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 연구

        한세정(Han, Se-Jeong)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이 논문은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직후 오장환이 번역한『에세-닌 시집』은 해방기 오장환의 시적 모색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창작시집보다도 먼저 간행된『에세-닌 시집』은 오장환이 ‘해방기’의 특별한 역사적 인식 아래서 기획적으로 번역한 창작물로 주목된다. ‘러시아 혁명’과 ‘식민지 해방’이라는 역사적 공감대 속에서 오장환에게 예세닌 시는 해방기 시단에 대응될 수 있는 문학적 가능성을 보여준 전범으로서 인식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예세닌 시에서 ‘모스크바’로 표상되는 ‘내 나라’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오장환은 ‘모스크바’ 표상을 통해 혁명기 러시아 현실에 적극적인 인식을 보여준 예세닌 시의 특징을 수용함으로써 해방 이후 ‘병든 서울’로 표상되는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고 성찰하는 태도를 심화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는 ‘모스크바’가 표상하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고 절망적 태도를 보이는 예세닌 시와는 달리 ‘병든 서울’이 표상하는 해방 후 현실을 목도하면서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변별점을 지닌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또 다른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고향 모티프로 이루어진 시편에서 확인된다. 해방기 오장환은 예세닌의 귀향 시편에 나타난 고향 모티프를 변주하여 ‘돌아가야 할 땅’으로 고향을 환기시키고 이념적 공간으로서 고향의 의미를 변주하고 확장한다. 예세닌 시에서 화자가 돌아온 고향의 현실에 절망하고 있었다면 오장환 시의 화자는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서 고향을 인식한다. 오장환의 해방기 시에서 고향은 화자의 이념이 성취될 수 있는 긍정적인 공간으로 제시된다. 오장환은『에세-닌 시집』을 출간함으로써 해방 이후 자신의 문학적 입지점과 시적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었으며 예세닌 시를 독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시 세계를 확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오장환은 예세닌 시를 통해 ‘지금 여기’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동시에 그가 비판적으로 평가했던 예세닌 시의 특징을 쇄신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시적 방법론을 구축한다.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주체적인 관점에서 예세닌 시를 창조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발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ose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ir effects on the poetic world of Oh, Jang-Hwan. Esenin’s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translated by Oh, Jang-Hwan, offers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poetic search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eing published before his collection of creative poems, the Collection attracts attention as a collection of creative works that he translated according to his plan based on the special historical perceptions of Liberation period. He must have taken Esenin’s poems as classics that demonstrated the literary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poetical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ensus of ‘Russian Revolution’ and ‘liberation of colony’.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works of Oh, Jang-Hwan are related to Esenin’s perception of “my country” represented by “Moscow.” By accep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of Esenin, who exhibited active perceptions of Russian reality during the Revolu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Moscow,” Oh, Jang-Hwan intensified his attitude of facing squarely and looking back on the reality of Joseon represented by “sick Seoul.” His poems are, however, distinguished from those of Esenin, who failed to correspond to the reality of Soviet Russia represented by “Moscow” and showed a desperate attitude, in that he searched for new directionality in the reality represented by “sick Seoul.” Another acceptance pattern of Esenin"s poems in Oh, Jang-Hwan’s works is found in his poems based on the hometown motif. Oh, Jang-Hwan aroused the significance of hometown as “land to return to” by altering the hometown motif in Esenin’s poems about homecoming and also altered and expanded the meanings of hometown as an ideological space. In Esenin’s poems, the speakers get frustrated with the reality of hometown and fail to fuse with it. In Oh, Jang-Hwan’s poems,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s perceive the hometown as a space of new possibilities, in which case the hometown is reorganized as a positive space where an ideology can be fulfilled. Oh, Jang-Hwan clearly presented his literary positions and poetic strategies after Liberation by publishing Esenin"s Collection of Poems and showed the pattern of expanding his poetic world by accepting Esenin’s works independently. He deepened his perception of “right now, right here” through Esenin’s poems and established a more active poetic methodology about the reality by renov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senin’s poems that he was critical of.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poems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laim their significance in that he accepted Esenin’s poems in a creative manner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교지 『徽文』의 오장환 ―발굴작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 문학의 기원

