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의 유목주의적 양상 고찰

        최정근(Choi, Jung Ge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1 No.-

        연구자는 `유목주의`와 ‘정서 에포트’ 개념에 따라 정서의 유목주의적 양상을 밝히고, 그것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유목주의는 들뢰즈(Gilles Deleuze)와 가타리(Felix Guattari)가 제기한 유목민의 개념과 연결되는데, ‘탈경계적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방식 혹은 태도’를 일컫는다. 연구자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과 지질학적 개념으로 이러한 유목주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정서 에포트는 연구자의 「감정의 지형에 대하여」라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정서의 특질을 규명하는 개념이다. 연구자는 두 개념적 틀이 제공하는 관점에 따라 ‘정서가 지층이며, 리좀일 수 있다’라고 제안하고, 이러한 사실이 인간 사유와 관련하여 의미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다. 4차 산업 혁명의 도래와 인공지능의 등장이 산업 현장 및 일상에서 인간의 역할을 한층 더 축소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는 시기에, 본 연구가 대체될 수 없는 인간의 차별적인 특성과 가치를 부각시켜 줄 것이라고 믿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aspect of nomadism in emotion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human perception and reaso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have discussed "nomadism" and "emotion effort". I have proposed that emotion can be rhizomes and layer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provided by the two conceptual frameworks,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related to human reasoning. This study will highlight the differentiating traits and values of human beings that can not be replaced.

      • KCI등재

        현대패션의 유목적 속성

        윤을요,정현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3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modern fashion with nomadic features which are recognized as a current periodic paradigm.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in using the present socio-cultural phenomena flexibly as fashion codes. The followings show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is research. First, this thesis examines the nomadic paradigm of modern society, the concepts of nomadism and rhizome, and the system and composition principles of rhizome in order to study modern society and nomadism theoretically. Second, it organizes the contents considered in nomadism theory into individual independency, microscopic variety, and anti-genealogical ambiguity so as to analyze the nomadic features of modern fashion. Nomad thought is a theoretical system that explains the idea of the difference between Deleuze and Guattari. The thought is the system of rhizome, and it refers to the system of a rhizome that joints, differentiates, disconnects, and connects without any centroid or root unlike the structure of a tree which centers at a centroid. The implication of ‘nomadism’ originated from the thinking system of Deleuze and Guattari in the 20th century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ource of variety by which modern fashion is characterized as well as the accelerative change in the phenomena of individualistic society and culture.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nomadic thought rejects dependency, pursues freedom and flexibility, and has a lot in common with the nomadic tendencies of modern fashion emphasizing image value. 본 연구는 현대패션을 오늘날 시대적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목주의 속성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 시대의 사회문화 현상을 패션코드로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사회와 유목주의의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현대 사회의 유목적 패러다임, 유목주의와 리좀의 개념, 리좀의 체계와 구성 원리를 살펴본다. 둘째, 현대패션의 유목적 속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목주의 이론에서 고찰한 내용을 개별적 독자성, 미시적 다양성, 반 계보적 모호성으로 분류하였다. 유목적 사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차이에 대한 사고를 설명하는 이론적 체계이다. 이 사유는 리좀의 체계로서, 하나의 중심에 귀착하는 나무의 구조와 달리 중심도 뿌리도 없이 접속되고, 분화되고, 단절되고, 연결되는 근경식물의 체계를 일컫는다. 20세기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유체계에서 출발한 ‘유목주의’의 함축적 의미는 개인중심의 사회와 문화 현상의 가속적 변화와 더불어 현대패션이 갖는 다양성의 근원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고 본다. 따라서 유목주의 사유는 종속을 거부하고, 자유로움과 유동성을 지향하며, 이미지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 패션의 유목적 성향과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황구의 동굴〉에 나타난 몽골 유목민의 자연관

