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한국형 위장관증상척도 설문지의 진단 타당도

        권성신,정혜경,홍주희,박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8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1 No.2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식도 역류로 인한 증상으로 건강 관련된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이 저하된 임상적 상태로, 약 80% 이상의 환자에서 지속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은 다양하여 흉부작열감과 역류 등의 전형적인 증상 유무로 진단하고 이외 위장조영술, 위내시경, 24시간 식도 산도검사 및 증상유발검사(Bernstein test) 등으로도 진단하나 종종 증상과 검사 혹은 여러 검사 간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위식도 역류질환은 만성 질환으로 치료에 따르는 경제적 소실을 유발하고 활동저하로 인해 생산능력이 저하된다. 치료 효과판정에 있어서 식도염이 있는 경우, 증상의 호전과 함께 식도염의 치유 여부는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한 척도이나 위식도 역류질환을 가진 환자의 상당수는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은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으로 기능성 위장질환과 증상이 중복되고 전형적인 가슴쓰림, 산역류 등의 증상만으로는 질병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 질환의 중증도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환자의 불편감을 완전히 표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위식도 역류질환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기준에 의거하여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천식이나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가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는데 증상 판정뿐 아니라 환자의 신체 상태, 감정 및 정신상태, 사회경제 여건 등이 환자에게 주는 영향을 다양한 시점에서 판정할 수 있다1). 그러나 다른 질환에서 사용하는 QOL 도구는 위식도 역류질환을 평가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평가도구는 일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질병 특이 HRQOL로 나누는데, 일반 HRQOL은 다양한 질병 집단간의 비교가 용이하나 특정기능 이상을 정량화할 수 없어 치료의 반응을 판정할 수 없는 반면, 질병특이적 HRQOL은 환자군의 기능, 증상비교가 가능하고 특정 증상을 정량화하여 치료 결과 판정에 효과적이다1)2).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GSRS)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자기보고형 위장관 증상척도로서 문항이 간단하고, 상부 및 하부 위장관 증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3)4). GSRS는 각각 7등급으로 점수화 할 수 있는 15개의 증상항목이 있고 이를 5개의 증상 영역으로 무리지어 점수화하였고, 그 타당성에 대해 검증이 된 평가도구이다. 같은 변수를 측정하는 다른 항목간의 검사 일치도를 의미하는 내적일치도(internal reliability consistency)가 높고, 대조군과 위식도 역류질환 혹은 다른 질환과 위식도 역류질환을 분별할 수 있는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가 검증되었고, 일반 삶의 질 평가도구인 36-item short-form general health survey (SF-36)과 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PGWB)와 비교하여 그 공기 타당도(concurrent validity)도 검증되었다4-8). 그러나 이는 구미에서 제작되어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관습이 다른 우리나라에서 이를 적용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며, 자가보고형 문항척도는 관찰자의 임상 경험이나 임상 진단 기준과는 무관하게 질문 문항에 대해 충실한 결과를 얻게 되므로 어학적으로 완벽한 해석이 되더라도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타당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한국어판 위장관증상척도(Korean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KGSRS)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그 삶의 질을 측정하여 보고자 시행하였다. Background: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is increasing in Asian countries, but the majority of patients does not present with endoscopic abnormalities, the assessment of the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and their response to treatment,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Our objectives were to develop and evaluate a questionnaire abou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 (HRQOL) related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GERD. Methods:Eighty eight, consecutive patients with GERD and 174 healthy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GERD was defined by the presence of reflux symptom that are heartburn and acid reflux with occurring more than once per week with/without endoscopic reflux esophagitis.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endoscopy and perform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were modified Korean form of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KGSRS), newly developed instrument, and KSF-36(Korean version of Medical Outcomes Study Short Form), a conventional one. We compared the score of KGSRS between response group and non-response group after 2-weeks omeprazole trial for evaluation of discriminative validity of KGSRS. Results:Internal consistency for the KGSRS scales range from 0.58-0.84. The repeatability was confirmed by test-retest results(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0.62-0.80, p<0.01). The KGSRS scale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KSF-36. It revealed construct validity. The total score of KGSRS in patients with GER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376.1±51.3 vs. 433.5±42.0, p=0.0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4 symptom complex except diarrhea between response group and non-response group. Conclusion:The KGSRS has good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tes symptom severity and frequency of patients with GERD.

