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Q 공동체의 성령이해에 대한 연구 : 사복음서와 비교연구

        조남식(CHO NAM-SIK) 한국Q학회 2017 예수말씀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Q 공동체의 신앙과 삶을 살필 수 있는 예수말씀(Q)을 통한 Q 공동체의 성령이해에 관심을 기울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Q 공동체가 성령을 이해하는 것은 누가나 바울처럼 성령을 능력이나 은사 중심이 아닌, 성령의 인격성을 중심으로 이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있다. 예수께서 공생애 동안의 사역이었던 가르치시고(Q 7:22, 14:5), 설교하시고(Q 6:20~49), 병을 고치시고(Q 7:1~9), 능력을 행하시고(Q 10:13), 귀신들을 쫓아내시고(Q 11:14, 18~20), 영들을 분별하시고(Q 4:1~13; 11:24~26) 등은 초기 교회가 경험한 성령사역과 그 내용이 매우 유사하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께서 공생애 동안에 행하시고 가르치신 모든 일이 하늘로부터 임한 성령의 능력으로 행한 사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성령의 이해도 예수의 공생애 사역과 분리되어 이해하는 것은 성령에 대한 관념적인 이해로 치우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들을 피하기 위해 예수말씀을 중심으로 성령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였다. 또한 역사적 예수의 한 인격 안에 신성과 인성이 완전하게 공존하였던 것처럼, 성령의 인격 안에도 성령의 신적인 면과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전제로하여 본문들을 살펴보았다. Q 문서를 통해 알 수 있는 성령에 관한 말씀은 매우 제한적이지만, 우리는 마태와 누가복음에 들어와 있는 Q 공동체의 예수말씀을 통해 Q 공동체의 성령론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Q 공동체의 성령에 대한 말씀들을 토대로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등에 더 나아가 요한복음에 나오는 평행 본문들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Q 문서에서는 Q 3:16, 22, 4:1, 11:20, 24, 12:10, 12 등에서 성령에 대한 말씀을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말씀가운데,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시는 분(Q 3:16), 수세후의 성령강림(Q 3:22), 사함을 받지 못하는 죄로서의 성령모독에 대한 말씀(Q 12:10), 할 말을 가르치시는 성령(Q 12:12) 등의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Q 공동체가 이해한 성령의 인격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령과 불로 세례주시는 분 안에서 나타난다(Q 3:16).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질서를 가져오시는 예수께서는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심으로 자기백성을 돌이키신다. 성령은 자기 백성을 사랑하셔서 그들을 자기에게 더 가까이 이끄시며, 그들이 하나님의 계명에 능동적으로 순종하도록 이끄신다. 더 나아가 예수께서 성령세례를 베푸심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로써 성령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으로 믿는 자들을 부르시고 십자가의 은혜 속에 거하게 하신다. 또한 예수의 수세 후에 비둘기 같이 임한 성령의 강림(Q 3:22)은 하나님의 새 창조의 사역을 시작하시는 것이다. 예수의 공생애 기간에는 이러한 새 창조의 역사가 예수에게 집중되었지만, 이제는 비둘기처럼 임하시는 성령께서 임재하시는 교회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비둘기와 같은 성령의 수여는 하나님께서 친히 예수에게 능력과 권위를 부여한 사건이며, 동시에 예수의 추종자들에게 예수의 길에 동참하도록 부르시는 것이다. 또한 사함을 받지 못하는 죄로서의 성령모독(Q 12:10)의 말씀은 성령의 신성을 강조한다. 성령은 창조 때에도, 예수의 모든 사역에서도 나타나셨으며, 예수의 치유와 축귀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셨다. 성령은 인간의 자기중심적인 이해나 이기적인 욕망에 의해 신성모독을 당하지 않으신다. 오히려 성령은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성령의 인도하심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순종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신다. 마지막으로 성령께서는 고통당하는 하나님의 종들과 제자들 속에서 함께 계셔서 합당한 말을 가르쳐 주신다(Q 12:12). 마태는 성령을 아버지의 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녀들을 사랑으로 돌보시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시는 아버지요, 위기의 순간에 도우시고 힘주시는 아버지이심을 말한다. 요한복음은 보혜사라는 성령의 이름을 통해 성령께서는 자녀들의 어려움과 환란을 살피시고, 도우시며, 진리로 인도하신다. 또한 누가복음에서는 예수께서 친히 1인칭의 표현으로 도우실 것을 약속하신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in the Q community through Jesus sayings of Q which show the belief and life of the Q community.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Q community understood the Holy Spirit which is different from Luke and Paul to understand the Holy Spirit by on the ability or on charisma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 Public life, Jesus taught (Q 7:22, 14:5), preached (Q 6:20~49), healed (Q 7:1~9), practiced (Q 10:13), exorcist (Q 11:14, 18~20), and discern (Q 4:1~13; 11:24~26), which is very similar with the spiritual work done by the early church. Therefore, all works of Jesus in the public life could be regarded as the work by the ability of Holy Spirit from the heaven. And when we understand the Holy Spirit seperately from the work of public life, it is likely to bias toward conceptual understanding for the Holy Spirit. Thus to avoid this concerns, this article has been studi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ith focusing on Jesus sayings. Also as if there coexistences both a divinity and a humanity in on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Jesus, this article has premised that it was same for the Holy Spirit. Even though we could get the saying of the Holy Spirit very restrictly from Q, we can get the extended understanding for pneumatology of the Q community through the Jesus sayings of the Q community in Matthew and Luke. Thus based on sayings of the Holy Spirit in the Q community, this article has studied the parallel text among Matthew, Mark, and Luke, John as well, which will mak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We can reach the text of the Holy Spirit on Q 3:16, 22, 4:1, 11:20, 24, 12:10, 12 in Q.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developed by below order; the one who giv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Q 3:16), the Pentecost after baptism (Q 3:22), blasphemes against the Holy Spirit as not be forgiven (Q 12:10), and the Holy Spirit to teach word to speak (Q 12:12). The characteristic of the Holy Spirit that the Q community understand is as below. First, it has appeared in the one who baptizes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Q 3:16). Jesus brings new order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by baptizing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calls his people to go back. The Holy Spirit loves his people, so that he leads them to him more closely and to follow to the commanders of God actively. Furthermore, the baptizing with the Holy Spirit of Jesus indicates to the cross as well. With this the Holy Spirit calls the people who believe the cross, and makes them live in the grace of the cross. Also the pentecost after the Baptism (Q 3:22) is to start the work of new creation of God. Even though during the Public life of Jesus this work of new creation was focused on Jesus, now this has being done by the church which the holy spirit has presented as like a dove. The pentecost of the Holy Spirit as like a dove is the event that God give personally the ability and authority to Jesus. At the same time, it was the calling the adherent of Jesus to participate to the way of Jesus. And blasphemes against the Holy Spirit as not be forgiven(Q 12:10) emphasizes the divinity of the Holy Spirit. The Holy Spirit presented in the time of the creation and appeared in all the works of Jesus, and showed visibly that the nation of God is presented in the spot of healing and exorcist by Jesus. The Holy Spirit is not desecrated by self-centered understanding or selfish desire. Rather the Holy Spirit wants that the church live up to obedient to God’s will under the lead of the Holy Spirit. Finally participating with the servant of God and disciples under suffering, the Holy Spirit teaches the reasonable words to speak(Q 12:12). Matthew expresses the Holy Spirit as the spirit of God, so that he speaks that the Holy Spirit cares his sons with love, and he is the father who does not give up absolutely and help and empower his sons in the crisis.