        안숭범(Ahn Soongbeum)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오늘날 관심이 높아가고 있는 유목민 소재 영화들은 현대문명에서 사라진 문화적 특징을 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황구의 동굴>은 몽골 유목민의 자연관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연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본고는 우선 <황구의 동굴>의 전언을 서사맥락과 미장센의 측면에서 검출하였다. 그 결과 서사맥락에서는 몽골 유목민의 삶에 녹아있는 윤회적 자연관이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영화 속 삽입설화와 영화 전체의 서사는 같은 의미맥락으로 상응하였는데, 이들은 민간신앙과 결합된 티베트불교의 자연관을 드러내고 있었다. 한편, 〈황구의 동굴〉의 미장센에서는 더욱 구체적으로 그들의 생태주의적 자연관이 현시되어 있었다. 실제 유목민 가족의 삶을 다큐멘터리적으로 담아낸 화면 덕분에, 영화 공간에는 유목민의 생태의식이 발현된 흔적이 뚜렷했다. 이들 자연관의 의의를 검출하자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삶의 가능성에 있을 것이다. 영화속 유목민 가족은, 그들이 자연으로부터 왔다는 것을 믿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갈 것도 믿는다. 자연과 한 몸을 이뤄 살아가는 존재로서 인간을 이해하고 있는 셈이다.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이 단지 '지금 여기'에서뿐만 아니라, 영속적으로 공존해야 할 공동 운명체라는 교훈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속도주의에 사로잡힌 현대의 도시문명을 반성할 때, 유목민의 의식과 현실에 밀착된 자연관은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몽골 영화를 민속학적 관심에서 논의한 경우는 전무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영화매체가 갖는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과 해외 영화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아직 편협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앞으로는 영화를 통해, 낯선 민속문화와 관련한 담론이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The films on nomads which are raising public interests these days contain extinguished cultural features in modern civilization. 〈The cave of the yellow dog〉 provides us the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perspectives on nature of Mongolian Nomads. For efficient practice of research, this paper analyzed out the message of 〈The Cave of the Yellow Dog〉 in narrative context and in aspect of mise-en-scene. In narrative context, transmigrational perspectives on nature was found. More specifically, inserted narration in the movie and overall narration of the movie have correspondence with the same meaning context and they showed the perspectives on nature of Tibetan buddhism combined with folk religion. On the other hand, in mise-en-scene of 〈The cave of the yellow dog〉 their ecological perspectives on nature is revealed more specifically. Thanks to the documentary-like pictures of real nomad family life, vivid marks of revelation of their ecological consciousness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ir perspectives on nature is the possibility of harmonious and balanced life. One nomad family members who were in the film believed that they have come from nature and they will return to. They understand human being as one with nature. Moreover, the lesson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are in the same boat permanently as well as now and here teaches us a lot. The consciousness and perspectives on nature connected closely to reality make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when we reflect our city civilization captured by speed. We seem to have no discussion on Mongolian films in the aspect of folklore so far. This situation shows that the advantages of films are not well-recognized and our interest on foreign films is still narrow. From now on, we hope the discourses on unfamiliar folk culture would be more vigorous.

      • KCI등재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목영해 ( Young Hai Mok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들뢰즈는 긍정적인 욕망관에 기반을 둔 유목주의를 주장한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은 접속된 항목들의 배치 속에서 생성되는데, 인간은 살아감에 있어서 기존의 배치를 해체하고 새로운 배치를 형성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살아가는 일이란 끊임없이 새로운 욕망을 생성하는 과정인 것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을 생성하는 배치가 안정되고 고착된 상태가 영토화이며, 국가는 영토화가 가장 강건하게 이루어진 사회체제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욕망에 바탕을 둔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탈영토화를 시도하는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들뢰즈 유목주의에 의하면 교육을 통하여 길러내야 할 인간상으로는 `유목민`이 적절하고, 교육과정은 리좀 체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방법은 `~되기`가 적절하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Deleuze`s nomadism. In these days, Dleuz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lar, and his nomadism is a favorite topic of study. `Desire` is a key concept of Deleuze`s thought. In the Deleuze`s nomadism, the desires comes from/with a procedure of `becoming machine` and are products of assemblages of connected items. So the connections and the assemblages have various and rhizome structures, the desires also are in the variable and rhizome structure. In Deleuze, Since a nation want to control people`s life through a standardization and a fixation of the assemblages, person that want to live a good life have to become a nomadic people which resist control of the n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Deleuze`s nomadism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school system have a purposes to fix the assemblages that connected with desire. Therefore the existing schooling is not appropriate to desirable life. Second, The Deleuze`s nomadism is a guideline and a background of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Third, A reasonal person, a moral person, a citizen, people of the nation, a technologist should be ruled out from the educated person. In the contrary, a nomadic people, a war machine, a abstract machine and a body without organs should become the educated person. Forth, Curriculum on the tree type makes student a dependable and conventional person, but curriculum on the rhizome type makes student a independable and creative person.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tituted not in the tree type but in the rhizome type. Fifth, `Being to minor and strange one` such as `being-wolf`, `being-child`, `being-sound` is a desirable and creative teaching method to make a independable and creative student. Sixth, assemblage of the Korean schooling make students take the desire of competition and be a competition machine.

