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카쿠라 요시사부로 한국문학론(1893)의 근대 학술사적 함의

        이상현(Lee, Sang Hyun),김채현(Kim, Chae Hyun),윤설희(Youn, Seol He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odern scholastic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の文學)” written by Okakura Yoshisaburo, published in the eighth edition of Tetsugakuzassi (哲學雜誌), chapters 74-75, issued in 1983. “Korean Literature(朝鮮の文學)” is a valuable reference on the outlook and written language of nineteenth-century Korean books, distribution of story books, and the book-lending culture in Korea. Okakura introduced Nam-Hun-Tae-Pyeong-Ga and studied the reading of Korean poetry. One of the key points of his work wa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The translated Korean poetry has a distinctive translated direction that first focused on phonetics of original pieces; second, pointed out relationships with Chinese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categoriz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ird, through focusing on the unique text layout of each piece, revealing the context. Although there are traces of Japanese viewpoints of devaluation on Korean nationality and its characters, Okakura’s translation of Nam-Hun-Tae-Pyeong-Ga, the first translation of Korean poetry and the first poetry discourse published, has its own significance, considering its publication was made when printing of the Korean language itself was not easy.

      • KCI등재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의 조선(朝鮮)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장서(藏書)

        유춘동 ( Yoo Choondo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이 글은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 중앙도서관에 있는 조선(朝鮮)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 1868~1936)의 장서(藏書)를 살펴본 것이다.일본 이바라키 현[茨城縣] 쓰쿠바 시에 있는 쓰쿠바 대학은 ‘일본 동경교육대학(東京敎育大學)’을 개명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은 곳이다. 이 대학에는 총 60종의 조선시대 전적(典籍)이 있다. 이 사실은 1976년 후지모토 유키오(藤本幸夫) 교수를 통해서 알려졌다.그러나 이곳에 “누가, 어떤 이유로 이 책을 수집했는지, 그리고 총량은 어느 정도인지”는 보론(補論)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 대학의 전신(前身)이었던 ‘동경교육대학’ 시절에 작성되었던 『도서원부(圖書原簿)』와 『괘도목록(掛圖目錄)』를 보면 지금보다 더 많은 조선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들의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아울러 함께 밝힐 문제는 “이 책의 수집가”이다. 이 책들은 대부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대학으로 보낸 것도 있지만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것도 포함되어 있다.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현재 일본의 유명한 영문학자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1891년 조선에 한성일어학당(漢城日語學堂)이 처음 만들어지자 이곳에 부임했던 최초의 일본어 교사였다.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조선의 책들을 틈틈이 수집했고, 1893년 『철학잡지(哲學雜誌)』에다가 한글로 쓴 서적의 의미와 조선의 대중문학(大衆文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다. 이 과정에서 세책(貰冊) 고소설과 조선시대 대표적 대중가요집인 『남훈태평가』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가 썼던 글은 이후 모리스쿠랑(Maurice Courant)의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글을 발표하기까지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조선시대 책들을 착실히 수집했고, 이후 그의 책은 이 대학의 장서(藏書)가 되었다.이 글은 이처럼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쓰쿠바 대학의 있는 조선시대 전적과 관련 서적에 대한 부분,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장서(藏書)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ook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t the University of Tsukuba and discusses the collection of the books of Yoshisaburo Okakura (1868~1936).It is already known that there are a total of 60 kinds of Joseon Dynasty Rare Books in this university.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supplementary argument in this university about “who collected books through which path, and how much the total is.”The reason is that I can see more books of Korea and books related to Joseon in the view of the books and documents that were written in the days of Tokyo University of Education.In addition, we need to look at this issue with “The person who collected this book”. These books were collected and sent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but included a book by Saburo Okakura.He was a researcher of Joseon scholarship who came to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d various aspects of the Joseon dynasty and book culture. In 1893, he introduced the popular literature of Chosun, the Rental book of Joseon(sechaek), and the poetry of Namhuntaepyongga through philosophical magazines. This was reflect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Korean Bibliography).The books collected by Okakura Yoshisaburo became collections of this university.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ings related to this in turn.