      • SCIESCOPUSKCI등재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에서 ZAP 분류의 유용성

        김동희 ( Dong Hee K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조대현 ( Dae Hyun Cho ),채제욱 ( Jae Wook Chae ),김정환 ( Jeong Hwan Kim ),김지은 ( Jee Eun Kim ),손희정 ( Hee Jung Son ),김재준 ( Jae J. Kim ),백승운 ( Seung Woon Paik ),이종철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위식도 경계부의 장상피화생은 식도선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Z선의 형태학적 모양에 따른 ZAP 분류는 위식도 역류질환을 가진 환자의 하부식도 상피의 장상피화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증상 정상 성인과 위식도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 및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에서 ZAP 분류가 이들을 감별하는데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 역류증상의 정도와 ZAP 분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위식도 역류증상을 주소로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를 내원한 환자 50명과 역류증상을 보이지 않는 건강한 성인 23명을 대상으로 역류증상의 중증도, 빈도, 이환기간에 관한 설문과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다.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중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은 19명,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은 31명이었다. 결과: 무증상 정상군,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군사이에 나이, 성별, 흡연, 음주력, 당뇨, 고혈압에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ZAP 분류는 각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내시경적으로 역류성 식도염이 없는 환자에서 ZAP 분류가 양성인 경우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NERD)을 시사할 가능성이 무증상 정상군보다 3.66배 높았다. 위식도 역류증상이 있는 군 50명 중 ZAP 분류와 LA 분류는 다소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역류증상의 중증도, 빈도, 이환기간과 ZAP 분류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ZAP 분류는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과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LA 분류와도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을 진단하는데 정상인에 대한 우도비율도 높아 역류성 식도질환 진단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It has been documented that the Z-line appearance (the ZAP grade) was cor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intestinal metaplas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ZAP grade and the severity of GERD, such as 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and erosive reflux disease (ERD). Methods: Consecutive 50 patients with typical reflux symptoms (heartburn and acid regurgitation) and 23 asymptomatic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GERD group (n=50) was classified into 2 groups: ERD (n=31) and NERD (n=19). The symptom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face-to-face interviews wit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Endoscop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ZAP grade and the LA classific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ZAP grade among the controls, the NERD group, and the ERD group (p<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ender, body weight and smoking history among the three group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 ZAP grade and the LA classification (Spearman correlation factor: 0.445). The likelihood ratio to endoscopically diagnose NERD by the ZAP in the patient without reflux esophagitis was 3.6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verity, duration and frequency of symptom according to the ZAP grade. Conclusions: The ZAP classification may give a clue to diagnosing NERD in the absence of erosive esophagitis, and it could be applied a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GERD.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97-103)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pH 검사의 유용성