      • KCI등재후보

        십대와 그 영화적 재현의 가능성과 난제들 : <세친구>, <고양이를 부탁해>,<나쁜 영화>,<눈물>을 중심으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12 No.-

        이 글은 소수자 집단과 대표적인 소비주의 주체, 문제 집단과 희생자 집단이라는 모순된 정체성과 지위 속에 놓여 있는 십대와 그들의 하위문화를 묘사하고 있는 네 편의 한국 영화들을 통해서 십대가 지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어떤 방식을 통해 재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십대에 대한 진정성을 지닌 재현이란 과연 어떤 것인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친구>(임순례, 1996)는 십대 남성의 정체성과 육체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제도 적이거나 일상적인 폭력을 통해서 어떻게 규정되고 또 상처받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이 영화는 한편으로는 사회 전체를 나타내는 은유이자 징후로서의 육체의 의 미를, 다른 한편으로는 젠더 정체성이 심리적 차원만이 아니라 육체적인 차원과 맺고 있는 관계를 비판적으로 드러낸다. 한국 영화 중에서 보기 드물게 십대 여성에 대한 사실주의적 재현을 보여주는 <고 양이를 부탁해>(정재은, 2001)는 인천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 사회의 주변 성을 포착하는 동시에 십대 여성의 유목적 주체성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페미니즘적 시각을 통해서 남근중심적인 시각 경제를 벗어나는‘여성에 대한 대안적 형상화’라는 성취를 이루어낸다. <나쁜 영화>(장선우, 1997)는‘나쁜 아이들’과‘행려들’을 영화에 직접 출연시키 고 또 그들의 실제 경험을 재연함으로써 현실과 재현 간의 경계를 질문하고 해체하고 자 하지만, 비효율적인 형식과 비성찰적인 시각으로 인해서 그 대상을 타자화하고 그 들의 이미지를 식민화한 결과‘십대 선정주의’라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십대를 성적 주체로서 긍정하고 십대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제도적 힘들을 담아내고 있는 <눈물>(임상수, 2000)은 한국 사회의 가족 제도와 성 담론이 갖고 있는 모순과 억압성을 폭로하지만, 십대 주체를 결국 파괴와 순응이라는 이분법 적 도식 안에 가둠으로써 스테레오타입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한국영화사에서 네 번째로 이루어진 집단적인 청년영화의 등장이라는 맥락 속에 놓인 네 편의 영화들은 십대 주체들이 처한 모순적 현실을 드물게 직시하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반(反)환영주의에 가까운 미학적 결과를 보여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 만, 두 편의 여성 감독의 영화들과 두 편의 남성 감독의 영화들은 그 영화적 스타일은 물론이고 십대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소수자 집단 을 묘사하는 영화에서의 재현의 정치학이라는 문제와 여성주의 영화 미학의 가능성 을 과제로 남겨준다. This essay reviews four films that describe the subculture of teens who are situated among conflicting identities between minorities and subjects of consumerism or trouble makers and victims. These films show how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 of teens can be represented, raising questions about what are the authentic representation of teens. Three Friends (Im, Soon-rye, 1996) shows how the bodies and identities of boys in their teens are defined and hurt through institutional or ordinary violence permeated in Korean society. So the movie shows the meaning of body as metaphor and symptom of the whole society on the one hand, and it also criticall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identity and phys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position. Take Care of My Cat (Jeong, Jae-eun, 2002) is a rare case of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eenage girls in Korea. The film captures the marginality of society centering on the space of port city, Inchon. The film also accomplishes 'alternative representation of women’ that breaks the phallocentric economy of vision through feminist perspective on the nomadic subjectivities of teenage girls and their relationship. Timeless, Bottomless (Jang, Sun-woo, 1997) featured ‘bad teens’ and ‘the homeless’ in the movie and represented their real experiences, which was intended to question and disintegrate the border between reality and representation and documentary and fiction. However its intention fails and the film is ended as a case of ‘teenage sensationalism’ by othering them and colonializing their images through unreflective perspective on teens and inefficient forms. Tears (Im, Sang-soo, 2000) affirms the teens as sexual subjects and describes diverse socio-cultural contexts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surrounding teenagers. Though it discloses the contradiction and repression inherent in family system and sexu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it makes stereotypes of the teenage subjects by confining them in the dichotomous frame of deviation and conformity, These four films are located in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the fourth collective appearance of youth films in Korean film history. They face up to the contradictory circumstances where Korean teenage subjects are placed and achieves anti-illusionistic effects in their aesthetics. However, the two films made by women directors and the other two made by men directors clearly show the differences in their perspectives towards teenagers as well as in their filmic styles. This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about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minority and possibilities of feminist film aesthetics.