        장석원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3 No.-

        Oh, jang-hwan's poem "Riverside suburb" was unearthed in school magazine 『Hwimun』 11. In addition, the short stories in this book "Their brother" was showing. Oh, jang-hwan in this book will release a total of five works. One work of poem and one work of fiction has been unearthed by the author. Oh, jang-hwan excavated works of litera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Oh, jang-hwan. Oh, jang-hwan announced the debut of the poet "Mokyokgan" in 『Chosunmunhak』(the November, 1933). 『Hwimun』 10 and 11 was published in 1933. Ohjanghwan is the same year debut. 『Hwimun』 Oh, jang-hwan published in the poet's work here is that Oh, jang-hwan's authentic works. Work "Mokyokgan" and when the announcement published courtesy 『Hwimun』 11 a month is the interval time. Therefore, the school magazine published in 『Hwimun』 Oh, jang-hwan's five works here in the beginning of the literature is based not forced. 『Hwimun』 Oh, jang-hwan's poems and novels published in the practice of youth work is not. This feature works with Oh, jang-hwan's poetic works are unique. I have carefully reviewed the school magazine 『Hwimun』. Through this process, a novel "their brothers" have been unearthed. This novel is a detective story. This work took place between the twins the truth of the murder mystery novel technique is described as a short novel. Oh, jang-hwan's literary talent was confirmed. However, novel "their brothers" level of the finished work is not. 교지 『휘문』 11호에서 오장환의 시 「郊外의 江邊」이 발굴되었다. 또한 『휘문』 11호에는 오장환의 단편 소설 「그들의 兄弟」가 실려 있다. 오장환은 교지 『휘문』에 총 5편의 작품을 발표한다. 필자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시 1편과 소설 1편이 있다. 발굴된 오장환의 작품은 오장환 문학의 출발점이다. 오장환은 1933년 11월 『조선문학』에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시인으로 데뷔한다. 『휘문』 10호와 11호 두 권의 교지는 오장환의 등단 시기와 같은 년도인 1933년에 간행된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휘문』에 실린 오장환의 작품이 시인 오장환의 본격적인 작품이라고 여길 수 있게 되었다. 등단작 「목욕간」의 발표 시기와 『휘문』 11호의 발간 시기는 한 달 간격이다. 교지 『휘문』에 게재된 다섯 작품을 오장환 문학의 시초로 여길 수밖에 없는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휘문』에 실린 오장환의 작품은 청년 시절의 습작이 아니다. 오장환의 시가 지니는 특징의 맹아를 보유한 독보적인 수준의 작품이 교지 『휘문』에 게재된 작품이다. 『휘문』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발굴된 소설 「그들의 형제」를 확인하게 된 것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탐정소설이라는 장르 명칭을 달고 있는 이 작품은 쌍둥이 형제 사이에 벌어진 살인사건의 전말을 추리소설 기법으로 서술된 짧은 소설이다. 오장환의 문학적 재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소설 「그들의 형제」는 완성된 수준의 작품은 아니다.

