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사회운동의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

        허준(Heo, J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운동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첫째 사회운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문제를 다룬 기존의 사회운동학습 담론을 분석하였다. 둘째 온라인 사회운동의 특성을 검토하고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관점에서 온라인 사회운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로 온라인 사회운동의 맥락을 고려해서 기존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가능성과 이를 위한 이론적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사회운동의 장은 일반적 사회운동이 갖는 학습의 장으로서의 기본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디지털 혁명에 의해 주어지는 존재 조건으로서 기술, 언어, 가상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사회운동학습이 일어나는 물리적 조건으로서 매체환경의 변화, 사회운동 학습주체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변화, 그리고 사회운동학습의 원천으로서 실천 경험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이 변화를 포괄하기 위한 사회운동학습의 이론적 과제로 매체 환경에 대한 비판적 접근, 온라인 정체성 고려, 운동 담론에 대한 자기 성찰적 학습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iscuss possibilities of social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extension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considering online social movements. For this purpose, first I analysed social movement discourses which covered learning problems in the context of social movement. Second I analysed characteristics of online movements and learning problems in the theoretical frame of social movement learning. And third I suggested some theoretical challenges of social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to include online social movements. I could conclude that partially online social movements shared same characteristics with off-line social movement as the site of leaning, but were under influences of technologies, language and virtuality as existential conditions given by the digit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is meant that there were changes of media environment as the physical conditions of learning, identities as learning subjects and practical experiences as learning sources in social movement. Considering these changes, I presented three theoretical challenges of social movement discourses as follows: 1) critical approaches to online media, 2) problems of identities, 3) reflexive learning about movement discourses.

      • KCI등재

        Effect of spatial learning and treadmill exercise on memory ability in mice

        조한샘,김태운,고일규,백성수,심영제,김홍 한국운동재활학회 2012 JER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공간학습과 트레드밀 운동이 생쥐의 기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동물은 C57BL 계열 생쥐 6주령 수컷(32.5 ± 2.5 g) 6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대조군, 학습군, 운동군, 그리고 학습- 운동군으로 각 15마리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운동군과 학습-운동군은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는데, 1일 30분, 6주 동안 7 m/min 5분, 10 m/min 5분, 그리고 13 m/min 20분 중강도 운동을 각각 12회, 6회 실시하였다. 공간학습은 radial 8-arm maze 를 사용하여 절수한 실험동물이 5분 이내에 8개 통로의 물을 모두 찾을 때까지 연속적으로 학습군은 6주간 12회, 학습-운동군 은 6주간 6회 훈련시켰으며, 모든 그룹의 실험 전·후로 기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radial 8-arm maze 검사와 step-down avoidance task를 실시하였다. 해마부위의 5-bromo-2'-deoxyuridine (BrdU) 양성세포수와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의 발현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면역조직화학법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기억능력 검사에서 예상했던 운동과 학습에 따른 가중효과가 관찰되지 않 았지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학습군과 학습-운동군의 기억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5). 또한 해마 부위에서 BrdU 양성 세포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5), 특히 운동군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p < .05). 동일한 부위의 BDNF mRNA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 .05), BrdU 양성 세포수와 BDNF mRNA 발현이 일치하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간학습과 규칙적인 운동이 BDNF mRNA와 같 은 뇌의 신경영양성 인자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신경세포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기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기억능력검사와 신경세포의 증식, 그리고 BDNF mRNA간 정량적 경향성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신경세포 증식에 작용하는 다양한 신경영양성 인자의 발현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허준(Huh J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4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to expose the full landscape of learning process appearing in the social movement, and to search the possibility if the area of social movement can be investigated by educational approach. This analyses were conducted on community learning process arising in the resistant movement by people in Buna against constructing radioactive waste facility.<BR>  The findings in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in the center of community learning process, sympathy area was located. Second, teaching activities were integrated functionally by sympathy area. Third,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imated by people"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nsisting of theory, practice and relation, participants were generating learning dynamics which played a great part in continuing and strengthening community learning process. Fourth, learning relation made around common issue spreaded through voluntary alignment and resonance. Fifth, people as anti-nuclear community"s member were generating contextual knowledge which can be conceptualized normative fugitive knowledge.<BR>  Consequently community learning process arising in social movement is the dynamic process to accomplish common objects. This study shows that dynamics of learning process doesn"t come from individual learning or leaders" teaching but total relation of teaching activities" systemic evolution, learning dynamics" manifestation, learning relations"s widening and learning contents" contextualized process.   이 연구는 사회운동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참여했던 전라북도 부안 주민들의 공동체 차원에서의 학습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회운동이 전개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공동체학습의 특성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BR>  반핵공동체를 형성하여 공동체로서의 운동주체로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부안 주민들은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의 형성과 확장을 기본 원리로 하는 학습과정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과정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교육활동을 포함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참여와 실천을 통한 자연발생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공동체학습 과정은 사회운동의 독특성과 한계를 동시에 담지하고 있었다. 사회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은 강한 공감영역 위에서 공동의 목적에 기능하는 교육활동과 ‘이론-실천-관계’학습을 통해 발현되는 학습역동에 의해 형성되고 있었으며 이슈 중심의 학습관계를 통해 규범적 탈주지를 생산하고 있었다. 이점에서 사회운동에서 나타난 공동체학습과정은 강한 목적지향성을 갖고 있으나 공감영역이 영원하지 않다는 점에서 ‘제한적 자기완결성’을, 그리고 끊임없는 새로운 학습과정으로 진화하지만 일상압과 같은 부정적인 토양과 맞닥뜨린다는 점에서 ‘불완전한 자기영속성’을 갖는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작업기억, 전환능력, 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장녕(Kim, Jang-Nyoung)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에서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아동기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총 28명을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14명과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집단 14명으로 나누어 이들의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억제능력, 전환능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다. 실행기능 검사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한 직후 10월과운동학습프로그램을 12주 마친 12월에 각각 측정하였다. 억제능력은 스트룹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로 측정하였고 전환능력은 아동색선로 검사(Children s Color Trails Test)로 측정하였고, 작업기억은 숫자따라하기(DSF), 숫자 거꾸로 말하기(DSB) 과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행기능의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억제능력의 검사 단어, 색상, 색상-단어검사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고 전환능력의검사의 CCTT2에서는 통제집단 보다 실험군이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작업기억력검사 숫자따라하기(DSF), 숫자거꾸로따라하기(DSB)검사 실험군이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이렇듯 실험집단이 실행기능에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으며 운동학습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동기 때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해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program on executive funtion. in total, 2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are divided into groups that do not exercise program and group that non exercise who 14 students in fifth grade. we measured inhibition, shifiting and working memory of 2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by dividing them into to two groups, students who already took the exerxise program and students who did not. Execution function was tested on october immediately at the start of the exercise program and on decemeber when the 12weeks exercise program ended. the ability to suppress was by stroop color and word test, the ability to switch was by children s color trail test and work memory was by tasks DSF, DSB. As a result, the group that ran the exercise program had better execution capabilities. Thi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ecution function and suggests that motor learning programs can be utilized at educational sites to improve the childhood execution functionality.

