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윌리엄 제임스 비판에 대한 재해석

        김이균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Wittgenstein’s high regard for William James has been reported by some writers and by Wittgenstein himself, not only for his thoughts, but also for his human character. However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about James and these remarks are mostly the object of strong criticism. Why does Wittgenstein criticize James, whom he really admires, and how can we explain the contrasting reports about Wittgenstein’s attitude towards James? Is Wittgenstein’s explicit criticism of James really plausible or sufficient to evaluate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This work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xclusively focusing on consciousnes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will not merely focus on where Wittgenstein explicitly mentions James because these explicit citations are not necessarily fair indicators or, at least, could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Wittgenstein and James. Instead, James’ important texts on consciousness in his early period, especially the chapter ‘Stream of Thought’ in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hich Wittgenstein read, are 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James’ relevant ideas regarding the topic and to identify some comparable point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nd finally, to correctly evaluate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mostly criticisms) of James. Using the fruits of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Jam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Wittgenstein regarding consciousness and also that the main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stems from his inattentive reading of James’ basic contention. 비트겐슈타인이 윌리엄 제임스를 그의 사상뿐 아니라 인격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제임스를 강한 비판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한다. 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이 진심으로 경애하는 제임스를 비판했고, 이런 대조적인 그의 태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난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과연 두 철학자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평가하는데 타당하거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까? 이 연구 목표는 ‘의식’이라는 주제에 한정해서 이 질문들에 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제임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텍스트들이 두 철학자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한 공정한 지표가 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제임스가 의식에 관해 집필한 초기 저작들, 특별히 비트겐슈타인이 읽은 것으로 알려진 『심리학의 원리』의 제 9장 ‘사고의 흐름’(the Stream of Thought)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제임스의 주요 사상을 파악하고 두 철학자 사이의 비교 점을 찾아낸 뒤,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결실을 통해 필자는 ‘의식’과 관련하여 제임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이는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제임스의 주요 주장을 비트겐슈타인이 부주의하게 읽어낸 결과임을 입증할 것이다.

      • KCI등재

        듀이 의식이론의 현상학적 이해: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현상학에서 진리 인식의 기초는 주체와 분리된 객체의 고정 불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주객의 상호 관계성에 있다. 듀이의 일차적 경험 개념은 전통적 이원론을 부정하고 주객이 통합된 삶의 상황 맥락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인식과 맞닿아 있다. 듀이의 현상학적 측면은 사상사적 측면에서 보면, 유럽현상학이 아닌, 미국 프래그머티즘의 주요 사상가인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을 반영한다. 왜냐하면, 제임스의 ``순수경험``과 듀이의 ``일차적 경험``은 상호 유사한 현상학적 특성을 담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듀이 자신이 회고한바와 같이, 제임스의 심리학은 그의 "옛 믿음들을 개조하는 하나의 효소"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제임스의 사상은 구체적으로 어떤 면에서 ``하나의 효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이 글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양자의 의식이론을 중심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글에서는 듀이의 의식이론을 의식의 유목적성, 상황의 통합성, 경험의 연속성 등 세 측면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투영된 제임스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해, 제임스의 ``외변`` 개념은 듀이의 ``선택적 반응`` 개념에, 제임스의 기능주의 심리학은 듀이의 ``맥락적 전체``로서의 상황 개념에, 그리고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 테제는 듀이의 ``의식의 회로`` 개념에 각각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양자의 유사성이 인정된다고 해서 듀이의 독자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듀이는 제임스의 현상학적 의식이론에 머문 것이 아니라,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인간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통한 경험의 진보를 중시했을 뿐만 아니라, 참여와 사고를 중시하는 도구주의적인 지식론을 체계화했기 때문이다. Phenomenology tends to value our ordinary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as a basis of cognition, not pre-supposing any external truth. The basis of truth in phenomenology is not based on the fixation of object separated from the subject, but on the co-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being changed dynamically. Dewey`s concept of primary experience rejects the traditional dualism, and respects the situational context of life as a basis of cognition. In this respect, Dewey`s concept of primary experience co-relates to the phenomenolog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oughts, Dewey`s phenomenological aspects are not affected by European phenomenology, but influenced by William James`s psychology. Because, James`s ``pure experience`` and Dewey`s ``primary experience`` commonly involv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do not be separated. Moreover, according to Dewey`s recollection, James`s psychology operated as a ``ferment`` of reconstructing his old beliefs. Then in any aspects, do James`s psychology operate as a ``ferment`` of reconstructing Dewey`s old belief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an answer to this question, focusing on the two`s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is study, we distinguish Dewey`s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ree aspects: purposiveness, integration, and continuity, and inte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James`s psychology in Dewey`s theory of consciousness. To put it concretely, we can say that Dewey`s primary experience co-relates to James`s pure experience, Dewey`s ``selective response`` co-relates to James`s ``fringe`` and ``attention``, and Dewey`s ``circuit of consciousness`` co-relates to James`s ``stream of consciousnes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James`s psychology in Dewey`s theory of consciousness, and to elucidate its phenomenological meanings.

