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 연구

        진성수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2 儒學硏究 Vol.27 No.-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은 1994년 대만 왕차이구이(王財貴) 교수에 의해 시작되었다. 청소년의 중국문화 조기교육을 위해 민간단체 주도로 시작된 경전읽기운동은 최근 중국과 대만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점차 실시범위와 추진내용 면에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전읽기운동은 글로벌시대에 중화문화권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1949년 이후 사회주의체제 하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탈피를 주장해 왔다. 특히 문화대혁명(1966-1976) 기간 중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교전통문화를 철저하게 배격했다. 반면 대만은 대륙으로부터의 撤退이후 중화민족의 嫡統과 중화문명의 자존심 확보를 위해 중국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도모해 왔다. 그러나 최근 경전읽기운동이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추진되는 과정에서 사업의 본래취지가 변질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예를 들면, 대만의 경우에는 경전읽기운동이 국민당의 국내선거 홍보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측면이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사회통합을 위한 애국주의교육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중국과 대만의 경전읽기운동의 현황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전개양상에서 나타난 특징을 검토함으로써 정치적 함의와 현대적 의의를 고찰해보고 자 한다. 中國與台灣的經典誦讀(讀經)運動起源於1994年台灣王財貴敎授的兒童讀 經運動, 其旨在靑少年的中國文化敎育. 當初在民間發起的這一系列運動, 最 近得到中國與台灣政府的支持, 其實施範圍與內容逐漸擴大. 在全球化時代 裏, 經典通讀運動對中華文化圈的靑少年道德敎育與文化認同上具有積極的 作用. 中國自1949年在社會主義體制下曾對傳統文化進行全面批判與排擊. 尤其 在文化大革命時期(1966-1976), 主要對以孔子爲中心的儒家傳統文化進行猛 烈攻擊. 在台灣方面, 國民黨政府自從大陸撤退以後, 爲確保中華民族的嫡統 與中華文明的自尊心, 試著繼承發展中國傳統文化. 然而經典誦讀(讀經)運動 最近得到兩岸政府的大力支持後, 其活動漸呈政治色彩. 例如, 台灣的國民黨 在總統競選廣告中運用了讀經活動的片斷, 中國政府則運用爲愛國主義敎育. 本論文試圖比較中國大陸和台灣地區的經典誦讀運動現況, 幷通過具體事 例探討其特徵和政治含義.

      • 개화 초창기 한글문화 자강 활동에서 헐버트(1863~1949)박사의 역할과 업적

        김동진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1

        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국인에게는 언문이나 반절로 격하시켜 올 바른 가치 평가나 개량 개선의 여지도 없이 한자의 보조 수단으로 쓰여 지다가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 번역으로 기사회생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1886년 한국에 온 헐버트의 한글 자강 활동을 통하여 대중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헐버트는 20세기 초 일제 강점 이후에는 한글문화 독립운동과 국권 회복 투쟁에 전념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어 정보학회 주최 5월15일 독립기념관 발표 논문을 기초로 하여 전자에 치중하여 기술하였으며 한글문화 자강운동과 한글문화 독림 투쟁이라는 시각에서 재정리하였다. 한글문화 자강 운동이란 스스로의 한글 지식의 깨우침과 보급 및 일상적 사용을 목표로 개몽, 학습 및 활용에 대한 활동 모두를 뜻하며 한글문화 독립 투쟁이란 한글을 통한 국권회복과 한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여 문화적 독자성을 확립하자는 운동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헐버트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초의 한글문화 자강 활동의 선구자였다. 그가 집필한 ‘사민 필지'는 최초의 한글로 된 교재였으며 한글에 대한 표음 주의적 특징 고찰과 어원 비교는 최종의 한글연구의 단초가 된다. 그 이외 정음 창제의 연구와 한글의 재평가, 국문연구소 설치 건의와 실현, 한글 인쇄소 운영, 독립신문 발간, 주시경 등 한글 운동가의 배출 등 개화기의 초기 거의 모든 한글 자강 운동에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일제 강점기 이후에도 이어 졌으며 이시기에 이루어진 한글문화 독립 운동(조선어학회의 한글 수호 투쟁), 일본어 상용의 저항과 문맹퇴치 운동 (보나발트 또는 상록수 운동에서 한글 보급 )의 단초를 제공했으며 광복 이후의 국문 상용과 한글전용에 그데로 이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선각자에 대하여 올바른 자리 메김이 없었다. 헐버트는 개회기 한글문화 자강 운동의 선각자였으며 한글문화독립 운동의 유일한 당사자이지 증인이었다. 한글문화 자강 활동, 한글문화 독립투쟁 운동, 한글 보급운동과 전용운동에서 헐버트의 위치는 각별하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초이자 모든 한글 운동의 원류에 위치에 있으며. 사민필지도 초창기 한글 저술의 백미에 해당한다.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번역이 한국의 복음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면 10여년 후 1891년 사민필지는 최초의 순 한글 저서로 당시의 지식 교육과 한글 대중화에 크게 공헌한 저술이었다. 그 후 1896년 서재필에 의한 독립신문은 순 한글신문의 시초로 모든 순 한글 신문의 태두에 속한다. 이 신문 또한 헐버트의 인쇄시설 지원에 힘입은 바 있다. 이들 개회기 한글문화 자강 운동의 3대 저술이라 할 것이며 오늘날 보아도 선각적이며 탁월한 발상의 전환의 결과였다.

