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한선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4

        Teachers’ philosophies have not been emphasized enough in the curren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even though teacher’s philosophy palys a critical role in schools and classrooms. The examination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teaching philosophies are often discussed in the cours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44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their sub domai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about ‘teacher’s belief’ and employed deductive inference approach using surveys or questionnaires. These studies commonly pointed out that there were three major domains of ‘belief on mathematics itself,’ ‘belief on teaching mathematics,’ and ‘belief on learning mathematics.’ As these three domains of teacher’s philosophy has been strengthened, there were very few studies examining the other potential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hich employed inductive inference approach and pre-service teachers’ free essay writing assignment, ‘belief on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were additionally illuminated as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Moreover,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sub-area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as disclosed. Specifically,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influenced the other sub domain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likely to be causal and vertical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ependent and parallel relationships. Finally,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indicating how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might be established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효과 분석

        허남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cases in whic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an an untact mathematics experience exhibition and to examine the running effects. Methods To do this, the entire process of 4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o ran the untact mathematics experience exhibition was examined. Video data, feedback data, activity photos, activity impressions,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o ran the untact mathematics experience exhibi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 sample t-test and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data such as video data and feedback data were analyzed using triangulation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untact mathematics experience exhibition, we were able to examine the misconceptions of mathematics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and we could see them learning the mathematics knowledge included in the experience program. In additi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firmed the prior knowledge of students though the curriculum, and confirmed the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can have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additi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howed that they produced and edited video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so on. Conclusion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for the running of the untact mathematics experience exhibition. First, it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ultivate knowledge of mathematics content. Second, it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knowledge of pedagogical content. Third, it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improve their remote education capabiliti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비대면 수학체험전의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운영 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비대면 수학체험전을 운영한 예비수학교사 43명의 계획 단계, 실행 단계, 반성 단계의 전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비대면 수학체험전을 운영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영상 자료, 피드백 자료, 활동사진, 활동 소감문, 만족도 조사 결과 등을 수집하여분석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단일표본 t-검정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상자료, 피드백 자료 등은 삼각측정법을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결과 비대면 수학체험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에 대한 오개념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수학 체험프로그램에 포함된 수학적 원리를 학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예비수학교사들은 교육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가진 사전 지식을 확인하였으며, 다른 예비수학교사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오개념 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예비수학교사들은 학생들의 사전 지식, 영상의 시간 등을 고려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편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론 예비수학교사들은 비대면 수학체험전의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 내용 지식의 함양에 도움을 준다. 둘째,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육학적 내용 지식에 도움을 준다. 셋째, 예비수학교사들의 원격교육 역량이 신장되는 데 도움을 준다.