      • KCI등재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 - 마음의 현상학

        김영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The chief of this essay is to deals with the solidarity of thought in Chinul(知訥) and W. James at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There is no connections in Chinul and W. James in terms of space and time. So there is no direct method in order to identify both sides. On this account, I compare both sides, focused on not contents but method. Especially, I converging the methodological aspects to ‘phenomenological method’. Both sides all (Chinul and James) focus on the practical performance rather than theory. Both shares with the preference of practical performance of restoring truthful mind(眞心, 純粹自我) in order to free from the theoretical dispute. The repetition of old disputes occurs only if not restoring the self, as ‘truthful mind’(眞心) of Chinul and ‘pure experience’ of W. James. On this account, I want to read the solidarity of Chinul and W. James through the E. Husser's egology, focused on overcoming the dichotomic dispute of modern egology phenomenologically. in this context, I purpose phenomenological footnotes to the solidarity of thought in Chinul's 『Jinshim-Jikseol』(眞心直說) and ‘radical empiricism’ of W. James and reread the reciprocality of both sides. I purpose phenomenological footnotes to Sudden/Gradual doctrine(頓漸論) and to ‘conversion theory’(回心論) of W. James in terms of Sudden/Gradual doctrine. This essay focus on closing the distance between Chinul and W. James by identifying the intercultural connections. 본 논문은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의 사상적 연대성을 현상학적 지평에서 다루는 것이 목적이다. 지눌과 윌리엄 제임스는 시간과 공간적 측면에서 어떠한 연관성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양자 사이의 사상적 혹은 방법적 연대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길을 따로 없다. 이런 점에서 논자는 양자의 내용적 측면보다는 방법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비교한다. 특히 논자는 그 방법론적 유사성을 ‘현상학적 방법론’으로 수렴한다. 지눌과 제임스 양자 모두 불교의 이론적 측면보다 실천적 수행에 방점을 둔다. 양자는 이론적 논쟁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일차적으로 참 마음을 회복하려는 실천적 수행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 지눌의 진심과 제임스의 순수경험으로서의 자아의 회복이 없이는 자아에 관한 해묵은 논쟁만을 되풀이할 뿐이다. 이런 점에서 논자는 근대 자아론의 이분법적 논쟁을 현상학적으로 극복하려고 한 에드문드 후설의 자아론을 통해 지눌과 제임스의 연대성을 읽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지눌의 『진심직설』(眞心直說)과 제임스의 ‘근본적 경험론’이 공유하고 있는 사상적 연대성에 대한 현상학적 각주를 제시하고, 양자 사이의 사상적 교차성을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다시 읽는다. 그리고 돈점론에 대한 현상학적 각주와 함께 제임스의 회심론에 대한 돈점론적 이해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지눌과 제임스의 자아론에 함의되어 있는 상호문화성을 현상학적으로 확인하여 양자의 간격을 좁히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진리관과 교육: 옛것과 새것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김무길 ( Moo Gil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프래그머티즘의 대표적 사상가인 윌리엄 제임스는 진리 이론에 있어 퍼스와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제임스는 퍼스와 같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만을 명증한 진리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삶의 맥락 속에서 `유용한` 믿음으로 인식된 것도 진리로 취급하는 것이다. 이것은 진리의 의미를 만족과 유용성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제임스의 기능적 진리관을 보여준다. 이러한 진리관 밑바탕에는 `의식의 흐름` 테제와 `외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심리학 이론이 자리 잡고 있다. 곧, 옛것과 새것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의식의 흐름속에서 연속성을 맺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연속성 하에서 전체적으로 정합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 진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제임스에 있어 만족과 유용성의 개념을 문자 그대로 심리적 욕망의 충족이나 즉각적 생활에의 유용성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며, 시공간적인 면에서 전체적 정합성을 만족시킨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제임스에 있어서 진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의식의 `관계적 경향감` 속에서 새로운 경험과의 교섭을 통하여 끊임없이 수정되어간다. 