      • KCI등재

        부천시 작은도서관 운동의 학습공동체 연구

        김영경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4

        이 연구는 부천시 작은도서관 운동에 나타난 학습공동체의 학습 특성을 확장학습 관점에서 드러내려 하였다. 부천시 작은도서관 운동이 지역사회 운동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와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적 측면에서도 개인적, 인지적 한계를 넘어서 집단적, 확산적 학습의 본질을 증명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 운동에서의 학습 주체는 부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며 학습 주체의 중심이 다층적으로 변화하고 이동하면서 외연이 확장되었다. 둘째, 작은도서관 운동에서의 학습의 동기와 목표는 지역사회의 결핍과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변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작은도서관 운동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과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목표는 진화하고 확장하였다. 셋째, 작은도서관 운동 속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내용은 관점 전환의 학습 과정, 문제해결 과정, 의사결정 과정이며, 학습의 결과는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역량을 성장시켰고 조직의 새로운 개념, 규칙을 도출하면서 활동체계의 변화와 확장을 이루었다. 넷째, 작은도서관 운동에서의 학습 과정에는 다양한 매개체가 발현되었고 목표 달성을 위해 적절한 방법이 활용되었으며, 학습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면서 전개되었다. 작은도서관 운동과 활동 즉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평생학습은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해 가는 과정 속에서 주민 주체의 의식이 변하였다. 모순 극복을 위한 “의식의 변화와 성장”은 작은도서관 활동 체계의 확장으로 승화할 수 있는 동인이 되기 때문에 확장 학습을 용이하게 하였다. 작은도서관 학습에 나타난 주민 의식의 변화와 성장은 지역사회 평생학습이 추구하는 핵심 가치로서 그 의의가 크다. Purpose: This is an attemp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Bucheon city small library movement in terms of expansive learning theory.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the small library movement in Bucheon City. Findings/Result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of the small library movement are citizens themselves living there and these subjects showed the expansive process in which the core of learning subjects changed and moved to multi-layered subjects. Second, the learning motivations and goals of the movement provided the will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Their goals evolved and extended while solving problems and overcoming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of the small library movement. Third, the process of viewpoint change,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functioned as the contents of a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of that learning process contributed to growth in term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ompetence. In actuality, the structure of their activities were expanded and extended by importing new concepts and rules of organization. Fourth, the process of learning in the small library movement showed various mediating artifacts. They learned and sought together proper ways to achieve their goals. The learning process left traces of patterns. Value: Th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reading books and discussions bring about change and growth in the subjects' consciousness and that it is a very effective driver of the expansion of small library activity systems and expansive learning.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pursuance of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results in apparent, conscious changes and growth for residents based on engaging in the small library movement and its corresponding activities.

