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방의 과립세포종양 1예: 증례보고

        민인철, 유근수, 선우영, 윤효영, 송영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3 忠北醫大學術誌 Vol.23 No.2

        유방의 과립세포종양은 슈반세포에서 기원하는 아주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은통증을동반 하 지 않는 경성의 유방 멍울을 주소로 내원하게 된다. 따라서 이학적 진찰상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하 다. 유방의 과립세포종양은 임상적으로 유방암과 매우 유사하지만, 98%에서 양성 소견을 보인다. 일 반적인 유방촬영술 및 유방초음파 상에서는 종양 특이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으며, 오직 조직생검술을 통한 조직학적, 면연화학적 검사만이 병변을 확진 하는 방법이 된다. 51세 여자 환자가 유방에 만져 지는 멍울을 주소로 외래를 방문하였다. 이학적 검사 상, 좌측 중간외측 유방에 멍울이 만져졌으며, 대흉근 및 주변조직과 고착 되어있는 소견을 보였다. 유방단순촬영 상 좌외측 유방에 비대칭성이 보 였다. 유방 초음파상 1cm크기의 유방 뒤 지방층을 침범하는 종괴가 보였다. 중심 침 조직검사 상 유 방의 과립종양세포 소견을 보였으며, 조직 절제 생검으로 확진 하였다. 임상적으로 유방암과 많이 혼 돈되는 과립세포종양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수동 촬영조건의 가이드라인 제시

        홍은애,이인자 대한방사선과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4

        유방촬영 시 디지털 유방촬영 후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을 한 60명 환자에 대한 촬영 조건을 분석하였다. 그결과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을 한 환자에 대한 피폭선량이 많음을 알았고 그 대책법으로 ACR 팬텀으로 촬영조건을 자동노출조건이 아닌 수동노출조건으로 변경하여 영상의 식별능과 환자피폭선량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CC(Cranio-Caudal)촬영인 경우 촬영조건 중 kVp는 디지털 유방단층촬영 시 디지털 유방촬영보다 2kVp 높게 설정되어 있었다. 또 mAs는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이 55.2% 감소되어 약 60mAs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환자의평균유선선량(AGD)은 디지털 유방촬영에서는 1.65mGy,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에서는 1.87mGy로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에서 0.22mGy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텀을 이용한 실험에서 kVp는 자동노출조건인 29kVp로 고정하고, mAs을 수동조건으로 감소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mAs를 80% 줄여도 영상의 식별능 평가 기준인 10점 이상으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평균유선선량(AGD)도 0.66mGy로 줄일 수 있었다. 디지털 유방촬영시행 후 디지털 유방단층촬영 시 자동노출조건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수동노출조건으로mAs조건을 감소 시켰을 때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선량경감에 효과가 있었다. 최근 디지털유방단층촬영의 유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 수동촬영조건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서 진단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환자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유방의 스파르가눔증

        김숙현(Kim Sook Hyun),전유하(Jeon Yoo Ha),선유화(Seon Yu Hwa),강민철(Kang Min Chul)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2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Vol.5 No.1