      • KCI등재

        유목적 글쓰기로서의 볼라뇨 문학

        이경민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2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3 No.3

        Bolaño kept track of the pathology of the modern society and gave an in-depth portrayal of the human condition and the world of ‘evil’ inherent therein,thereby joining the league of the most noticeable writers in Latin American modern literature after the Boom generation. In particular, he took issue with existing literature and literary power hierarchy, explored the fixated literary territory, and illustrated the unsettled literary features. This paper hereby focuses on the fact that Bolaño’s text creates a unique connection with existing literature by attempting a literary adventure just like he did in his life. It also points out that his literary adventure not only represents the murder of literary origin of the established generation but also triggers tension with such origin. The paper clarifies that his text is a literary production as rewriting by converging his literary distinction sourced from connection and tension on the word of nomad. 볼라뇨는 현대사회의 병리를 끊임없이 추적하며 인간의 조건과 그 안에 내재한‘악’의 세계를 심도 있게 그려냄으로써 붐 세대 이후 라틴아메리카 현대문학에 있어 가장 주목받는 작가의 반열에 들어섰다. 특히, 기성문학과 문학권력을 문제 삼으며 고착화된 문학영토를 탐험하며 정주하지 않는 문학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논문은 볼라뇨 자신의 삶만큼이나문학적 모험을 시도한 그의 텍스트가 기성문학과 독특한 접속점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볼라뇨의 문학모험이 기성세대의 문학적 원형에 대한 살해임과 동시에 그것과 긴장을 유발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접속과 긴장에서 생산된 볼라뇨 문학의 성격을 유목이라는 말로 수렴하여 그의 텍스트가 변형적 다시쓰기로서의 문학생산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김수자 작품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김수자(金守子) 작품에 대한 문화정체성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특히 강조 되는 것은 그녀의 작품들이 시대적으로 다원화되는 상황 속에서 세계화되는 미술계의 변화와 함께 주요한 비평 담론들과 어떻게 접목되고 관련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부적 연구로는 김수자에 대한 소개와 작품의 양식적 변천이 문화정체성으로 연결되는 작업의 특징에 대하여 해석을 하고, 독자적 경험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나타나는 문화정체성을 살펴 볼 것이다. 특히 김수자의 작품 설치 퍼포먼스의 대표작 <보따리>, <보따리 트럭>등의 작업과 마지막 <바늘여인>작업을 유목주의와 문화정체성의 맥락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김수자 작품들의 특징을 정리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문화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한국 미술계의 상황과 국제 전시들 경향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전반적 맥락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ural identity of international artist Sooja Kim's works. This study, in particular, tries to grasp how Kim's artworks are implanted and related to the major criticism arguments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art field that is getting globalized with her works diversified age by age.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ntroduces the artist; interprets her work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transition of her work styles has a link to cultural identity; and looks into the cultural identity that appears through her unique personal experiences. Especially, I try to analyze her representative installed work performances such as her last work, Needle Woman as well as Bottari and Bottari Truck in the context of nomadism and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se studies, I will list up the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and identify the cultural identity implied in her works. Also, I analyze her artworks to facilitate understandings about the values of major as well as overall context that encompasses the Korean art community's current status and international exhibition trend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장미영(Jang, Mi-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4 No.-