      • 학생축구선수들의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권영선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축구선수의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학교 20곳의 남학생 축구선수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완료 된 총 29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 분석을 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운동스트레스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높을수록 운동스트레스가 커지고, 학습몰입의 경험이 적어지며, 일평균 공부시간과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저학년일 때부터 학습과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운동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습몰입의 경험을 늘리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운동스트레스가 낮아지는데, 이것은 자신을 통제하는 힘이 생겨 학습몰입의 경험을 증가시킨다. 셋째,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운동스트레스가 낮아지고, 가정 자아존중감은 운동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당행동, 기능불만,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쳐 가정 자아존중감이 낮을 경우 스트레스가 높아지게 된다는 결과는 가족들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 주는 것이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도전과 능력의 조화, 구체적 피드백, 자의식 상실, 시간감각 왜곡, 자기목적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행위와 의식의 통합, 명확한 목표, 과제집중, 구체적 피드백, 통제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 자아존중감은 학습몰입의 하위변인 중 자의식 상실과 시간감각 왜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학교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받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affects exercise stress and learning flow.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the survey was taken by 300 male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who are attending 20 different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291 completed surveys were used as research data. First of all, with using data from the collected surveys, this study was applied to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exercise stress and learning flow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exercise stress increases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flow decreases as student soccer players’ advance through middle school. Second, if the middle school student soccer players have high self-esteem, their exercise stress is much lower. Third, if they have high self-esteem in school, their exercise stress is lower; and then self-esteem at home affects improper action, complaints about skill,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which were involved in exercise stress. Fourth, as self-esteem has a beneficial effect on learning flow, social self-esteem affects harmony between challenge and ability, specific feedback, losing self-consciousness, distorting time sense, and autotelic experience that ar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and domestic self-esteem has effect on integration between action and consciousness, clear objective, specific feedback, focusing on their tasks, and control that are also sub-factors of learning flow.

      • KCI등재

        암묵적 요소를 최소화시킨 명시적 운동학습 및 암묵적 운동학습 효과

        배정한 ( Junghan Bae ),김진구 ( Jingu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학습에서 암묵적 요소를 최소화시킨 명시적 학습과 암묵적 학습의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었다. 방법: 36명의 피험자들은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들은 배드민턴 경험이 없는 여자 중학생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배드민턴 서브라인에서 반대편 코트에 위치한 목표물을 향하여 쇼트 서브를 정확하게 넣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운동학습 효과와 암묵적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습득단계 3(집단) × 4(분단), 파지단계 3(집단) ×2(분단), 그리고 지연파지검사단계에서 3(집단)×2(분단)에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습득단계에서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파지단계와 지연파지단계에서도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오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xplicit learning strategy where implicit component minimized with implicit learning strategy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badminton serve. Methods: Thirty-six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age ranged from 13 to 14 years, with a mean age of 13.8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 groups: (1) explicit learning, (2) implicit learning, and (3)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 had no previous experience in badminton. Task was to serve a badminton shuttlecock from service line to a target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court. For acquisition, retention and relay retention, separate 3 x 4 (group x trial block), 3 x 2 (group x trial block), and 3 x 2 (group x trial block)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was conducted for absolute, variable and constant error on service performa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the implicit learning group outperformed the explicit learning group on accuracy and consistency during the acquisition, retention and delayed retention phas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mplicit learning strategy may have more potentials for helping learners while motor skill learning than that of explicit learning strategy.