      • KCI등재

        생전예수재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노명열(혜일명조)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란 죽은 뒤에 행할 불사(佛事)를 살아 있을 당시에 미리 닦아 사후(死後)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한 것으로, 비로자나ㆍ노사나ㆍ석가모니 부처님을 위시하여 지장보살ㆍ육광보살ㆍ육대천조ㆍ도명존자ㆍ무독귀왕ㆍ대범천왕ㆍ제석천왕 등을 증명으로 모신 후 전생에 진 빚을 명부시왕(冥府十王)과 시위권속(侍衛眷屬)인 판관ㆍ귀왕ㆍ장군ㆍ동자 등에게 헌공(獻供), 이를 명부세계 고사ㆍ판관에게 헌납(獻納)하여 누구라도 이 세상을 하직할 때 쾌락한 곳에 태어나길 발원하려는 목적으로 설행하는 재 의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생전예수재는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에 이르기까지 윤(閏)달이 드는 해에 전국 모든 사찰에서 설행해 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불자에게 있어 영산재(靈山齋)ㆍ수륙재(水陸齋)와 더불어 매우 친숙한 재 의식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현행 생전예수재는 전생의 빚을 갚는 목적보다 상세선망 부모님을 비롯한 인연 있는 망자(亡者)를 청해 공양을 베푸는 천도재(薦度齋)와 같은 역할로 전환되는 느낌을 들게 한다. 의식의 절차 중 절반 이상을 망자를 청하고 모시는 시련(侍輦), 대령(對靈)과 목욕시키는 관욕(灌浴) 그리고 공양을 베푸는 시식(施食)에 할애하고 있음이 이를 대변한다. 그 결과, 본래 목적에 필요한 다양한 의식의 절차가 축소, 생략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생전예수재가 본 목적에 부합해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온전한 목적의 재 의식 절차가 무엇인지 확인하여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1장에선 현행 생전예수재의 절차가 정립되는데 큰 영향을 준 『예수재의범』을 비롯한 각종 『요집』의 절차를 분석하고 아울러 송강스님의 증언과 필자의 경험을 통해 현행하는 보편적인 의식의 절차를 알아봤으며 제2장에선 『석문의범』에 실려 있는 조선시대,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의 절차와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설행목적에 부합하는 의식의 구성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행 생전예수재 절차에서 들어난 문제점을 진단했으며 제4장에서는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간과 장소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생전예수재의 발전을 위한 대안은 기존의 것을 유지시키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부분은 수정하고 필요한 부분은 복원하며 완성도 높은 재현을 실천해야 한다. 수정과 복원 그리고 재현이 곧 생전예수재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Saengjonyesujae(the commemorative rites for oneself: 生前預修齋) is to pray for the repose of one's soul after death by conducting a Buddhist ritual while alive in advance. In other words, the ritual commences with VairocanaㆍNosanaㆍSakyamuni Buddha and after Ksitigarbha BodhisattvaㆍYukkwang BodhisattvaㆍYukttaecheonjoㆍDaomingㆍMudokgwiwangㆍMahabrahmanㆍS'akrodevandra are enshrined, Myungbushiwang and Siwigweonsok including PangwanㆍGwiwangㆍJangunㆍDongja are served to pay of Karmic Debts and Myungbusekye such as GosaㆍPangwan are dedicated so that anyone wishes to be born in comfortable place when he leaves this world. Saengjonyesujae has been conducted in every temple throughout the country when a leap month sets in a year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therefore, it is one of the familiar rituals as well as Yeongsanjae(靈山齋)ㆍSuryukjae(水陸齋). However, from some point, the purpose of Saengjonyesujae seems to have transformed paying of Karmic Debts from holding service for the deceased related one including parents, same as Cheondojae(薦度齋). It is represented in that more than half of the ritual procedure consists of Shiryun(侍輦), Daeryung(對靈), Gwanyok(灌浴), that is giving a bath, and Shisik(施食), presenting an offering. As a result, it has produced side effects of contracting and cutting a ritual variety of procedure which is essential for original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firm and establish a ritual procedure of whole purpose in order to develop it in accord with its original purpose. As an alternative, in chapter 1, the procedures in a variety of 『Yojip』 as well as 『Yesujaeeuibyum』 have been analyzed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current Saengjonyesujae procedure and a general procedure at present has been identified on the basis of Monk Songang’s demonstration and the writer’s experience. In addition, in chapter 2, the construction of ritual corresponding to performance purpose have been confirmed by checking the procedure and contents of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 in 『Seokmuneuibyum』 from the Joseon Dynasty. In chapter 3, the problems of Saengjonyesujae procedure have been diagnosed and in chapter 4, the ways applicable depending on certain time and place based on the suggested contents have been introduced. It is not enough to stay in existing alternative for the improvement of Saengjonyesujae. Unnecessary parts should be modified, essential parts should be restored and reproduction should be realized in higher quality. Modification,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Saengjonyesujae.

      • Q의 역사적 예수와 신학화 작업

        나요섭(Jo seph Na)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1

        Q는 네 번에 걸쳐 편집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공책을 덧붙이듯이 중보를 통해 발전되었다. 필자의 판단으로 첫 번째 편집단계는 세례 요한과 예수의 말씀과 사역에 대해서 서술하는 점에서 역사적 자료라고 보여준다. 두 번째 편집단계는 오직 예수에게만 집중하는데, 이때 그는 상징성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세 번째와 네 번째 편집단계에 이르러서는 예수에 대해 신학화 작업을 한 것 같다. 전자는 예수를 초월적인 '사람의 아들'로 서술했으면 후자는 예수를 새 이스라엘의 지도자로 서술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편집단계에 서술된 예수는 역사적이기보다는 신학적인 모습을 띄게 되었다. 그러므로 역사적 예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Q의 첫 번째와 두 번째 편집단계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Q is supposed to be composed of four redactional layers. To my judgment, the first layer lists what the historical Jesus and John the Baptist said and did. And then, the second layer focuses on what Jesus is supposed to have said and done. However, the later two layers reveal what the redactors tried to theologically describe Jesus. In other words, the third and the fourth redactors put their theology on Jesus. In this way, they laid the groundwork for making Jesus their religious leader and an object of worship in the 40s C.E.