        This study is to point out Korean society’s situation discriminating between female spouse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hose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to find a solution to it.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 establishing self-identity. By 2007, foreign spouses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citizens amount to 106,437. Among them, 93,902 people, 88.2% are female. The word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mean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or love. the people call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ose who married Korean males through marriage agencies or certain religious bodies. In this case, most Korean male spouses are singles who are not chosen by Korean females. The word “female marriage immigrants” also has a meaning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such as China, Viet Nam, Philippines, Mongolia and Thailand etc. Recently, Korean society is developing programs based on “the ethics of differences” which excludes violent Korean culture education demanding uniformity.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philosophy can be recognized as an advanced culture education which admits the differences of each culture. It can also be regarded as an improved culture education in a way of “the ethics of differences” byteaching the excellency of the culture of mother’s country. But “the ethics of differences” can not be an active concept creating new values. Korean society has to find a new ethics in order to adopt various cultures as well as to develop the abi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final goal is not to only recognize the differences but to obtain equality. The linguists, Acton and Felix categorized the cultural change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into 4, ie. Tourist stage, Survivor stage, Immigrant stage and Citizen stage and discovered the acculturation threshold between survivor stage and immigrant stage. Korean culture eduction should be done taking the stages of the learner’s cultural change into account. Stage 1, the tourist stage has to focus on the position of mere observer who just compare Korean culture with his/her own country’s culture. Stage 2, the survivor stage is to teach the basic cultural knowledge which is necessary for living. Stage 3, the immigrant stage needs to obtain the knowledge of cultural products, tangible or intangible, and to take detailed actions under Korean culture and further understand it. Stage 4, the citizen stage requires the education for the learner’s practice in his/her own way, that is to say, to make the learner to solve the problem on her own using materials around him/her. In conclusi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become more meaningful by considering their better lives and new happiness. It means that the education should create productive energy individually and socially. Our society has to go over the mere concept of recognizing foreign culture. We have to go further by making each female marriage immigrant to develop ‘the nomad thought’ and reborn as a “nomadic subject” in order to make self-achievement on her own.

      • KCI등재후보

        십대와 그 영화적 재현의 가능성과 난제들 : <세친구>, <고양이를 부탁해>,<나쁜 영화>,<눈물>을 중심으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0 No.12