        한대희 ( Dae Hee Han ),이준성 ( Joon Seong Lee ),김영대 ( Young Dae Kim ),임희혁 ( Hee Hyuk Im ),정윤 ( Yun Jung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u Jin Hong ),류창범 ( Chang Beom Ryu ),김진오 ( Jin Oh Ki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pH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pH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증상지수 양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산역류 또는 비산역류와의 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되는 총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pH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보행성 24시간 식도 pH 검사상 위식도역류질환 양성인 환자 수는 20예였으며 산에 대한 증상지수 양성 (SI>50%) 환자 수는 15예였다. 나머지 39예 중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 pH 검사로 측정한 비산 역류에 의한 증상지수 양성은 9예, 식괴 역류 총 %시간이 증가된 경우 8예로 총 17예가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추가 진단되었다. 2)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 pH 검사로 측정한 증상지수 양성 29명 중에 산성 역류 시에는 산 역류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였고 비산성 역류 시에는 흉부작열감과 비심인성 흉통을 더 많이 호소하였다. 결론: 다채널 강내 임피던스-pH 검사는 위식도역류질환을 진단하는데 예민한 검사법으로 생각할 수 있고 역류물과 증상과의 상호관계를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pH metry (MII-pH) as a diagnostic tool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1) the usefulness of MII-pH to increase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GERD; and 2) to analyze whether various GERD symptoms were correlated with acid and nonacid reflux in patients with a positive symptom index (SI).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results of pH-metry and the results of MII-pH metry from the data of MII-pH in 74 patients with suspected GERD. Results: 1) Twenty out of 7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ERD by pH monitoring, and an additional 15 cases had a positive SI (> 50%). Out of the remaining 39 patients, a positive SI for nonacid reflux was present in nine patients. A total of 17 cases were added to the GERD diagnosis including eight patients who showed an increase in total bolus reflux time percentage by MII-pH. 2) Regurgitation was more commonly observed with acid reflux in 29 patients with positive SI, but heartburn and noncardiogenic chest pain were more commonly correlated to nonacid reflux. Conclusions: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pH metry is a sensitiv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GERD and informs the correlation between symptoms and reflux.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25-30)

      • KCI등재

        노인에서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

        김성훈,이양균,홍성호,오미경,조주연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2

        연구배경: 위식도역류질환은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척추후만증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복강내 압력(intra-abdominal pressure)을 올리는 다른 질환들이 위식도역류질환과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추측해볼 수 있다. 한편 노인들의 특성상 위식도역류질환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미약하여 정확한 진단을 위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가 요구되나 위식도역류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보다 비침습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서 척추후만증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위식도역류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충주 늘푸른병원 및 강릉아산병원 가정의학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검진 수검자중 갑상선 질환, 골대사성 질환, 위장관 수술의 과거력, 위나 식도에 악성신생물이 없으며, 검사 당시 골다공증 치료제(칼슘제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에스트로겐 제제)를 복용하지 않고 있었던 65세 이상의 남자 34명, 여자 112명을 포함한 총 146명을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 및 흉추(또는 흉부) 측면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역류성 식도염 및 식도열공 헤르니아 여부를 확인하고 척추후만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Cobb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146명 중 역류성 식도염 환자군과 식도열공 헤르니아 환자군 모두 비환자군에 비해 cobb각이 각각 유의하게 높았고(P<0.001, P=0.002), 식도열공 헤르니아 환자군에서는 연령도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6),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Cobb각, 흡연, 음주, 당뇨병, 척추골절에 대해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Cobb각만 역류성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08 and 1.05, 95% CI: 1.04∼1.13 and 1.01∼1.09). 또 남녀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여자(112명)의 경우 Cobb각이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OR 1.09 and 1.04, 95% CI: 1.04∼1.15 and 1.00∼1.09), 식도열공 헤르니아는 연령에 대해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10, 95% CI: 1.01∼1.20). 반면 남자(34명)의 경우에는 Cobb각이 식도열공 헤르니아에 대해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R: 1.09, 95% CI: 1.00∼1.19). 결론: 65세 이상의 노인들에서 척추후만증은 역류성 식도염과 식도열공 헤르니아 발생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나,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Gastro-esophageal relux disease (GER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life by causing various complications. It is known that it gets worse as the patients are older, and its prevalence rate in Korea is increasing recently. Also, the prevalence rate of kyphosis increases with age. We believ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kyphosis and GERD from the fact that other diseases with increasing intra-abdominal pressure show correlation with GERD. Invasive methos of evalution such as gastroduodenoscopy is required in diagnosing GERD in the elderly, because often the symptoms are insignificant compare to the extent of the disease. For this reason, more non-invasive method of predicting GERD is necessary. Consequently, in this paper, autho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yphosis and GERD (reflux esophagitis, hiatal hernia) in the elderly, and searched for other factors that affect GERD for the elderly. Methods: Gastroduodenoscopy and thoracic or chest lateral radiographs were carried out operated to check for reflux esophagitis (RE) and hiatal hernia (HH), and the Cobb angle which show the grade of kyphosis, have been measured. The subjects were a group of 34 men and 112 women over 65 years old, without a past history of thyroid disorder, bone metabolic disease, gastrointestinal operation, or malignancy of esophagus and stomach, and who was not taking drugs that influence bone metabolism, such as supplemental calcium, vitamin D, estrogen, bisphosphonate,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The members of the group were selected among the inpatients and the examinee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convalescent hospital and one family medicine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from March of 2006 to August of 2008. Results: Among the entire 146 subjects, both the RE patient group and HH pat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Cobb angl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P<0.001, P=0.002), and the mean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H patient group (P=0.016). However,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RE and HH as dependent variables in regard to age, sex, body mass index (BMI), Cobb angle, smoking, alcohol, diabetes mellitus (DM), and vertebral fracture showed that only the Cobb ang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 and HH (odds ratio (OR): 1.08 and 1.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1.13 and 1.01∼1.09). Moreover, when analyzed by dividing the group in two, male and female, the Cobb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 and HH (OR: 1.09 and 1.04, 95% CI: 1.04∼1.15 and 1.00∼1.09) in the female group (112 persons) and H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OR: 1.10, 95% CI: 1.01∼1.20) also in the female group. Meanwhile, in the male group (34 persons) the Cobb angl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H only (OR: 1.09, 95% CI: 1.00∼1.19). Conclusion: Kyphosi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RE and HH, but there exists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sex.