      • KCI등재

        연구논문 : 예수의 출생에 대한 고찰

        정기문 ( Gi Moon Jung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6 No.-

        예수의 출생과 혈통을 파악하는 것은 초기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학자들이 예수의 출생과 혈통은 너무나 신화적인 것이라고 쉽게 단정하고, 깊은 논의를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예수의 출생지와 혈통을 비판적 관점으로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신약 성경에는 예수의 출생지 후보지로 베들레헴, 나자렛, 사마리아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출생지는 베들레헴이지만, 이는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저자가 만들어낸 허구이다. 예수의 출생지는 나자렛으로 판단되는데, 사복음서에서 모두 예수가 나자렛 사람이라고 불렸는데, 나자렛이 작고 신학적으로 무의미한 도시였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예수의 출생지를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출생했다는 이야기는 신학적인 이유에서 창작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베들레헴이 메시아의 출생지로 구약에 예언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이 전하는 베들레헴 출생설에 대한 설명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두 복음서보다 먼저 쓰인 마가복음에 베들레헴 출생에 대한 암시가 전혀 없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한편 예수가 사마리아 사람이었다는 주장은 예수 사후 기독교 운동에 참가한 사마리아 사람들이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이런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것은 초기 기독교 시절에 예수의 출생지가 명확히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예수가 다윗의 후손이었다는 주장은 역사적으로 성립하기 힘들다. 예수 사후에 예수의 혈통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는데, 시기적으로 일찍 기록된 마가복음과 바울 서신은 그렇게 생각하는 자들에게 ‘틀렸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보냈다. 그렇지만 예수를 다윗의 후손이라고 생각하는 신자들이 존재했으며, 그들은 예수의 족보를 만들어서 예수가 다윗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그런 노력은 여러 사람에 의해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이 사실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족보가 상이한 것, 예수의 혈통을 아버지인 요셉 쪽으로 계수할 것인지, 아니면 마리아 쪽으로 계수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견이 있었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I examined the sources that appeared in the New Testament on Jesus’ birth and lineag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and historical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re are three candidates for the birthplace of Jesus, Bethlehem, Nazareth, Samaria. Typically the most preferred birthplace is Bethlehem,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argued so. I concluded this thesis is false by three reasons. First, Mark didn’t say so. Second, because Bethlehem was prophesied as the birthplace of the Messiah in the Old Testament, Matthew and Luke chose it in terms of theology. Third, almost all people who lived in the period of Jesus thought Jesus was from Nazareth. The thesis that Jesus was from Samaria is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Gospel of John. Many Samaritan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Jesus after the death of Jesus became key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They claimed that Jesus was from Samaria. Therefore this thesis is a theological makeup. The claim that Jesus was a descendant of David don’t have any historical ground. If someone had claimed that he was a descendant of David, he would have lost his life. Because the rulers of Israel were not descendants of David, they would kill those who claimed the lineage of David. The descendants of David didn’t live any longer in the period of Jesus. Some people including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thought Jesus as a descendant of David. But this thesis is a theological makeup. Considering other sources of early Christianity, we could confirm this fact. Mark and Pauline epistle gainsaid the argument. Also the fact that many people thought Mary was a descendant of David in 1-2century showed us that the genealogy of Jesus was not fixed but flui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lineage of Jesus is an artifact.