      • 제 5공화국의 문화정치와 그에 대한 저항(抵抗), ‘민중문화운동’

        김현화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20 미술사문화비평 Vol.11 No.-

        1980년대는 문화정치의 시대였다. 군사정부는 문화정책을 통해, 민간에서는 문화운동을 통해 문화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자 치열하게 대립했다. 문화는 정신을 지배하는 근간이 된다. 제5공화국 군사정부와 민중문화운동 모두 전통민족문화를 통한 역사의 주체성 확립과 민족적 자긍심을 정립하고자 하는 공통의 목표를 가졌다. 그러 나 군사정권이 충효사상을 근본으로 둔 사대부 전통문화를 통해 국가주의를 확립하고자 했다면, 민중문화운동은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규정하며 민중중심주의를 실현 하고자 했다. 이렇듯 양자는 역사를 바라보는 방향이 서로 달랐다. 1980년대는 민중문화운동의 시대였다. 일반적으로 민중문화는 문화 안에 속하는 소범위이지만 1980년대는 군사정권이라는 정치적 환경으로 인해 민중문화운동이 문화운동보다 우위에 있는 특수한 구조가 형성되었다. 민중문화운동은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내세우고 궁극적으로 군사정권의 타도를 목표로 한 문화투쟁, 문화정치였다. 민중문화운동은 사회학, 미학, 철학, 종교 등의 인문학이 중심이 되어 이념을 계발했고, 시위나 집회에서의 현장실천에 있어서는 예술분야가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이념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와 민족주의가 중심이 되었고, 실천적 방안에는 전통연행예술 이 대표성을 가졌다. 또한 민중미술, 포스터, 판화 등의 시각예술분야의 활동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 민주화 열망이 전 국민적 지지를 받고 시위가 대규모로 펼쳐지면서 예술분야의 역할이 증대되었고 따라서 민중문화운동 용어도 민중문 화예술운동, 민중문예운동으로 불리기도 했다. 민중문화운동의 확산에 있어 대학생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민중문화운동에 참여한 반체제 지식인들은 친북적 성향으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학생들의 활동은 민주화에 대한 순수한 열망으로 받아들여져 국민적 공감을 샀다. 반체제적인 운동은 대학가의 문화로 자리 잡아 사회주의 이념을 공부하는 소모임이 만들어지고 특히 연극반, 탈춤반, 농악반 등 전통연행예술 동아리는 이 같은 대학문화를 선두에서 이끌었다. 특히 매년 대학축제로 열리는 대동제는 군사정부에 대한 정치적 집회와 시위를 주도했다. 대학대동제는 역사 속에서 민중혁명으로 무참히 죽어간 희생자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현실에서의 민주화 실현에 대한 결연한 의지, 현실 치유의 희망을 증폭시켰다. 민중의 희생을 환기하는 목적은 민중중심의 세상을 건설 해야한다는 당위성과 필연성을 공고하게하기 위함이다. 민중문화운동은 문화예술이 경제와 정치 분야의 투쟁을 보조하는 역할이 아니라 사회의 이념적 방향을 바꾸게 하는 정신적 가치라는 것을 증명했다. 결국 군사정권은 종식되었다. The 1980s was an era of cultural politics.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civil people confronted each other, using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movement, respectively, to seize cultural hegemony. Culture is the basis that rules human minds. Both the military government of the fifth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jung (People’s) Cultural Movement had the same goal—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pride based on the traditional national culture. However, the military government sought to establish nationalism based on the traditional nobility culture, characterized by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while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sought to bring about people-orientedness, defining the people as the main agents of history. The two parties had different perspectives on history. The 1980s was an era of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Although the Minjung culture generally belongs to the realm of culture, there appeared a unique structure in which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was above cultural movement due to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80s.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was a cultural struggle and a cultural politics which put up the people as the main agents of history with the ultimate aim to overthrow the military government.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developed ideologies with the focus on humanities, such as sociology, aesthetics, and philosophy, while art fields were actively engaged in practices at protests and rallies.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was represented by Marxism and the people’s nationalism in terms of ideology, and by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erms of practice. Minjung Art was active in the visual art field, including posters and engravings. The art fields played a greater role in the late 1980s when the aspiration for democracy was supported by the people across the country and large-scale protests took place. As such,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was also called as the Minjung Art and Cultural Movement or the Minjung Literary Movement. University stud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Some people had an aversion to dissident intellectuals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due to their pro-North Korean tendency. In contrast, the public accepted and regarded university students’ activities as a pure aspiration for democracy. Meanwhile, a dissident movement took root as a university culture and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small groups studying socialist ideologies. Traditional performing art clubs, such as play, masked dance, and nongak led such university culture at the front. In particular, Daedongje, an annual university festival, led political rallies and protests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 Daedongje of Korean universities aroused interests in the victims who died violent deaths for the people’s revolution throughout history, consolidating the will to bring about democracy and the hope for healing in reality. The purpose of calling attention to the sacrifice of the people was to consolidate the imperativeness and inevitability of creating the people-oriented world. The Minjung Cultural Movement was a cultural protest to change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society through art and culture where such art and culture was not a means of protest, auxiliary to the economy and politics. Finally, the military government was put to an end.