      • KCI등재

        해방기 오장환의 인민주권의 상상과 월북의 내적 논리

        정영진(Jeong, Young-Ji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식민지 시기 일체의 정치적 행위와 자유가 막혀서 절망적 감정에 빠져 있던 오장환에게 해방은 진취적인 행위가 가능한 시대의 개시를 의미했다. 그는 인민주권의 새 나라, 즉 인민민주주의 실현을 열망하면서 실천적 삶을 살아가고자 했다. 오장환이 상상한 인민주권의 새 나라는 평등한 권리를 보장받은 인민들이 즐겁게 노동하고, 자유롭게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국가였다. 오장환은 인민주권이 확립된 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투쟁의 현장으로 나섰지만, 그곳에서 동지들처럼 실천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소시민적 한계를 발견했다. 이에 대한 끈질긴 탐구가 해방기 시에 고스란히 나타났다. 오장환은 시를 통해 이념형 인간은 실천 행위 속에서 완성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념은 실천 속에서 육체를 얻어야하며 그럴 때 형식주의에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투쟁하는 인민들을 통해 오장환은 깨우쳤기 때문이다. 인민들 사이의 심연을 자기반성과 실천의 문제와 관련지어 사유했던 오장환은 그 심연을 자신의 실천의 동력으로 삼았다. 생활과 신체/감각이 다르고 그렇기에 실천의 양상도 다를 수밖에 없는 동지들과 함께 하면서, 마침내 집단 이성과 강력한 규율이 마련된 데서 행위/실천의 토대를 발견하였다. 집단 이성과 강력한 규율이 상대적으로 확립된 북한 체제에서 인민주권의 실질적 획득을 전망한 오장환은 월북을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 해방기 오장환은 당대 이념적 · 담론적 차원에서 매끄럽게 구성된 인민주권과 인민민주주의를 상상하기보다는, 인민들 사이에 내재하는 심연을 매개로 상상했다. 그는 단일한 인민을 상상하지 않았다. 그의 시가 보여준 이 심연은 인민주권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촉발하고 인민에 대한 위계적 시선을 교란시키는 지점이다. 한국 시와 민주주의를 사유할 때 오장환을 유의미하게 고려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또한 인민이 가르치고 지식인은 배우는 관계를 오장환의 시만큼 환하게 보여주는 경우는 드물다. 다시 말하면, 오장환 시에서 일반적인 계몽의 주체와 대상은 역전된다. 한국문학사에서 인민과 지식인의 관계 설정 문제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것이었다는 점을 떠올린다면, 해방기 오장환의 시의 독특함을 여기서도 발견할 수 있겠다. The national liberation opened an era for progressive activities for Oh, Jang-Hwan who had been in despair due to the prohibition of all political activities and depression of freedo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 aspired for the realization of a new country with popular sovereignty, that is, people’s democracy, and wanted to live a practicing life. The new country with popular sovereignty imagined by Oh, Jang-Hwan was a nation in which the people guaranteed for equal rights could work merrily and enjoy cultural lives freely. Oh, Jang-Hwan proceeded to the field of struggle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country by the establishment of popular sovereignty, but there he found his bourgeois limitation not practicing like his comrades. His persistent quest about it appeared clearly in his poems written in the liberation period. In his poems, Oh, Jang-Hwan showed that an ideological man is completed by practicing activities. Oh, Jang-Hwan realized through the struggling people that Ideology should be shaped by practicing and in doing so we do not fall down to formalism. Oh, Jang-Hwan thought the abyss among people in relation to his self-reflection and the problem of practicing and used the abyss as the momentum for his practicing. Working together with his comrades who had different life, body and sense and as a result a different pattern of practicing, he found the foundation for practicing and activity 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 strong discipline. Anticipating a substantial re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n North Korea wher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 strong discipline are established relatively better, Oh, Jang-Hwan chose to defect to Nor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h, Jang-Hwan did not imagine popular sovereignty and people’s democracy constructed smoothly in the dimension of the ideology and discourse of the times. Rather, he imagined with the media of abyss inherent among people. He didn’t imagine a single people. The abyss shown by his poems is the point that prompts various thoughts about popular sovereignty and disturbs the hierarchical view of people. That is why Oh, Jang-Hwan should be considered meaningful when we think of Korean poetry and democracy. Also, the poems of Oh, Jang-Hwan clear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people and the learning intellectuals. In other words, the ordi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t and the object in enlightenment is reversed in the poems of Oh, Jang-Hwan. Thinking the complex and difficult matter of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intellectual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 can find the unique character of the poems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ere, too.

      • KCI등재

        오장환 시의 흐름과 위상

        유성호(Yoo, Sung-Ho)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오장환은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대립 자체를 철저하게 허구화한 시인이다. 그것은 오장환의 시가 그러한 이념적, 방법적 프리즘으로 규정되기에는 그 안에 너무도 많은 이질적 요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가 지속적으로 주체의 개진 문제와 현실과의 접점 문제를 고민하며 그 양상을 시적으로 실천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오장환을 ‘아방가르드의 시인’으로 읽어볼 필요와 마주치게 된다. 그만큼 그는 식민지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해 남다른 반응을 하였고 그것의 전면적 부정과 비판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비판적 안목은 해방기에 이르러 아방가르드의 미학적 저항보다는 현실에 직접 뛰어들려는 정치적 전위로서의 의지가 도드라지는 쪽으로 기울어간다. 오장환의 이러한 지향을 가능하게 했던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임화와의 영향관계이다. 임화는 1930년대 후반에 자신의 낭만주의론(論)을 펼쳐갈 때 자신의 시론적 지향과 가장 상부하는 존재로 오장환을 적극 발견하고 호명하였다. 그리고 오장환은 자신의 시와 산문을 통해 임화의 생각과 맞닿는 정서와 사유를 여러 번 피력함으로써 신진시인 가운데 유난히 임화와 근친성을 가지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그들은 해방기와 월북 시기까지 동일한 노선을 가지고 활동함으로써 마침내 정치적 귀착지까지 같게 되었다. 이는 일방적 영향관계라기보다는 오장환의 편력이 펼쳐져가는 가운데, 임화의 변모양상이 일종의 참조항이 되면서 오장환의 변화를 견인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근대 시사의 전통에서 이례적인 아방가르드 시인으로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타성적 분법(分法)을 넘어선 치열한 시정신의 전범으로서 오장환을 기록해갈 수 있을 것이다. Oh, Jang-Hwan is a poet who thoroughly fictionalized the opposition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It is because that there were too many different elements in his poems to be defined by thus ideological and methodological prism and also, because he had been consistently agonizing over the issue of the statement of the subject and contact point with reality and carried it out with his poems.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eded to read his poems as that of ‘avant-garde poet.’ That much, he responded unusually to the contradictions of colonial capitalism, and fully denied and criticized it. However, his critical discernment began to lean toward the political avant-garde in which the will to dive into the reality was more protruding than aesthetical resistance of the avant-garde. One of the reason for this tendency to be possible was the influential relation with Im Hwa. Im Hwa found and called Oh, Jang-Hwan as the person to be matched very well with the orientations of his criticisms when he was putting forth his theory of romanticism at the late 1930s. And several times, thorough his poems and essays, Oh, Jang-Hwan expressed his emotion and thoughts fitted with those of Im, Hwa and had come to have more similarity with Im hwa than other new poets. Ultimately, their political destination had come to be the same because they worked with the same line till the period of post-liberation and defection to the North Korea. This is not the result of one-sided influence. It seems that the transfiguration of Im Hwa became the reference and brought the change of Oh, Jang-Hwan. After all, Oh, Jang-Hwan could be described as an exceptional avant-garde poet and as an example of poet who maintained the intense poetic ethos passing over the habitual dividing of realism and modernism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 KCI등재

