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의 학교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전슬기,양정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f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complementary points in the operation proces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s of school life 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for 7 students of social integration screening at K (pseudonym nam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On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ll seven students expressed common opinions, such as the admission preparation process affected by the student's growth environment and surrounding cases, stable boarding life, educational welfare policy to comfort me, satisfaction with internal growth, and confid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s graduate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had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in the admission process, school life, and after graduation. First, the interest of families and teachers in the admission process and the cases of going to school around them play an important role, but private education for admission was unnecessary. Second, they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s educational welfare through the school's boarding life that supplements the vulnerability of the family in the school life and the financial and cultural benefits that support the vulnerable. Finally, as an influence after gradu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and internal growth through the curriculum and school system, and their academic confidence increased in college. Through these results, the complementary points of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were proposed. 목적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에서 사회통합전형 제도의 실제 교육적 효과와 운영 과정에서의 보완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K(가칭)외국어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동안의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외국어고등학교의 사회통합전형에 대해 7명 모두 학생의 성장환경과 주변 진학 사례의 영향을 받는 입학 준비 과정, 기숙생활로 인한 안정, 교육복지정책을 통한 위로, 내면적 성장에 대한 만족,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으로서 외국어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공통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결론 외국어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은 학생들에게 입학과정, 학교생활, 졸업 후로 다음과 같이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입학과정에서 가정과 교사의 관심 그리고 주변의 진학사례가 중요하게 작용하나, 입학전형을 위한 사교육은불필요하였다. 둘째, 학교생활에서 가정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학교의 기숙생활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재정적⋅문화적 혜택들을통해 우리나라 교육복지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졸업 후 영향으로는 외국어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학교시스템을 통해 대학 진학 성과와 내적 성장에 대해 만족하였고, 대학에서 학업 자신감이 상승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통합전형 제도의 보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어 말하기 능력에 관한 구인 정의

        김현정 ( Kim Hyu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과 말하기 능력의 구인이 외국어 능력 평가 분야에서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를 요약하여 현재 외국어 말하기 능력의 구인 설정의 배경을 살폈다. 우선, 말하기 능력의 구인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을 정의하는 이론들을 소개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외국어 능력을 정의하는 이론의 발달과 함께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외국어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외국어 능력 평가를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되었음을 보였다. 이어서, 외국어 말하기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평가의 두 가지 접근법을 소개함으로써 이 두 가지 접근법이 말하기 평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폈다. 끝으로 외국어 말하기 능력의 구인을 정의하고 이에 맞춰 평가하기 위해 향후 다루어야 할 주제를 소개했다. This article summarizes how language ability in general and speaking ability in particular have been defined over the years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assessment. It further describes how previous definitions have emerged and influenced the evolution of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The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theories of second language ability in general, which implicate the construct definitions of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It argues that the no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r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has greatly changed the view of language teaching/learning and testing. It then describes two approaches to performance assessment (construct-centered and task-centered approaches) focusing more on speaking ability, to demonstrate how these different approaches have influenced second language speaking assessment. Finally, the article discusses topics of future importance for defining and testing second language speaking ability.

      • KCI등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외국어고 정책 분석 : 2004-2013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2

        이 연구는 외국어고 정책의 변동과정에서 주기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이슈화 되지만 정책 이 발표되면 다시 정책의제에서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4년에서 2013년까지 10년간의 외국어고 관련 정책흐름을 분석하면서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의 흐름이 특정한 순간에 결합되어 정책의 창이 열렸고, 이 과정에서 정책결정이 이루어진 상황을 분석하였다. 특히 2007년과 2009년에 있었던 외국 어고 폐지논란 과정에서의 정책 변동 과정을 정책흐름모형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 10년간 외국어고 정책의 흐름을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외국어고 관련 정책은 교육적 이슈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슈로 다루어져 왔 다는 점이다. 둘째, 외국어고와 관련하여 정책의 창이 열린 것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 하여 문제의 창이 열린 것이라기보다는 정치적 변동에 의해 정치의 창이 열린 것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책의 창이 열렸을 때 제기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 지 않으면 정치적 변동에 따라 계속 이슈로 제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 대로 도출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외국어고가 정치적 흐름에서 문제가 되지 않도록 평소 에 외국어고 선발 및 운영에 대한 정책적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문제의 흐 름에서 심각한 정책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 책을 만들어가는 정책활동가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외부에서 문제가 제기되지 않도록 외국어고 스스로 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curring phenomenon of a government policy response to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ssues,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framework of Kingdon’s model is that the policy window opens when it comes to the coupling of the problem stream, the political stream, and the policy stream at a certain moment and, at this moment, policy entrepreneu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Especially, this study is trying to explain the process of debate on abolition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ystem in 2007 and 2009.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foreign language school policy has been treated as political issues as well as educational issues. Second, Opening of policy window on foreign language school has been affected by opening of political window according to political changes. Finally, it is assured that if the rising problem is not totally resolved, when the policy window opens then the problem can be raised consecutively as political chang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school. Second, policy entrepreneurs' efforts are required to take preemptive action on problems. Finally, foreign language schools should seek self directed development consistently.