      • KCI등재

        재일조선인 민중문화 운동과 민중문예 종합지 『민도(民涛)』 - 1970~1980년대의 민중문화 운동과 잡지의 실천을 중심으로 -

        신재민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2

        본 논문에서는 재일조선인 민중문예종합지 『민도(民涛)』의 실천을 1970~1980년대 활발히 전개된 재일조선인 민중문화 운동의 흐름 속에서 파악해 보고자 했다. 1970년대 이후 7.4남북공동성명의 영향과 조국의 통일과 민주화 운동을 본격적으 로 전개했던 한민통, 한청, 한학동 등의 활발한 활동 속에서 점차 그 저변을 다져나 간 재일조선인 민중문화 운동은 1980년대 들어 민족・민중문화패의 등장과 민족문화 제의 개최 등으로 점차 전면적으로 재일조선인 사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재 일조선인 사회의 결속과 독자적 아이덴티티 구축이 시대적 현안으로 부상한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 민중과 지식인들은 민중문화 운동에 주목하게 되는데, 재일 조선인 민중문예 종합지 『민도』는 이러한 재일조선인 민중문화 운동을 정착・활성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전개해나간 바 있다. 당시 『민도』는 재일조선인 민중문화 운동의 전개를 위한 홍보의 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민중문화 운동에 참여하는 이들의 글을 적극적으로 게재하고 있다. 또한, 다수 의 특집과 평론, 기사등을 통해 민중문화 운동의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려 노력하기도 했는데, 이는 민중문화 운동을 토대로 재일조선인 사회와 결속하고자 했던 당시의 재일조선인 민중과 지식인들의 고뇌와 실천이 담겨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opularity of “Min-do,” a magazine of Zainichi, amid the popular culturale movement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1970s, the Zainichi culturale movement gradually laid the groundwork under the influence of the 7.4 South-North. With the advent of the People's Culture plaque and the holding of the National Cultural Festival, Zainichi society gradually began to appear in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in the context of the solidarity of the Zainichi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identity as a contemporary issue, people and intellectuals in Japan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people's cultural movement.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settle and activate the movement. In particular, the people and intellectuals of Zainichi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cultural movement in the context of solidarity and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identity in the Zainichi community.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and revitalize the movement. At that time, 『Mindo』 prepared a public relations spa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people's cultural movement and actively posted the writings of the participants of the people's cultural movement. He also tried to build the cultural foundation of the people's cultural movement through various reviews and articles.

