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 민감성 및 가치정향 비교분석
김혜민,이현수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analyze the differences of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dapted Physical Educators comparativel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 sensitivity on value orientation. To address the goal, 423 students were selected, 213 undergraduate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210 under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ool, the questionnaire on ethical sensitivity and value orientation was employ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Data collected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With the process, this study has gained following finding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w students of different majors prioritize items related to value orientation, both Adapted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the highest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in terms of value orientation.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majors, Adapted Physical Educators indicate higher ethical sensitivity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about value orientation, Adapted Physical Educators show a higher learning process th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lace higher value on social reconstruction than Adapted Physical Educators. Third, about gender differences, male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put higher value on ecological integration than female ones. Fourth, ethical sensitivity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influences social reconstruction in value orientation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별 가치정향에 대한 우선순위와 예비 체육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의 윤리적민강성 및 가치정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생 210명으로 총 4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윤리적 민감성과 가치정향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공별 가치정향의 최우선순위에 따른 결과로 예비특수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의 가치정향은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보다 윤리적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정향은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예비체육교사 보다 학습과정이 높았고, 예비체육교사가 예비특수체육교사 보다 사회재건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로 예비체육교사 중 남자가 여자보다 가치정향의 생태통합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체육교사의 윤리적민감성이 가치정향의 사회재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특수체육교사의 교사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분석
강은영,김동민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competence of the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feasibility they actually feel. A total of 99 preliminary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cept for the two reponses that were unfinished; out of 101 random survey from two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teacher's creative competency checklist consists of 32 questions in total, and several vocabulary changes were made to suit the preliminary teacher for validi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v22.0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for the materiality and execution awareness questionnaire was calculated by sub-region of teacher’s creative compet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ateriality-practice analysis using technical statistics, paired t-test, and diagrams for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eachers' creative competence recognized by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sub-region concerning teacher creative competence, the preliminary teacher was perceived to be relatively low in practice compared to importance, an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f the questions except for the respect of student’s individuality (paragraph 5) and the sympathy with student’s opinion (paragraph 6). Second, the preliminary teachers tend to maintain their role as supporting facilitators, awareness toward growth with improvement, and open attitude areas, and they tend to think relatively low about teaching and diverse learning methods that are needed as teachers for curriculum expertise, was found among the sub-region concerning teacher creative competence. This is an important result for the curriculum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to plan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preliminary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curriculum to develop creative skills to plan and execute creative clas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the practical feasibility. the research results that require a more focused and directed teacher creative competence during the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course. 본 연구는 현재 특수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고 실제 이를 행할 수 있다고 여기는 실행도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경기도 및 충청도에 소재한 2개의 특수체육교육과에서 무작위로 본 설문에 참여한 101명의 설문결과 중 끝까지 수행하지 않은 2명의 응답을 제외한 총 99명의 예비특수체육교사가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교사 창의적 역량 검사지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비특수체육교사에게 적절하도록 몇 가지 어휘를 수정한 뒤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를 교사 창의적 역량의 하위영역별로 산출하였다. 또한, 예비특수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창의적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정, 도표를 활용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를 시각적 매트릭스로 제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창의적 역량과 관련한 하위영역 전체에서 예비특수체육교사는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학생의 개성 존중(문항 5)과 학생 의견 공감(문항 6) 문항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창의적 역량의 하위영역 중 예비특수체육교사는 지원적 조력자로서의 역할, 변화성장을 지향하는 인식, 개방적인 태도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전문성이나 교과지식, 교수방법의 다양성 등에 대한 교사로서 필요로 되어지는 교수・학습 관련 요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낮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인 역량을 갖추고 창의적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예비특수교육교사를 길러내는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에 중요한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특수체육교사 양성과정 중 좀 더 교사 창의성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지도해야하는 당위성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차이가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차이를 좁혀갈 수 있는 방안을 향후 연구들을 통해 구현해 가고자 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체육수업에서 PBL방식 적용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함지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rvice PE teachers' understanding of PBL lessons and their confidence in apply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its possibilities by examining the previou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r not of preservice PE teachers and revealing what they felt and experienced about PBL lessons after the application of PBL classes. To this end, I conducted a research on 48 preservice PE teachers who was taking the 'Physical Education Theory' class of researcher, and analyzed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s after collecting data through questionnaires of multiple choice type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completion type.