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스정류장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한·중 버스정류장 사례를 중심으로 -

        왕염령,김민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무장애 시설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무장애 디자인과 같이 어떠한 그룹을 배려한 특별한 디자인이 오히려 이들을 일반인과 차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제안되었다. 즉, 모든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유니버설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버스정류장은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버스정류장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을 통해 양국 버스정류장의 디자인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과 버스정류장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10년간 공공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사례 분석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정보성, 쾌적성, 수용성, 융통성, 접근성, 안전성, 총 6가지의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로 구성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총 8개 버스정류장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재 양국 버스정류장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있어 격차와 부족한 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시킬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한국의 수도 서울의 버스정류장은 정보성과 접근성 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그러나 쾌적성, 융통성, 안전성 및 수용성의 개선이 요구된다. 반면, 중국의 수도 베이징의 버스정류장은 접근성은 뛰어났지만, 나머지 다섯 가지의 유니버설 디자인 모든 측면에서 향상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서울의 버스정류장이 베이징에 비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성 측면에서만은 베이징의 버스정류장이 서울보다 높은 적용 현황을 보였다. 특히 수용성 측면에서 양국의 버스정류장 모두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즉, 베이징과 서울 모두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있어 접근성 측면에서만 모든 세부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이는 무장애 디자인의 물리적 요소에서 나아가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결론) 한국과 중국의 버스정류장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을 비교한 결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며 이는 상호 참고 및 개선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하겠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의 버스정류장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 2가지, 베이징의 버스정류장에 대해서는 5가지의 사항을 제안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념을 실제 버스정류장 공간에 충실히 반영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rapidly worldwide, the demand for barrier-free facilities is also increasing. Considering that special designs that are aimed at certain groups, such as barrier-free designs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can lead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m by the public, a universal design was proposed as a key solution. Universal designs that meet the needs of all users are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Bus stops are important elements in urba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s at bus stops in Korea and China. A desirable design direction for bus stops in both countries was propos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prepared a cas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elements of public facilities over the past 10 years. By selecting and analyzing eight bus -stop cases in Korea and China, we used a framework consisting of six universal design elements: informativity, comfort, adaptability, flexibility, accessibility, and safety. This study highlighted the gaps and flaws i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bus-stop designs in both countries. It then suggested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universal design of bus stops in both countries. (Results) Bus stop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showed excellent informativity and accessibility. However, improvements in the dimensions of comfort, flexibility, safety, and adaptability wer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bus stop in Beijing, the capital of China, had excellent accessibility, but was lacking in all the other five aspects of the universal design elements. Overall, the level of universal design was better in Seoul than in Beijing; however, in terms of safety, Beijing's bus stops were better than those of Seoul.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improvements in adaptability were necessary for bus stops in both countries. Both bus stops in Seoul and Beijing met all the requirements only in terms of access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This analysis showed that it must be developed from the physical element of barrier-free design to the aspect of universal design. (Conclusions) After comparing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universal design in bus stops in Korea and China, we found that each has its own strengths and limitations, which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mutual reference and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we proposed two suggestions for the universal design of bus stops in Seoul and five suggestions for bus stops in Beijing. By reflecting the spirit of universal design in an actual bus stop space, we hop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everyone can use them conveniently and safely.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제도 실효성 연구

        박선희,이주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로 인하여 인구구조가 초고령화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 잠재적인 장애 인구 증가가 예상되고 단독가구의 증가로 미래사회에 대한 대응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고령자, 이동 약자 등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이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는 생활환경 마련과 생산연령인구가 효율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개소 이후 추진한 컨설팅 사업대상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컨설팅 제도의 실효성을 연구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컨설팅의 제도 현황을 점검하고 더 나아가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다양한 분야로 정책이 확산을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고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여러 유형 중 사전컨설팅을 대상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한 컨설팅 사업대상지를 선정하여 결과 개선안의 회신 반영률과 회신기한을 분석한 후, 준공이 완료된 곳을 중점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분석하고 컨설팅 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한 후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분석을 통하여 사업대상지에 따른 편차가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지만, 컨설팅을 추진한 사업대상지의 유니버설디자인 개선안 반영 및 적용한 곳이 조금씩 많아지고 변화하는 것을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컨설팅 추진 건수가 증가할수록 컨설팅 제도 및 절차 등에 대한 체계가 점차적으로 구체화 및 안정화되었다. (결론)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제도는 짧은 시간 안에 가시적인 효과나 성과를 보여줄 수는 없지만 지속적으로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여 제도를 유지하고 꾸준히 발전하여나간다면 조금씩 생활환경이 변화하고 그 작은 변화들이 쌓여 훗날에는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컨설팅 제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또는 미비한 사항이 있다면 발전시켜야한다.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절차 개선 방법 등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확산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고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원주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효진,김주연,장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다양한 활동 공간들이 제한되면서 시민들은 심리적으로 답답함을 느끼고, 개방되어 있는 거주지 인근의 근린공원을 찾고 있다. 이러한 도시공원은 공공재로서, 남녀노소 모두와 사회적 약자들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근린공원에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를 하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근린공원의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평가요소, 선행연구별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지표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에서 평가할 공원 내 적용범위 내용을 참조하여 5개의 항목으로 나누고, ‘강원도 유니버설디자인(UD) 기초연구’의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6개의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을 도출하여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분석표를 구성하였다. 셋째, 원주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조사대상지로 선정 ・ 분석한 후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현장조사 내용과 분석표를 기준으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을 평가, 분석한 후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원주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조성 연도에 따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차이가 보였고, 오래된 공원일수록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낮아지며, 지속성 > 쾌적성 > 편리성, 정확성 > 안전성 > 기능성 순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원의 조성 시기별로 오래된 공원의 경우 지속성이 가장 낮았고, 이는 가이드라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안전성과 쾌적성에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새로운 도시공원 조성에 적용될 체크리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공원관리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원주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 도시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개선과 지속적인 관리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신체 동작별로 구분한 유니버설 디자인 패턴 연구

