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논리학의 흐름과 『판비량론』의 논쟁학

        김성철(Kim, Sung-Chul)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일반적으로 불교논리학을 체계화 한 인물이 진나(陳那)라고 하지만, 세친(世親)이 저술한 『논궤(論軌)』의 단편들을 면밀히 분석해 보면, 불교논리학 이론의 많은 내용들이 그의 시대에 이미 완성되어 있었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지작법의 추론식, 사인(似因)을 불성인(不成因), 부정인(不定因), 상위인(相違因)의 셋 구분하는 것, 인(因)의 삼상(三相) 이론, 자띠(Jāti)의 존재론적 효용에 대해 긍정하는 점 등이 그것들이다. 이를 보완하고 발전시켜서 진나의 불교논리학이 탄생하였고, 현장이 번역한 『인명입정리론』과『인명정리문론』을 통해 불교논리학이 동아시아에 소개되었다. 원효는 『판비량론』을 통해 현장의 학문을 비판하는데, 그 근거가 되었던 것은 바로 진나의 제자로 추정되는 상갈라주가 저술한 『인명입정리론』의 오류론이었다. 그런데 그 오류론 가운데 소별불극성(所別不極成)이나 능별(能別)불극성의 경우 상갈라주가 새롭게 추가한 항목이며, 원효는 『판비량론』에서 이런 오류를 활용하여 논지를 전개한다. 따라서 『인명입정리론』은 『판비량론』 논쟁학의 토대이면서 한계이기도 했다. 또 현장이 고안했던 추론식을 보면 주장명제 앞에 ‘승의(勝義)에 있어서’라는 한정사가 부가되어 있는데, 이는 인도의 『중론』 주석가로 『반야등론』의 저자인 청변(淸辨)의 자립논증적 추론식에 그 기원을 둔다. 그러나 이렇게 한정사를 부가하여 추론식을 작성하는 방식이 보편타당한 것은 아니었다. 『정명구론』의 저자인 월칭의 경우 이런 방식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승의에 있어서’라는 한정사를 사용하여 추론식을 고안했던 현장은 물론이지만 이를 비판했던 『판비량론』의 원효 월칭의 존재를 몰랐기에 청변적 방식의 범위 내에서 논의를 벌였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효를 화쟁과 회통의 사상가로 평한다. 그러나 우리는 『판비량론』에서 이와 상반된 원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판비량론』에서 원효는 현장이 고안했던 유식비량이나 대승불설을 증명하기 위한 추론식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추론식을 제시한다. 또 『판비량론』에서 보이는 원효의 이런 비판적, 논쟁적 면모와 아울러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 항목의 내용이나, ‘만인(萬人)의 적(敵)’이라는 원효의 별칭 또『금강삼매경론』의 저술 일화등을 취합해 보면 원효에게는 화쟁가라기보다 논쟁가라는 별칭이 더 어울린다. 자신감 넘치는 논쟁가! 『판비량론』을 통해 확인하는 원효의 새로운 면모다. Many scholars say that Dignāga systematized Buddhist Logic. However, upon deeply analyze the contents of Vādavidhi of Vasubandhu, one can find that most theories of Buddhist Logic were already invented at the age of Vasubandhu. Dignāga improved and developed Vasubandhus theories and completed Buddhist Logic. Dignāgas Buddhist Logic was introduced to East Asian nations through Nyāyamukha and Nyāyapraveśaka, which were translated by Xuan Zang. In Pan-Bi-Ryang-Ron, Won Hyo criticized the scholarship of Xuan Zang, and his criticism is based on the theory of logical fallacies written in Śaṅkarasvāmins Nyāyapraveśaka. Among the theories of logical fallacies in Nyāyapraveśaka, aprasiddhaviśeṣaṇa and aprasiddhaviśeṣya seem to have been newly added by Śaṅkarasvāmin. In Pan-Bi-Ryang-Ron, Won Hyo discussions are based on these principles of logical fallacies.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Nyāyapraveśaka is not only the basis but also the limit of Pan-Bi-Ryang-Ron. In India, Xuan zang invented a syllogism proving Mind-onliness(唯識). At the head of pratijñā(宗) statement, he added a word “tattvatas(眞故)” as a quantifier. This quantifier is derived from the Bhāvaviveka syllogism of Svātantrika Madhyamaka. In India, Candrakīti of Prāsaṅgika criticized the efficiency of this quantifier. But Xuan Zang and Won Hyo were unaware of this criticism. Their discussions we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Svātantrika Madhyamaka. Many people believe Won Hyo was a philosopher of harmony. However, in Pan-Bi- Ryang-Ron we find scholarship opposite to this popular belief. Moreover, we read Won Hyos biography of the title “Fetter-free Won Hyo”. One of his nicknames was “An Enemy to thousands of people”. In the story of the process of writing Geum-Gang-Sam-Mae Gyeong-Ron, we know Won Hyos pride as a brilliant Buddhist scholar. If we put together all these stories and the tone of Won Hyos arguments in Pan-Bi-Ryan-Ron, we can find another aspect of Won Hyo. He was a man of great pride and an enthusiastic debater.