      • KCI등재

        19세기 말 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론과 그 의미

        이상현 ( Sang Hyun Lee ),윤설희 ( Seol Hee You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재외에서 출판된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 1865~1935)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郞, 1868~1936) 그리고 러시아 대장성의 한국시가(詩歌) 관련 기록물을 분석, 검토하는 것에 있다. 특히, 19세기 말 외국인들의 한국 시가론이 근대지식으로 유통된 한 사례로 3편의 논저를 검토함으로, 19세기 말 한국의 시가가 문학이라는 근대적인 지식으로 정립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그 구성과정 속에서 소거된 외국인이 한국이라는 낯선 이문화와 접촉했던 흔적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것에 있다. 러시아 대장성의 『한국지』는 1900년까지의 서구인 한국학 논저를 집성한 저술이다. 한국에 관한 종합지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던 단행본 저술 『한국지』에서 한국문학은 하나의 주제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전시기 서양인 저술과는 다른 큰 변별점이었다. 『한국지』의 편자들이 ‘한국문학’ 주제항목을 구성하는 데 가장 많이 참조한 저술은 쿠랑의 『한국서지』 「서설」(1894)이었다. 그 이유는 쿠랑의 「서설」이 한국문헌의 전반적인 기술이었을 뿐 아니라, 이를 서구의 근대 학술 체계에 맞추어 질서화 해준 논의였기 때문이다. 또한 충실한 서지조사 및 실증작업을 통해, ‘한국에는 자국어로 된 고유성과 높은 문예성을 지닌 국민문학이 부재하다’는 당시 서양의 한국문학담론을 논증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쿠랑, 오카쿠라 요시사부로의 한국시가 관련 기록물에는 『한국지』가 미처 포괄하지 못한 두 사람의 현장적 체험이 존재했다. 그것은 서구적 근대문학개념에는 낯선 한국의 시가문학을 이야기하고자 했던 두 사람의 곤경이었다. 동시에 이는 서구적 근대문학개념에 의거해 한국의 국문시가가 본래의 음악적 향유 혹은 노랫말이 아닌 문학적 텍스트로 전환되는 순간이며, 한문시가와 분리되어 한국의 국민문학으로 재조명받는 지점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가와 외국인의 접촉 그리고 그 번역의 현장은 『한국지』에 새겨지지 못했다. 쿠랑은 한국시가문학을 문학텍스트로 재규명하기 위해 국문 시가의 주제와 율격문제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였다. 국문시가가 담아내고 있는 주제적 특성 및 중국 문학의 영향 관계를 지적하는 한편, 비록 규칙적인 운이나 자수 등 율격의 실상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시조를 문학적 텍스트로 인식하고 그 문학적 형식을 이야기 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쿠랑이 『한국서지』 「서설」을 작성할 때 참고문헌으로 제시한 오카쿠라 요시사부로의 논문은 19세기 방각본 가집 『남훈태평가』 소재 시조 작품을 번역한 최초의 사례였다. 이는 일본-서구 동양학 학술 네트워크에 한국 시가를 알린 최초의 시도였다. 그는 한국 시가에 사용된 언어-한국어, 한자어-표현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외국문학이자 번역의 대상으로서 한국 시가작품의 존재를 인식했으며 최대한 본래 시가작품의 모습을 번역·재현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두 사람의 시도는 개신교 선교사의 시가론과 함께 『한국지』에 거의 수용되지 않았다. 일례로 유일하게 『한국지』에 수용된 헐버트의 시가론은 한국 시가의 연행 환경의 실제에 가까웠을 뿐 아니라, 번역 자체가 서구인에게 낯선 한국 시가 작품과의 교감을 모색하는 훌륭한 시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쿠랑에 비해 많은 부분이 배제되었던 것이다. 이는 한국의 시가를 문학이라는 근대지식으로 소환하려 했던 『한국지』의 지향점을 잘 말해주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and review the traces of Maurice Courant (1865~1935), Okakura Yoshisaburo (1868~1936), and Russian Finance Ministry in regards to Korean poetry. Through this, the report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Korean poetry discourse of Foreigners in late 19th century. In particular, reviewing the 3 studies as examples of Korean poetry discourse distributed by foreigners in late 19th century as modern knowledge, this report has focused to study over the process and significance of late 19th century Korean poetry being established as modern knowledge in a form of literature. Furthermore, this report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practices of foreign scholars, which were lost within such establishment. Russian financial ministry`s ‘KOPEИ’ is a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of foreigners untill year of 1900. ‘KOPEИ’, characterized as publication writing about