이 점에서 제임스는 퍼스에 비해 진리관에 있어 `유연성`을 드러낸다. 제임스의 진리관은 옛것이 우리가 배워야 할 가치 있는 대상이지만, 그것은 항상 우리의 삶의 맥락과 교호작용을 함으로써만 그 의미가 되살아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만약 교육이 그야말로 화석화된 진리를 전달하는 일이 아니라 학습자의 유의미한 경험을 확대시키는 일이라면, 우리는 교육적 맥락에서 전달되는 수많은 어휘와 지식들이 학습자의 의식의 경향성과 어떤 교섭을 초래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동시에 공동체와의 연속적 관계 속에서 타인과 믿음을 교류하고 자신의 믿음을 재구성해가는 탐구적 경험의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Although William James as a representative thinker of Pragmatism, have similarities with C. S. Peirce in the theory of truth, he shows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eirce. James does not only consider a scientifically tested theory, but also accepts a useful belief in the context of ordinary life as a criterion of truth. This shows James` functional viewpoint of knowledge that grasps the meaning of truth from the standpoint of satisfaction and usefulness. In this functional viewpoint of knowledge, there is James` psychology centered on `fringe` concept and his thesis of `stream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James, the 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re not separated, but is being changed by the two`s reciprocal transaction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ruth means a generally coherent cognition in this stream of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wrong to think that James` term of `satisfaction` and `usefulness` can be literally interpreted as the satisfaction of instantaneous desire and need. For James, old truth is not fixed, but is being changed continually in the transaction with the new experience. And this process of change is accompanied by `feeling of tendency` of consciousness. In this respect, James` viewpoint of truth is more `soft` than Peirce`s viewpoint. James` viewpoint of truth shows that the old is the only valuable object that we should learn, but it is not a fixed object. In other words, true meaning of the old only emerges from continuous transaction between the old knowledge and our situation of life. If education is an activity of broadening and growing learner`s meaningful experiences, we have to be attentive to transaction between informative knowledges and learners` life, and to be concerned about the inquisitive processes of learners in the continuous relationship of classroom community.

      • KCI등재

        사상과 대학이 만났을 때: 19세기 말 윌리엄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사상과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하버드 개혁 간 상호의존성

        민병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하버드대학 교육 개혁 초기 과정과 윌리엄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사상의 제도화 및 성장 과정 간 관계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물 뿐만 아니라, 이를 다룬 기존 연구의 경우에도 제도가 사상 성장의 조건이 된다는 관점에 입각해 제임스의 사상을 엘리엇의 제도 개혁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제임스의 생리학적 심리학 강의 개설 과정이 곧 하버드 개혁의 걸림돌인 정신도덕철학자인 보웬의 권력 약화 과정이었음을 제시함으로써 양자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엘리엇의 개혁 없이는 제임스의 신심리학이 없었고, 제임스의 신심리학이 없었다면 엘리엇의 하버드 교육 개혁도 불가능했다고 논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상의 출현/성장과 제도의 출현/성장은 하나가 조건이 되고 다른 하나는 결과가 되는 일방적 관계가 아닌 상호 조건과 결과가 되는 상호의 존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주변 개념과 정서 이론