      • KCI등재

        조선시대 생전예수재 연구

        한상길(Han, Sang-Gil)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조선시대 생전예수재를 살펴보기 위해 의례집 간행 사례를 모으고, 관련 문헌을 탐색하였다. 그결과 21건 정도의 설행 사실을 확인하였다. 생전예수재의 전체상을 이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그나마 설행 사실 정도만을 전하는 단편적인 기록이다. 구체적인 개설 주체, 의례의 절차, 기간, 참여자 등을 헤아리기 어렵다. 비록 부족한 자료이지만 이 시대 생전예수재의 존재 양상을 가늠하고, 수륙재와의 관계를 통해 조선시대 의례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선사회에서는 다수의 예수재가 진행되고 있었다. 4종 이상의 의례집이 간행되었다는 사실은 당시 불교계에 이에 대한 수요가 있었음을 말해 준다. 즉 예수재 의례가 설행되고 있었다. 본고는 여기에 주목하여 의례집 간행 사례를 모으고, 조선왕조실록과 승려 문집, 『동사열전』 등에서 설행사례를 탐색하여 몇 가지 의미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예수재 관련 경전은 4종 29건이 확인된다.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18건)가 가장 많고, 『예수시왕생칠경』이 9건, 『불설수생경』이 2건. 『예수천왕통의』가 1건이다. 예수재의 소의경전으로서 1454년 『예수시왕생칠경』과 『불설수생경』이 먼저 등장하고 곧이어 의례집으로서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1564)가 간행되었다. 『예수시왕생칠경』이라는 소의경전보다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라는 의례집이 월등히 많이 간행되었다는 사실은 예수신앙(預修信仰)이 교학이나 사상 보다는 의례로서 발전하였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다음으로 설행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 예수재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먼저 예수재의 명칭은 10종이 확인된다. ‘예수재’(8회)를 가장 널리 사용하였고, ‘시왕생칠재’, ‘예수회’, 그리고 ‘생전예수재’(각각 2회) 순이다. 그밖에 ‘예수시왕재’, ‘생전시왕재’, ‘생전발원재’, ‘생재’, ‘예수대례’, ‘예수무차회’ 등이다. 이들 명칭은 공통적으로 ‘예수’, ‘생전’, ‘시왕’의 개념을 사용하여 재의 본질과 의미를 표방하였다. 끝으로 예수재와 수륙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7세기 2건의 자료에서 먼저 예수재를 열고 뒤이어 수륙재를 한다는 ‘선(先)예수재, 후(後)수륙재’의 사례를 확인하였다. 예수재와 수륙재는 분명히 별개의 의례이지만, 순차적으로 함께 설행한 것이다. 조선후기 예수재라는 자행의례와 수륙재라는 타행의례는 사후의 극락왕생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지니고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예수재의 경전적 원리는 생전에 사후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스스로 수행하고, 기도하는 자행의례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인들은 자신을 위한 기도에 머물지 않고, 망자의 왕생까지 기원하는 타행의례로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우리 민족의 조상을 중시하는 관습이 작용하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아울러 조선중기 이후 여러 차례의 국난을 겪으면서 많은 죽음이 발생하였던 데도 원인이 있다. 이에 따라 천도재로서 수륙재가 성행하였고, 예수재에서도 망자의 천도의례를 채용하게 되었다. 천도의례의 대표주자는 어디까지나 수륙재였지만, 예수재는 ‘예수무차회’라는 이름을 내세우는 등 변화와 모색을 통해 꾸준히 자리매김하였다. The Saeng jeon Yesu-jae is a funeral or celebration ceremony wishing for rebirth in the Pure Land(Western Paradise, a Buddhist heaven), performed in-advance while the subject person is still alive, not after death. It was originally held in Lunar Calendar leap years but now is generally held in lunar leap months. To explore the Joseon Dynasty Yesu-jae collecting books published related to ritual practices, navigate to the relevant literature was identified by the fact that 21 cases of execution. Although insufficient data exist to assess the aspects of this period Yesu-jae,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examined whether any historical meaning in the Joseon Dynasty ritual Buddhism. Four kinds of rituals that the document is published in this era tell that there was a demand for it at that time Buddh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gathering ritual books published case, Explore the cases in the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monks writings were confirmed several important facts. Joseon Dynasty Yesu-jae relevant scriptures are four kinds of 23 cases are confirmed. In fact, the documents ritual has been published far more than scripture was developed as a Buddhist ritual rather than teaching the faith and the spirit tells you is true. Finally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Yesu-jae and Suryuk-jae. In the 17th century, two counts of first opening the Yesu-jae data confirmed that the practice followed by the Suryuk-jae. Yesu-jae and Suryuk-jae but apparently, it did stand together in sequence. The era of Perform rites of themselves, Yesu-jae and Perform rituals to pray for others, Suryuk-jae had entered into a close association have a common goal that originated in the post to go to the Pure Land. Principles of the scriptures Yesu-jae in life itself is pray in order to go to the Pure Land, after death. However, Joseon