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e previous perception and experience or not of preservice P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many preservice PE teachers already understood the PBL teaching method, but had no experiences. Second, most preservice PE teachers who understood PBL classes have the understanding through media such as TV and Internet. Third, there was only one student who had bot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PBL class, which was introduced and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undergraduat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Next, I fou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xperience with PBL teaching method after explaining and actually applying it to the preservice PE teacher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categorized them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studying as a pleasure factor of learning was a very interesting and enjoyable experience. Second,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thought to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how to do so. Third, the extension factor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has experienced the deep expansion of the knowledg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Fourth, a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opportunity factor of self - reflection is deep concern about the practical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 have experienc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my role.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들의 PBL수업에 대한 사전인식과 경험여부에 대해 알아보고 PBL수업 적용 후 그들이 PBL수업방식에 대해 무엇을 느끼고 경험하였는지를 밝혀 예비체육교사들에게 PBL수업방식에 대한 이해와 체육수업 적용에 있어서의 자신감 및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체육교과교육론’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48명의 예비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객관식유형의 설문지와 서답형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각각 빈도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선 PBL수업방식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사전인식과 경험여부에 대해, 첫째, PBL수업방식에 대해 이미 많은 예비체육교사들이 인식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비해 경험은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수업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예비체육교사들은 TV나 인터넷 등의 미디어를 통해 인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PBL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모두 있는 학생은 단 1명으로 체육관련 학부에서의 수업 과정에서 소개받고 경험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체육교사들에게 학기 중, 후반에 걸쳐 PBL수업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적용한 후 그에 대한 경험내용을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배움의 즐거움 요인으로 공부하는 과정이 너무나도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이었음을, 둘째, 반성적 사고의 기회요인으로는 실기위주의 교육을 받아온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사고(思考)에 대한 경험과 공유, 전달 방법을 터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체육수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확장 요인은 체육관련 지식에 대한 깊이 있는 확장을 경험하였다고 말하고 있으며, 넷째, 체육교사로서 자기성찰의 기회 요인은 체육수업의 실질적 운영에 대한 깊은 고민과 체육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경험하였다고 말하였다.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실기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연구
서재복,신원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various problems that appear in the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ophomores with a total of 110 (36, female 74), who we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 00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ed a negative tre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nxiety factor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generated.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uggested the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include fun and entertainment in various sports with the preferenc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aid that they lack exercise tool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necessary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Fourth, it was conclud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o not need self-management and specialized practical training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above survey, it was conclud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ut lacked various professional learning and self-management to improve the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for variou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실기학습에 있어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00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대학생 2학년으로 총 110명(남36, 여74)명으로 체육실기 수업 전-후에 나타나는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수업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불안 요인이 생성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 종목의 선호도 유형은 다양한 종목에서 재미와 오락이 포함된 체육실기 수업이 필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실기 수업 시 운동도구 부족과 도구 사용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환경에 구애받지 말고 활동적 체육수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체육 실기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관리와 전문 실기교육이 필요 없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 볼 때 예비초등 교사들은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지만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문 학습 및 자기관리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체육실기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초등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유형: Q방법을 중심으로