      • KCI등재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 연구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본 조사 대상자 전체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5.0 만점에 3.50이었으며, 평균점(3.5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문화차이 존중도(평균: 3.85)와 상호작용 참여도(평균: 3.55)는 평균보다 높았으나, 상호작용 향유도(평균: 3.45), 상호작용 주의도(평균: 3.41), 그리고 상호작용 자신도(평균: 3.08)는 평균보다 낮았다. 그리고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문화적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59였으며,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43이었다. 이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섯 개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참여도(외국어고: 3.65, 일반계고: 3.46. 유의도: .000), 문화차이 존중도(외국어고: 3.96, 일반계고: 3.77. 유의도 .000), 상호작용 자신도(외국어고: 3.15, 일반계고: 3.02. 유의도: .037), 상호작용 향유도(외국어고: 3.50, 일반계고: 3.33. 유의도: .003)에서 외국어고 학생들이 일반계고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compares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and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tands relatively high, marking 3.50 out of 5.0. Compared to the average point(3.5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average 3.85) and ‘Interaction Engagement’ (average 3.55) occupies higher positions than the average, but ‘Interaction Enjoyment’(average 3.45), ‘Interaction Attentiveness’(average 3.41), and ‘Interaction Confidence’(average 3.08) are below the average.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possess a highe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hows 3.59 on the average, while that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marks 3.43. These figures provi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hold higher places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ve subdivisions such as ‘Interaction Engage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65, regular high schools: 3.46. p: .0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96, regular high schools: 3.77. p: .000), ‘Interaction Confidence’(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15, regular high schools: 3.02. p: .037), ‘Interaction Enjoy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50, regular high schools: 3.33. p: .003)

      • KCI등재

        외국어고등학교 졸업과 대학생활의 관계 분석: 4년제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양민석,이호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Despite heated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imited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on college life. With the 4th year to 12th year data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hort within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college life.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odel (PSM), we find that those who graduate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did not show higher academic performance and proportion of entering prestigious universities than those who graduated general high schools. In addition, we discovers those who graduate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did not show better college adaption, performance, and continuity. We conclude that attending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may not have a high rate of return as much as parents and students expect. Also, our results also indicate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on labor market outcomes. 외국어고등학교를 둘러싼 논쟁에 비해 외국어고등학교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중·장기적 측면에서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 입학 이후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에 비해 더 나은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4-12차년도의 중3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외국어고등학교 졸업과 대학 생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경향점수매칭모형(PS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 사이에는 대입성과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효과가 아닌 선발효과가 더 지지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학 적응, 학업성과, 대학생활 지속 등에서도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에 비해 뚜렷한 우위를 보이지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 진학이 대학 생활의 측면에서 일반고등학교 진학에 비해 비교우위를 갖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아울러 향후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의 교육투자 기대수익률에 대한 분석이나 대학 생활과 연계한 노동시장에서의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의 성과 분석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한혜민,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evious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nd topic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rown(2007) mentioned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v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is known that the language anxiet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bout 705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s as well as dissertation.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66 studies after reviewing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pics. The types are sorted by year,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and research target. The topics are categorized as language 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language anxiety, and ot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istribute to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에 대해 다룬 논문을 살펴, 외국어 불안감 연구의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Brown(2007)이 밝힌 바와 같이 불안감은 제2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하나이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을 연구 주제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고,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불안감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66편을 살펴 연도별, 유형별, 연구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중 주제별 분석은 언어 기능별 외국어 불안 연구와 외국어 불안과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A Case Study of Foreign Language Medium Instruction