        오장환의 동시세계 연구

        곽효환(Kwak, Hyo-Hwa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오장환 시세계의 중요한 특징은 『시인부락』의 순수서정성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시인부락』이 비판하였던 모더니즘을 전면 부정하지는 않고 양편 모두에 비판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한국시의 순수서정성과 모더니즘이라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자세를 보이면서 여러 차례 시적 변신과정을 보이는 데 있다. 오장환의 시세계에 대한 평가와 조명은 이와 같이 어느 정도 모아지고 있는데 반해 그의 동시에 관한 논의는 아직 미진하다. 오장환 동시는 안성공립보통학교 재학 중인 11세 때 일본 천황의 즉위를 축하하는 기념호로 제작된 『어대전』 제9호에 실린 동시 「밤」(1928년 12월 24일 발행한 안성공립보통학교 학습회 학예부 문집에 수록)을 시작으로 총 51편의 창작동시와 1편의 번역동시를 발표한 것으로 확인된다. 오장환은 1933년 12월 『어린이』에 동시 「눈」을 발표한 것을 출발점으로 1934년 2월 역시 『어린이』에 「바다」, 「기러기」, 「수염」 등 3편을 발표하였다. 이어 1934년 7월부터 1940년 7월까지 『조선일보』에만 총 45편의 동시를 발표하였고 해방 후에 2편의 동시를 더 발표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오장환의 동시 창작은 시보다 먼저 시작되어 문학적 생애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창작,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오장환의 동시가 여기로 쓰여 진 것이 아니라 초기 문학세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장환의 동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는 오장환 시세계와 문학적 생애를 온전히 조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오장환 문학의 중요한 특징으로 꼽히는 시적 편력, 즉 시와 문학관의 변모과정을 살피는 데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t point of Oh, Jang-Hwan’s poetic world is that it is based on the pure lyricism of Siinburak(Poet Village), also it does not entirely denied the modernism which Siinburak had criticized, but it takes a critical attitude to both sid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pure lyricism and modernism by showing numerous times of poetic transformation processes. The evaluation and illumination of Oh Jang-hwan’s poetic world is gathered to some extent, but the discussion on his Children’s Poetry is still insufficient. Children’s poem of Oh, Jang-Hwan begins with the children’s poem ‘Night’ which was included in Eodaejeon No.9 a commemorative issue to celebrate the Japan Emperor’s enthronement while he was in Ahnsung public primary school at the age of 11, after that he published total 51 creative works of children’s poem and 1 translated children’s poem. In December 1933 Oh, Jang-Hwan started to announce the children’s poem ‘Snow’ in Children and in February 1934 ‘Ocean’, ‘Goose’, ‘Beard’ was published also in Children. Then, from July 1934 to July 1940, a total of 45 works of children’s poems were announced only in Chosun Ilbo and two more children’s poem works were announced after liberation. Judging from the fact that Oh, Jang-Hwan’s creation of children’s poems began before the poetries, and was constantly created and published throughout the literary career. It means that his children’s poems was not written just as some hobby but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early literature world. Therefore, the systematic and in-depth study of Oh, Jang-Hwan’s children’s poems will not only provides a complete overview of the poetry world and literary life, but also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e poetic wanderings ― the transformer process of poetry and literary prospective.