Korea in general, has set a separate chapter on a specific subject, Korean Literature, which is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writings of westerners on Korea. The most used reference by editors of ‘KOPEИ’ on composing a whole chapter of ‘Korean Literature’ was Courant`s ‘Introduction(1894)’. This was because Courant`s ‘Introduction’ was not only a description on Korean Literature in general, but also was the first organized discussion about Korean literature under modern studying categories and system of western countries. Also, through enough bibliographic research and demonstration, the ‘Introduction’ has made objectivity against ready-existing Korean Literature discourse of Westerners which asserted that Korea does not have a native language-composed, highly literary and unique national literature.”However, the writings on Korean Literature of Courant and Okakura Yoshisaburo holds experiences which were not involved in ‘KOPEИ’:they are the difficulties Courant and Okakura had in discussing the Korean Poetry which was new and unfamiliar to western literature concepts. At the same time, these are the works that are the threshold of Korean poetry literature being converted from musical format like lyrics of songs into literary text; being separately reviewed from Chinese written poetry as a Korean national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OPEИ’ could not blend the foreign contact to Korean poetry and the translating process. Courant has discussed the subject and metrical issues of Korean poetry in order to redefine Korean poetry as a literary text: pointing o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Chinese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in poetry on one side, Courant had taken Korean poetry as literary text and discussed the literary format on the other side, let alone the frequency in rhyme, numbers of letters and meter in actual counts. Furthermore, Okakura Yoshisaburo`s report, which Courant has taken under consideration when writing the ‘Bibliographie Coreenne’, is to be highlighted for translating the works of Sijo in 19th century Bang-gak-bon Ga-jip ‘Nam-Hun-Tae-Pyeong- Ga’. This is because such was the first experiment of interpretation of Korean Literature coming from Japan-Western Oriental studies network. Also, Okakura was interested in Language-Korean and Chinese character-Expression which was used in Korean poetry. He had taken Korean poetry pieces as foreign literature piece and as a subject of translation, which led him to concentrate on translating and reviving the Korean poetry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untouched. These efforts of Courant and Okakura were, along with other poetry discourse of foreign missionaries, were not accepted or given credit by ‘KOPEИ’. For example, the only foreign poetry discourse published in ‘KOPEИ’, of Herbert, was far more disregarded compared to that of Courant`s ; however, Herbert`s poetry discourse was not only very close to actual mode in performance of the Korean poetry then, but were a highly valuable attempt interacting with Korean poetry pieces which were unfamiliar for westerners even translation itself. Such disregard shows direction of ‘KOPEИ’ focussed on reviewing Korean poetry analyzed under Modern Knowledge frame.