        Han, Sang-Ho 경주대학교 창의력개발연구소 2001 創意力開發硏究 Vol.- No.5

        1999학년도 2학기부터 본 대학 외국어전용강좌 교수법 연구위원회에서 외국어 전용강좌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외국어전용강좌 수업진행을 위한 기본 지침을 마련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지난 3년 동안 수행되어온 외국어전용강좌에 대해 담당교수와 수강 학생들의 인식도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차후 외국어전용 강좌 운영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추진되었다. 외국어전용강좌 수업 진행을 위한 기본 지침은 학생의 수준에 맞는 외국어의 사용, 외국어로 된 교재, 수업자료 및 참고도서의 사용, 수업 시간외의 외국어 사용 권장, 외국어로 과제 제출, 외국어를 사용한 평가와 응답 등을 포함하였다. 기본적인 지침을 바탕으로 9개 외국어전용 강좌에 대한 교수 및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면담 및 설문 조사해본 결과 교수, 학생 모두 전반적으로 외국어전용 강좌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다. 한편, 외국어 전담 외국어전용 강좌와 한국인 전담 외국어 전용강좌를 비교해 본 결과 후자보다 전자에 조금 더 만족하고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전자 보다 언어입력 조정을 조금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중심 외국어 전용강좌와 내용중심 외국어전용 강좌를 비교해본 결과 후자의 경우가 전자의 경우보다 외국어 사용이 더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전자의 경우 언어입력 조정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외국어전용 강좌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었으며, 저학년보다 고학년 학생, 외국어 능력이 낮은 학생보다는 능력이 높은 학생이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외국어전용강좌 수강을 위한 선수과목의 지정 혹은 최소 외국어 능력의 의무화가 필요하며, 저학년에서는 언어중심, 고학년에는 내용중심의 외국어 전용강좌를 개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

        유현주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7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0 No.-

        Nicht nur für die Fachstudenten, sondern auch für Hörer aller Fakultäten bieten Universitäten Sprachkurse an. Deutsch, Englisch, Chinesisch und andere Sprachen werden als Pflicht- oder Wahlfach unterrichtet. Jedoch ist es selten der Fall, dass die Kurse nach einem standardisierten Lehrplan gestaltet werden. Es fehlt überhaupt an allgemein akzeptierten Lerninhalten bzw. einem gemeinsamen Curriculum, das als Richtlinien für Lehrende und Lernende dienen würde. So sind einzelne Lehrende gezwungen, jeder für sich zu entscheiden, welches Niveau nach einem Kurs erreichtet werden soll. Dies führt dazu, dass Parallelkurse miteinander nicht vergleichbar sind und die Kurse nicht aufeinander aufbauen können. In diesem Aufsatz wurden Vorschläge für eine effektivere Organisation solcher Sprachkurse gemacht. Ausgehend von einer Bedarfsanalyse wurden Lernziele für die „erste Fremdsprache„ (i.e. Englisch) und die „zweiten Fremdsprachen„ (z.B. Deutsch oder Chinesisch) formuliert. Für die detaillierte Beschreibung der Kompetenzniveaus wurden die Kompetenzskalen des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s eingesetzt. 본고의 목적은 현재 대학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교양 외국어 교육을 위한 최소한의 틀과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공통의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했고,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써 하나의 척도를 바탕으로 과목별 교육 목표이자 ‘숙련도 기술’의 예를 제시하였다. 세계화 시대를 맞아 사회전체가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 안팎에서 외국어 교육이 성행하고 있지만, 필자는 현재의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이 한계에 와 있다고 보고, 그 이유로 교양 외국어 교육의 목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부재와 그로 인한 방만한 교육 과정의 운영을 들었다. 학습자들이 왜 교양 외국어를 듣는지, 그들의 목표나 기대를 어떻게 충족할지에 대한 고민 없이 교수자들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동일한 과목이 다른 교재, 다른 평가 방식에 의해 수년, 수 십 년 간 이루어져 온 것이다. 또한 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면서 일정 기간 외국어 교육을 할 때 도달해야 할 목표점조차도 분명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한 학기 동안에 한 과목을 이수하면 그 학습자가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그리고 다른 유사 외국어와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토대로 필자는 85여명의 교양 외국어(영어를 제외한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수강생을 대상으로 간단한 요구분석용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와 제2 외국어를 구별하여 각기 다른 등급기술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시안적인 시도가 각 대학의 실정과 교육정책에 따라 향후 교양 외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시도했던 설문지 방식에 의한 학습자 요구 조사가 좀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좀 더 상세한 문항을 설계하지 못한 한계와 영어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남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들 한계점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제2외국어 선택과목과 지원학과 분석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외국어계열학과 지원자 사례 중심

        공자원 ( Ja-won Kong ),박윤경 ( Yun-kyoung Park ),박은아 ( Eun-ah Park ),이수영 ( Soo-young Le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20 입학전형연구 Vol.9 No.-