      •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의 아카데미즘과 문화운동적 성격 연구

        장지선 ( Jang Ji Se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을 둘러싼 정치·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핌으로써 아카데미즘의 영향 아래 전개된 대학극 운동의 문화운동적 성격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이 해방 후 재편된 ‘대학’과 4.19 혁명 이후 ‘대학생’의 세대 인식에 기반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이와 함께 1960년대 연극사적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 ‘대학극’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해방 후 재편된 대학의 학적 체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극인을 양성하고 배출하는데 기여했으며, 아마추어리즘에 입각한 새로운 ‘실험 연극’의 전초지로서 기능했다. 특히, 이 시기 대학극 운동은 소수의 대학 연극인들에 의한 좁은 의미에서의 연극운동이라기보다 당대 대학생들의 문화 감각과 적극적으로 관계하며 발생했다는 점에서 문화운동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통시적 차원에서의 ‘연극운동’이 아니라 당대 대학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공시적 차원에서 대학극 운동이 지닌 ‘문화운동’적 성격을 밝히고자 함을 뜻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2장에서는 문화운동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었던 1950~60년대 대학 내 지식장과 그 변화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당대 대학문화에서 ‘연극’이 지닌 문화적 위상과 의미를 확인하고 이 시기 대학극 운동이 기성연극과 구분되는 의미에서 ‘대학극’만의 역할과 사명감을 철저히 의식하는 가운데 전개되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3장에서는 4월 혁명 이후 문화주체로서 등장한 대학생들과 이들의 세대의식 가운데 놓인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의 구체적인 면면들을 살필 것이다. 이 시기 대학 연극인들은 ‘실험무대’로서 대학극의 역할을 역설하고 실제 공연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때에 구미 번역극은 새로운 연극의 모델로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기존 신극의 사실주의 극 양식에 대한 거부로서 유럽의 연극주의 작품이 공연되는가 한편, 서구문화의 표상으로서 미국문화의 영향력이 강력해짐에 따라 영미 현대극으로 대학 무대가 채워졌다. 당시 번역극 공연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우리의 연극’을 위한 기반을 구축한다는 의미에서 적극 수용되었으나 당초의 목적의식은 상실한 채 서구추수주의적 태도라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번역극 공연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정치현실에 따른 반성 가운데 창작극 및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을 살피고자 한다. 이에 전후 새롭게 등장한 신진 극작가의 작품이 공연되는 한편, 우리 연극의 뿌리를 찾는다는 명목 하에 기존 신극 작가들의 작품 또한 재조명되었다. 나아가 대학극만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확보해야한다는 의식 가운데 학생 창작극이 무대에 올라가기 시작했다. 한편,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점차 전통극과 서구극 양식을 결합한 형태의 새로운 공연을 시도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공연은 비록 당대 대학극 운동의 주류에 속하는 것은 아니었으나 실험 정신과 형식적 시도에 있어서 1970년대 대학 내 마당극 운동의 모태로서 작용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대학 내 아카데미즘을 기반으로 대학생으로서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기성극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이즘’을 추구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는 한마디로 ‘새로운 우리의 연극’에 대한 지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구미 번역극이 적극 수용되었으며 나아가 창작극 및 전통 관련 공연이 시도되었다. 이에 1960년대 대학극 운동은 단순한 연극운동의 차원을 넘어서 당대 대학문화와 긴밀하게 관계하는 ‘문화운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the 1960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movement and its meaning of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tha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academism. This paper also intend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university theater production" within the theatrical context of the 1960s, assuming that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the 1960s is based on the generation recognition of "University" and "University student"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April Revolution. Chapter 2 examines the knowledge fields and changes in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and 1960s, which formed the basis of cultural movements. In the late 1950s, when first-generation scholars entered universities after the liberation, they identified the situation of the academic fields and their role as telegraphs of culture, which revealed that the foundation of university culture laid in line with the beginning of campus festivals, the spread of American culture, and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identify the cultural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ater production" in university culture at that time and to confirm that the movement of theater productions developed in ways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established productions, while thoroughly aware of its role and mission of the "university theater production.“ Chapter 3 looks a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1960s university theater movement, which was in the midst of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and their generation, who emerged as cultural entities after the April Revolution. During this period, university theater groups emphasized their roles as an 'experimental stage' and wanted to implement it through real-life performances. In addition, native language productions were frequently performed by students majoring in foreign languages, with the emphasis on 'ability to speak foreign languages' as it was viewed as traits of cultured people. The performance of translated productions in universities was actively accepted in the sense of ultimatel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Our New Modern Drama," but it was criticized for its Western populism attitude and losing its original purpose. Finally, Chapter 4 confirms that performances of original productions and traditional performances were attempted in accordance with critical reflection on performances of westernized productions and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political reality. While the works of the newly emerging playwright after the war were performed, the works of the existing and new playwrights also re-emerged in the name of finding the root of ‘Our Play’. Meanwhile, interest in traditional methods have been heightened as an art form that reveals resistance to the Park Chung-hee. In the beginning, the focus was on re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theater style, but it gradually led to new performances that were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style theaters. The performances served as the source of the Madangguek movement in the 1970s with experimental minds and formal attempts, even though they were not part of the mainstream contemporary university theater movement. In summary, the 1960s university theater movement developed into a pursuit of their own "ideology" that was different from established productions with the zeitgeist as a university student based on the Academism within the university. In short, this is the goal of “Our New Modern Theater.” In the context, it accepted translated westernized productions, attempted original productions, and traditional-related performances. Thus, in the 1960s, the university theater movement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cultural movement" that wa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graduate (youth) culture of the time.