        이 글은 소수자 집단과 대표적인 소비주의 주체, 문제 집단과 희생자 집단이라는 모순된 정체성과 지위 속에 놓여 있는 십대와 그들의 하위문화를 묘사하고 있는 네 편의 한국 영화들을 통해서 십대가 지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어떤 방식을 통해 재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십대에 대한 진정성을 지닌 재현이란 과연 어떤 것인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친구>(임순례, 1996)는 십대 남성의 정체성과 육체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제도 적이거나 일상적인 폭력을 통해서 어떻게 규정되고 또 상처받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이 영화는 한편으로는 사회 전체를 나타내는 은유이자 징후로서의 육체의 의 미를, 다른 한편으로는 젠더 정체성이 심리적 차원만이 아니라 육체적인 차원과 맺고 있는 관계를 비판적으로 드러낸다. 한국 영화 중에서 보기 드물게 십대 여성에 대한 사실주의적 재현을 보여주는 <고 양이를 부탁해>(정재은, 2001)는 인천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 사회의 주변 성을 포착하는 동시에 십대 여성의 유목적 주체성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페미니즘적 시각을 통해서 남근중심적인 시각 경제를 벗어나는‘여성에 대한 대안적 형상화’라는 성취를 이루어낸다. <나쁜 영화>(장선우, 1997)는‘나쁜 아이들’과‘행려들’을 영화에 직접 출연시키 고 또 그들의 실제 경험을 재연함으로써 현실과 재현 간의 경계를 질문하고 해체하고 자 하지만, 비효율적인 형식과 비성찰적인 시각으로 인해서 그 대상을 타자화하고 그 들의 이미지를 식민화한 결과‘십대 선정주의’라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십대를 성적 주체로서 긍정하고 십대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제도적 힘들을 담아내고 있는 <눈물>(임상수, 2000)은 한국 사회의 가족 제도와 성 담론이 갖고 있는 모순과 억압성을 폭로하지만, 십대 주체를 결국 파괴와 순응이라는 이분법 적 도식 안에 가둠으로써 스테레오타입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한국영화사에서 네 번째로 이루어진 집단적인 청년영화의 등장이라는 맥락 속에 놓인 네 편의 영화들은 십대 주체들이 처한 모순적 현실을 드물게 직시하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반(反)환영주의에 가까운 미학적 결과를 보여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 만, 두 편의 여성 감독의 영화들과 두 편의 남성 감독의 영화들은 그 영화적 스타일은 물론이고 십대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소수자 집단 을 묘사하는 영화에서의 재현의 정치학이라는 문제와 여성주의 영화 미학의 가능성 을 과제로 남겨준다.

      • KCI등재

        횡단성의 정치: 소통정치의 조건

        이동수 ( Dong Soo Lee ),정화열 ( Hwa Yol Ju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3

        정치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사회 내에서 함께 살 수 있도록 하는 행위들의 총합"이다. 이 때 사람들의 차이는 단순히 의견이나 이해관계의 차이가 아니라 본질적이고 존재론적인 차이이며, 따라서 여기서 발생되는 문제들은 ``권력정치``보다 ``소통정치`` 차원에서의 해결을 필요로 한다. 이 때 ``소통정치``는 합의가 목적이 아니라 불일치에 대한 이해, 차이에 대한 인정과 이해를 추구하는 ``횡단성의 정치``를 의미한다. 먼저 들뢰즈는 존재의 본질을 차이 그 자체로 간주하고 인간에게 생성의 욕망이 내재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국가나 제도, 권력 등을 통해 인간을 고착화시키는 영토화로부터 탈주하여 새로운 차이를 생성하는 유목민적 태도가 ``횡단성의 정치``를 불러온다고 본다. 둘째, 바흐친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들이 융합되지 않는 다수의 목소리들을 다성악적으로 전달하고 비종결적 대화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차이가 있는 타인을 인정하고 그와의 소통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셋째, 정화열은 쉬라그와 메를로 퐁티의 논의를 받아들여 보편성과 개별성의 이분법을 대체하는 횡단성을 옹호하면서, 서구중심주의라는 근대적 보편성 대신 서양과 동양의 횡단과 소통에 근거한 다문화주의를 통해 진정한 지구촌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횡단성의 정치``는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 소통함으로써 상대를 적이나 동지가 아닌 차이 나는 동반자로 간주하는 정치를 지향하며, 이것이 진영들의 투쟁과 ``권력정치``에 빠진 한국정치 현실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덕목이다. Politics can be defined as the totality of actions with which different humans can live together in a society. Humans are not simply different in their opinions and interests but in their ontological ess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problems generated from that kind of difference should be solved on the level of politics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on the level of politics of power. Politics of communication does not aim at consensus but at the understanding of dissensus and the recognition of different others, i e, politics of transversality, Above all, Deuleuze views Being as difference in itself and thinks that humans have the desire for becoming. Thus humans can fly and transverse from the territorialization which nation-states, regimes and powers want to make, and can become nomads who create new differences. Second, Bakhtin evaluates Dostoevsky as a great writer in the sense that he uses polypony and unfinalizable dialogues among characters. Dostoevsky`s methodology presupposes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s. Third, Jung along with Schrag and Merleau-Ponty advocates transversality replacing both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and tries to make a true global village with the transversal interactions betwee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ulture. In conclusion, politics of transversality means that which recognizes essential difference and otherness in human being and accepts the living-together with transversal commun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