        박성준,홍석재,박재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사람의 연령이나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나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인구의 고령화 및 더 나은 생활의 수요 증가로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금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유니버설 설계자가 사용자의 세밀한 관찰읕 통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니버설 설계자가 없는 일반 기업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들의 정보화가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보화는 구체적인 대상을 일반화 (추상화) 하고 일반적인 해법을 연결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TRIZ의 방법론의 도입이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알지 못해도 일반적인 설계자가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화하였다. 일반화는 신체부위별 특성 및 동작을 기준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공통 해법 패턴을 정의 및 분류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

        최성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과 포용적 가치 실현을 위해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정책을 마련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동안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두를 포괄하는 디자인을 지칭하는 말로 건축학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다. 최근 박물관학에서 사용 되고 있는 의미로는 그동안 박물관 관람이 자유롭지 않은 문화 소외계층을 포함하는 전시 디자인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박물관의 효과적인 유니버설 디자인 개발을 위한 배경과 방안 마련을 위해 구체적인 분석을 하고 그 가능성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박물관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때부터 과거의 박물관, 현재의 박물관, 미래의 박물관으로 분류하여 박물관의 가치와 의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 중 박물관의 포용성과 평등성 가치에 초점을 맞춰 근대 이후의 박물관 관람객이 느끼는 의미와 제도적 평등의 의미를 구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평등의 의미가 적용되지 못했던 박물관 문화 소외계층의 유형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 범위를 재분류 하고자 한다. 또한 모두를 포함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형성 배경을 다시금 정리하여 정의하였다.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박물관에 어떤 의미로 적용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국내 주요 국립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세 곳의 예를 들어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국내 주요 박물관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아닌 베리어프리 디자인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베리어프리 디자인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불편함을 처음부터 고려한 디자인으로 국내 박물관은 장애를 미리 고려한 디자인이 마련되어 있었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국내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베리어프리와의 구별 없이 적용된 디자인으로 또 다른 차별을 갖고 올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기에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였다. 또한 국내 박물관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 정책을 마련할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형성배경 그리고 국내 박물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을 통해 아직까지 정책 정립되지 않은 국내 박물관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과 방향을 찾아보았다. (결론) 본 연구는 앞으로의 국내 박물관이 문화 중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극적인 도입과 개발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 for museums to establish policies for universal design to realize their social role and inclusive values. Universal design is a concept that originated from architecture and refers to design that is inclusive of all people, and designed to meet varied user need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in museology to refer to exhibition design that includes culturally vulnerable groups who cannot freely visit museum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analysis and help prepare the background and possibility of preparing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universal design in domestic museums. (Method) The value and meaning of museums will be categorized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museums, discussing the changes since the concept of the museum was created. In this context, the focus is on the value of inclusivity and equality in museums, distinguishing between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in modernity and the institutional concept of equality.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reclassify the range of the scope for vulnerable groups who do not apply this meaning of equality. The inclusiv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s redefined, the background to its creation is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concepts in museums is investigated. The status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ree major national museums –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t was found that barrier-free design, rather than universal design, has been applied to these museums. The barrier-free design takes into account the inconveni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museums, which is an interest of this study, consider barrier-free designs from the beginning.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universal design applied in national museums has less distinction from barrier-free design, presenting an environment with other forms of discrimination for vulnerable museum visitors.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appropriate universal design to museums while exploring the possibilities for national museums to solve existing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direction of developing universal design policies for national museums by examining the concept, background, and current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the positive effects of actively introducing and developing the universal design, aiming to enable national museums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culture.