      • KCI우수등재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김지연(Kim Ji yun)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원효(元曉, 617~686)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의 저술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유통되었고 법장과 같은 후대의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현재는 그의 영향력이 전 세계로 확장되어, 많은 서양학자들이 원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들의 연구보다는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원효 탄신 1400주년을 앞둔 이 시점에서 원효에 대한 이해를 서양으로 확장하여 검토하는 것은, 7세기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중심이 되는 문헌들을 해석한 원효를 다양한 시각에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19세기부터 시작된 북미에서의 원효연구를 다루었는데, 그 가운데 로버트 버스웰·박성배·찰스 뮐러·리차드 맥브라이드의 연구에 주목하였다. 비록 네 사람은 ‘개합’과 같은 원효의 사상에 대해 관점을 차이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들에게 나타나는 공통된 이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효는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위대한 승려 중 한 사람이고, 그의 저술은 최고의 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이다. 둘째, 원효는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을 학파의 우열없이 동등하게 다루는 학문적 태도이다. 셋째, 원효의 저술목적이 표면적으로는 논쟁들을 조화시키는 ‘화쟁’에 있지만, 그 심층에는 모든 것을 진정으로 하나로 만드는 ‘진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로버트 버스웰에게는 ‘붓다의 가르침’이고, 박성배에게는 무애와 자재를 갖춘 ‘붓다의 법’이고, 찰스뮐러에게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절대 진리’이다. 넷째, 원효가 사상의 중심을 『대승기신론』에 두면서 ‘일심’의 구조와 사상에 기반하여, 자신이 주석하는 대부분의 논서에 적용함으로써 심층적인 이해를 이끌어 낸다는 것이다. Wonhyo (元曉, 617~686) is one of the outstanding figures in Korea Buddhism. His writings have been circulated throughout East Asia, and have had an impact on scholars such as Fazang (法藏). Now his influence has spread all over the world, so many western scholars are studying Wonhyo. Here, I try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Wonhyo from the perspectives of Western Buddhist scholars. I think this w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better understand Wonhyo, who interpreted many important books of the Mahayana Buddhism of East Asia in the 7th century. This study looked at the research on Wonhyo in North America, which started in the 19th century. Among those works, I focused on the study of Robert Buswell Jr., Sung Bae Park, A. Charles Muller and Richard D. McBride II.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Wonhyo s thoughts, they share common ground with each other as follows. First, Wonhyo is one of the great monks who represent East Asian Buddhism, and his writings are regarded as the top level. Second, Wonhyo had good knowledge in wide-ranging areas, and treated them equally without comparison of schools. Third, Wonhyo’s writing apparently focused on ‘Hwa-jaeng (和諍, harmonization of arguments)’; however, deep inside is the Truth that makes everything into one. Fourth, Wonhyo relied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so he explained sutras and treatises based on the structure and thought of ‘one mind (一心).’

      • KCI등재

        同伴者型 설화 속의 元曉 - 해골바가지 사건의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

        고운기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원효의 생애에서 요석공주와의 만남은 파계였고, 도당행(渡唐行)의 중단은 포기였다. 파계와 포기가 실패로 연결되지 않고 그의 생애와 구도의 길을 한 차원 높이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는 ‘기뻐 날뛰면서(歡喜踊躍) 사방에 노닌다(遊於四方)’는 경전(經典)의 가르침을 ‘모든 마을 모든 부락을 돌며 노래하고 춤추면서 다녔는데, 노래로 불교에 귀의하게’ 하는 것으로 실천하였다. 『삼국유사』의 원효 관련 기사는 그런 삶을 구체적으로 그린 것이다. 핵심은 동반과 패배였다. 누군가와 늘 동반하는 사람으로 그려진 원효는 늘 지는 쪽이었다. 지는 자는 동행자와 대응한다. 원효는 지는 자의 위치에서 동행자의 역할을 완성한다. 그리고 끝내 함께 이기는 자가 된다. 일연(一然)이 『삼국유사』에 그린 원효이다. 문제는 해골바가지 사건이다. 일연은 이 이야기를 싣지 않았다. “마음 밖에 법이 없으니 어찌 따로 찾으리오.”라는 매력적인 선언 때문에 이 이야기의 전승력은 막강하다. 그러나 나는 경전의 변주된 원효의 이 선언이 전승의 과정에서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었다고 본다. 일연도 그렇게 보았던 것 같고, 무극(無極) 또한 원효가 두 차례 모두 의상과 동행했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흔한 구절이라도, 깨달음의 정황이 실감나게 정합(整合)할 때, 전승은 강력한 배후의 힘을 얻는다. 원효가 등장하는 어떤 일화보다 해골바가지 사건은 그 같은 조건을 갖추었다. 이광수와 김선우는 각각 『원효대사』와 『발원』에서 해골바가지 사건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이광수는 이 일이 중국에서 일어난 것으로, 김선우는 꿈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쓴다. 허구로 보았을 가능성의 암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국유사』에 실린 이야기와는 또 다른 측면에서, 해골바가지 사건은 실제 같은 허구, 허구 같은 실제의 감동을 주고 있다. 원효가 만나는 다중의 동반자 구조가 화학적 반응을 만들어내는 자리에서 그는 새로운 동반자와 만난다. 그것은 바로 당대의 민중이다. It means apostasy that Wonhyo(元曉) meets Yoseok(瑤石) princess, and give up that he stops going to China in Wonhyo’s life. But the apostasy and give up are not connected to failure, they work as occasions to raise his life and seek after truth. ‘Singing and dancing all around the village, he came to believe in Buddhism with songs’. That’s why he practiced the lesson ‘dancing about for joy and playing aroun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e articles about Wonhyo in <Samkukyusa(三國遺事)> are what embodied his life. The keywords are accompany and loss. Wonhyo, who is described to accompany by someone, loses all the time. The loser corresponds to the partner. Wonhyo completes the partner’s role in the position of loser. And finally he becomes the winner together. That’s what Ilyeon(一然) describes in Samkukyusa. The skull affair is the key. Ilyeon didn’t include this story. “If with true mind, how can it be somewhere?” With this attractive saying the story is handed down powerfully. But I think Wonhyo’s varied saying in the Buddhist scriptures was possible to be made newly while being handed over. Even if it’s common phrase, when the condition of enlightenment makes sense with reality, it is handed down to others powerfully. The skull affair has better condition than any other anecdote. Lee Kwang-su(李光洙) and Kim Seon-woo(金宣佑) included the skull affair individually in <Wonhyo Daesa(元曉大師)>, and <Balwon(發願)>. Lee Kwang-su wrote it as the affair happened in China, but Kim Seon-woo, in dream.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iction. However in the other aspect of the story in <Samkukyusa> the skull affair is impressive as the fiction like reality, and the reality like a fiction.