      • KCI등재

        삼일/오사의 접점으로서의 ‘문화(운동)’

        김현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2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ition from civilization to culture and the growth of culture in East Asia in the post-World War I period.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culture (cultural movement) theory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Independence Movement, otherwise known as the March 1st Movement of Korea, and the May 4th Movement in China. In Joseon, the “culture” (cultural movement) driving the Independence Movement—its revolution-based uprooting of the political status quo and political idealism—displayed post-modern and post-capitalist tendencies mixed with social revolution theory. In the early days of Dong-A Ilbo, however, the politicization of this "culture" was deeply resonant with China 's own cultural movement of the time. Importantly, it was not the “nation” or “literary art” that Dong-A Ilbo referred to, cited, or appropriated when it first encountered the Chinese cultural movement, but “society”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research that either unified the idea of “cultural movement” as a culturalist philosophy upheld by a group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or that defined its ideological basis as liberal nationalism or bourgeois nationalism. Through this discussion, it suggests that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ocial” imagination of cultural concepts, which is a key element of Korean nationalism, modernization, liberalism, socialist revolution, traditional theory, "Naeseon Ilchae" theory, and the East Asia community theory. 이 논문은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시기 동아시아에서 문명에서 문화로의 전환 또는 문화의 인플레이션 현상에 주목했으며, 특히 한국의 삼일운동과 중국의 오사운동의 접점으로서 문화(운동)론을 분석했다. 한·중 양국에서 ‘문화’는 삼일과 오사의 과제를 계승하는 동시에 그것을 특정한 시좌에서 확장하려한 다양한 주체들의 실천에 의해 복잡하고 풍부한 의미를 작동시키게 되었다. ‘문화운동’은 그 첫 번째 실천형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중의 문화(운동)론이 접촉한 첫 단계인 초창기 『동아일보』에서 당시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던 문화운동이 어떤 방식으로 참조되고 평가되고 또 전유되고 있었는지를 들여다보았다. 한국에서 ‘문화’는 1910년대 후반에 문명화의 비전과 능력을 두고 식민 권력과 타협/경쟁한 일본 유학생 그룹에 의해 운이 떼어진 이념이었으며, 근대 서구를 목표로 한 문명화 담론의 일부였다. 그런데 삼일운동기의 혁신적 정세와 정치적 이상주의를 호흡하면서 ‘문화(운동)’은 단번에 비약하여 사회혁명론과 결합하여 탈근대적, 탈자본주의적 지향을 보였다. 초창기 『동아일보』에서 이와 같은 ‘문화’의 정치화는 당시 진행되던 중국의 문화운동에 대한 깊은 공명 속에서 진행되었다. 즉 『동아일보』가 중국의 문화운동을 맨 처음 접했을 때 중요하게 참조하고 인용하고 전유한 것은 ‘민족’이나 ‘문학’이 아니라 ‘사회(혁명)’이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우선 한국에서 문화운동의 사상을 일본유학생 집단이 실어 나른 문화주의철학으로 단일화하거나 그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자유주의적 민족주의 또는 부르주아 민족주의로 규정해온 기왕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고자 했다. 아울러 본고는 식민지기에 민족주의, 근대화론, 자유주의, 사회주의혁명, 전통론, 동아협동체론 등 중요한 정치사회적 기획과 담론에서 키워드가 된 문화 개념의 ‘사회적’ 상상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동아시아 근대의 문화론적 전환과 3.1운동