      • KCI등재후보

        오장환 동시 연구

        박병희(Park, Byoung Hee) 한국아동문학학회 2009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6

        이 논문은 이제까지 잊혀진 오장환 동시를 연구 분석하여 아동문학사에 복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족사의 비극인 6?25 전쟁이 휩쓸고 간지도 반세기가 지나고 있지만 그 비극의 상흔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오장환 동시는 휴전선에 묻혀 남과 북 양쪽에서 잊혀져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도종환 시인이 엮은 오장환 동시집「바다는 누가 울은 눈물인가」(고두미, 2006)에 실린 44편의 동시를 연구 대상으로 했으며, 아울러 보조 자료로 김재용 교수가 엮은「오장환 전집」(실천문학사, 2002)을 참고하였다. 오장환은 참혹했던 1930년대를 진보적 역사의식인 반전, 반봉건, 반제국주의, 일제에 의한 반근대화의 신념으로 비판적 리얼리즘 계열의 문학작품을 쓰면서 암울한 피식민지 시대를 오로지 시에 의지하여 단 한편의 친일시를 남기지 않은 채 온몸으로 헤쳐 나온 진보적 민족 시인이다. 오장환 동시의 연구 분석한 결과를 간추리면 첫째, 오장환 동시는 30년 대 비분강개조의 관념위주 계급주의 아동문학에 치우쳐 동심을 잃어버리지 않았고 20년대의 애상적이고 교훈적인 동심천사주의에도 빠지지 않았다. 오로지 아동의 눈높이에서 놀이정신으로 살아있는 동심을 표현하였다. 생명을 가진 작고 여린 자연과 사람에 대한 연민을 정서적으로 잘 조화시켜 표현하였다. 둘째, 오장환 동시는 전통 시가에서 변형되어온 4·4조(2음보)와 일본의 전래동요와 창작동요의 운율인 7·5조(3음보) 정형률의 틀을 벗어버린 자유로운 형식으로 30년대 중반부터 자신의 진보적 사상을 운율에 실어 현대 자유 동시 형식의 서술시를 썼다. 이는 정지용과 함께 정형률의 동요에서 자유 동시로의 발전에 커다란 문학적 이바지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오장환 동시는 참신하면서 경쾌하고 발랄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생생한 동심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30년대 여러 지방의 방언들을 시어로 사용하여 방언과 표준어 연구의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풍부한 방언의 활용으로 다양하고 아름다운 국어의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forgotten children poetry of Oh Jang Hwan and the restoration into the children literature. It’s been over half a century since the nation’s tragic 6.25 war has left scars and by this made the poetry forgotten by both the north and south buried in the truce line. This article deals with 44 poems from the collections of children poetry「The Sea is tears of whom」by Oh and made references from「Oh Jang Hwan Complete Collection」by professor Kim Jae Young as supporting material. While Oh Jang Hwan wrote literature of critical realism with progressiv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anti-war, anti-feudal, anti-imperialism from Japanese imperialism underneath, he is a progressive national poet who relied on poetry alone through the darkest ages and left not one Japan appraisal poem. In summary, first of all, Oh’s poetry not only did not lose the heart of the children by concentrating on the sorrowful indignation of idealism and sense of class distinction but also was not lost in grief and didactic heart of children heart angelism. His poems are solely concentrated on expressing lively hearts of children through their level of compreheshion. The hearts of the children through play hood and nature, which has vitality, and affection and compassion towards mankind are well coordinated and expressed. Secondly, Oh wrote poems that are contemporary free form with rhymes that are conveying his progressive aspects from the middle of the 30’s and are different from the 4.4 (2 syllable) transformed from traditional poetry and 7.5 (3 syllable) from Japanese transcending nursery songs and creative nursery songs. Thirdly, Oh’s poems are lively using innovative, buoyant, sprightly,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gether with the use of the 30’s dialects. Moreover they are precious material for standard and dialect language study and also demonstrate the wonderful use of Korean through the use of abundant dialects.