      • KCI등재

        원효의 『인명입정리론』 주석과 그 특징

        김성철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In some “Books of Buddhist Scripture List (佛典目錄)” written in Korea and Japan, we can find two titles of Won-Hyo (元曉)’s commentaries on Nyāyapraveśaśāstra (因明入正理論). The first is a draft version (因明入正理論記) and the second is the final version (因明入正理論疏). Neither of them still exist, but some passages from them are quoted in the Luminous interpretation of Kuī-Jī (窺基)’s commentary on Nyāyapraveśaśāstra (因明論疏明燈抄) written by the Japanese monk, Zen-Ju (善珠). There, we can find 12 fragments of Won-Hyo’s commentary. In this research, first, I attempted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se fragments. In two of the Japanese List Books (東域傳燈目録 and 注進法相宗章疏), only the title of the draft version (記) was found. In a List Book (新編諸宗教藏總錄) written by the Korean monk Eui-Cheon (義天) in the 12th century and a List Book (佛典疏鈔目錄) written by another Japanese monk (興隆) in the 18th century, only the title of the final version (疏) was found. We can guess that the title of the final version (疏) in the latter book was copied from the former and the final version did not exist in Japan. So, it is certain that all of the 12 fragments quoted in Zen-Ju’s treatise originated from the draft version (記) of Won-Hyo (元曉)’s commentary on Nyāyapraveśaśāstra. Second, we can abstract five unique features from Won-Hyo (元曉)’s commentary, and I analyzed the representative features among them. There are two technical terms in the opening phrase of the Nyāyapraveśaśāstra. The first is 唯悟他 that means “pertinent for (bringing) understanding for others.” The second is 唯自悟 that means “pertinent for (bringing) one’s own understanding.” Won-Hyo divided the former terms into 唯他 and 唯悟, and the latter into 唯自 and 唯悟. The purpose of these divisions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唯,” and Won-Hyo achieved this goal. In Kuī-Jī’s commentary, two verses from Diṅnāga’s Nyāyamukha (因明正理門論) are quoted. Xuán-Zǎng (玄奘) translated the Sanskrit word “śāśvatāḥ” in the verse into “恒住堅牢性.” The word is used as a predicate of the proposition “sound is eternal.” Most commentators have divided them into 恒, 住, and 堅牢性, but Won-Hyo divided them into 恒住, 堅, and 牢性 and this is an unusual way of understanding the phrase. However, the meaning of the syllogism becomes clearer from Won-Hyo’s invention. Kuī-Jī expressed an opinion that all of the samādhi minds were only included in pratyakṣa. However, Won-Hyo criticized his opinion based on a phrase in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Additionally, Won-Hyo invented a delicate example, “like a window,” to complete a syllogism of lokaviruddha-pakṣābhāsa (世間相違 似立宗). From this study, we can see that Won-Hyo was critical of Kuī-Jī and very creative in his comments about the Nyāyapraveśaśāstra. 불전목록집을 보면 『인명입정리론』에 대한 원효의 주석으로 『인명입정리론기』(이하 『기』)와 『인명입정리론소』(이하 『소』)의 두 가지가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어느 것도 현존하지 않고, 일본의 선주가 저술한 『인명론소명등초』(이하 『명등초』)에 그 일부만 인용된 모습으로 전해온다. 『명등초』에서 총 12가지 단편이 취합되는데, 본고에서는 먼저 이들이 원효의 『기』와 『소』의 두 저술 가운데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지 추정해 보았다. 11세기-12세기에 일본에서 저술된 『동역전등목록』이나 『주진법상종장소』에는 원효의 『기』만 등재되어 있으며, 『소』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에 등재되어 있다. 18세기에 일본의 흥륭이 저술한 『불전소초목록』에서도 『소』라는 제명이 보이긴 하지만 이는 의천록에서 옮겨 적은 것이 확실하다. 따라서 일본에서 『소』는 유통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며 『명등초』에 실린 원효의 주석을 『기』라고 특정(特定)해도 좋을 것이다. 우리는 원효의 주석에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1.조어(造語)의 독창성, 2. 규기의 이론에 대한 비판, 3.추론식에서 실례의 창의적 고안, 4.인명학 이론의 체계적인 정리, 5. 술어(術語)의 의미에 대한 명료한 해석이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1, 2, 3을 여실히 보여주는 단편 4가지를 예로 들어 원효적 주석의 특징을 조명해 보았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1. 원효는 『인명입정리문론』 서두에 실린 유오타(唯悟他)와 유자오(唯自悟)라는 문구를, ‘유타’와 ‘유오’, ‘유자’와 ‘유오’의 신조어로 분석하여 ‘유(唯)’의 의미를 명료하게 드러내는데, 이는 다른 인명가에게서 볼 수 없는 해석이다. 또 “소리는 상주한다.”는 주장명제에서 술어인 상주함을 의미하는 한역어인 ‘恒住堅牢性’을 다른 인명가들은 ‘항, 주, 견뢰성’으로 끊어 읽는데 원효만은 ‘항주, 견, 뇌성’으로 독특하게 끊어 읽는다. 이는 ‘주’라는 단어의 모호성을 없애기 위한 의도적 고안으로 보인다. 2. 규기는 『인명대소』에서 “삼매의 마음은 모두 현량이다.”라는 견해를 피력한 적이 있는데, 원효는 “소작성판(所作成辦)의 경지가 되어 영상을 초월하면 비로소 현량의 지견이 된다”는 『유가사지론』의 문구를 근거로 이를 반박한다. 3. 『인명입정리론』에서 세간상위의 추론식으로 제시하는 “회토(懷兎)는 달이 아니다. 존재이기 때문에.”의 실례로 원효는 “마치 창문과 같이”라는 문구를 고안한다. 한지를 바른 창문에 갖가지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 그 그림이 창문이 아니듯이, 달에 있는 회토의 모습은 달이 아니라는 것이 입론자의 생각이리라는 것이다. 원효의 고안을 통해 우리는 입론자가 이런 추론식을 제시하게 된 그 나름대로의 이유를 알게 된다. 이상에서 보듯이 원효적 주석은 규기의 이론에 대해 비판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설명에서 명료하고 조어나 실례의 고안에서 창의적이었다.