      • 신체 동작별로 구분한 유니버설 디자인 패턴 연구

        박성준,홍석재,박재일 한국경영과학회 201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사람의 연령이나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나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인구의 고령화 및 더 나은 생활의 수요 증가로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금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유니버설 설계자가 사용자의 세밀한 관찰읕 통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니버설 설계자가 없는 일반 기업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들의 정보화가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보화는 구체적인 대상을 일반화 (추상화) 하고 일반적인 해법을 연결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TRIZ의 방법론의 도입이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알지 못해도 일반적인 설계자가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화하였다. 일반화는 신체부위별 특성 및 동작을 기준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공통 해법 패턴을 정의 및 분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 시대의 서울지하철사인시스템에 관한 시인성 평가 연구

        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2

        1950년 미국에서 시작된 유니버설 디자인은 일본, 독일, 스웨덴, 덴마크, 한국 등 여러 국가에 도입되어 편리한 환경으로 인식되면서 일본이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실행에 옮기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 유니버설 디자인 국제심포지엄의 개최와 2004년 “이시대의 좋은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전“을 시작으로 도입기를 거쳤으나 아직까지 확산되지는 못하였으며, 이동하는 데에 불편한 요소들을 제거하는 배리어프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대학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연구소나 유니버설 디자인센터가 설립되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유니버설 디자인학과가 생긴 대학도 몇몇 대학에 이른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활성화 된 일본의 경우 공항이나 지하철 사인시스템에 이를 적극 도입함으로서 일반인이나 노약자, 장애인 등 모든 조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지하철의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칙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서 시민의 발이 되고 있는 지하철의 사인이 수용자들에게 올바르게 인지되고 개선의 여지는 없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부 노선의 상징색상에서는 명도와 채도에 문제가 있었으며, 노선의 전용색상이 다른 노선의 시설에 여과 없이 적용되어 수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함이 드러났다.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고 객관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공공사인시스템에서는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늘어나는 지하철 노선의 사인시스템은 일관성 있고 누구에게나 혼란 없이 활용될 수 있는 즉, 유니버설 디자인측면에서의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하게 되었다. Recognized as providing convenient environment, the universal design, which started in the USA in 1950, has been introduced to many countries including Japan, Germany, Sweden, Denmark and Korea, among which Japan has been the most positive to implement it. In Korea, the concept has not yet broadly prevailed only to be on the stage of the barrier free, which is just for terminating inconvenient elements in moving, while holding the Universal Design International Symposium 2000 and commencing "The Exhibition of Great Contemporary Universal Designs" in 2004. Some universities, however, have set up universal design institutes or universal design centers, and opened universal design departments, which show their interests in this field. In Japan, where the universal design is very popular, the design is positively used for the sign systems of airports and subways, applying it commonly to all the conditions including the old or feeble persons, the handicapped and the ordinary population. This article aims to assess and analyze the sign system of Seoul Metro in the light of the universal design, and to find out what, if any, is requir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igns. Conclusively speaking, there are some defects of luminosity and saturation in some lines' symbol colors, and also some confusing aspects that certain symbol colors are applied to other lines' facilities.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design should be positively accepted, because it can be applied equally and objectively to all people to prevent confusion and to keep consistency. Especially, precis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sign system, is required. As for an arrow, length of the shaft should be at least 1.5 time longer than it's wing, but the length of shaft was adjusted without any notice which resulted in failure to meet the requirement. Also, as for the yellow color, both background color and color of letter's brightness are too high, resulting difficulties in recognizing the letter correctly. All of these problems brought the need for more through study on shapes and background. If those type of signs were used in any other places other than public facilities, it might draw people's interest with originality and unique design. However, in public places, where people of every condition has access to, directness and easiness to understand are required. In public places, objectivity should always come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e new sign system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understood by general public.