        윤해동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1

        Japan and China’s adoption of the German concept of culture before World War Ⅰ was marked with confusion. Culture, as used in those times, had few distinctions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depicted in the Chinese character for civilization: 文化. This German concept, however, failed to spread into a practical cultural movement in Japan, despite the widespread growth of ‘culturalism’ philosophy after World War Ⅰ. In contrast, the introduction of the German concept of culture into China after the failed Xinhai Revolution catalyzed the New Culture Movement. China, unlike Japan, and with few philosophical groundings adopted ‘the concept of culture’ and developed a strong cultural movement that made struggles with old ways a powerful slogan. In the case of Korea, the importation of ‘the concept of culture’ into Korea via Japan led to renewed interest in Korean traditions. The concept, at the time, equated to nationality in ways that emphasized Korean characteristics and reinforced national self-awareness. And while the movement to preserve national characteristics prior to Korea’s annexation to Japan carried signs of a new cultural movement, a full development failed to take place in the 1910s (despite Lee Kwangsoo’s activities in ‘spiritual civilization’). Regardless, the flow of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reconstructionism in world history had great influences on Korea, which culminated in the March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overarching logic at the time aimed at using civil disobedience to gain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o embark on a new civilization and culture while reordering the world order.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culture,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reconstructionism became a powerful weapon. The March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us became a ‘cultural bill of rights’ that ushered in a new era of culture to Korea and the world. In this regard, the March First Movement may be called a ‘struggle for culture.’ The article presents three major shifts in East Asian modernity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encouraged. First, the March First Movement undermined preexisting hierarchies within the civilizational paradigm. Second, the movement was predicated on an “era of culture” endemic of the 1920s. Third, the movement opened new opportunities to further strengthen reciprocity of the ‘colonial modern’ in East Asia and the world, which became part of a new modern society through Wilson-Roosevelt’s post-WWII liberal planning.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과 중국에서 독일식 문화 개념이 수용되는 과정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개념 자체만 보더라도 전통적 한자 개념이나 문명 개념과 그다지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1차대전 종결 이후 ‘문화주의’ 철학으로정립되기까지 일본에서 문화 개념이 실천적인 문화운동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는 신해혁명의 좌절 이후 독일식 문화 개념이 수용되자 곧 이어신문화운동이라는 실천운동이 전개되었다. 문화주의라는 철학적 바탕이 없는 채로, 구문화와의 투쟁을 슬로건으로 내건 강력한 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중국은 일본과 달랐다. 일본을 통해 한국으로 수용된 ‘문화론’은 다시 조선의 전통=‘국수(國粹, nationality)’에 대해 주목하게 하였으며, 조선의 개별성에 대한 강조는 민족에 대한 자각을 강화하였다. 병합 이전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국수보존운동’은 신문화운동으로서의 성격도 조금 갖고 있었으나 1910년대 국수보존운동이 신문화운동으로발전하지는 못했다. 이는 문명 개념의 지속성 혹은 문화 개념의 혼란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광수는 ‘정신적 문명’이라는 형태로 문화 개념의 적극적 수용에 대비하고있었다. 민족자결주의와 개조론의 세계사적 흐름은 조선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으며, 「3.1독립선언서」로 수렴되었다. 「3.1독립선언서」는 민족자결과 개조론을 잇는 매개가 바로 문화 개념 혹은 문화론이었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신문명의 시대 곧 새로운 문화의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민족자결을 위한 저항권이 용인되는 것이며, 이는 세계 개조를 위한 것이라는 논리적 연결이 완성되었다. 이로써 「3.1독립선언서」는 한국에서 그리고 세계에서 문화의 시대를 활짝 열어 제친 ‘문화의 권리장전’ 이 되었다. 민족자결주의와 개조론의 사조는 문화론과 결합하여 대단한 폭발력을가지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3.1운동은 ‘문화를 위한 투쟁’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요컨대 문화를 위한 투쟁으로서의 3.1운동은 동아시아 차원의 근대의 성격을크게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첫째, 3.1운동은 이전의 문명론적 위계론에 심각한타격을 주었다. 둘째, 3.1운동을 계기로 동아시아의 1920년대는 ‘문화의 시대’가되었다. 셋째, 3.1운동은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사적 차원에서 ‘식민지근대(colonial modern)’의 상호성이 더욱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는 윌슨·루스벨트적자유주의 기획을 통하여 2차대전 이후 현대사회를 형성하는 기원이 되었다.