      • KCI등재

        갑오개혁기 일본인의 한국교육 개혁안 고찰: 근대화 교수용어 선택을 중심으로

        한용진(Hahn, Yong-Ji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reform ideas about Korea in the Kabo Reform Reriod (1894.7-1896.2) which was published in the Japanese educational magazines. I examined the social backgrround of Kabo Reform and the discussions on the teaching and written language of modernization at Charpt 2, and explained the discuss on the Korean educational reform idea by Japanese at Charpt 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insistences; one is Korean as basic(Japanese as subsidiary), and the other is Japanese exclusive use(abolition of Chinese and Chinese letter). Second, these two insistences were expressed in serial order in the Kabo Reform Period. Third, I presumed that the insistence of abolition of Chinese letters which was claimed by Japanese, provide the momentum for the awakening of the importance of ‘Hangeul (Korean letters)’ and establishment of the Dongnipsinmun(The Independence Paper) in 1896. 본 연구는 갑오개혁기(1894.7-1896.2) 일본에서 간행된 각종 교육관련 잡지에 나타난 일본인들의 한국(당시에는 조선) 교육 개혁안에 관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II장에서는 갑오개혁기의 교육개혁으로 시대적 배경과 함께 당시 교육개혁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제III장에서는 교육개혁에서 일본인들의 근대화 교수용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정리해 보았다.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는데, 한국어를 근간으로 일본어를 보조언어로 선택하자는 ‘한국어기본론’과 중국어와 한자 폐지를 통한 ‘일본어 전용론’이다. 그러나 1894년에 갑오교육개혁으로 가장 먼저 세워진 사범학교의 교육내용을 볼 때, 일본어 전용론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한문폐지의 논의는 관보의 국한문혼용체 사용과 그 후 독립신문의 창간과 같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갑오개혁기 일본인의 한국교육 개혁안 고찰 ― 근대화 교수용어 선택을 중심으로 ―

        한용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본 연구는 갑오개혁기(1894.7-1896.2) 일본에서 간행된 각종 교육관련 잡지에 나타난 일본인들의 한국(당시에는 조선) 교육 개혁안에 관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II장에서는 갑오개혁기의 교육개혁으로 시대적 배경과 함께 당시 교육개혁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제III장에서는 교육개혁에서 일본인들의 근대화 교수용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정리해 보았다.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나뉘는데, 한국어를 근간으로 일본어를 보조언어로 선택하자는 ‘한국어기본론’과 중국어와 한자 폐지를 통한 ‘일본어 전용론’이다. 그러나 1894년에 갑오교육개혁으로 가장 먼저 세워진 사범학교의 교육내용을 볼 때, 일본어 전용론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한문폐지의 논의는 관보의 국한문혼용체 사용과 그 후 독립신문의 창간과 같이 한국어 사용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reform ideas about Korea in the Kabo Reform Reriod(1894.7-1896.2) which was published in the Japanese educational magazines. I examined the social backgrround of Kabo Reform and the discussions on the teaching and written language of modernization at Charpt 2, and explained the discuss on the Korean educational reform idea by Japanese at Charpt 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insistences; one is Korean as basic(Japanese as subsidiary), and the other is Japanese exclusive use(abolition of Chinese and Chinese letter). Second, these two insistences were expressed in serial order in the Kabo Reform Period. Third, I presumed that the insistence of abolition of Chinese letters which was claimed by Japanese, provide the momentum for the awakening of the importance of ‘Hangeul(Korean letters)’ and establishment of the Dongnipsinmun(The Independence Paper) in 1896.

      • KCI등재

        近代日本の海外教育事業に関する一考察 - 福沢諭吉と岡倉由三郎を中心として -

        채수도 일본어문학회 2023 일본어문학 Vol.103 No.-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modernisation of Chosun (which relates to the awareness of the Western European invasion of Asia) and the process of Japan’s invasion of Chosun, in connection with Japan’s educational projects for Chosun. In particular, I present a concrete and systematic account of Japan’s role in the reform and modernization of Chosu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projects and their implementations by Yukichi Fukuzawa and Yoshizaburo Okakura. At that time, the reforms and modernisation of Chosun were mainly led by progressive activists such as Ok-gyun Kim, with their approach resembling the Japanese approach, rather than the Western one. In this process, Japan did not resort to violence to invade Chosun but attempted to make use of educational projects. In the end, Japan’s education projects against Chosun served as a primary basis for putting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On the other hand, as argued in the present study,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ople of Chosun, letting them pay more attention to the modernisation of Chosun and its autonomous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