        김성훈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7 No.-

        프래그머티즘의 대부인 제임스의 심리학 이론은 오래전부터 현상학적인 것으로 간주되 어 왔다. 특히 ‘주변’ 개념은 ‘사고의 흐름’으로 대변되는 그의 심리학의 핵심을 이룬다. 코 흐는 ‘주변’ 개념을 신경생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지닌 인지적 측면을 강조한다. 한편 구르비치, 와일드, 윌셔, 스티븐스와 같은 현상학자들은 의미론적 측면, 인지 기능적 측면 에 따라 ‘주변’ 개념의 특징을 현상학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제임스의 ‘주변’ 개념 은 신경생물학, 심리학, 뇌과학, 현상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들을 이어주는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주변’ 개념이 가지는 이러한 성격을 더욱 부각시켜 주는 것이 흔히 심리생리 학적 정서 이론으로 분류되는 제임스의 정서 이론이라 판단한다. 필자는 그의 정서 이론을 현대 신경생리학적 정서 이론과 뇌과학의 입장을 통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현상학적 인 의미에서 정서 이론이 가지는 표현적 측면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임스의 정서 이론을 비판하는 입장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주변’ 개념을 중심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간의 정신적 삶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William James’ theory of emotion has long been regarded as phenomenological. Especially his concept of fringe seems to be the core of his psychology which is famous for the notion of the stream of thought. Neurobiologist Koch emphasizes a cognitive aspect of fringe whereas such phenomenologists as Gurwitsch, Wild, Wilshire and Stevens interpret the fringe in terms of a semantical, cognitive-functional aspect. Thus, James’ concept of fringe seems to be an interdisciplinary hotspot for neurobiology, psychology and phenomenology.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James’ theory of emotion from a viewpoint of different theory of emotion suggested by modern neurobiology, and elucidate the expressive aspect of the James’s position which is essentially phenomenological. In doing so, I point out the weakness of those who criticize James’ view, and seek out a true meaning of human life based on the concept of fringe.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내성 개념

        안세권(An, Se-gweo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윌리엄 제임스는 『심리학의 원리』에서 내성의 방법을 통해 마음의 정체를 해명하려 한 종래의 심리학자와 철학자들이 심각한 오류를 범했다고 비판한다. 제임스가 보기에 그들은 모두 내성에 대한 잘못된 가정들에서 출발하였는데, 그 첫째는 의식이 관찰하는 대상이 절대적으로 확실하다는 관점이고, 둘째는 의식이 파편처럼 작은 요소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는 관점이다. 전자는 데카르트 이후 브렌타노까지 많은 철학자와 심리학자들이 지지한 가정이고, 후자는 로크, 흄 등 연상주의에 기반을 둔 철학자들과 분트와 같은 실험심리학자들이 지지한 가정이다. 제임스는 이 두 가지 가정이 모두 틀렸음을 밝히고, 그 대안으로 〈사고의 흐름〉의 명제에 입각한 새로운 내성 개념을 제시한다. 제임스의 새로운 내성은 전통 철학 및 심리학이 주장하듯이 현재 주어진 주관적 정신 상태를 절대적 확실성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간적으로 확장된 의식의 공간을 변용의 방식으로 포착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제임스가 제시한 내성 개념의 특성을 살피면서 그것이 어떻게 전통적 관점이 지닌 문제점들을 극복하는지 해명한다. 그리고 제임스의 입장을 보다 명료하게 부각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스트로슨의 비판을 검토하고, 이어서 암스트롱과 로젠탈이 제시하는 입장들을 살펴본다. In his masterpiece,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illiam James criticizes the psychologists and philosophers who have attempted to elucidate the nature of mind by means of introspection. In his view, all of them started from the false assumptions regarding introspection. The first assumption is the view that the objects of consciousness are absolutely certain, and the second one is the view that consciousness can be divided into atomic pieces. The former was given by Descartes and his followers, and the latter by Locke, Hume, and Wundt, etc. James makes it clear why these assumptions are erroneous, and suggests his own alternative, namely the new concept of introspection which is based on the thesis of “stream of thought”. James’s new introspection is not the kind of mental activity which observes the mental states with absolute certainty, but an entirely new way of grasping the space of consciousness which is temporally extended by virtue of mod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uch highly rich concept of introspection given by James, and elucidate his posi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with the views of G. Strawson, D. M. Armstrong, D. Rosenthal.