Dynasty people are not staying in the pray for himself, and developed in ritual to pray for the souls of the dead go to the Pure Land. It is believed that this practice who works with an emphasis on fathers of our nation. In addition, it suffered many times since the national crisis of the mid-term Joseon Dynasty was the cause of many deaths occurred. Accordingly, the ancestor liberation ceremony was prevalent as Suryuk-jae, Yesu-jae was adopted in rituals to pray for the dead of the Pure Land. A pray for the dead of the Pure Land, representative of the ritual Suryuk-jae, Yesu-jae had become steadily over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changes and seek the name ‘Yesu Muchahoe’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생전예수재 가치 확산을 위한 방안 - 봉은사를 중심으로 -

        이재수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4 No.-

        생전예수재는 살아생전에 공덕과 수행을 미리 닦아 사후에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스스로 참회하고 성찰하는 자행(自行) 의례이다. 본 논의는 근현대시기에 새롭게 정립된 생전예수재의 새로운 실천적 모범사례로 꼽히는 봉은사 생전예수재의 가치를 확산을 위해 체험형 콘텐츠로 개발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도록 이바지하고자 한다. 생전예수재에서 지전을 사루고, 아미타불을 간절히 염하며 절하는 것을 극락으로 가는 티켓의 구매쯤으로 폄훼하는 경향이 있다. 보시와 독경과 수행으로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하는 전통적인 예수재에 대해 백안시하는 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봉은사 생전예수재는 거듭 태어났다. 보시와 수행의 사회적 실천의 과정을 모두 담아 실천적 신앙결사로 거듭나게 된 모범으로 주목받는다. 바로 불교의례가 지향하는 시대적 전망을 제시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을 필두로 하는 뉴미디어를 통해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고 나누며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있다. 현실의 나의 모습을 반성하고 죽음을 준비하여 보시와 추선을 통해 극락으로 함께 가는 수행의 축제의 장이 봉은사 생전예수재의 구조이다. 불교가 보여 줄 수 있는 이 시대의 새로운 신앙과 체험의 계기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스마트미디어 시대에는 체험형 콘텐츠가 되어야 한다. 봉은사 생전예수재는 죽음을 준비하기 위하여 삶에서 수행과 공덕 쌓기를 통해 사회적 실천으로 향상일로(向上一路)를 걷게 한다. 본 논의에서 체험형 콘텐츠라는 도구로 장엄하고, 의미와 체험이라는 공감을 통해 수많은 사람에게 봉은사 생전예수재를 알리고 체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길을 걷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Saengjeonyesujae is a self-conducted ritual that repents and reflects on one's own self-repentance so that the merit and meditation can be cleaned up in advance and revived after death. This paper aims to discusses the issue of developing the value of Bongeunsa Saengjeonyesujae, which is considered a new practical best practi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s an experience-based content to spread the value of Bongeunsa Saengjeonyesujae, and to contribute to the use in various fields. People of paradise tend to disregard the purchase of a ticket from praying with paper money and bowing earnestly to the Buddha of Amitabha at the Saengjeonyesujae. Bongeunsa Temple was born again in order to overcome the atmosphere of reviving the traditional Saengjeonyesujae, which is said to be able to return to paradise through giving alms, sutra chanting and practice.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xample of being reborn as a practical association of faith, containing both the process of social practice of giving alms and meditation. It presented the perspective of the times that Buddhist rituals are aiming for. Modern people are creating and sharing contents and sharing their opinions through new media, led by smart phones. Bongeunsa is the structure of Saengjeonyesujae during his lifetime as a place for a meditation festival that reflects on the reality of myself and prepares for death and goes to paradise through giving alms and perform memorial services. In the era of smart media, I think that the way to present the opportunity for new faith and experience that Buddhism can provide is the experiential content. In order to prepare for death, Bongeunsa's Saengjeonyesujae led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practice through the performance and the building of virtues in life. In this discussion, we inten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ntroduce and experience Bongeunsa's s Saengjeonyesujae to more people through the majestic, experiential content tool and sympathy with meaning and experience.