        본 연구는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를 대상으로 제2외국어 선택과목과 지원학과와의 연관성 및 서류평가 성적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7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K대학교 제2외국어 관련 학과의 전체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제2외국어 과목과 서류평가 성적 및 합격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실질적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자와 합격자 간 제2외국어 이수 비율 편차는 모집단위 마다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 이수하기 어려운 제2외국어 과목 관련 학과들의 경우 지원자와 합격자 간 제2외국어 과목 이수 편차가 크고, 이러한 경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 학과와 관련된 제2외국어 이수에 따른 합격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심화과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과정상 심화과목을 이수하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원률이 높아지는 것과도 관련 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모집단위별 제2외국어 이수 여부 차이와 서류평가 성적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학과에서 제2외국어 과목을 이수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서류평가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결과는 아니며,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는 제2외국어 관련 관목 이수 여부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도 고려해서 종합적인 정성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즉 제2외국어 이수 여부가 서류평가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설계하거나 고등학생들이 제2외국어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connection between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applicants’ choices in second foreign language and major, as well as their school record evaluation score. For this, substantive analysis of data regarding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school record evaluation scores, and the fact of pass or fail, etc. of school record screening applicants at K University from 2017 to 2019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the applicant group and the successful applicant group regarding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ratio. In particular, there was a big deviation in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ratio between the applicant group and the successful applicant group when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ourse taken in high school was difficult to complete. Such tendencies were revealed to be greater as time passed. Secondly, when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success rate of major applications in terms of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advanced subjects. This was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taken advanced curricula applying to the university. Lastly, when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and average student record evaluation score in each group,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student record evaluation score was higher for students who had completed second language courses than those who had not in all cases. However, this is not an absolute result and i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student record evaluation in the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 screening is affected by various other criteria other than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to compose a comprehensive qualitative evaluation. Thus, the fact that second foreign language completion does not have an imperative effect on the student record evaluation process must be noted.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as reference data when designing high school curricula or when high school students select their second foreign language.

      • KCI등재

        기업 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정도가 임금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호원,이종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4

        This study is to indirectly assume return on investmen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analyzing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or not, and the amount of its usage in job environment.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between wage and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or not and also between wage and whether it is widely used or not in job environment. Regarding separation intention, using foreign language or not was positively influential. However, whether foreign language is widely used or not in job environment didn't show significant influenc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is subject with foreign language skill in seeking a job such as whether to take the TOEIC test, the test score, English speaking capability, how much they prepare English tests in university, language training abroad.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ee how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in companies have an effect on wage. Also in order to check how foreign language usage affects external labor market, how much they have an impact on separation intention has been analyzed. Like other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not only language learning as a part of job prepa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wage, but whether or not foreign language is used also influences wage. Furthermore, it raises separation intention promoted by extended job opportunity from labor market resulting in enhanced individual right of choice.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is reaf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 job seekers to enforce foreign language capability. It also implies that especially when foreign language is widely used in job environment, individual employees should consider more about enhancing foreign language capability. And companies needs to care about workers speaking foreign languages to retain and employ them because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for work gives the workers more chances to change their jobs. Although this study has positive meaning to use variabl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go further by examining the separation intention, it has some drawbacks originating in its data attributes as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ssumes that a company using foreign language always has workers speaking foreign language well, and used it as an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are some workers not speaking foreign language well but working for the company where they have to speak foreign language. The reason why this study can't cover this issue is that the questionnaire doesn't have a question to analyze the foreign language capability like asking TOEIC test score. Second, This study has analyzed only the separation intention not how many people to change a job. That's because of one of flaws from the questionnaire as well. Besides, even though this study tries to control variables like whether to work for one company, no change in work place and business field, position, task, whether to be promoted directly related to wage and separation intention and even the extent of their influence, it has limited variables for checking how much subjects speak foreign language in company, which is collected by self-report. That's why there is high error probability regarding those variables. And in order to measure wage premium, this study cares about variables for example, human capital, profession, personal attribut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can be overestimated because of ability variable missed in normal regression analysis. Lastly, concerning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having an effect on labor market, this study is unable to see if it has a short-term or long-term effect due to limited data. So, if following researchers make up for this issue, it's expected that the effect can be analyzed precisely. 본 연구는 기업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이 실제로 임금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현재 기업의 상황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국어에 대한 투자의 ‘수익(return)’을 간접적으로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임금의 경우, 기업에서 외국어 사용여부와 업무상 외국어 활용정도가 임금에 대해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도의 경우, 기업에서의 외국어 사용여부는 이직의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업무에서 외국어 활용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들처럼 외국어에 대한 취업준비과정이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정도에 있어서도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보다 많은 외부노동시장에 대한 기회제공으로 이직의도를 높여 근로자 개인에게 노동시장에서 보다 많은 선택권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외국어 역량의 중요성이 재차 확인됐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청년구직자 입장에서는 외국어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현업에서 외국어 활용정도가 높은 경우, 더욱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리고 기업측면에서는 기업에서의 외국어 사용여부가 근로자 개인에게 노동시장에서 보다 많은 선택권을 확보 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이직의도를 높여줄 수 있으므로 외국어를 사용하는 인력들을 유지·확보하기 위해 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