      • KCI등재

        특별기고 : 운동학습연구의 발전과 과제

        김선진 ( Seon Ji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1

        운동학습분야에서는 많은 이론들이 제시되면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진행되는 연구들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영역적 한계와 발전 방향에 대해 검토와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여기에서는 그동안 발전되어온 운동학습과 관련한 이론들에 대해 살펴보고 새롭게 관심을 받아온 연구 분야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특히 운동의 학습단계별로 나타나는 주요 특성변화를 밝히는 운동의 숙련성, 운동학습에 따라 뇌의 변화과정에 관심을 갖는 신경학적 연구, 표현 움직임과 관련된 움직임 학습, 그리고 스포츠 기술과 동작의 효율성과 관련된 협응변화의 학습 등을 중심으로 검토를 하였다. 향후 운동학습연구의 과제로는 융합적 연구를 통한 효율적인 운동학습시스템의 구축과 평생운동학습 차원에서 교육과의 연계성을 논의하였다. There have been much progresses in motor learning research these day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how the trend of the research progresses in the aspect of research boundary and the direction. In this study, the theories of motor learning were examined and some research areas were especially discussed. The main issues of discussion were the expertise, neurological change of the brain in motor learning, expressive movement learning, and coordination changes in the process of motor skill acquision.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reasearch, four issues were suggested as followings: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solving the coordination issues,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man-machine interface, the development of virtual motor learning system, the contribution to the lifespan motor learning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 Athletic Training for Korean EFL Learners’ Anxiety Resistance, Pragmatic Awareness, and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Salim Bullen", "Young Woo Cho"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5 人文論叢 Vol.32 No.-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thletic training, in the form of soccer, may improve Korean college-level EFL learners’ anxiety resistance, pragmatic awareness, and motivation. Fifty-six Korean college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and treatment)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self-evaluations of anxiety, pragmatic ability, and motivation. The treatment group (n=28) participated in a soccer training program for two months led by the researcher, who was a native speaker of English, and a bilingual Korean/English speaking assistant. The control group (n=28) received no athletic training during the same period, but practiced English in their regular English courses. At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both groups completed the same questionnaire. Results from ANCOVA analy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wo areas: anxiety resistance and pragmatic awareness for the treatment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hletic training may be used as part of regular EFL instruction to help L2 learners lower anxiety and raise pragmatic awareness. However, motivation is a more complex issue that needs to be address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운동훈련은 제2언어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을 보조할 수 있는 독특한 언어학습 도구이다. 운동훈련을 통하여 제2언어학습자들은 교실 밖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필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더 의미 있게 된다. 그러나 운동과 제2언어학습 및 의사소통을 통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유익을 반영하는 기존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의 한 형태로서 축구를 사용하여 제2언어학습자들의 불안에 대한 저항력과, 학습동기, 화용적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 영어강좌를 수강하는 56명의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자들은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두 집단으로 나뉘어 연구가 시작되기 전 학습불안과, 화용능력, 학습동기에 관한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처치집단(n=28)은 원어민인 연구자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연구보조원이 이끄는 축구훈련 프로그램에 두 달 동안 참여하였다. 통제집단(n=28)은 같은 기간 어떤 종류의 운동훈련도 받지 않았으며 정규영어강좌에서 학습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두 집단은 처음과 동일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두 집단의 응답을 비교했을 때 처치집단이 학습불안에 대한 저항력과 화용적 인식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동기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에 관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운동을 통하여 제2언어학습자들이 영어사용자들과 의사소통할 때 느끼는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화용적 인식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운동과 제2언어학습동기와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일제하 이상촌 운동을 통해 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천 원리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2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이념적으로는 평생교육이 추구해왔던 학습공동체를 지역차원에서 구현하기 위한 시도임과 동시에 현실적으로는 지식기반사회와 지방화 시대에 적합한 현대적 의미의 지역사회개발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개발의 성격을 갖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학습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역사적 사례로 일제강점기하 이상촌 운동을 들 수 있다. 도산 안창호, 남강 이승훈, 소래 김중건, 백산 안희제, 일가 김용기 등에 의해 이루어진 일제하 이상촌 운동은 자주독립과 경제적 자립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구현하기 위한 지역공동체운동이었다. 또한 일제하 이상촌 운동은 지역사회개발 차원에서 학습을 중시함과 동시에 공동체적 가치를 공유하며 지역학습공동체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의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추구해야 할 모본이 될 수 있다. 이상촌 운동의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천 원리로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인류보편적인 공동체적 가치를 기초로 해야 한다는 것, 학습내용이 지역의 자립을 위한 실무교육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것, 공식적인 평생교육시설에서의 형식적인 교육 이외의 지역 현장 중심의 다양한 학습활동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정부 주도 외부 평생교육전문가 중심이 아닌 일반 지역주민 주도의 학습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거시적인 접근이 아닌 작은 지역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을 따를 때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효과적인 지역사회개발은 물론 진정한 의미의 지역학습공동체를 구현할 수 있는 현대판 이상촌 운동이 될 수 있다.   Recent learning city project is a modern type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a effort to realize ideal learning community in the level of local area. In realizing the value of local learning community and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learning city at the same time, we can consider Ideal Village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guide. Ideal Village Movement tried by Dosan, Namgang, Sorae, Baiksan and Ilga was a movement for building local community to realize the mission of the time pursuing independence and economical wealth, and educational institutes and learning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played a decisive role in performing the mission of Ideal Village Movement. We can learn several lessons from the Ideal Village Movement which is a model of learning city project. We should set objectives integrated with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beyond just regional interests, pursue the education for economical self-reliance, include all kinds of learning activities of all sphere of real life, try so that the residents should be real subject in learning city project, and take a deep interest in lower level of local community. By doing so, learning city project can be modern type of the Ideal Village Movement which realize the real value of local learning community as well as implement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