      • KCI등재

        서울시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하정민,장영호,김주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주민들이 도보권 내에서 일상에 필요한 공적 서비스를 방문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 주민센터이다. 소규모 공공건축이자 근린생활시설로 설치되는 최소 단위의 행정시설로써 모든 지역에 균등하게 설치되어 공공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곳이며, 이는유니버설디자인에서 표방하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편리한 보편적 환경이 제공해야 하는 최소단위의 공공공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이 진행된 곳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현황을 통해 평가지표로서 향후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범위 및 방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 고찰을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영역,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의 동주민센터에 대한 적용을 이론적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와 연구자가 추가한체크리스트를 통해 현장의 적용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로는 주민센터의 현황분석을 통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사업을 시행한 곳임에도 불구하고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화에 발맞춰 지역특성에 맞는 외국어 병기 표기가 되어있지 않은 점과 리모델링에 적합한 공간개선에 대한 평가지표가 분명하지 않아 물리적 환경요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 기준을 좀더 상황에 맞게 세분화한다면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이 좀 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은 행정과 복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곳으로 변모하였다. 초고령사회, 국제화, 다문화가정의 증가 그리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하는 다양한 주민센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분화된 평가지표와 기준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배려받는 공간으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 점검을통해 실제 주민센터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 조사를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munity service cent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ces, where inhabitants visit in walking sphere for public services necessary for daily life. It is the small scale public building in neighborhood as minimum administration facility in all areas to realize publicness. It is also the minimum public unit providing safe, convenient and universal environment that universal design claims. There exist great efforts to realize to achieve the goal.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where space improvement project was progressed,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the application range and orientation of universal design to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the future. The concept and area of universal design, outreach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rvice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was reviewed theoretically through literatures. Then the checklist of the integrated guideline for universal design and also the checklist modified by us were used to research the applicability on site to yield the result. It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was insufficient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where space improvement project was performed. Especially, even in globalization era, foreign language sign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didn’t exist and the standards to evaluate space improvement suitable for remodelling were not clear that physical environment factor was insufficient. The universal design would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f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ubdivided situationally. The universal design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developed to carry out the administration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the various approach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for super aging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l citizens. And subdivided criteria and standars are necessary to complement. Community service centers would be evolved into the spaces where users are considered carefully through it.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현황 및 제안

        윤민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temporary needs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universal Design into the future paradigm of education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education status and suggestions of domestic universities. Since the 1980s, highlighting environmentally eco-friendly design aspects, design policies and education are converted into the aspects of consumer, the environment, and the disabled, the elderly, women, etc., as well as economic aspects. Interest in universal design is spreading to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Despite the fact that academical researches are vigorously conducted,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in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is a very inadequate situation. Specific research on universal design is going through partial studies at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organized around the need for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 education status in domestic education, educational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universities. The universal design educ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researched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universal design education status and the proposal domestic universities, we proposed universal education as a specialized universal design education for creative design talents. The universal desig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nvergence curriculum subjects such as civic education for the entire undergraduate majors as well as students of design. Universal design edu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of social reducing design curriculum for humans, as well as for fostering world citizenship ethics for ‘design education for all’, beyond generations and culture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 및 제안을 바탕으로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의 시대적 필요성 및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1980년대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생태학적·친환경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디자인은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 환경, 그리고 장애자·노약자·여성 등을 배려하는 디자인 정책 및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초·중등교육과정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디자인 분야의 학위 및 학술 논문, 저술 등을 통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학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과정은 공공디자인, 환경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교과목이 개설되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디자인 교육과정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21세기의 창의·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학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필요하다. 연구의 범위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교육의 필요성,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 국내 대학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 및 제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에서는 초·중등교육과정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을 연구하였다. 국내 대학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 및 제안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을 연구·분석한 후 디자인 인재 양성을 위한 유니버설 전문디자인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은 세계 시민으로서의 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필수적인 교육일 뿐만 아니라 전문 디자인 교육에서는 인간을 위한 사회 환원적인 디자인 교육과정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의 심미성, 기능성의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관한 이해와 연구에 기반 한 융·복합 연구를 바탕으로 세대와 계층, 문화권을 뛰어넘어 ‘모두를 위한 디자인 교육(Design education for All)’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DB 구축 및 활용방안

        김남훈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7

        현대사회에 있어서 상품의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도입은 글로벌 시대를 구현하는 효과적인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를 고려한 고부가가치 핵심요소가 됨으로서, 패키지디자인 분야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를 패키지디자인에 접목시키는 것은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향후 유니버설디자인의 도입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 우수 사례와 평가척도 등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관련 우수 사례 및 전문가 평가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DB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위한 상품별 패키지디자인 이미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별로 객관적인 평가를 거친 DB를 구축하여 향후 신상품 디자인 개발 및 패키지디자인 교육을 위한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DB 시스템은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색 결과로 인해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며, 또한 패키지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 자료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roduced for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in this society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medium to realize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s the point with added value in consideration of customers, changes in an area of package design are desperately needed. Thus, it is expected that grafting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into package design will be a new opportunity to companies and in such aspect,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will be facilitated and its good examples and evaluation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In particular, studies on development of effective universal package design DB which organizes and uses information on good examples and evaluation by experts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developed database of package design images of products which have objective evaluations for development of universal package design and a retrieval system through which useful data and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education on package design can be obtained. The DB system proposed will provide useful design concepts based on various results retrieved on universal design, and evaluation data on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creation of new knowledge on universal packag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