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요구율은 AZ 3.0% 처리구에 비하여 NZ 3.0%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제올라이트가 육계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NZ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뉴켓슬병백신에 대한 항체가는 제올라이트 처리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실험의 결과, AZ 1.5% 급여수준은 육계의 생산성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육계 사료에 이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사료된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luences of artificial zeolite(AZ) produced from fly ash and natural zeolite(NZ), those were supplemented into broiler diets, on performances, intestinal microbes and some blood chemistry for 5 wks.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21.5 and 19% CP fur starting and 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The ME was 3,100 kcal/kg of feed in both starter and finisher diets. Three hundred twenty chicks were assigned to 5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and fed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AZ or NZ ; 0% zeolite, 1.5% AZ, 3.0% AZ, 1.5% NZ, and 3.0% NZ.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measured with weekly basis. Blood cholesterol and intestinal microflora were analyz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ight gain of chicks fed with NZ tended to increase,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other diet groups. However, the birds of fed with 3.0% AZ showed significant decrement of weight gain compared to that of control(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was found among five treatment. Feed conver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3.0% NZ treatment relative to that of 3.0% AZ(P<0.05). There were no consistent differences in intestinal microbes between the control and zeolite groups. Blood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3.0% NZ treatments than the others(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Z can be added to broiler feeds less than 1.5%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chick performances.

      • KCI등재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미생물, 혈청성분 및 계사환경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류경선,이동규 한국가금학회 2003 韓國家禽學會誌 Vol.30 No.3

        본 연구에서 AO 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및 혈청내 생화학성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육계 초생추(Abor Acres) 360수를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첨가된 AO 배양물은 AOS와 AOL 2종의 균주를 이용하여 각각 배양하였다. 대조구는 기초사료를 급여하였으며, 2개의 처리구에는 기초사료에 배양물을 각각 0.1%씩 첨가하였다. 시험 II도 육계 초생추(Abor Acres) 360수를 평사에서 5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I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적이 우수한 AOL균주를 이용하여, 적정 첨가수준을 조사하고자 첨가수준을 각각 0, 0.1, 0.2%로 하였다. 시험 I 에서 증체량은 AO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22∼38g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증체량이 다소 높았던 AO 첨가구에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료요구율 역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생화학성분은 AO 배양물 급여구에서 당과 칼슘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cholesterol, blood urea nitrogen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최고발생량을 기준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25∼50% 정도 감소하였으며, 바닥재 수준 함량은 차이자 없었다. 시험II에서는 종료시 체중이 AO 배양물 급여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 역시 AO 배양물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을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장내미생물은 AO 배양물 급여구의 회장과 맹장에서 유산균의 수가 대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회장에서는 살모넬라 및 대장균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O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장내미생물총 및 사육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AO) ferment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serum components, ammonia generation and litter dampness in broiler chicks. In experiment I, three hundred sixty, one day old broiler chicks, Abor Acres, were fed 0 and 0.1% of Aspergiilus oryzae short conidia ferment(AOS) and 0.1% of Aspergillus oryzae long conidia ferment(AOL) for five weeks. In experiment II, three hundred sixty, one day old broiler chicks, Abor Acres were fed 0, 0.1 and 0.2% of Aspergillus oryzae long conidia ferment(AOL) for five weeks. In experiment I, growth rat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AOS and AOL showed increased tendency in weight gain and feed intak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hereas feed conversion was not different. Litter dampness of AOS and AOL was also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ecal ammonia gas generation was decreased in feeding AOS and AOL, and maintained 1/2 to 3/4 compared to the control. In serum metabolites, AOS and AOL increased glucose and calcium, and decreased total protein, blood urea nitrogen and total cholesterol. In experiment II, body weight of chicks fed 0.1 and 0.2% AOL were heavier than the control(P<0.05). Feed intake of chicks fed 0.1 and 0.2% AOL also were higher than the none, but feed conversion ratio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Ileal and cecal microflora showed increased tendency in lactic acid bacteria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Salmonella and E. coli were decreased in ileum of chicks fed 0.1 and 0.2% AOL. In conclusion, feeding AO ferment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and improve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and environments of broiler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