      • KCI등재

        한국 영화 속에 나타난 원효 -『신라성사원효』와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서재길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삼국유사』의 문헌설화에서 비롯된 원효의 이야기가 1942년 이광수의 역사소설 『원효대사』와 1940년대 후반의 영화 시나리오 『신라성사원효』를 거쳐 1962년의 역사극 『원효대사』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원효에 대한 문화적 표상의 변화를 살핀 것이다. 이광수의 역사소설은『삼국유사』에서 비교적 가볍게 다루어진 ‘파계’라는 문제를 전면화함으로써 대일 협력 시기 작가 자신의 내면을 여성의 정조 상실 혹은 불승의 파계와 같은 것으로 동일시하고 있었다. 원효대사에 대한 최초의 영화화 시도인 『신라성사원효』의 경우 소설 『원효대사』에서 대부분의 이야기를 가져오면서도 이광수가 공을 들였던 ‘파계’라는 주제와 신라의 고신도에 대한 서술은 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흥행예술로서의 성격에 부합되게 원작을 각색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효라는 역사인물을 영화로 완성한 『원효대사』의 경우 ‘오도설화’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영화적 볼거리로서의 활극적 서스펜스와 인물들의 코스튬을 강조하였다. 이 영화는 원효를 일세의 풍류남으로 설정하고 주변의 여성들과의 러브라인을 스토리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흥행에 성공하면서 구도자로서의 원효의 삶과 내적 고뇌를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사상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수작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monk Wonhyo in various cultural texts, including novels and films such as Yi Kwangsu’s novel Great Monk Wonhyo (1942),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in the late 1940s, and the historical film Great Monk Wonhyo (1962). By highlighting the theme of the violation of the Buddhist commandments—which was neglected in Samguk- yusa,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y Iryon—Yi Kwangsu’s historical novel Great Monk Wonhyo identifies the author’s mind with that of a spoiled monk or that of a woman who lost her virginity as Yi was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at that time.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was the first attempt to depict the Wonhyo story in film, and the adaptation seemed to succeed as a popular culture text by excluding both the theme of a monk’s viol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osindo, a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lthough the adaptation drew from many episodes from Yi’s novel. Great Monk Wonhyo, the first completed film about the monk Wonhyo, emphasized suspense and splendid costumes as cinematic spectacles, whereas it removed the famous episode of Wonhyo’s spiritual enlightenment. This film gained box office success by characterizing Wonhyo as a playboy of the age and by putting the love stories about his relationships with many women at the center of narrative. This film could also be considered a great artistic and philosophical film that expressed the life of Wonhyo and his inner conflict as a truth-seeker through the performances of the film’s excellent stars.