      • KCI등재

        예수회 서한집『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1702-1776)와 조선

        김은영(Kim, Eun-You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본고는 18세기 예수회 선교사 서한의 유통 및 영향을 관찰한 후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가 19세기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가능하면 조선 관련 글쓰기를 활용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과 관련된 예수회의 글쓰기 및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가 프랑스에서 얼마나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 프랑스에서 출판된 예수회 선교사들의 서한집『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1702-1776)는 동아시아에 대한 실증적 지식을 프랑스인 및 유럽인에게 지속적이며 대량으로 공급한 최초의 글쓰기였다. 게다가 예수회원의 저작은 19세기 중반까지 유럽인이 손에 넣을 수 있는 조선과 관련된 매우 드문 자료 중 하나였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면 ‘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외부 세계의 소식을 전해주는 역할이 더 이상 예수회에 의해 주도되지 않았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19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선교 후원 출판물로 꼽히는 정기간행물『전교회보』(1825-1933)는『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의 유일하고 진정한 19세기 계승자를 자처하면서 창간되었다.『전교회보』는 19세기 중반까지 재조선 프랑스 선교사들의 편지를 독점적으로 연재한 유일한 서양 정기간행물로서, 이 매체를 통해 출판된 프랑스 선교사들의 서한은 독자를 감화시키면서 독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려는 예수회의 교훈적이고 호기심 어린 편지를 계승한다. 물론 재조선 선교사들의 서한도 예외는 아니다. 이렇듯 근대시대에는 중국 및 일본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서한 덕분에 프랑스 교양인들에게 소개된 조선은, 19세기에는 예수회 방식의 글쓰기를 지향한 『전교회보』를 통해 프랑스 대중에게도 알려졌다. 요컨대 조선은 예수회원의 글 및 예수회 방식의 글을 통해 ‘교훈을 주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형적인 이국적 선교지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vealing two goals: 1) to look at the circulation of letters written by Jesuit missionaries in modern Europe, and 2) to analyze the continuation of a certain Jesuit style writing tradi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order to do this, the paper will be particularly focused on writings regarding Korea. This work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Jesuit writing and Jesuit style writing in the ‘discovery’ of Korea by the Europeans and its significance. In modern Europe, Jesuit missionaries were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travellers due largely to the French collection of their letters, Lettres éifiantes et curieuses: the first writings that provided Europeans ‘real’ knowledge on East Asia in a continuous and regular way. The Jesuit missionaries who lived outside of Europe and used to send letters home invited contemporary European intellectuals to discover the new worlds such as China. However, the letters of the Jesuits served as reference books for travel story collections or geographical works over the centuries. In the case of Korea, of no doubt, no Jesuit missionary was sent to this ‘closed’ kingdom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yet some texts written by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and Japan concerning Korea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Europe by channels other than an official collection. These printed pages were part of the very few documents related to Korea that the Europeans were able to acquire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re Catholic mission extra muros enjoyed fervent and popular support, the Jesuits were no longer the most influent people who provided Europeans with ‘edifying and curious’ news about the worlds outside of Europe. Moreover, the nineteenth century communicated more than modern times or was much more public than modern times. However, despite this changes, the missionary publications flourished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and in the Christian world in the wake of the Edifying and Curious Letters. One publication in particular,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1825-1933), a French world-wide leader of missionary periodicals, aimed at being the only authentic continuation of the Edifying Letters of the Jesuits. This observation is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ssionaries’ letters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the Jesuit style travel account. Through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which continued to be popular, French missionaries’ letters from the Korean Mission taught Europeans about Korea. Many of these letters corresponded perfectly with travel accounts that were both ‘edifying and curious’ by Jesuit missionaries. The missionary letter must, as we know, promote and develop missionary work as well as console and edify the reader. The Edifying and Curious Letters of the Jesuits inaugurated a new era of missionary writings by offering not only consolation and edification, but also satisfy a growing curiosity about the exotic and new worlds, so that the Europeans might find the figure of ideal and typical traveller in the Jesuit text.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took over. Prior to the opening of Korea, the French were among the main European authors to write about this ‘hermit’ kingdom and they were mostly Catholic missionaries. In modern times, the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Korea’s neighbouring countries spread knowledge about Korea throughout Europe by describing it indirectl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writings relating to Korea began to appear regularly and frequently by the Annals of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the purported successor to Edifying Letters. In sum, through these missionary writings, the Europeans discovered Korea, a land of edification and curiosity.