      • KCI등재

        의지에 의한 믿음: 클리포드-제임스 논쟁에 대한 재고

        권홍우(Kwon, Hong-woo)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60 No.-

        증거가 없는 경우에 믿음을 갖는 것이 합리적인가에 대해서 120여년 전 벌어졌던 수학자 윌리엄 클리포드와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 사이의 논쟁은 여전히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클리포드는 충분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만 믿어야 한다는 엄격한 증거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반면, 제임스는 ‘의지에 의한 믿음’과 지적 관용의 여지를 두는 실용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본 논문은 두 철학자 사이의 논쟁을 재고하여 두 입장을 화해시킬 방법을 모색한다. 두 철학자 모두 결과주의적 사고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믿음의 규범의 본성을 정확히 이해했을 때 증거주의의 손을 들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본 논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지에 의한 믿음’에 대한 제임스의 통찰은 여전히 수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두 입장이 믿음과 증거에 관해서 미묘하게 다른 층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볼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The debate between William Clifford and William James on whether it is rational to believe without evidence is still of much significance. Clifford holds the evidentialist position, according to which we have to believe only on the basis of sufficient evidence, while James takes the position of pragmatism that leaves room for ‘believing at will’ and intellectual tolerance. I claim that both of their positions have problems in that they base their claims on consequentialist reasoning, and that when we correctly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norm of belief, evidentialism has the edge over pragmatism. Nonetheless, this essay claims that James’s insight can be saved, as the two views can be seen as dealing with subtly different questions.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성인다움과 개인의 체험적 신앙: 그레엄 그린의 『권력과 영광』을 중심으로

        박선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4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iskey Priest’s journey to become a saint in Graham Greene’s The Power and the Glory in light of William James’s concept of saintliness. James denounces traditional religion by emphasizing the religious experiences that every one can achieve. He argues that people are different, which means that all the religions are not the same. According to James, the individual, who feels divinity through spiritual communion, can exceed his or her limit as a being and have love and harmony as well as freedom. Such saintliness is shown in Whiskey Priest’s experiences as an alcoholic and an adulterer with one woman of his followers. He witnesses and goes through all distresses while running away from a lieutenant who persecutes Catholicism in Tabasco, Mexico. He realizes how superficial his duty as a priest was when he enjoyed his glorious position in his parish. With the paternal love to his daughter, he begins to have true love towards neighbors in the villages. He surrenders his security and accepts arrest and ultimately his death. By attempting to follow his faith under the difficult situations, the priest can be a representative of the saints James describes. 이 논문에서는 윌리엄 제임스의 성인다움에 비추어 그레엄 그린의 『권력과 영광』에서의 위스키 사제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임스는 종교 교리를 배척하고 개인 누구나 노력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는 종교적 경험을 강조한다. 제임스는 모든 개인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종교 또한 동일한 종교가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개인이 고차원적 존재와 영적 교감을 통해 신성을 경험하게 된다면 자아의 한계를 초월하여 무한한 자유를 누릴 수 있으며 사랑과 조화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인다움은 알코올 중독자이자 술에 취해 얻은 딸을 둔 위스키 사제가 사제의 지위에서 일반인의 자리로 내려와 온갖 고난을 겪는 과정에서 재현된다. 사제는 가톨릭 박해자인 경위의 추적을 피해 도망 다니는 과정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그 과정에서 그동안의 사제로서의 임무가 피상적인 것이었음을 인식한다. 딸에 대한 사랑을 느끼는 동시에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진정으로 인식한다. 사제는 안온한 삶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상황에서 마지막 사제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려고 노력하다 체포되고 사형 당한다. 이러한 종교적 경험을 보여주는 사제는 제임스가 주장한 성인다움을 대변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1870년대 헨리 제임스의 영국 수용과 주간지 『런던』 - W. E. 헨리 써클의 개성주의, 『프랑스 시인과 소설가들』과 ‘미국’ 소설 -