김혜민 ( Hye-min Kim ),이현수 ( Hyun-su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통합체육교사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주관적 반응을 통하여 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각 유형별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도출된 통합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관련 진술문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총 74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Q모집단의 유목화를 통해 최종 38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Q방법론의 소표본 이론(small sample doctrine)에 근거하여 P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교생실습을 수료한 대학 및 대학원생 3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QUANL pc program을 통해 Q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eigen value 1.00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이미지 유형은 네 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 1유형은 통합개선 의지 부족형(10.7), 제 2유형은 능동적 책임 추구형(5.6), 제 3유형은 전문가적 역량 부족형(2.3), 제 4유형은 적극적 통합 지향형(1.9)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해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와 성공적인 통합체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type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teaching a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teach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follow by applying the Q Method. This is to analyze how principles differ through the subjective reaction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 different types, and bring light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a total of 91 Q populations were form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mage statement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rawn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brainstorming sessions with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fter classifications were made of these Q populations, a final number of 38 Q samples were extracted. 34 attending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f P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on the grounds of the small sample doctrine of the Q methodology. Data was process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methods such as Q factor analysis through a QUANL pc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image type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teaching abiliti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teach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e 1: 10.7, Type 2: 5.6, Type 3: 2.3, Type 4: 1.9) and the types were lack of will towards integrated improvement type (Type 1)’, the active responsibility-seeking type (Type 2), the professional competence lacking type (Type 3), and the active integration-oriented type (Type 4). It seems that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as detailed information that sheds light on the perceptions of preparato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regarding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s base material for successful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학교현장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특수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동기 ( Dong-ki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특수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비특수체육교사 89명을 목적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교육실습 기간 중 매일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학교현장실습 교과목 개강 시와 종강직후에 교사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반성적 저널쓰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효능감의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SPSS(Ver. 21.0) 통계 프로그램의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현장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을 작성한 예비특수체육교사들(실험집단)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및 전체 교사효능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을 작성함으로써 증가한 교사효능감은 장차 교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해 볼 때, 교원양성기관에서는 학교현장실습 시 반성적 저널쓰기를 적용한 실습을 필수적으로 운영할 것을 추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field practice. To achieve this goal, 89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purposive sampling. Pre-servic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school field practice while taking school field training cours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a reflective journal every day during the educational practice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urveyed using the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at the beginning an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school field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eacher efficacy, the prior score of teacher efficacy was set as a covariate and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covariates (ANCOVA) of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mental group) who wrote reflective journals in school field practice significantly increased individual teacher efficacy,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overall teacher efficacy. The increased teacher efficacy as pre-service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rite reflective journals in school field practice will affect their ability to perform tasks as teacher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recommended tha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must practice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school field practice.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통한 직전교사 체육교육과정 반성과 개선방향
박재정(Park Jae Jeong),양정모(Yang Jeong Mo),이동호(Lee Dong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직전교사교육과정에 있는 초등예비교사들이 현장의 체육수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점과 어떠한 내용의 강의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확인하여 교사교육자로서 강의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계획을 마련하고, 직전교사교육과 정의 개선방향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초등예비교사 2학년 115명과 4학년 118명 총 233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생성하였다. 분석의 결과 예비교사들이 체육수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점은 ‘체육수업방법, 체육 실기능력, 체육 교과관의 확립, 체육․스포츠에 대한 이해, 더 갖춰야 할 것이 없다’는 5가지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강의는 ‘교수법위주의 강의, 체육실기강의, 현장의 체육교육 이해를 돕는 강의, 체육교육론 강의, 충분하다’는 5가지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결과에서의 공통된 인식을 토대로 직전교사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체육교수방법의 신장, 체육실기 능력의 향상,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립’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reflective alternatives fo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figuring out the preparatory elementary-teacher s percep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e was collected through open type questionnaire executed on 233 students K National University and results were deducted through inducive categor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5 large domains of teaching strategies and practic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identifying a value system with understanding of sport education , and nothing to special . Both teaching and practic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categorized with the themes of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eld and nothing to necessary in needs assessment. The authors of the study suggested alternatives such as developing teaching methods, elevation of physical competence, and building identity for valu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마이크로 티칭 경험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및 특징