        배경 : 스파르가눔증은 만손열두조층속의 2기 유충인 충미충인 스파르가눔에 의한 인체 감염이다. 인체에 감염된 사례는 처음 1882년 중국에서 보고된 후 국내에서는 1917년에 스파르가눔증이 발견되었고, 그 후 1981년 유방 스파르가눔증이 보고되었다. 스파르가눔증은 원미충에 감염된 물을 끓이지 않고 섭취하거나, 충미충에 감염된 뱀, 개구리, 닭 등을 생식할 때, 뱀이나 개구리의 껍질이나 근육을 안구나 환부에 부착한 경우 감염된다. 감염 부위는 복벽, 흉벽, 대퇴 및 음낭 등의 피하 조직 및 근육 사이 근막이다. 이 외에 안와, 흉강, 복강, 척수강 및 중추신경계에 감염되기도 한다. 보고되는 예들 중 유방감염은 드물다. 환자의 임상 증상과 생식 습관으로 감염을 의심할 수도 있고, 외과적으로 적출하려 확진할 수 있다. 주로 통증이 없는 피하조직 내의 만져지는 종괴로 나타나며 이동성이 있을 수 있고,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은 유방촬영술에서 석회가 없는 불규칙한 관상의 음영증가로 보이며, 초음파 영상에서는 피하지방층에서 저에코의 관상 종괴 내부에 불균질한 고에코로 보이고 종괴 주변부 지방에코가 증가되는 경우도 있다. 검사당시 움직이는 충체가 발견되면 확진할 수 있다. 종종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이 유방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증례 : 88세 여성으로 외부 유방촬영상 우측유방 부분결절 소견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유방암 가족력과 증상은 없었으며 유방촬영술상 scattered fibro glandular densities의 유방 실질을 가졌으며 우측 유방의 하내측 주변부에 약 6.5cm 크기의 불규칙한 관 모양의 고음영 종괴가 관찰되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우측 하내측의 4시방향부터 6시 방향에 걸쳐 4.7cm의 저에코의 관 모양의 종괴가 보였고, 압축되지 않아서 혈광 종괴 보다는 스파르가눔증을 의심하였다. 이후 초음파 유도하 피부 marking을 하여 절제생검을 시행하였고, 저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충체가 발견되었다. 결론 : 유방의 스파르가눔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증례에서 알 수 있듯이 초음파 검사가 스파르가눔증의 진단과 유방암과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충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파르가눔중의 치료방법인 외과적 절제 술에 유용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 Synopsis : Sparganosis is a human infection caused by Sparganum, a plerocercoid, a stage 2 larva of Spirometra. The first case of human infection was reported in China in 1882, and then in Korea in 1917, after the discovery of sparganosis in 1917, breast sparganosis was reported in 1981. Sparganosis is infected when drinking water infected with protozoa without boiling, reproducing plerocercoid infected snakes, frogs, chickens, etc., or when the skin or muscle of a snake or frog is attached to the eye or affected area. The site of infection is the subcutaneous tissue such as the abdominal wall, chest wall, femur and scrotum, and the fascia between muscles. In addition, infections in the orbit, thoracic cavity, abdominal cavity, spinal cavity and central nervous system may occur. Among the reports cases, breast infection is rare. Infection can be suspected based on the patient’s clinical symptoms and reproductive habits, and can be confirmed by surgical removal. It is known that it appears as a palpable mass in the subcutaneous tissue without pain, may be mobile, and the size is not constant. Mammography shows irregular curvilinear hyperdense without calcification, and ultrasound images show a heterogeneous hyperechoic structure inside the hypoechoic curvilinear lesion in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re are cases of increased fat echo in the periphery of the lesion. If a moving body is found during examination, it can be confirmed. It has been reported that sparganosis of the breast is often mistaken for breast cancer. Patient : A 8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with nodular mass of the right breast. She had no symptoms and no family history. Mammography showed breast parenchyma is scattered fibro glandular densities and 6.5cm curvilinear hyperdense lesion of the right lower inner breast. Ultrasonography showed a 4.7cm hypoechoic curvilinear lesion in the 4 o’clock to 6 o; clock on the right lower inner breast, not compressed, it was suspected of sparganosis rather than hemangioma. Afterward, surgical removal was performed by skin marking under ultrasound guidance, and the body was foun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 : Sparganosis of the breast is a rare infection, but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ultrasound examination was helpful in diagnosing sparganosis and discriminating it from breast cancer and it was useful for surgical resection, a treatment method for Sparganosis,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plerocercoid.