      • KCI등재

        일본 정토불교와 관련해서 본 원효의 정토신앙 -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의 기사를 중심으로 -

        김호성(Kim, Ho-S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이 글은 일본 정토불교 조사들의 삶과 실천을 고려하면서 원효의 삶 속에서 볼 수 있는 정토신앙을 재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방법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보다 원효의 전기자료가 대단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 부족한 전기 자료를 이렇게도 해석해 보고 저렇게도 해석해 보려고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연(一然, 1206-1280)의 『삼국유사(三國遺事)』 원효불기(元曉不羈)조의 서술 중에서 원효의 정토신앙에서 볼 수 있는 세 가지 사실을 조명해 보려고 한다. 첫째는 실계(失戒)의 문제이고, 둘째는 무애(無㝵)의 의미이며, 마지막 셋째는 염불춤의 공연(共演)이다. 첫째 실계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토진종의 개조 신란의 처대(妻帶)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양자는 공히 계를 깨뜨리고 아들을 낳았다. 그렇지만 신란의 경우는 ‘결혼’이라고 할 수 있지만, 원효의 경우에는 ‘결혼’이라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무엇보다 큰 차이는 신란의 삶과 신앙은 그의 사후 마침내 ‘정토진종’이라는 하나의 거대한 종파를 낳았지만, 원효는 그렇지 못했다는 점이다. 둘째 무애의 문제와 관련해서도 신란의 경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란은 『탄이초』와 주저 『교행신증』제2권에서 원효가 인용했던 『화엄경』의 구절 “일체에 무애한 사람이 한 길로 생사를 벗어난다”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란에게 이 『화엄경』의 구절이 정토신앙의 맥락에서 인용되었음을 생각할 때, 원효의 『화엄경』 인용 역시 정토신앙적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춤염불의 경우에는 헤이안(平安) 시대의 염불자 쿠야와 가마쿠라(鎌倉) 시대 시종(時宗)의 개조 잇펜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전하면서, 민중들과 함께 춤추었다. 바로 그 점으로 인해서 쿠야는 ‘저자거리의 성인’으로 추앙되었으며, 잇펜 역시 ‘모든 것을 버린 성자’로 추앙되었다. 이를 통해서, 원효의 경우에도 현존하는 기록에는 전하지 않으나 당시 민중들로부터 성자로서 추앙되고 호응을 얻었을 것으로 상상해 볼 수 있게 된다. I tried to re-interpret Wonhyos practice depending on Pure Land Buddhism in relation to the patriarchies of the Japanese Pure Land Buddhism. The reason in which I took this method was due to the shortage of documents on Wonhyos life and faith. I tried to concretely illuminate three points regarding the description in the chapter ‘Wonhyo is not restrained’ (元曉不羈) of Samguk-yusa. The problem of precepts-loss, the meaning of freedom from all obstacles, and the co-acting of dancing-reciting has been illuminated. First, I considered the case of Shinran, the founder of Shin Buddhism in Japan, who destroyed the precept not to take a marriage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precepts-loss. The similarity between Wonhyo and Shinran has previously been pointed out by many scholars. However, I pro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onhyo and Shinran in which Wonhyos case is not able to call ‘marriage.’ Furthermore, Wonhyo did not aim to find the sect. Secondly, I took notice of Shinrans recitation of the word ‘freedom from all obstacles’ in the Avataṁsaka Sūtra in Tannisho (歎異抄) and A Collection of Passages Revealing The True Practice of the Pure Land Way (敎行信證). Wonhyo and Shinran cited the same passages together. Via the example of Shinran, I understoo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Avataṁsaka word. Lastly, in Japan, Kuya of the Heian period and Ippen of the Kamakura period danced reciting Amitabhas name. Because of their ‘dancing-recitation’, they were worshipped as ‘saint(bodhisattva) in the city’ by the people. Even though there are not any document about peoples evaluation on Wonhyos ‘dance-recitation’, I think that Wonhyo could be praised as ‘saint(bodhisattva) in the city’ like Kuya or Ippen in Japanese Buddhism.