      • SCIESCOPUSKCI등재

        인두구와 쉰 목소리 환자의 위식도 및 위후두 역류 빈도

        박찬원 ( Chan Won Park ),최철웅 ( Cheol Woong Choi ),김광하 ( Gwang Ha Kim ),김경엽 ( Kyung Yeob Kim ),하태인 ( Tae In Ha ),박형열 ( Hyoung Yoel Park ),엄재섭 ( Jae Sup Eum ),박찬호 ( Chan Ho Park ),이선미 ( Sun Mi Lee ),강대환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1

        목적 : 인두구 및 쉰 목소리 같은 만성 인후두 증상이 위식도 역류 질환 및 식도 운동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두구와 쉰 목소리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위식도 역류 및 위인두 역류와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두구와 쉰 목소리를 호소하는 290명의 환자(남자 122명, 여자 168명)를 대상으로 하여, 위내시경검사,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 및 식도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시경 소견,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 및 식도 내압 검사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위산 역류의 전형적인 증상은 51.7% (150/290)에서 관찰되었다. 2) 내시경 검사에서 역류성 식도염은 12.2% (29/236), 식도열공탈장은 5.9% (14/236)에서 관찰되었다. 3) 식도내압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64.8%였으며, 이중 비효과적 식도운동이 가장 많았다. 4)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에서 정상 소견은 34.2% (91/266), 위식도역류질 환으로만 진단된 경우는 14.3% (38/266), 위후두역류질환으로만 진단된 경우는 15.0% (40/266), 위식도역류질환과 위후두역류질환 모두로 진단된 경우는 36.5% (97/266)이었다. 결론 : 인두구와 쉰 목소리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위식도 역류질환 및 위후두 역류질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후두경 검사상 정상인 인두구 및 쉰 목소리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위식도 역류 및 식도운동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고 이에 따라 치료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Aims: Globus pharyngeus and hoarseness are common extraesophageal manifestations in the patients with 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gastroesophageal and gastropharyngeal reflux in the patients with globus and/or hoarseness. Methods: From July 2004 to December 2006,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and the findings from endoscopy, esophageal manometry and ambulatory 24-hour pH monitoring of patients with symptoms of globuspharyngeus or hoarseness. Results: One hundred fifty patients (51.7%, 150/290) complained typical reflux symptoms such as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Two hundred thirty-six patients underwent endoscopy. Reflux esophagitis and hiatal hernia were found in 12.2% (29/236) cases and 5.9% (14/236) cases, respectively. Abnormal esophageal motilities were found on 64.8% of patients showed abnormal esophageal motilitiy tests. 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was the most frequent finding. Two hundred sixty-six patients underwent ambulatory 24-hour dual probe pH monitoring. Of them, normal PH monitoring , GERD only, GPRD only and both GERD and GPRD were 34.2% (91/266), 14.3% (38/266), 15.0% (40/266) and 36.5% (97/266), respectively. Conclusions: In a high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globus pharygeus and hoarsenes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gastropharyngeal reflux disease were observed.