      • KCI등재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의 표준화 및 유방 두께, 실질양상과의 상관관계 분석

        박혜숙,김희중,이창래,조효민,유아람,Park, Hye-Suk,Kim, Hee-Joung,Lee, Chang-Lae,Cho, Hyo-Min,Yu, A-Ram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1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따라서 유방자가진단, 임상적 검사, 유방 X선촬영 등과 같은 유방암 초기 검출검사는 중요하다. 이들 중 유방 X선촬영은 무자각증상 시기에 유방암 초기 검출을 위해 40대 이상의 여성들에게 매년마다 시행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유방의 유선조직은 방사선 민감성 조직이다. 이에 유방 X선촬영장치의 평가 중 평균 유선선량 측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평균 유선선량의 직접측정은 어렵기 때문에 incident air kerma 측정, 적절한 변환계수 등을 적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평균 유선선량의 측정 방법의 표준화이다. 두 번째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균 유선선량과 유방 실질양상 및 두께와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 IAEA 가이드라인(CoP)에 따라 평균 유선선량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유방촬영 시 받는 평균 유선선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제시하는 3mGy 이하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평균 유선선량과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각각 1.7과 1.6 mGy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뮬레이션된 평균 유선선량은 주로 유방의 유선조직의 비율에 따라 의존한다. 유방의 glandularity 증가에 따라 낮은 에너지의 광자의 흡수가 증가하여 평균 유선선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방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평균 유선선량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유방촬영의 진단 참고준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form of cancer among korean woman. Therefore, the early detection activities of breast cancer such as breast self-examinations,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mammography are important. A yearly mammography examination has been recommended for women aged 40 and older for the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n asymptomatic periods. However, the glandular tissue of breast is the most radiation-sensitive tissue, and the determination of average glandular dose (AGD) forms an important part of the quality control of the mammographic system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AGD directly, it is often estimated from the measurements of the incident air kerma and by applying the appropriate conversion factor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method of measuring AGD. The secondary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D per various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e breas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As a result, we standardized the method of measuring AGD according to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guidelines (CoP: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Overall, AGD for mammographic practice in Korea was less than 3.0 mGy recommend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KFDA) protocol, and Korean Institute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Image (KIAMI). The measured and simulated AGD for a given condition were calculated as 1.7 and 1.6 mGy, respectively. For the AGDs obtain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simulated AGD was dependent on the fraction of glandular tissue of the breast. The AGD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the breast glandularity due to increasing absorption of low energy photons. The AGD also increases as a function of breast thickn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line to establish a reference level of radiation dose in mammography.

      • KCI등재

        유방암 환자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유륜부절개 부분 유방절제술에 대한 경험 및 5년 추적 관찰의 결과

