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벨팅의 예술종언론과 현대미술의 기술 방법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19-20세기로의 전환기 예술가들은 창작의 목표를 대상의 모방적 정확성에 두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것은 예술사의 본성에 의문을 제기함과 동시에 재현적인 정확성의 목표도 포기하도록 이끌었다. 그 상황을 반영하는 학설들은 제들마이어의 근대예술비판론, 그리고 벨팅, 후쿠야마, 단토, 모건, 쿠스피트로 이어지는 예술종언론이었다. 벨팅은 자신의 『예술종언론?』 후반부에서 바자리의 『예술가열전』을 분석하면서 예술의 역사적 발전, 그리고 추후의 예술사 저술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시험했다. 예술이 르네상스로부터 지속된 전통적인 예술사학자들이 수행한 규범적 판단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기보다는 차라리 현재에 유행하고 있는 태도들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어야만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당시에는 결정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다가 2000년 이후에야 현대미술의 전개를 당대의 다양한 문화사적, 인종사적, 더 나아가서는 인류학적 맥락에서 기술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전형을 제안하기보다는 차라리 개별적인 작품들에 대해 관심을 늘릴 것을 권유한다. 그가 고민 끝에 제시한 예술사 방법론은 이미지 이론과 형상인류학이었다. 결론적으로 그는 지구촌의 시대에 부응하여 인류학을 예술사학에 끌어들임으로써 그 학문의 지평을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Hans Belting, through an examination of Vasari`s Lives of the Artists in the second-half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inspected the influence up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writings of art history. It implies that any kind of art history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function and experience is ultimately inadequate. For art must be considered not from the canonical judgment persistently pursued by traditional art historians in the Renaissance period, but from the attitude in vogue recently. Various art movements produced since the modern times were a worldwide trend beyond the limits of race or region. Thus it would be compulsory to avoid a method to discuss an art form that belonged to a country or cultural network like the Renaissance period. The pivotal theme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was to attempt to discover a method for overcoming the separation of modern art history from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and experience. What is meant by his book is not an end of that discipline, but that of a special concept such as art-historical development as a continuity of meaningful and developing history. It was to grope at a methodology to write about an art form after modernism, proceeding in a pattern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Well, Belting advises us to increase our concern on individual artworks rather than to propose a new type. For he saw the unprecedented variety of modern art. His final methodology of art history was image theory and Bildanthropologie. For instance, the images that he suggested with Video art were real and fictional ones, that is, which speaks for the phenomenon of modern culture. He grasped a methodical motif for writing about modern art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lting is endeavoring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Video art, just as Danto`s attempt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Pop art, who argued the end of art in a voice as same as him. Additionally, he is expanding the horizon of that discipline worldwide, by inducing anthropology into the realm of art history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From that sense, his innovative art history could be called a broad-sense art history or image art history or anthropological art history.

      • KCI등재

        아름다움과 성스러움: 존재 유비로서의 예술과 예수

        손호현(Sohn, Ho-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5

        예술가가 아닌 자는 기독교인이 아니다'고 윌리엄 블레이크가 말할 만큼, 아름다움과 성스러움은 성육신의 존재 유비(analogia entis)로 이해될 수 있다. 본고는 종교와 예술의 네 가지 유형론적 사유를 구성한다. 동일기원론은 예술과 종교가 단일한 역사적 기원을 가진다는 입장이다. 예술종언론은 현대에 예술의 종교적 사명은 끝났으며, 이제 철학의 개념적 사유가 그러한 사명을 이어받았다는 견해이다. 예술구원론은 종교가 아니라 예술이 이제 인류에게 비종교적인 구원을 제공한다는 주장이다. 예술표현론은 예술과 예수는 성육신이라는 존재 유비의 구조를 가지며 세계 속 하나님의 성례전적 현존을 가능케 한다는 입장이다. 결론에서 필자는 예술종언론이 신학의 텍스트로서의 예술이 지니는 지속적 중요성을 간과하였으며, 신학이 종교적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예술이라는 텍스트를 재발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예술구원론이 예술의 위로하는 힘 후경에 놓인 신비의 익명성을 보지 못했으며, '오직 신만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는 하이데거의 진술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동일기원론과 예술표현론을 옹호하며, 예수와 예술은 하나님의 시(詩)라고 하는 성육신의 존재 유비를 가지기에 '역사적 성육신'은 '미학적 성육신'으로 재현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 글을 마무리한다. The man or woman who is not an artist is not a Christian,' says William Blake. Beauty and holiness form analogia entis. This article suggests four typological paradigms between art and religion. The 'co-origination' theory claims that both religion and art share one single historical origin about 50,000 years ago in human history. The 'end-of-art' theory announces the death of art in its religious vocation and the importance of philosophical concepts for this purpose. The 'art-salvation' theory voices the opinion that the salvation of humanity now depends on art, not religion. The 'art-expression' theory claims that both art and Jesus make God's sacramental presence in the world possible in their historical or aesthetic expressions. The article concludes with the criticism that the end-of-art theory ignores the permanent value of art as forgotten theological text to avoid religious elitism in theology. The art-salvation theory misses the anonymity of mystery beneath the seemingly salvific power of secular art. As Martin Heidegger confesses, 'only a God can say us.' Lastly, depending the co-origination theory and the art-expression theory, the author claims that art and Jesus are God's own sacramental poem, and that the historical incarnation of Jesus must be reenacted in the aesthetic incarnation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