      • 원효의 석굴수행과 차(茶) -부안 원효방을 중심으로-

        주수완 ( Joo Soowa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23 한국예다학 Vol.11 No.-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의하면 원효는 현재 원효방이라 불리는 석굴사원에서 수행하던 중에 사포성인이 가져온 차를 달여 마셨다고 한다. 본 논고에서는 이 원효방에 관한 전승을 원효의 수행처로 전하고 있는 다른 사적들과의 유기적 맥락 속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원효의 수행처로 전해지는 사적들은 대체로 석굴사원 및 샘물, 혹은 우물이 동반하는 곳이었고, 이와 함께 약사여래신앙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차를 달였다는 기사는 부안 원효방에서만 전해지는 서사이다. 당시 차를 대접한 사포성인은 아마도 백제 출신의 승려였거나 혹은 당나라에서 차문화를 들여온 의상대사의 제자였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백제 출신의 승려였다면 부안이라는 해상교통로상의 입지 덕분에 일찍부터 당과 교류하며 이 지역에 수입된 차를 익히 알고 있었던 인물이었을 것이며, 의상의 문하에 속한 승려였다면 종남산에서부터 이어진 화엄선차에 대해 잘 알고 이를 원효에게 전한 인물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부안 원효방에서 원효와 차의 관계가 확인되는 것은 부안이 지니는 해상교역로상의 이 점이 그 배경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사포성인을 통해 차를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 원효는 이를 ‘무애차’의 개념으로 발전시켜 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무애차의 전통은 한국에서는 사라졌지만 일본의 사이다이지(西大寺)에서 ‘오오차모리(大茶盛)’ 의식에 계승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 원효를 흠모하며 차 재배를 시작한 묘에상인(明惠上人)이 조성한 <화엄종조사회전>에 묘사된 부안 원효방에서의 원효의 수행 장면에는 원효의 옆에 정병이 그려져 있어 이곳에서 차를 마셨음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어 흥미롭다. 한편 그러한 원효의 이미지는 마치 감로수나 제호(醍醐)와 같은 신비로운 음료를 제공하여 사람을 치유하는 존재로서 굳어져 갔으며, 그것이 발전하여 원효의 수행처가 곧 약사신앙의 장소로 인식되는데 바탕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특히 경덕 왕대 분황사에 봉안된 대형의 금동약사여래입상을 필두로 이와 같은 약사여래입상들은 원효대사의 상징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사성암의 마애불은 들고 있는 약함이 마치 찻잔으로도 보여서, 원효의 무애차가 곧 약사불의 약의 개념으로 승화되었을 가능성도 짐작케 한다. According to Lee Kyubo(李奎報, 1169∼1241)’s Donggukisangukjip(東國李相國集), Wonhyo(元曉, 617∼686) drank tea brought by Monk Sapo(蛇包) while he was training in a cave temple, now called Wonhyo cave(元曉房).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tradition of Wonhyobang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with other historical sit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as Wonhyo’s place of training. The historical sites handed down as places of training for Wonhyo were mostly places accompanied by stone cave temples, springs, or wel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haiṣajya-guru Buddha faith was emphasized along with them. However, the story about he brewed tea is a narrative that is transmitted only in Wonhyobang in Buan. It is possible that Monk Sapo, who served tea to Wonhyo at the time, was probably a monk from Baekje or a disciple of Master Monk Uisang(義湘, 625∼702), who introduced tea culture from the Tang Dynasty. If he had been a monk from Baekje, he would have been familiar with the tea imported to the region through early exchanges with Tang thanks to his location on the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of Buan. Or, if he was a monk who belonged to Uisang’s pupil, he would have been a person who knew well about ‘Hwaeom Seoncha(華嚴禪茶)’ from Jongnamsan Mountain and passed it on to Wonhyo. Perhaps the reason why Wonhyo could drink tea in Wonhyobang in Buan was because there was an important base on maritime trade routes. It is thought that Wonhyo, who were introduced to drink tea by Monk Sapo, developed it into the concept of ‘Moo-ae tea(無碍茶)’. Although the tradition of Moo-ae tea has disappeared in Korea, it is being inherited in the ‘Ohchamori(大茶盛)’ ceremony at Saidaiji(西大寺) Temple in Japan. In addition, in the scene of Wonhyo’s ascetic practice in Wonhyo cave in Buan described in < Painting scroll of HwaeomJong Masters > created by Monk Myoe(明惠), who admired Wonhyo in Japan and started tea cultivation, a water bottle is drawn next to Wonhyo. It is interesting because it implies that he was aware that he drank tea at this place. On the other hand, such an image of Wonhyo was solidified as a being who healed people by providing mysterious drinks such as nectar water and it is assumed that it developed and became the basis for Wonhyo’s place of training to be recognized as a place of Bhaiṣajya-guru Buddha faith. In particular, Bhaiṣajya-guru Buddha statueas as like the large gilt-bronze statue enshrined at Bunhwangsa 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might be recognized as symbols of Great Monk Wonhyo. Among them, the rock-carved Buddha of Saseongam temple looks like hold a teacup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Wonhyo’s Moo-ae tea was sublimated into the concept of medicine by Bhaiṣajya-guru Buddha.