        강동우 ( Dong Woo Kang ),김연선 ( Yon Seon Kim ),조홍래 ( Hong Rae Jo ),고병균 ( Byung Kyun Ko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유방보존술은 유방암 치료의 표준 술식으로 확립되어져 왔다. 그러나 유방보존술이 유방의 전체적인 모양을 유지시킬 수는 있으나, 수술 후 발생하는 피부 반흔은 미용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였고 더 나은 미용 효과를 위해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내시경을 이용한 유륜부절개 부분 유방절제술(transareolar endoscopic partial mastectomy)에 대한 임상 경험을 보고하고, 향후 유방암 수술에 대한 새로운 술식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15명의 유방암 환자가 내시경을 이용한 유륜부절개 부분 유방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반달 모양의 절개창을 유륜 주위에 넣은 후 VisiportTM를 이용하여 유선조직을 피부로부터 박리하였고 preperitoneal distention balloon system (PDB)을 이용하여 유선조직을 후유방조직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유선조직 상부와 하부의 충분한 박리 후에 안전한 절단면을 가진 종양조직을 제거하였다. 수술 후 경과 관찰을 위해 6개월 간격으로 5년 동안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47.5세였고, 종양의 평균 크기는 2.0 cm (1.3-3.0) 이었다. 유두로부터 종양까지의 거리는 평균 4.0 cm (2.5-5.0) 이었다. 15명의 환자 모두에서 안전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술 5년 경과 후 추적관찰에서도 국소재발은 없었다. 1명에서 흉막으로의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나 국소재발은 없었다. 수술 후 미용적 만족도 평가를 위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추적이 소실된 1명과 원격전이가 발생한 1명을 제외한 13명 모두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유륜부절개 부분 유방절제술은 미용적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되나 향후 더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Breast conserving surgery has been a standard surgery for breast cancers. This operation has a great cosmetic advantage over total mastectomy. Although breast conserving surgery can retain a good shape of the breast, an operation scar would be a disadvantage. Endoscopic surgery can be performed via a small and remote incision that becomes inconspicuous after surgery. We therefore designed transareolar endoscopic partial mastectomy in breast conserving surgery for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went transareolar endoscopic partial mastectomy. A semicircular incision was made around areolar and skin flap was made by using VisiportTM and deepened to the lateral edge of the mammary gland. For mobilization of the mammary gland from pectoralis muscle, we used a preperitoneal distention balloon system (PDB). The PDB allowed us to mobilize sufficiently mammary gland from the pectoralis muscle. After freeing half of the mammary gland, tumor was excised without difficulty with negative margin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7.5 years. The mean tumor size was 2.0 cm (range: 1.3-3.0 cm) and the mean tumor distance from nipple was 4.0 cm (range: 2.5-5.0 cm). In all patients, the tumor was excised with negative margins. After a mean follow up of 5 years, no patient had local recurrence, but one patient experienced distant metastasis. A patient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all of patients evaluated the surgery as “Good”. Conclusion: Transareolar endoscopic partial mastectomy is an effective technique and feasible with a good cosmetic results. However, further study with more patients and long-term follow-up is needed.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Virtual Wedge versus Physical Wedge Affecting on Dose Distribution of Treated Breast and Adjacent Normal Tissue for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김연실(Yeon-Sil Kim),,김성환(Sung-Whan Kim),,윤세철(Sei-Chul Yoon),,이정석(Jung-Seok Lee),,손석현(Seok-Hyun Son),,최일봉(Ihl-Bong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유방의 방사선조사 시 결손조직을 보상하고 방사선 균질선량 분포를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 physical wedge를 사용하여 왔다. Physical wedge 사용 시 주변의 폐, 심장, 반대편 유방, 피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른 급성, 만성 부작용의 증가가 문제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를 비교하여 동측 유방, 반대편 유방, 폐, 심장, 주변연부조직에 미치는 선량분포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Solid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Dmax와 10 cm 깊이에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시 조사야 주변선량을 비교하였다. Humanoid Phantom (Anderson Rando Phantom)을 사용하여 Lt. breast의 tangential irradiation 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선량과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선량과 반대편 유방의 피부선량, 주변 연부조직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에 조사되는 선량을 TLD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computer planning으로 선량분포 및 관심부의 DVH를 비교하였다. 이때 virtual wedge와 physical wedge의 사용에 따른 총조사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7명의 유방암 환자에서 virtual wedge, physic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 조사야에서 1.5 cm 떨어진 주변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Virtual wedge는 15o, 30o, 45o, 60o 모두에서 physical wedge에 비해 주변선량이 감소하였으며 방사선조사 시간을 53∼55% 감소시켜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15o, 30o wedge를 사용한 Humanoid Phantom의 TLD 측정에서도 virtual wedge에서 반대편 유방선량은 1.35%, 2.55% 감소하였고,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은 0.87%, 1.9% 감소하였다. 또한 동측 폐선량은 2.7%, 6.0%, 심장선량은 0.96%, 2.5% 감소하였다. 또한 조사야 경계부위의 선량은 1.8%, 2.33% 감소하였으며 동측 유방의 피부선량은 2.4%, 4.58% 증가하였다.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DVH analysis에서 동측 유방내 선량균질정도는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에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결 론: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Purpose: The ideal breast irradiation method should provide an optimal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volume and a minimum scatter dose to the nearby normal tissue. Physical wedg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but unfortunately introduce an increased scatter dose outside the treatment field, particularly to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typical physical wedge (PW) was compared with the virtual wedge (VW)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dose distribution affecting on the treated breast and the contralateral breast, lung, heart and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Method and Materials: The data collected consisted of a measurement taken with solid water, a Humanoid Alderson Rando phantom and patients. The radiation doses at the ipsilateral breast and skin, contralateral breast and skin,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and ipsilateral lung and heart were compared using the physical wedge and virtual wedge and the radiation dose distribution and DVH of the treated breast were compared. The beam-on time of each treatment technique was also compared. Furthermore, the doses at treated breast skin, contralateral breast skin and skin 1.5 cm away from the field margin were also measured using TLD in 7 patients of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hantom measurements. Results: The virtual wedge showed a decreased peripheral dose than those of a typical physical wedge at 15o, 30o, 45o, and 60o. According to the TLD measurements with 15o and 30o virtual wedg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1.35% and 2.55% in the contralateral breast and by 0.87% and 1.9% in the skin of the contralateral breast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2.7% and 6.0% in the ipsilateral lung and by 0.96% and 2.5% in the heart. The VW fields had lower peripheral doses than those of the PW fields by 1.8% and 2.33%. However the skin dose increased by 2.4% and 4.58% in the ipsilateral breast. VW fields, in general, use less monitor units than PW fields and shortened beam-on time about half of PW. The DVH analysis showed that each delivery technique results in comparable dose distribution in treated breast. Conclusions: A modest dose reduction to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and uniform target homogeneity were observed using the VW technique compare to the PW beam in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The VW field is dosimetrically superior to the PW beam and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minimizing acute, late radiation morbidity and reduce the linear accelerator loading by decreasing the radiation delivery tim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방암환자의 요가수련 효과에 대한 문헌연구