      • KCI등재

        예수의 광야 시험

        신현우(Shin, Hyeon Woo)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1

        막 1:12-13은 광야, 40일, 시험 등의 주제를 담고 있으므로 광야에서 40년간 시험받은 이스라엘을 연상시킨다. 13절이 언급하는 야생동물과 천사의 식사시중도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경험한 야생동물(불뱀)과 만나를 기억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 본문은 종종 이스라엘 모형론으로 읽혀진다. 그러나 이 본문은 아담 모형론으로도 읽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야생동물과 친화적인 관계, 사탄에 의한 시험이 에덴동산에서의 아담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비록 구약과 유대 문헌에서 ‘야생동물’(qhri,on)은 종종 인간에 대하여 적대적인 존재로 등장하지만, 막 1:13의 ‘야생동물과 함께 계셨다’(h=n meta. tw/n qhri,wn)는 표현은 ‘eivmi , 동사+meta’,를 친화적 관계 표현에 사용하는 마가의 용례를 살펴볼 때, 예수와 야생동물 사이의 친화적인 관계를 그린다고 볼 수 있다. 성령이 예수를 광야로 ‘쫓아내셨다’(evkba,llei)고 기록한 막 1:12은 하나님이 아담을 에덴동산으로부터 쫓아내셨다(evxe,balen)고 하는 창 3:24을 연상시킨다. ‘40일,’ ‘천사,’ ‘식사시중’도 유대 문헌들에 담긴 아담 이야기를 연상시키므로, 아담 모형론으로 본문을 읽을 수 있다. 막 1:12-13은 이스라엘 모형론과 아담 모형론 둘 중에 하나로만 해석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마가 자신이 본문을 기록하며 이 모형론들을 모두 의도하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형론 중첩의 가능성은 본문의 배경이 되는 사 11:6-12; 43:19-20; 65:17-25과 호 2:14-18이 각각의 본문 속에 아담 모형론, 이스라엘 모형론을 융합하여 담고 있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막 1:12-13에서 이러한 모형론 중첩은 이스라엘의 회복, 에덴의 회복이라는 이미지로써 예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종말론적 구원이라는 한 가지의 동일한 초점을 가리킨다. 종말론적 전쟁의 장소로 기대된 광야를 배경으로 사탄과 천사가 등장하는 본문의 구도는 예수의 광야 시험이 종말론적 전쟁이었음을 암시한다. 이 시험 후에 예수가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와 있다.”고 선포하신 것은 예수가 이 종말론적 전쟁에서 승리하셨다고 추측하게 한다. 구약과 유대 문헌에 종종 인간에게 적대적인 존재로 등장하는 야생동물들이 예수와 친화적 관계 속에 거하고, 천사들이 예수께 식사 시중을 드는 모습도 예수의 승리를 암시하는 단서들이다. 또한 막 1:23에서부터 보도되는 축귀는 사탄에 대한 예수의 승리의 보여준다. 막 3:27은 사탄이 결박당하였기에 축귀가 발생함을 비유를 통하여 알려준다. 막 1:12-13에는 시험의 내용이 담겨 있지 않지만, 막 8:33에서 예수는 자신의 고난과 죽음을 반대하는 베드로를 ‘사탄’이라고 부르므로, 사탄의 시험은 예수가 수세 때에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고난과 죽음의 길을 거부하라는 유혹이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예수의 죽음은 대속을 위한 것이었으므로(막 14:24) 이스라엘의 죄를 지고 광야로 내보내어지는(evxapostelei)/속죄 염소의 모습을(레 16:21) 기억나게 한다. 성령이 예수를 광야로 내보내신(evkba,llei) 것은 이 속죄 염소를 모형으로 예수의 광야 시험 기사를 해석하게 한다. 속죄 염소 모형론은 막 1:12-13 본문의 심층에 담긴 또 하나의 모형론으로서 이스라엘 모형론, 아담 모형론과 함께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 KCI등재후보