      • KCI등재

        원효(元曉)의 일승관(一乘觀)과 사상사적 의미 -『법화종요(法華宗要)』를 중심으로-

        박광연 ( Kwang You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5

        본고에서는 『法華宗要』의 분석을 통해 元曉의 一乘觀이 지니는 특징을 찾아보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이는 원효의 법화사상이 왜 삼국 통일의 논리이며, 정치 통합의 논리가 되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원효가 『법화종요』를 통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원효 일승관의 가장 큰 특징은 一乘理(法界, 法身, 如來藏)의 설정을 통해 一乘因(佛性, 善根)과 一乘果(法佛菩提, 報佛菩提, 應化佛菩提)가 非一非二한 관계임을 말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의 선근, 현재의 불성, 미래세의 佛果力을 하나의 고리 속에 놓음으로써 누구나의 성불 가능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원효의 일승관은 『법화경』의 一乘을 자세히 설명한 義寂과의 비교를 통해 그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할 수 있다. 원효는 논의의 바탕에 불성을 두고 있지만 의적은 선근의 축적만을 말하고 있다. 원효는 佛果의 교화를 강조함으로써 自力과 他力의 同體를 말하고 있지만, 의적은 노력(多聞薰習, 止觀行 등)에 의한 佛果에의 도달을 중요시하였다. 한편 원효의 일승 해석은 義相의 사고와도 교섭되어 신라 불교의 특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원효는 一乘과 三乘의 관계를 會三歸一 등으로 설명하였다. 원효가 회삼귀일의 개념을 통해 말하고자 하였던 것은 佛性, 善根, 佛에 대한 믿음과 자각이었다. 그러므로 원효의 법화사상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정치적 측면보다는 대중 교화나 신앙의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元曉) view of the One Vehicle (一乘)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Beobhwajongyo (法華宗要). First, I go over the previous thesis that his Beophwa thought (法華思想) was conductive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political harmonization. By criticizing the thesis, I aim at revealing Wonhyo`s ultimate intention to compose the Beobhwajongyo. The Most salient feature of his view of the One Vehicle is that the cause of the One Vehicle (一乘因) and the effect of the One Vehicle (一乘果) are interrel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ormer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latter. Wonhyo bases the interrelatedness of the two on the principle of the One Vehicle (一乘理). He thus emphasizes the universal attainability of Buddhahood by placing the good faculty (善根) of the past, Buddha nature (佛性) of the present, and the power of Buddhahood (佛果力) of the future under the same category of the principle of the One vehicle. The nature of his view of the One Vehicle can be clarified by comparing his view with Uijeok`s (義寂) idea which emphasizes the Lotus Sutra (法華經). Wonhyo bases his argument on Buddha nature, whereas Uijeok just stresses the accumulation of good faculty. Wonhyo asserts the equality between self-power (自力) and other-power (他力)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edification of the effect of Buddhahood inherent oneself, whereas Uijeok stresses attaining Buddhahood through one`s arduous efforts. Later on Wonhyo`s understanding of the One Vehicle comes to characterize the Silla Buddhism through interplay with Uisang`s (義相) thought. Wonhyo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Vehicle and the Three Vehicles by 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subsuming three into one (會三歸一). Through the logic of subsumption of three into one, he tri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elieving and realizing Buddha nature, good faculty, and the Buddha. Therefore, I think that the significance Wonhyo`s Beophwa thought had on Silla society should b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ification or faith of the populace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of the time.

      • KCI등재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법장(法藏)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수미 ( Su Mi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0

        『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사상적 입장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것은 한국불교학계의 지속적 논제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원효사상의 상당한 부분이 해명되어 왔지만 『기신론』에 있어서의 원효의 입장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원효의 주석에 중관과 유식에 대한 화해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에 착안하여 원효가 당시의 공유논쟁의 틀을 통해 『기신론』을 해석하고 있음을 논증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편으로는『기신론』의 일심이문에 대한 원효의 해석이 공유논쟁의 틀에 대응함을 분석적으로 논의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법장의 『기신론』의 해당주석과 원효의 해석을 비교하여 두 논사의 일심이문 해석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먼저 (1) 일심이문을 총괄적으로 설하는 부분에서 원효는 진여문과 생멸문을 각각 중관과 유식의 이론과 연결시켜 설명하는데 이러한 연결은 단순한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각각 중관의 무위법과 유식의 유위법을 위주로 하는 대응구도임을 『장진론』과의 연관성을 통해 고찰하였다. 하지만 원효는 이러한 구분을 일률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아니라 진여문에도 유식의 유의 측면이 내포되어 있고 생멸문에도 중관의 공의 측면이 포함되어 있음을 표방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어지는 (2) 진여문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도 중관과 유식의 이론을 병렬 적으로 도입하여 『기신론』을 주석하고 있는 부분이 보이고, 그 다음에 이어지는 (3) 생멸문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도 비록 중관계 경론의 인용은 보이지 않지만 중관의 공의 뜻이 생멸문에도 적용됨을 공공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관과 유식 모두를 도입하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기신론』의 일심이문을 해석하는 원효의 접근 방식은 법장의 해석과 비교할 때 그 사상적 입장이 더 부각된다. 비교를 통해 원효가 중관과 유식의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음에 비해 법장은 여래장을 설하는 유식계 경론을 중심으로 하여 일심이문을 주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신론』 해석에 있어서 법장이 법상유식의 이론을 철저히 배제하는 것은 이러한 법장의 해석에 특정적인 사상적 의도가 있음을 추정하게 한다. 원효와 법장의 일심이문 해석에 나타난 이러한 주석방식의 상이성은 이들의 기본적 사상적 입장의 차별성 또한 시사한다. 두 논사가 비록 모두 『기신론』의 주석을 통해 공과 유의 화해를 시도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들이 화해를 염두에 둔 대상은 일치하지 않으며 그 화해의 방식 또한 같지 않기 때문이다. 원효와 법장의 기신론관을 통한 이 두 논사의 사상적 차별성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진행될 연구 주제이다. The matter of clarifying Wonhyo’s Buddhist thought is one of recurrent issues in Korean Buddhist scholarship. Although a number of precedent studies on Wonhyo have already disclosed significant parts of Wonhyo’s though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on which scholars have not reached general consensus. Among them is Wonhyo’s doctrinal purpose intended in his commentaries to the Awakening of Faith. Noting that Wonhyo’s commentaries to the AMF contain expressions that represent his attempt to compromise the doctrinal tension between Madhyamaka and Yogacara,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Wonhyo’s understanding of the AMF reflects doctrinal frame of a contemporary controversy between Madhyamaka and Yogacara, known as “Emptiness-Existence controversy” (空有論爭). In order to do this, this article first analyzes Wonhyo’s interpretation of “one mind and two aspects” of the AMF in association especially to the *Mahayana -hastaratna-sastra (C. Dasheng zhangzhen lun 大乘掌珍論). Then it compares Wonhyo’s interpretation of “one mind and two aspects” to Fazang’s, thereby discussing doctrinal distinction between Wonhyo and Fazang’s perspectives on the AMF. In this way, this article seeks to be a preliminary step that leads to further research on the broader context of the contemporary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that entailed the doctrinal distinction between Wonhyo and Fazang.