        변재경,박순희,노밍영,이현희,이현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 계획 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ub Med 및 Google Scholar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 요가운동 및 면역"을 검색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에 대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강사에 의한 코스 안내와 DVD로 진행 되었다. 유방암 유형은 전이성 유방암, I기, II기, III기 유방암, 비전이성 유방암, 편측성 유방암,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으로 분류하였다. 유방암의 유형과 요가운동 목적에 따라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시간, 빈도 및 운동 강도가 결정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대부분의 운동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신체 구성, 체력, 면역, 수면, 정신건강 및 기능, 신체 활동수준을 개선하고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요약하면, 유방암 환자에게 적합 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모든 암 환자가 요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른 분야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유방암 유형별로 구체적인 운동계획과 처 방을 제안할 필요가 있으며, 유방암 치료 중 발행되는 휴유증에 따른 운동처방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by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order to check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subjects, Pub 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breast cancer patients, yoga exercise and immunity". In addition to papers not related to this study, a total of 16 papers were selected. Result, the yoga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is carried out by the course guidance and family DVD. Breast cancer types include metastatic breast cancer, stage I, II, III breast cancer, non-metastatic breast cancer, unilateral breast cancer, stage II, stage III breast cancer, stage II-IV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ceiving radiotherapy, Breast cancer. Depending on the type of breast cancer and the purpose of the yoga exercise, the implementation of the yoga exercise plan is different, and the exercise tim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of the yoga exercise program are usually determined. Most exercise programs i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y can improve and enhance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immunity, sleep, mental health and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summary, it has been found that a yoga exercise program suitab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it should be extended to other fields so that all cancer patients can participate in yoga exerci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more specific exercise plans and prescriptions for each type of breast cancer.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 and prescription for each disability.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의 Digital Mammography에 관한 연구