      • KCI등재

        매개자로서의 오장환 ― 해방기 오장환 시론의 생성 과정 연구

        신동옥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吳○煥’은 1987 체제 이전까지 문학사에 기입된 수많은 삭제 표시 하의 ‘이름’ 가운데 하나였다. 오장환에 대한 해방기 이전의 평가는 모더니스트 김기림, 리얼리스트 임화, 순수주의자 김동리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일관된 ‘미적 가능성’으로 집약된다. 이 글에서는 해방과 해방 이후 오장환의 ‘시적 가능성의 발로와 확인’에 대한 낙차를 ‘吳章煥’과 ‘吳○煥’ 사이의 거리로 명명하며, 시인 오장환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지점을 시적인 실재의 문제의식으로 전유했다고 가정한다. 아울러 오장환이 선택한 매개는 ‘전통과 현실’의 의미를 ‘생활과 현실’의 맥락으로 치환하는 코드화 과정이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논증의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우선 해방 전후 오장환에 대한 평가에서 비롯된 ‘압력’과 그 지향점을 임화의 비평을 중심으로 김기림, 김동리의 비평을 나란히 놓고 확인한다. 오장환은 월북 전후에 ‘김소월 읽기’에 매진한다. 오장환은 소월 읽기를 통해 ‘양심의 지상명령’을 현실로 보여주는 ‘행동의 직접성’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오장환은 해방기에 내놓은 일련의 결과물에서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는데 결과적으로 실패한다. 해방기 이후 오장환은 삭제되고, ‘吳○煥’은 사라지는 매개자의 역할을 떠맡는다. ‘Oh ○-Hwan’ was one of the many ‘expurgated names’ in literary history before the 1987 regim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re-release evaluation of Oh Jang-hwan is summarized as a coherent “aesthetic possibility” that can be confirmed by modernist Kim Ki-lim, Realist Lim Hwa and Purist Kim Dong-ri. In this article, I named the distance between ‘Oh Jang-hwan’ and ‘Oh ○-Hwa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and confirming of poetic possibility’. It is assumed that poet Oh Jang-hwan has structurally justified the same point as a consciousness of poetic reality. In addition, Oh’s choice of mediation focuses on the argument that it is a coding process that replaces the meaning of ‘tradition and reality’ with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and reality’. To this end, I first confirm the criticism of Kim Ki-rim and Kim Dong-ri based on the criticism of Lim Hwa on the “pressure” by his teleological arguments. Oh Jang-hwan devotes himself to reading Kim So-wol before and after North Korea. Oh Jang-hwan leads the conclusion that ‘the directness of action’ which shows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conscience’. Oh Jang-hwan eventually fails to realize this demand in a series of liberation period outcomes. After the liberation period, Oh Jang-hwan is expurgated, and ‘Oh ○-Hwan’ assumes the role of a vanishing mediator.

      • KCI등재

        오장환 시 연구 -예세닌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라영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7