      • KCI등재

        수면장애와 동반된 위식도역류질환에 관한 연구

        최주영,정혜경,노선희,태정현,김성은,심기남,정성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5

        Background/Aims: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leep disturbance, which may, in turn, provoke or worsen GERD.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GERD, 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and extra-esophageal syndrome in subjects with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 Methods:Subjects presenting for a health check-up were enrolled. Vali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flux symptoms and sleep disturbances. We defined insomnia as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 that occurred at least twice a week. GERD was defined as at least weekly symptoms of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 were revealed b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We recruited 1,701 subjects (men 57.5%; mean age 45.0 ± 15.0 years).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16.3%. GERD was reported in 14.8% of the subjects with insomnia and 7.1% of controls (p < 0.001). The prevalence of NERD was 13.7% in subjects with insomnia and 6.2% in controls (p < 0.001). The prevalence of extra-esophageal symptoms was higher in the insomniacs than control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tra-esophageal symptoms and the frequency of sleep disturbanc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aving GERD, NERD, extra-esophageal symptoms, and high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were predictors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s:The prevalence of GERD is higher in subjects with sleep disturbance. The number of extra-esophageal symptoms wa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poor sleep qualit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rosive change. These findings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GERD, NERD, and extra-esophageal syndrome in patients with sleep disturbance, and future trials are warranted. (Korean J Med 2011;81:602-610) 목적: 수면장애는 성인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그 유병률이 10-35%에 달한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수면장애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고, 수면장애로 인해 위식도역류질환이 악화되고 삶의 질 저하와 주간의 생산성 악화가 초래된다. 본 연구는 성인에서 수면장애 여부에 따라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역류성 식도염, 식도외 증상증후군의 유병률을 비교하고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목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성인남녀 중, 수면장애와 위장증상에 대한 자가설문지를 시행하고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검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장애는 최소 1주에 1회 이상 불면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대조군은 수면장애가 없는 검진자로 하였다. 결과:전체 대상자 1,701명 중 수면장애군은 16.3% (277명)이었고, 위식도역류질환은 수면장애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호발하였다(14.8% vs. 7.1%, p < 0.001). 수면장애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ERD (13.7% vs. 6.2%, p < 0.001)와 식도외 증상증후군(27.8% vs.15.5%, p < 0.001)도 유의하게 호발하였으나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위식도역류질환, NERD, 식도외 증상증후군, 높은 우울과 불안 증상 점수가 수면장애 발생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식도외 증상 개수가 증가할수록 불면증의 주간 발생 빈도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수면장애가 동반된 환자에서 위식도역류질환, NERD와 식도외 증상증후군이 호발하였고, 식도외 증상증후군의 동반 증상 개수와 불면증의 주간 빈도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수면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 동반 유무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치료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의료 정보 평가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김회진 ( Hoi Jin Kim ),이현정 ( Hyun Jeong Lee ),이준행 ( Jun Haeng Lee ),심상군 ( Sang Goon Sh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인터넷상에서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해서 검색되는 웹사이트들이 정확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식도역류질환"과 "역류(성) 식도염"을 핵심 단어로 2006년 7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7개의 검색엔진에서 검색된 각각 상위 15개 웹사이트(총 108개)를 대상으로 JAMA 핵심기준과 대한소화기 운동학회의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치료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만든 점검표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108개의 사이트 중 개인 병의원의 검색 빈도가 가장 높았고(21.3%) 대부분 환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87.0%). JAMA 기준에 3개 이상 부합하는 사이트는 11개(9.3%)였고 3개 미만으로 만족시킨 웹사이트보다 정보의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2). "Heartburn"에 대한 정의는 50%의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정확히 언급되었고 진단 시 초기에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고 언급한 사이트는 48.1%, 내시경 검사 없이 24시간 pH 검사 등을 초기에 시행한다는 언급은 26.9%, 식도내압 검사나 번스타인 검사, 식도조영술을 일반적으로 시행한다고 언급한 웹사이트는 28.7%였다. 치료에서는 65.7%에서 생활습관 조정을 언급하였고 생활습관 조정 단독만으로 증상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웹사이트는 47.2%였다. 치료약물 중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언급한 웹사이트는 57.3%였는데 임상적으로 가벼운 경우에 양성자펌프억제제 4주 투여 후 필요 시 투여나 단계적 하향 투여에 대한 언급은 8.3%, 임상적으로 심한 경우에 양성자펌프 억제제 8주 투여 후 지속 투여에 대한 언급은 11.1%의 웹사이트에서 있었다. 결론: 일반인들이 검색엔진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에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위식도역류질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사이트마다 정보의 양과 내용에서 차이가 많았다. 이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ackground/Aims: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al information not only for medical personnels but also fo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ternet based medical information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in Korea. Methods: The first 15 internet sites using the key words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were retrieved from the 7 most frequently used internet search engines. The quality of information from a total of 108 website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Results: Among total 108 sites related to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fifty-six sites (51.8%) were made by hospitals or clinics and 94 sites (87.0%) were made for patients. Of the 108 sites, eleven web sites (10.1%) had more than three JAMA benchmarks (authorship, references, currency, and disclosure). Higher quality sites (at least three JAMA benchmarks) were less likely to contain inaccurate information than lower quality sites (fewer than three JAMA benchmarks)-3/11 (27.2%) vs. 60/97 (61.9%) (p<0.01). Despite the fact that articles in the literature emphasized an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the lifestyle, dietary behaviors, and GERD, such guidelines continue to be recommended as first-line therapy in most websites. Conclusions: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ere incomplete in the majority of medical web sites. These would bring about confusion to patients seeking for an information about GERD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need for better sources in evidence based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eal reflux diseases on the web.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1-237)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 진단에 Bernstein 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의 비교