전세명(SeMyung Jeon),홍애령(AeRyung Hong),정현수(HyunSoo Ju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자 및 실행가로서 예비 체육교사들이 마이크로 티칭 실습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며 경험하는지 살펴보고, 이 시기에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과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함으로써 예비 체육교사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 티칭은 실제 체육교사로서 수업을 실행하기 전에 예비 체육교사가 간접적으로 수업을 체험해보는 실습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체육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2학년과 3학년 학생 4명을 이상적 사례 선택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Spradley(1979)의 영역 분석, 분류 분석,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자료를 범주화하여 크게 마이크로 티칭 수업 경험과 전문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 및 특징을 기준으로 그 의미를 체계화시켰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체육교사들은 마이크로 티칭 수업을 통해 학습운영, 학습내용, 학습방법 측면에서 긍정적 경험(학생주도적 수업, 이론-모형-실천의 수업, 반성적 수업)과 부정적 경험(역할 갈등의 수업, 개인 역량의 수업, 형식 초점의 수업)을 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및 특징은 크게 교육철학 및 가치 충돌의 ‘태동기", 교육과정 문서 및 실제의 ‘이해기’, 수업실행가로서의 ‘도전기’의 3가지로 구분되었다. 이 시기의 예비 체육교사들은 자신이 교육과정의 개발자 및 실행가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실과 이에 따른 교사로서의 책임감과 난점을 동시에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체육교사들이 사전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연해볼 수 있는 전공교과수업의 다양화 및 체계화, 사범대학 교육과정 전공교과수업의 계열성 확보, 학습한 내용을 숙고할 수 있는 기간의 제공과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rn and experience through micro-teaching practice as a curriculum developer and practitioner, and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y exploring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identity during the period. As a method of practice for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experience class indirectly before proceeding with the class as an actual physical education teacher, micro-teaching is widely us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study selected four sophomores and juniors who took Research of Teach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class through the ideal case selection method, and collected data by carrying out in-depth interview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Upon completion of the foregoing, this study categorized the data focusing on the Spradley(1979)’s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component analysis, and systematized the meaning largely based on the micro-teaching class experienc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identity.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gai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micro-teaching class, which are shown variously in the aspects of type, contents and method of learning. Second,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ere classified largely into three stages of the beginning period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value orientation, understanding period of curriculum documents and reality and challenge period as a class practitioner.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ing the period were realizing the fact that they must play a role as a curriculum developer and practitioner simultaneously with responsibility and difficulties as a teacher for fulfilling the aforemention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a major subject tha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develop and demonstrate, secure of the sequence of major subjec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provision of period and establishment of an incubating system for enabling them to consider contents they learned.
박종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Data were collected In-depth interviews with 3rd to 4th grader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effects, and program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was ⅰ) mutual communication with teacher educators, ⅱ)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fellow teachers, ⅲ)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potential curriculum.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program was ⅰ) forming a belief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cognizing the valu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ming self-concept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ⅱ) foster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ultivating teaching content knowledge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and situational contexts, cultivating qualities as a learning teacher, ⅲ)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learning teacher were reported.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combined to lay the foundation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explore the impact of educational performanc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in-service teachers' in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예비교사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고, 학습자 관점에서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3~4학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교수내용, 교수방법, 교육효과,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등체육 예비교사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사교육자와의 상호적 소통, 동료예비교사 간의 협력적 활동,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한 지식 습득’으로 도출되었다. 초등체육 예비교사교육의 효과는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신념 형성으로 초등체육수업의 가치 인식,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개념 형성, 둘째 초등체육수업에 대한 지도지식 함양으로 체육수업의 지식과 수행 전문성 함양, 학습자와 상황적 맥락을 고려한 교수내용지식 함양, 셋째 학습하는 교사로서의 자질함양이 보고되었다. 연구결과 및 논의를 종합하여 예비교사양성프로그램의 질적, 양적 제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수행, 예비교사교육기관에서의 교육적 성과가 초임교사의 학교체육수업지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 미래 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외 교육 선진국의 성공 요인 분석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