      • 경기도 범도민 건전사회 시민문화운동 추진에 관한 연구

        이경태,황경식,도성달,손명구,방영준,한도현,정규호,하승우,유정길,이대수,류인권,박충훈 경기연구원 2007 위탁연구 Vol.2007 No.11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이 처한 여러 사회적 문제점들은 지역 공동체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국가적 비전과 유기적인 지역자치단체의 비전을 수립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사회 발전의 상징인 수도권을 포함하고 있는 경기도는 새로운 사회발전 모델을 제시하고 국가발전의 새 이정표를 수립해야 할 위치에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건전사회 만들기 시민문화운동의 필요성이 제시되는 것이다. 하지만 시민문화운동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민단체와 시민운동에서 직면하고 있는 여러 장애와 비판들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러한 장애와 비판 요인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시민운동에서의 기본적인 이념과 철학이 부재하며, 추진방향이 명확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전사회 만들기를 위한 시민문화운동의 기본적인 철학과 이념은 어떠한 것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지를 규명하고 둘째, 시민문화운동의 기본적인 철학과 이념을 포함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체계, 즉 시민문화운동의 형태는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민문화운동이 성공하기 위한 고려사항들은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 연구요약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각종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경기도와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건전사회 만들기 시민문화운동 추진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와 경기도민이 중심이 되어서 건전사회 만들기 시민문화운동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본적 이념과 철학을 거시적, 미시적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거시적 차원의 접근에서는 시민사회에 초점을 두는 문화차원에서의 ‘경기도 문화 정체성 확보’라는 이념과 철학을 구축하고, 미시적 차원에서는 시민에 초점을 두는 개인 차원에서의 ‘멋진 경기인 정체성 확보’라는 이념과 철학을 구축하였다. 이들 두 개 차원은 이 연구에서 추구하는 건전사회의 기반이 되는 궁극적이자 최상위의 이념과 철학으로 제공된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건전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두 개 차원, 즉 경기도의 문화정체성을 지닌 건전사회의 이념과 철학에는 4개의, 그리고 멋진 경기인 정체성 확보라는 이념과 철학에는 5개의 각 각의 하위목표이자 시민문화운동의 수단이기도 한 다양한 실천방안들이 제공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건전사회 만들기 시민문화운동의 추진체계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운동 기획 추진 주체로서 도 차원의 ‘시민문화자문위원회’ 혹은 ‘시민문화 정책 추진위원회’ 등을 설치하여 이 운동을 주관하게 하고, 운동에 필요한 정책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시, 군 지방자치단체는 실무 추진주체로서 현지 상황 적합한 운동으로 전개하는 역할을 부여하고, 가장 중요한 실행주체는 시민단체, 종교단체, 지역 기업체, 동 단위 주민자치위원회, 반상회, 그리고 부녀회로 조직 운영하게끔 구성하였다. ■ 결론 및 정책건의 ○ 운동 초기 참여적 리더십 발휘 건전사회 만들기 시민문화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운동 초기에 다양한 각계각층의 인사들로 구성된 위원회 등을 구성하여 현지 적합하고, 실천가능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구축하고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 위원회 구성원들이 적극적인 현장 지도 활동 등 다양한 실천적 활동 전개를 벌이도록 참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한 성공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질적, 양적으로 다양한 참여자 기존의 시민운동들과 같이 양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사회의 대표성 있는 인사들이 많이 참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행주체인 저변의 전방위적인 참여자의 폭을 넓힘으로서 질적인 참여자를 고려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 운동의 실천적 행동 기존의 일부 시민운동에서 단순하게 좋은 동네 만들기 식의 단순하게 외관적인 측면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내실 있고, 내면적인 부분까지도 함께 강조되어 추진되는 운동이어야 지속적이고 탄탄한 시민운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가 있다. 내면 적인 부분들을 굳건하게 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운동의 이념과 철학, 추진방향, 구체적인 실천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 구체적인 운동추진에서의 의사결정 형태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계각층의 인사들로 구성되어 도 차원에서의 위원회 등이 구성될 것이 제시되었지만, 구체적인 사례개발 단계에서는 적극적인 시민들의 참여 수준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들, 즉 각종 공모, 제안 등을 통해서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의사결정 형태를 유지할 때 성공적인 추진이 됨을 확인하였다. ○ 강력한 확산 전략 구사 마지막으로 이 운동의 성공여부의 관건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강력한 확산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한 확산전략으로 전방위적이고, 포괄적이며, 흡수적인 전략들이 도 단위 차원의 시민문화정책추진위원회 등에서 도출되고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것임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civic culture movement model for the healthy community in Gyeonggi Area. This study consists of 6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issue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 and scopes in approaching and designing this research. Chapter 2 focuses on why Gyeonggi Area must pay attention to civic culture movement for the healthy community, why civic culture movement takes off as a Gyeonggi local government initiative. Chapter 3 reviews some of the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for building civic culture movement model, and provides practical actions on civic culture movement. In chapter 4, To have an insight into civic culture movement we seek to understand and build, The current available case studies on another civil movements are examined. Chapter 5 presents civic culture movement model for the healthy community in Gyeonggi Area that represents the sort of civil movement we want to build. In chapter 6,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a brief statement. This study is important for two reasons. First, this study enriches and advances our understanding regarding civic culture movement of Gyeonggi Area Level. also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successful civic culture movement in Gyeonggi Area. Second, For various civil communities who seek to understand and build another civil movement,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deepening their further understanding about civil movement because some of the major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s for building an efficient and effective civil movement model are discussed throughout this study.