      • KCI등재

        원효의 ‘발보리심관’(發菩堤心觀) 연구- 「원효불기」와 『아미타경소』를 중심으로 -

        김시연 ( Kim Si-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본 논문은 원효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삼국유사』의 「원효불기」조와 원효의 정토계 주석서인 『아미타경소』를 교차 분석하여, 원효의 발보리심관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원효는 발보리심(發菩堤心)을 번뇌가 끝이 없지만 모두 끊기를, 불법이 무량하지만 모두 배우기를, 중생이 무변하지만 모두 구제하기를 원하는 마음이라고 하였다. 원효의 ‘파계’(破戒)와 ‘무애’(無碍)한 행적들은 ‘중생구제’의 ‘발보리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원효불기」조에는 ‘몰가부가’(沒柯斧歌)와 함께 요석공주와의 인연, 그리고 아들 설총을 낳은 ‘파계’의 사건과 『화엄경』을 주석하다 ‘절필’하고 천촌만락의 저잣거리로 나가 중생들에게 ‘나무아미타불’을 가르쳐 대중적인 교화에 성공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나온다. 『아미타경소』에서 원효는 경전의 대의로 ‘일심’(一心)을 천명하며, 모든 경계가 불이(不二)임을 말한다. 또, 깨달은 뒤에는 제 5문인 회향문으로 나와 중생의 번뇌를 쉬게 해주어야 한다고 한다. 이승종불생(二乘種不生)설에서 정성이승(定性二乘)과 부정종성(不定種性)의 왕생요건을 발보리심의 유무(有無)로 두어 가능성을 해석하였고, 수행에 있어서 제일 빠른 원인[正因]도 발보리심으로 해석하였다. 원효가 자신과 중생들의 수행에 있어서 최고 가치로 ‘발보리심’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또, 여인왕생설과 수행에 있어 보조적인 원인[助因]으로 염불을 말함으로써 근기가 낮은 이까지도 수행을 포기하지 않게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이 둘의 기록을 취합해 볼 때, 원효는 파계나 무애행과 같은 파격적인 행위도 불사하며, ‘중생에게 회향’하는 실천으로 수행에 있어 마지막 관문으로 들어간 것이다. 그는 누구보다 지행합일(知行合一)에 투철하였으며, ‘발보리심’을 체득하여 완전한 자기[佛]를 이루고자 하였다. 어디에도 매이지 않는 불기(不羈)는 원효를 상징하는 것으로, 월계(越戒)의 행보로 인해 얻은 자유로움은 그의 교화활동에 날개를 달아 주었고, 그는 서민불교의 대중화를 이룩했다. This paper cross-examines the 「Wonhyobulgi」 section of the 『Samgukyusa』 a primary source detailing the activities of Wonhyo, and Wonhyo’s commentary on the 『Amitābha Sūtra』 known as the 『Amit’agyŏeng-So』. Wonhyo described ‘Balborisim’(發菩堤心) as the desire to sever all afflictions, to learn all of the Dharma, and to liberate all sentient beings. Wonhyo’s actions related to ‘violating precepts(破戒)’ and his ‘unobstructed(無碍)’ behaviors can be traced back to the ‘Balborisim’ of ‘saving sentient beings.’ In the 「Wonhyobulgi」 section, prominent narratives including the ‘Song of the Axe without Handle’(沒柯斧歌), focuses on his relationship with Princess Yoseok, the incident of bearing a son, Seol Chong, after a ‘precept violation,’ and his teaching of ‘Namo Amitābhāya’ to the masses after he threw away his brush while commenting on the 『Avataṃsaka Sūtra』, thereby achieving popular propagation. In the 『Amit’agyŏeng-So』 Wonhyo emphasizes ‘One Mind'(一心)’ as the Sūtra’s main purpose, stating that all distinctions are non-dualistic(不二). In addition, after enlightenment, he mentioned the need to ease the afflictions of sentient beings, highlighted by the fifth gate on returning to the world. In the doctrine of Non-arising of the Two Vehicle Types(二乘種不生), the defining conditions for the Two Vehicle whose Nirvāṇa is predetermined(定性二乘) and a kind of person whose nature is not yet determined(不定種性) are interpre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有無) of the Balborisim. Moreover, in practice, the most direct cause[正因] is also interpreted as aspiration of the Balborisim. The emphasis Wonhyo placed on ‘Balborisim’ as the utmost value for himself and all sentient beings is evident. His mention of the recitation of ‘Namo Amitābhāya’ as a supportive cause[助因] in practice reveals his intent to encourage even those with weak spiritual capacities not to abandon their spiritual journey. Upon synthesizing these records, the groundbreaking actions demonstrated by Wonhyo, such as violating precepts and unobstructed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him entering the final gate of his practice, which is the Balborisim’s act of ‘saving to sentient beings.’ Above all, he epitomiz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striving to realize complete Buddhahood[佛] through embodying ‘Balborisim.’ The unrestrained spirit[不羈] he portrayed symbolizes Wonhyo. The freedom attained through his transcendental precepts(越戒) bolstered his propagation efforts, culminating i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mong commo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