        오장환은 일제강점기, 동경에서 ‘불운의 극’을 헤메일 때 에세닌의 시를 ‘나의 예세닌’ 즉 그의 가난과 향수를 위로하는 의지처로 삼았다. 예세닌의 ‘고향’이 모스크바의 대척점이자 유년의 시골과 어머니에의 연민과 가장의 책임을 불러오는 현실적 시골이라면, 오장환의 ‘고향’은 서울과 동경의 대척점을 넘어서 아들로서의 책임과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을 불러오는 이상적 안식처이다. 그리고 예세닌은 아들을 기다리는 어머니를 향한 마음은 드러내지만 어머니의 전통적 신앙을 명확히 반대한다. 한편, 오장환은 전통적 가치를 지닌 어머니의 관점을 이해하면서 어머니에게 자신의 이념을 설득시키고자 한다. 예세닌은 이 자책감을 ‘망나니’로서 나타내지만, 그것은 자기방어적 형상에서 ‘러시아의 훌륭한 시인’이라는 자기긍정으로 곧장 나아간다. 한편, 오장환은 이 자책감을 ‘탕아’로서 나타내며 자기비하적 형상에서 ‘이가슴에 넘치는 바른 뜻’을 향해 겨우 나아간다. 그럼에도 오장환의 ‘탕아’의 ‘낼룽대는 혓바닥’은 일제의 태평양전쟁의 야욕을 사실적으로 고발하는 것(「전쟁」)으로 구체화된다. 그가 말한, ‘탕아’의 ‘불길한 노래’는 홀어머니에 대한 자책이라는 사적 영역과 해방에의 헌신이라는 공적 실천 그 사이에서 고뇌하던 자신을 향한 자기비하였던 것이다. 오장환은 해방 후, 본격적으로, 예세닌 번역집과 평론을 쓰면서 자기투영적이던 ‘나의 예세닌’을 넘어 비판적 관점에서 ‘정말 예세닌’에 접근하였다. 그럼에도 그는 번역시집의 체제, 의역, 발췌 등에서 시골청년의 세속적 욕망과 열정에의 발로라는 실제의 예세닌보다는, 새 이념을 행한 그의 이념적 확신을 부각하였다. 오장환은 예세닌을 ‘농민시인’이 아닌 ‘도회시인’이라 평하였으며 예세닌이 전 사회에서 새 사회로의 ‘과도시대 최후의 시인’임에 의식적이었다. 그는 예세닌의 「농촌 최후의 시인」에서 농촌배경과 농민의 삶보다는 전통사회의 격변을 알리는 ‘무쇠의 손님’에 주목하고 있다. 예세닌이 농민생활과 의식 변화를 가져오는 러시아혁명을 찬양한 것과 마찬가지로, 오장환역시 ‘공산주의에의 길’과 ‘노동자와 농민의 나라’(「붉은 기」)를 찬양하였다. 그럼에도 둘 다는 과도시대 혁명과정에서의 폭력성 그리고 혁명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전 사회에 속한 ‘무고한’ 사람들을 주시하고 있다. 즉 오장환은 예세닌의 죽음이, 새사회의 이념에 동조하면서도 전사회와 새사회의 틈바구니에서 희생되는 이들의 한 형상으로서 간주하였다. 그럼에도 오장환역시 그러한 이념적 딜레마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공청의 뒤에서의 줄달음질’(「가버리는 러시아」) 즉 이념으로부터의 도피라는 의역으로 드러내고 있다. 오장환의 ‘나의 예세닌’은 해방 전 동경에서, 예세닌의 ‘향수’와 ‘방황’의 시에 의지하여, 가난과 향수에 방황하면서도 ‘항일저항’의 ‘이념’을 키우던 그의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그의 ‘정말 예세닌’은 해방 후 서울에서, 예세닌의 ‘이념지향’과 ‘그 딜레마’의 시에 의지하기보다는 이를 비판적으로 조망하고 ‘새 나라 건설’의 의지를 키우던 그의 모습을 나타낸다. 오장환에게, 예세닌의 두 얼굴은 자신을 투영, 위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는 예세닌의 ‘이념적 딜레마’를 통해 자신의 시와 삶을 변증법적으로 지양, 극... When Oh Jang-hwan was wandering around the "extremity of misfortune" in Toky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garded Yesenin's poem as a place to comfort his poverty and nostalgia :‘my Yesenine’. If Yesenin’s‘home town’- a symmetrical point of Moscow - is a realistic place that brings the childhood countryside, the sympathy for the mother, and the responsibility as a breadwinner, Oh Jang-hwan’s‘hometown’is an ideal place to bring responsibility as a son and longing for the mother beyond the opposite point of Seoul and Tokyo. And while Yesenin reveals his mind about his mother waiting for him, he clearly opposes her mother's traditional faith. On the other hand, Oh Jang-hwan tries to persuade his mother to understand his faith, understanding his mother's traditional faith. Yesenin expresses this guilty conscience as a 'Lout', but he goes straight from self-defense to self-affirmation as a 'good poet of Russia'. On the other hand, Oh Jang-hwan expresses this guilty conscience as a 'Libertine' and barely moves from a self-deprecating figure to 'the affluent right will of my heart'. Nevertheless, Oh Jang-hwan's‘licking tongue’of libertine is embodied as a realistic accusation of the greed of the Japanese imperialist Pacific War. The 'Ominous Song' of 'the libertine' he said was reproaching himself who was suffering between the private area of​​the guilty conscience to the single mother and the public area of dedication to liberation. After liberation of Korea, Oh Jang-hwan approached ‘Real Yesseni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beyond his self-projective 'My Yessenin' through earnest writing a translation book and review of Yessenin. Nevertheless, he emphasized his ideological conviction for new ideology rather than expressing Yessenin’s secular desire and passion as a rural youth by the structure, liberal translation, and selecting poems in his translated book. Oh Jang-hwan described Yessenin as a 'urban poet' rather than a 'rural poet' and was conscious that Yessenin was the 'last poet of the transition-period' from the previous society to a new society. In Yesenin's "the last poet of rural areas", Oh Jang-hwan focuses on the "guest made of iron" that informs the upheaval of traditional society rather than the rural area and lives of farmers. Yesenin praised the Russian Revolution, which brought about the change of peasant life and consciousness. Likewise him, Oh Jang-hwan also praised the‘road to communism’and the‘country of labors and farmers(「a red flag」). However, both of them observed the 'innocent' people belonged to the previous society who could not adapt to the violence and revolutionary change in the transitional era of revolution. Oh Jang-hwan regarded Yesenin's death(suicide) as an example of people who were sacrificed in the gap between the previous society and the new society, while agreeing with the ideology of the new society. However, Oh Jang-hwan revealed constraint of such an ideological dilemma by liberal translation : the escape from ideology -“running away behind the communist youth union" (「disappearing Russia」).