      •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의 학술문화운동

        조형열 서울역사편찬원 2018 서울과 역사 Vol.- No.98

        As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 best university during the colonial days, were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academics, or as they were involved in the organized movement like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since the mid-1930’s, they received atten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But rather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movement, which they were involved in at that time, was an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with the intention of contributing to all movements through academics while retaining their identity as researchers.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of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was deployed in three stages. First, they formed a theory research organization on campus, i.e. the Economic Research Society, and they were exposed to the methodology of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in Japan in 1929. Second, they participated in Shinheung, in which the pioneer class of the Department of Law and Literature played a pivotal role, and published Joseon Science in an effort to subjectivate the working class, and make theoretical progress. Lastly, they organized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and collected and provided data, and analyzed the political situation for the scient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Unlike the ‘Scientific Joseon Studies’ which intended to create practical academics in Joseon, among the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s which captivated the then Marxists, it was more of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ch pursued academic practice. As the Jose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disintegrated under Japanese oppression, howeve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movement could hardly make any public advance. Also, as they had to think about their career as research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rxists who graduated from Kyungseong(Keizo) Imperial University had to choose between construction of academics in Joseon and the clandestine Kulturkampf combined with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Movement. 식민지 ‘최고학부’의 졸업자였던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경성제대의 학문적 영향권 아래 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학문형성사의 관점에서 다뤄지거나, 또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같은 조직운동에 관계했기 때문에 사회운동사 차원에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이 논문은 오히려 이 시기 이들이 펼치고자 했던 활동이 연구자로서 정체성을 간직한 채, 학문을 통해 전체 운동에 기여하겠다는 학술문화운동이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의 학술문화운동은 세 가지 단계로 전개되었다. 첫째, 학내에 이론연구조직 경제연구회를 만들고 1929년 일본행을 통해 학술문화운동의 방법론을 접한 시기. 둘째, 법문학부1기생이 주축이 된 신흥에 참여하는 한편, 조선과학을 별도로 발행함으로써 노농계급의 주체화, 이론적 진전을 위해 노력했던 시기.마지막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를 조직해 자료 수집과 제공, 정세분석 등을 통해 사회운동의 과학화에 주력한 시기였다. 이상은 당시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사이에서 전개된 학술문화운동 중 조선의 실천적 학문을 건설하겠다는 ‘과학적 조선학’ 수립론과 달리, 학문적 실천을 지향한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사회사정연구소가 해체되면서 이들의 학술문화운동은 더 이상 공개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또한 식민지 현실에서 연구자로서 진로에 대한 고민이 쌓여, 경성제대 출신 마르크스주의자는 조선의 학문 건설을 위한 길과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결합한 비공개 문화투쟁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 KCI등재

        80년대 지역무크지와 지역문화 운동의 특성과 의의 : 『마산문화』의 지역 정체성 구축방법을 중심으로

        임세진 ( Lim Se-ji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무크운동은 80년대에 활발하게 일었던 ‘문화운동’의 현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이 문화운동은 정확히는 ‘민중문화운동’이었고, 이 민중문화운동은 미술, 음악, 연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운동장르의 다양성 뿐 아니라 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적 다양성 또한 주의 깊게 살펴봄직 하다. 본고의 목적은 마산에서 발행한 지역무크지 『마산문화』를 통해 마산이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고 구축하는 전략을 살피고 스스로의 주체적 문화를 만들어가는 실천들을 통해 80년대 지역 문화운동의 한 방향성과 의의를 찾는 것이다. 『마산문화』에서는 지역의 정체성을 이야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사쓰기를 선택한다. 마산의 역사 서술을 통해 정치적으로는 4·19의 원동력이 되었던 3·15항쟁을 기념하며 마산을 ‘자유와 민주주의의 성지’로 정의하고, 경제적으로는 마산수출자유지역을 중심으로 한 한국 근대산업의 기지이자 노동자들의 착취와 이에 저항하는 노동운동의 근거지로 그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마산의 문학적 정체성으로 『마산문화』를 통해 “고향”과 “꿈”을 그리는 이은상의 「가고파」가 아닌 산업화로 오염된 마산의 바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선관의 「독수대」를 내세운다. 이들이 추구하는 문학은 기존의 중앙에 종속된 지방으로서의 문학, 예술지상주의 문학이 아닌 현실을 바라보고 민중들의 삶을 문학으로 형상화하는 것이었고, 이것은 『마산문화』에 실린 다른 시편들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마산에서 『마산문화』를 통해 지역문화를 새롭게 규정하고, 역사를 서술함으로써 지역정체성의 확립하고자 했던 것은 또한 80년대 지역문화운동으로서 당시 권력에 대항하는 방법적 전략의 한 부문이기도 하였다. The Mook Movement may be described as the phenomenon of “Cultural Movement” active in the 1980s. This cultural movement was “people's cultural movement,” and this people's cultural movement was carried out in various aspects ias art, music, play, Hence, it is worthwhile to peruse not only diversity of movement genres but also local diversity of each loc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ocal culture movement of the 1980s through the practice of making Masan's regional identity through 『Masan Culture』the local Mook magazine from Masan. First, through 『Masan Culture』, progressive intellectuals of Masan asserts the literature identity of Masan not as 「Gagopa」 by Lee Eun-sang depicting “hometown” and “dream” but as 「Doksudae」 by Lee Seongwan. They pursue literature not of conventional local literature and art-for-art literature by the center but of embodying people's life and looking at the reality. Moreover, their pursuing literature had to be able to draw the identity of Masan to be present. This is shown in other poems on 『Masan Culture』. As a method to talk about the local identity, 『Masan Culture』 selects writing of history. Through historical description of Masan, Masan Culture commemorates the 3·15 Resistance, the driving force of 4·19 Resistance politically, defines Masan as the “holy ground of liberty and democracy,” and establishes the identity of the base of modern industry in Korea centered on the Masan Free Export Zone and of the base of labor movement against labor exploitation. New definition of regional culture and statement of history to establish the regional identity of Masan through 『Masan Culture』 were the local culture movement of the 1980s, and these were a part of methodologies against the power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