        양성욱 ( Seong Wook Yang ),허규찬 ( Kyu Chan Huh ),김용석 ( Yong Seok Kim ),김선문 ( Sun Moon Kim ),이태희 ( Tae Hee Lee ),임의혁 ( Euyi Hyeog Im ),최용우 ( Young Woo Choi ),강영우 ( Young Woo Ka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9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5 No.1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산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는 Bernstein검사는 최근 그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심장성흉통, 속쓰림 혹은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198명의(남자 60명, 여자 138명, 평균나이 53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에서 역류 증상이 없던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과: 198명의 환자 중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양성은 28.3% (56/198)이었고, Bernstein검사 양성은 43.4% (86/198)로 더 높았다. Bernstein검사 양성 환자 86명 중 29명(33.7%)이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양성이었다.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검사법의 비교에서 어느것이 더 우월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Bernstein검사가 서구인과 다르게 비정상적인 증상이 많은 한국인에게는 한번 고려해 볼 만한 검사이다. Background/Aims: Use of Bernstein test for the diagnosis of GERD has been decreasing gradually over the time, although the test is relatively simple and easy to perfor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Bernstein test for GERD in comparison with 24-hr esophageal pH monitoring. Methods: A total of 198 patients (60 men and 138 women; mean age: 53) with non-cardiac chest pain, heartburn or regurgitation were enrolled. They underwent both Bernstein test and 24-hr pH monitoring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any reflux symptom during 24-hr pH monitoring were excluded. Results: Among 198 patients, 28.3% (56/198) were positive by 24-hr pH monitoring whereas 43.4% (86/198) were positive by Bernstein test Out of eighty six patients with positive Bernstein test, 29 patients (33.7%) present with positive finding also by 24-hr pH monitoring.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ernstein test and 24-hr pH monitoring in diagnosing for GERD. Conclusions: Although neither test was superior for making the diagnosis of GERD, Bernstein test could be useful for Asian patients with different clinical features or pathophysiologic mechanisms from western patien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45-51)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에서 1주 Esomeprazole 치료의 진단적 의의