      • KCI우수등재

        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손민달(Son, Min-dal)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 나타난 물화의 양상을 살펴 오장환 시가 보여준 근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장환 시의 근대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분화 혹은 결합의 양상으로 제시되었다. 물화 비판을 통해 오장환 시의 근대성을 확인하는 것은 한국문학의 세계문학적 보편성을 확보하는 일이 될 것이다. 오장환은 1930년대 확대되어 가는 근대 자본주의 도시 노동자의 삶을 비판적으로 보여주었다. 그의 눈에 비친 당대 자본주의 노동은 기계의 부속품처럼 사물화 되었으며 ‘교환가치’에 치중한 나머지 본래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나아가 그는 계급적 대립을 통해 자본가가 바라본 모든 객체가 물화화 되었다고 보았다. 여성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에서 단순히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상품화된 성을 통해 여성은 근대적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주체적 남성에 기대어 살아가는 전근대적 여성으로 전락하고 만다. 오장환은 여성의 물화가 인간과 인간의 물화관계에서 확대되어 인간 자신을 상품화하여 결국 현실과 대결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남게 된다고 보았다. 공동체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 해석에서 단순히 전통에 대한 부정으로 귀결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오장환의 시가 보여준 공동체의 물화는 그가 가문이나 가족, 혹은 민족에 대해 가지는 식민지 근대의 문화적 속성을 비판하는 기능을 한다. 그는 전통적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폭력성은 피하면서 상품화되어 가는 공동체를 통해 근대자본주의의 한계를 인식하고 ‘상상의 공동체’를 무화한다. 식민지적 근대의 단면을 ‘물화’라는 형식을 통해 가장 비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오장환 시의 문학사적 가치는 재확인 된다. ‘물화’는 그의 시를 한국문학으로서의 특수성과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nity revealed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through reification in his poems.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either applied the dichotomy of form and content as it was or focused on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r combination between modernism and realism. The present study will claim its significance by securing the universality of modernity found in the poetic literature of Korea. Oh critically presented the life of urban workers in modern capitalism that was expanding in the 1930s. He observed the capitalist labor of the times becoming the object of reification like the parts of a machine and losing the values of labor that were heavily inclined toward the "exchange value." Furthermore, he well demonstrated the reification of capitalists" perceptions of objects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classes. In his poems, the reification of women does not end merely at the level of commercializing women. Through the commercialized gender, women fail to grow into modern subjects and degenerate into pre-modern women that depend on the subject perceptions of men. The poet criticized that the reification of women made women remain as a "marginal man" incapable of confronting the reality by commercializing themselves beyond human relationships. The reification of community displayed by the poet fills up the parts that require interpretations more than just a denial of tradition when it comes to the interpretations of his poems. His reification of community also criticized the cultural attributes of colonial modern times that he saw in the clan, family or people. He eliminated an "imaginary community" by avoiding the violence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capitalism through a community that was being commercialized. His poetry attains its valu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showing the aspects of colonial modern times in the most tragic fashion. His poems extend to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by checking the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and further delving into the problems of modern days.

      • KCI등재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장만호 ( Man Ho Jang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이다. 해방 후 발간된 『病든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해방기 시편들과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월북 이후 오장환의 시를 통해 해방에서 월북에 이르는 오장환의 시적 이력과 정치적 행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가 찾아낸 오장환의 시 「탑」과 번역시 「튀스터-氏」, 한효의 오장환 관련 평문은 해방을 맞이한 순간부터 월북에 걸친 시기의 오장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장환은 식민지 시기의 행적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일회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이 점에서 오장환의 자기반성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의 해방기 시편들은 피식민의 역사를 건너 온 한 시인의 자기반성과 머뭇거림을 당대 어느 시인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개아적(個我的)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월북 후 오장환은 「탑」을 발표하는데 이 시는 식민지 시기 「絶頂의 노래」와 상호 참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탑」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다짐을 노래하였지만 북한 내에서 이 시는 봉건적이며 재래적인 시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두 시의 대상인 ``탑``의 거리는 오장환 개인에게 있어 피식민의 억압으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기약하고자 한 바람의 거리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사로 보면 해방기 남과 북, 또는 정치와 시의 거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career as a poet and political practices from the liberation to detection to North Korea through his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yeong-deun Seoul``(Diseased Seoul)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poems written after his detection to North Korea, newly unearthed by the author. Especially, his poem ``T`ap``(Pagoda) and translated poem ``Mister Twister`` newly unearthed and Han, Hyo`s criticism related to Oh, Jang-hwan are expected to offer new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Oh`s poems. It seems that Oh, Jang-hwan had been thoroughly and consistently reflecting on his whereabouts in the colonial period not as a one-off thing and in this respect, we needs to shed new light on Oh`s self-reflection. Hi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much more clearly showed self-reflection and hesitation of a poet who had passed the history of colonized nation than any other poets in that period and displayed ``individual sincerity`` based on this. After detection to North Korea, Oh wrote ``Pagoda``, which showed the cross-referential characteristics with poem ``Song of Zenith``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He expressed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in poem ``Pagoda``, however, it was criticized as feudal and conventional in North Korea. To Oh, Jang-hwan,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bjects of poems, was the distance of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free from the suppression due to the colonization, but it also showed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or politics and poetr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history back t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