        임청환(Cheonghwan Lim),이상호(Sangho Lee),정홍량(Hongryang Jung),모은희(Eunhui Mo)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유방영상검사의 최고의 관심영역인 DR 방식의 유방영상에서 유방암 진단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유방암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DR 방식으로 유방영상검사를 실시한 유방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조사되었다.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0.8세이었고, 유방암의 발생 부위는 상외측(UOQ)이 전체의 3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유방암 발생은 40-49세에서 42.1%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조직 밀도는 지방형 유방이 31.6%(18/57), 치밀유방이 68.4%(39/57)로 나타나, 70%에 가까운 유방암 환자들이 치밀유방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유방영상에서 방사선학적 병변 중 종괴와 미세석회화가 함께 동반된 경우 (45.3%)가 유방암 발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밀유방에서 미세석회화를 동반하지 않는 종괴의 경우 지방형 유방에서보다 유방암의 발견율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종괴는 치밀유방에서 위음성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Digital mammography의 위음성률은 7.0%이었고, 민감도는 93.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밀유방의 위음성율은 12.8%, 민감도는 87.2%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보고된 screen film mammography의 치밀유방에서 보다 유방암에 대한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breast cancer diagnosis of digital mammography which is in the highest interest of breast imag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For this purpose, 57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imaging test were examined between May 2010 and June 2011. The average age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was 50.8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ocation was the upper outer quadrant (UOQ), accounting for 33.3%. By age, the highest occurrence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age group of 40~49, accounting for 42.1%. As for the breast composition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fatty breast accounted for 31.6% (18/57) and dense breast for 68.4% (39/57), indicating that nearly 70%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have dense breast. It was found that the detection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highest (45.3%) when both microcalcification and mass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radiographic lesion of the breast imaging. In dense breast, the mass without microcalcification was lower in detection rate than fatty breast. Accordingly, the mass is the cause of raising the false negative rate in dense brea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lse negative rate of digital mammography was 7.0% and the sensitivity 93.0%. Also, the false negative rate of dense breast was 12.8%, and the sensitivity 87.2%, indicating that the sensitivity to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the dense breast of previously reported screen film mammography.

      • KCI등재

        유방 방사선 검사를 위한 압박 패드의 제작 및 유방 압박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김도희(Do-Hee Kim),이안(Ann Yi),권보라(Bo-Ra Kwon),구홍욱(Hong-Uk Ku),방용식(Yong-Sik Bang),조명주(Myeong-Ju Cho)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여러 재질의 맘모 패드를 제작함으로써 환자의 압박 통증 및 불편함 감소 효과와 단일 패드의 대체 가능성을 살펴보고 유방촬영 시 환자의 압박 통증변화와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H사의 맘모 패드를 대체할 수 있는 고경도, 고탄성의 맘모 패드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패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유방촬영 시 통증 관련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2018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서울의 일 종합병원 내원자 중 유방검사를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총 200명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영상평가 결과, 기존 패드와 신규 제작 패드 모두 화질평가와 임상영상평가의 기준 내 적합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방촬영 시 압박 통증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분석항목 요인으로 나이, 키, BMI수치로 나타났으며 여성적·경험적 분석항목 요인으로 생리여부, 출산 경험, 모유 수유 경험, 폐경여부, 유방 GRADE, 유방 형태, 유방촬영 경험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나이, 모유 수유 경험, 유방촬영 경험, 폐경여부는 유방촬영 시 통증 변화 정도의 54.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유방촬영 시 통증의 변화는 중간 통증에서 유방촬영 경험이 증가할수록 약 0.26배, 심한 통증 이상에서 유방촬영 경험이 증가할수록 약 0.14배씩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mmo pad made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on the reduced inconvenience and compression pains of patients to examine plausible interchangeability of existing pads made of single kind of material,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pains of patients taking mammography and various factors therein. The high-hardness and highly-elastic mammo pressure pads, capable of replacing existing mammo pad of “H” company, were manufactured, and the display quality of mammography obtained from respective mammo pad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o appraise the availability of manufactured mammo pad. In addition, 200 patients, who came to a general hospital in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urvey employ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from December 2018 to March 2020 to identify the factors involved with the mammo pad of patients while taking mammography. The results of mammography obtained from both of the existing and newly manufactured mammo pad revealed appropriate display qualities fell within the range of clinical criteria. Besid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ing compression pains of patients taking mammography were analyzed wherefrom the general factors in the following order of age, height, and BMI index appeared, while the experiential and female factors appeared as in the following order: presence of menstruation, experi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menopause, grade of breast, shape of breast, and experience of mammography. In conclusion, the following factors comprising the age,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experience of mammography, and menopause rendered approximately 54% of power of explaining the degree of changing pains during mammography. Regarding the changes in compression pains while taking mammography, the increasing experience of mammography of patients rendered approximately 0.26 times more at the intermediate range of compression pains and approximately 0.14 times more at the range of severe p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