        정훈용 ( Hwoon Yong Jung ),정기욱 ( Kee Wook Jung ),허규찬 ( Kyu Chan Huh ),지삼룡 ( Sam Ryong Jee ),최석채 ( Suck Chei Choi ),이준행 ( Jun Haeng Lee ),이인석 ( In Seok Lee ),이용찬 ( Yong Chan Lee ),이광재 ( Kwang Jae Lee ),심기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은 증상, 내시경 검사,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내시경 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가 가장 중요한 검사로 인정되고 있으나, 민감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반면, 고용량의 PPI를 투여하는 PPI test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80% 내외라고 보고되고 있다. 증상만을 통한 진단과 치료가 우리 나라에서는 보험에서 충분히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내시경 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들이 많다. 따라서, 전형적인 위식도역류질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esomeprazole을 1 주일간 투여하여 위식도역류질환 진단에 대한 민감도를 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일주일에 2회 이상의 전형적인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순차적으로 등록하여 esomeprazole 40 mg을 1주일간 투여한 후 증상의 횟수와 심한 정도를 분석하여 PPI test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중 내시경 검사나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상 pH 4 이하의 분획이 4% 이상인 역류질환(GERD)과 모든 검사상 정상인 비역류질환(non-GERD)을 구분하여 두 군 사이의 양성율을 구하였다. 결과: 국내 11개 병원에서 103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100명의 환자가 연구를 종료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48세였으며, 남자가 60%였다. 총 100명의 대상환자 중 79%에서 1주일간의 esomeprazole 40 mg 투여 후 증상이 호전되어 PPI test 양성소견을 보였으며, GERD 군에서는 84.3% (70/83), non-GERD 군에서는 52.9% (9/17)의 양성율을 보여주었다. 결론: Esomeprazole 40 mg을 사용한 1주 PPI test는 전형적인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79%에서 증상의 개선을 보였으며, 특히 객관적 지표가 양성인 GERD 환자에서의 양성율이 높아 진단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can be diagnosed by symptoms, endoscopic findings, and pH monitoring. Endoscopic findings and pH monitoring have high specificity and low sensitivity. Since medical fees for the symptom-based treatment are not fully covered by insurance in Korea, endoscopy and pH monitoring are mainly being performed to prove GER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sensitivity of one-week PPI test in diagnosing GERD in patients with typical reflux symptoms. Patients/Methods: Patients complaining of typical symptom over twice/week were enrolled and esomeprazole (40 mg) was prescribed for one week. Frequency and severity of symptoms were analyzed and sensitivity of PPI test was calculated. GERD group was defined as having erosive esophagitis or a positive pH test. Positive rates of PPI test were calculated in GERD and non-GERD groups. Results: A total of 103 patients from 11 hospitals were enrolled, and 100 of them completed until the end of the study. Seventy-nine patients reached symptomatic improvement after one-week (positive PPI test), and positive rates were 84.3% (70/83) in GERD group and 52.9% (9/17) in non-GERD, respectively (p<0.05). Conclusions: The sensitivity of PPI test in diagnosing GERD in symptomatic patients was 84.3%, and this test is considered to have diagnostic value for GERD.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88-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