        윤미선 ( Yun Misun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1 No.-

        본 연구는 1870년대 후반 영국의 비평 주간지로 그 존재가 잊혀진 『런던』(London, 1877-79)이 미국 소설가인 헨리 제임스(Henry James)를 누구보다 앞서 수용하고 그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끼친 과정을 탐구한다. 이 연구는 19세기 영미문학 생산에서 정기간행물이라는 매체와 이를 둘러 싼 담론 생산자들의 실천이 ‘문학’ 생산 과정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널리 알리려는 연구의 일환으로, 『런던』이 독특한 이데올로기적, 미학적 실천을 통해 이후 영국 문학장이 자율적 가치를 지닌 영역으로 형성되는 과정에 큰 기여를 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대항유미주의’(counter-aestheticism)적 입장이 그것이다. 제임스가 『런던』의 편집자 윌리엄 어니스트 헨리(William Ernest Henley)가 이끄는 비평가 그룹과 조우한 과정은 이들이 프랑스 문학과 소설 장르에 대한 전문성을 주장함으로써 직업적 저자 및 비평가로 정체성을 확립한 하나의 새로운 문필가 세대였음을 보여준다. 제임스의 비평집 『프랑스 시인과 소설가들』(1878)은 이 사실을 드러내는 중요한 증거로, 본 논문은 특히 제임스가 투르게네프와 발자크를 둘러싸고 헨리의 젠더 이분법적 소설관과 대립하며 자신의 리얼리즘론을 발전시켰다는 사실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제임스는 기대주이자 통제의 대상이었던 ‘미국’ 소설가로서 『런던』비평가 그룹과의 경쟁 속에서 그의 초기 대표 소설들을 생산했음이 드러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ey role of the largely neglected Conservative weekly entitled London (1877-1879) in the British reception of the American novelist Henry James (1843-1916) in the late 1870s. The London’s editor William Ernest Henley (1849-1903) and contributors George Saintsbury (1845-1933), Andrew Lang (1844-1912), and Robert Louis Stevenson (1850-1894) belonged to a new generation of critics, like James himself, that professionalized ‘literary’ criticism as a realm distinguished from the more traditional, ‘general,’ Victorian periodical criticism. I argue that James’s rivalry with them catalyzed the production of the collection of criticism French Poets and Novelists as his first book published in London. The London critics were unusual in their attention to James for the publication of The American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in their gendered perspective of fiction that ultimately championed romance, James could be easily associated with aesthetes whom they found ‘feminine’ and second-rate in the lack of power in the narrative control and lack of strong individuality as the core of art. Henley showed a unique understanding of James regarding James’s Turgenev-style “impartiality” as a type of narrative mastery. Henley nevertheless also persuaded James to take on board the lesson of Balzac whom he found a genuine master among the realists for his empowering the narrative with a ‘masculine’ passion. Henley proposed, problematizing James’s authority on the European theme, that James should write a story about America to be truly masterful in his narrative world. James challenged the binary, ‘counter-aesthetic’ perspective of these London critics in his subsequent works. However, he did so by answering their demand for the “stronger” narrative by the uniquely engaged dramatization, beyond the expected measure and of the other gender, of the American character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new values whom Henley suggested James focus more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