        바오로와 예수님

        김혁태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神學展望 Vol.- No.165

        사도 바오로가 살아계신 예수님을 직접 만난 적이 없고 자신의 서간들에서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말고는 그분 생애의 다른 국면들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또한 복음서들과는 다른 바오로 신학의 독특한 강조점들 때문에, 일찍이 바오로가 예수님의 가르침과 그분의 면모를 왜곡했다든지 또는 그가 아예 그리스도교의 창시자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로써 촉발된 예수님과 바오로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제는 한편으로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역사적 근간에 관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복음이 선포되는 상황에 대한 해석학적 문제이기도 하다. 먼저, 예수님의 가르침과 바오로의 선포 사이에는 역사적 연속성이 존재하는지, 내용적으로 서로 합치하는지 여부가 관건인데,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입장이 존재하고, 그 가운데 본고는, 전반적으로 예수님과 바오로 사이에는 역사적 연속성과 신학적 일치가 존재한다는 입장을 기본 관점으로 삼아 그 둘 사이에 신학적인 일치가 뚜렷함을 밝힌다. 물론 신학적 차이도 나타나지만 그것은 상황의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 예수님과 바오로 사이에 존재하는 광범위한 신학적 일치는 실제 바오로가 ‘예수 전승’의 많은 부분을 자신의 서간에서 인용하거나 재적용하고 있기 때문인데, 사실 바오로가 몇몇 경로를 통해서 원시 교회의 전승들을 접하고 이를 받아들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리고 실제 바오로가 이러한 전승들을 자신의 서간들에서 이미 전제하고 있거나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오로가 선포하는 복음의 핵심은 비로소 그가 착안해낸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예수님의 충실한 종’ 바오로가 전승을 전해 받고 그것을 다시 새로운 상황과 문제에 직면하여 그에 적절한 해답을 제시하는 모습은 복음 선포 및 전승과 관련하여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기본 척도들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후보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3대 일신교에서 바라본 예수

        강성률 ( Seong Ryool Ka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아니면 여러 예언자 가운데 하나인가? 본고에서는 기독교와 유대교, 이슬람교 등 세계의 3대 일신교에서 그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독교에서 바라보는 예수란 하나님의 아들이자 메시아이다. 그는 백성의 죄를 하나님 앞에 낱낱이 아뢰어 죄 사함을 받게 하는 구원자이다. 이러한 성격규명은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베드로의 고백 속에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유대교에서의 예수는 이단의 괴수일 뿐이다. 본래 유대교와 기독교는 아브라함이라고 하는 공통된 조상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한 지역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예수 역시 유대인의 신분으로 태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교에서는 예수를 구세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오직 하나의 신을 믿는 유대교의 입장에서 삼위일체설 같은 것은 수용할 수 없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예수는 하나님을 참칭함으로써 신성 모독죄를 범하는 셈이 된다. 이슬람교에서 보는 예수의 위치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중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유대인들은 예수를 거짓말쟁이쯤으로 비하한 데 비하여, 기독교에서는 그를 하나님의 아들로 받아들인다. 이에 대해 이슬람교에서는 예수를 신이 보낸 여러 명의 예언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간주한다. 예수는 하나님의 영, 즉 성령으로 잉태되었다. 그러나 `사람의 아들`일 뿐, 하나님의 아들은 아니다. 메시야(구세주)이긴 하나, 한 인간일 뿐이다. 예수는 이 땅에서, 인간적인 수준에서 자기의 역할을 수행했을 뿐, 부활이라거나 승천이라거나 하는 것과는 또 거리가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유대교를 예수 그리스도가 나타나기 전의 이슬람으로 간주하며, 기독교 역시 마호메트가 신으로부터 계시를 받기 이전까지의 이슬람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슬람교에서는 성령 외의 사건들, 예컨대 십자가 사건, 부활과 승천 사건들을 부인함으로써 예수로부터 구세주로서의 성격을 박탈하고 있다. 오늘날 세계 여러 곳에서, 여러 가지 문제로 분쟁이 끊이질 않는다. 그리고 그 분쟁의 한가운데에 종교문제가 도사리고 있다면 각 종교 사이의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여겨진다. Is Jesus the one of four sages of old or the son of G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Big Three Monotheism (Christianity, Judaism, and Islam) explain the identity of Jesus. First of all, Jesus in Christianity is a Messiah who is the provider fulfilling the need of the poverty, and the Almighty man who makes everything come true. He is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The second, Jesus in Judaism is no more than the boss of heresy. Jesus was born as a Jew. Nevertheless the most of the Jew hesitated to admit him as a Messiah. They thought Jesus as a man of arrogating the God and a man of profaning the sanctity. The third, the position of Jesus in the religion of Islam is in the middle of Christianity and Judaism. In Islam Jesus was regarded as the one of a prophet dispatched by God. Jesus was conceived by the holly sprit. However, he was not the sons of God, but merely the son of human being. In Islam, Moses, Jesus, and Mahomet are all the faithful servants of God. The adherents of Islam considered Judaism as the Islam of the before Christ. They also regarded the Christianity as the Islam who was Mahomet in the status of pre-getting a revelation of God. The religion of Islam was reluctant to admit all events happened except the event of holly spirit. Accordingly, for the believers of Islam, Jesus is not a Messiah. Various conflicts and troubles are incessantly happened throughout the world. All the people expect the sprit of love of humanity to make harmony. It is the right time for each religion to find the way of win-win by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pirit of co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