      • KCI등재

        한국 예비교사가 미국 교육 현장에서 실시한 수학 수업에 대한 분석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예비교사 Tay가 미국으로 교육 실습을 가서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한 경험과 예비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준 배경을 분석하고, 그의 수학 수업을 미국 수학교육자가 평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수학 예비교사가 미국에서 겪은 경험과 사례를 자세하게 기술함으로써 우리나라 수학 예비교사들이 미국 현장에 갔을 때 어떤 경험을 할 것인지 예측하고 사전 교육에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Tay의 수학 수업 준비와 교수·학습, 학생 평가, 학생 지도를 면밀히 살펴본 결과 그의 수업에는 수학교육관, 미국에서의 수업 참관 경험, 한국에서 배운 수학교육 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미국의 수학교육자는 Tay의 수업에 대해 교사의 수학 지식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주었으나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간단한 정오형이나 단답형 발문을 한 것은 부정적인 의견을 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사들이 미국에 진출할 때 나름의 투철한 수학교육관을 갖고 수업에 임해야 하며, 미국의 교육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수학 교사의 수준을 알고 겸손한 자세를 가지며, 미국 학생들의 학업 수준에 대해서 이해하고, 수업에 필요한 영어 실력을 쌓을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예비교사 교육에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추론을 유도하는 발문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a Korean pre-service teacher Tay in the U.S. His mathematics instruction was affected by his views on mathematics education, experiences as a student teacher, and his knowledge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evaluations done by American universities on Tay’s instruction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es is the following suggested. To take a practicum and a job in the U.S., Korean teachers should have a philosophy about mathematics education, understand the American education environment and mathematics teacher and student levels, and have a proficient English speaking ability to smoothly manage his/her instruction. In Korean teacher educat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what and how teachers ask to students to induce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 KCI등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효인(You, Hyo-In),조형숙(Cho, Hy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에서 CPS모형을 적용하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예비유아교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경기도 소재 3년제 전문대학의 2학년 학생을 (실험집단 24, 비교집단21)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수학교수효능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창의성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ANCOVA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예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증진에서 개인능력 효능감, 결과기대 효능감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교육내용에 관한 지식,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식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학교육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기존의 예비교사 대상 수학교육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 Solving(CPS) based mathematics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n apply it to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hus examining its effects. To conduct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ma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pplied to the second-year students (Test Group of 24 people, Control Group of 21 people) of a three-year college in Gyeonggi-province. During the application, we conducted pre and post-test on teacher 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education, creativity, used 2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test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 CPS base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eservice teacher s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reativity.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the CPS based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for applying to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s a useful education program which has differentiated values from the conventional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방정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5 No.3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이봉주 한국학교수학회 2008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1 No.1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수업장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의 수업기술 향상과 이로 인한 수업의 효과 증대에 필요한 수업장학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사범대학에서 수학 수업장학을 받고 교육실습을 다녀온 7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하여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에 관한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및 개별 면담을 분석한 결과와 수업장학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조사 결과, 사범대학의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표수업과 수업장학은 예비 수학교사가 수업 기술을 발전시키고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실질적인 하나의 방법이었다. 한편, 효과적인 수업장학을 위하여 교육실습 기간의 수업장학은 현장과 대학의 협동장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예비수학교사의 사회 비판적 모델링 수업 설계와 성찰

        박미영(Mi-Yeo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학수업(PBL)을 설계한 사례이다. 이를 통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에게 비판적 모델링 수업의 설계 역량 함양과 수학교육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수학수업(PBL)을 설계하기 위하여 중등 수학 예비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지속발전교육과, 사회 비판적 모델링을 적용한 설계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예비교사가 수학수업을 설계, 실행, 검토, 수정하는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기후변화에 대응’ 쟁점을 선정하고 사회 비판적인 모델링 관점에서 수업을 설계하였다. 다양한 사회쟁점에 대한 이해와 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수학교과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환경, 생물, 사회, 윤리 등과 융합된 지식에 관심을 갖고 타교과와 연계해 보려는 노력이 수업설계 과정에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수학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인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다양한 사회적 쟁점 포함하는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 지역사회, 세계적 차원의 맥락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실천중심 수업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developing material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Lesson Plan connected to mathematics based on issues related to life to cultivate key concept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Methods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part of development research in a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Socio-critical modeling and ESD, this study identified the guiding principles and the methods on how to develop mathematics prospective teachers’ competencies of context levels to practice the SDGs. Results Prospective teachers were able to experience diverse social issues which they were unaware of in daily life. Pedagogical goals such a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surrounding world. A variety of controversial topics such as Climate Action. Practice-oriented teaching skills were improved. Conclusions Prospective teachers realized diverse social phenomena and mathematical connectedness through developing lesson plan in EDS-PBL.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fully experience Socio-critical modeling which could lead to development of their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교육실습에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 양상

        김해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included elev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ractices held by J Education College in 2015. After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encouraged to self-reflect on their mathematics teaching using a reflective survey sheet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their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s of their mathematics practice instru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requency of their mathematics teaching increased, the pre-service teachers’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increased, especially greatly with seven of them. However, the number of subcategories where the teachers’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increased was different from at least two to seven depending on the teacher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erformed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four times used more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than those who did two times or three times. Third, some pre-service teachers who taught two or three times never reached 90% of the total score of any subcategory, even in the subcategory where they showed increase in their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Fourth, the subcategory of ‘reflection before class - teaching perspective -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was analyzed as the most difficult one for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reason is, they think, that there are not enough materials on the historical back grounds of mathematical concepts. 2015년 1학기와 2학기에 J 교육대학에서 실시한 교육실습 1과 교육실습 2에 모두 참여한 11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들로 구성된 반성적 수학 수업 분석지를 활용하여 수업 반성을 하게 한 후, 수학 수업 횟수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 양상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 실습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하였고, 7명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이 증가한 하위영역의 개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7개까지 예비교사에 따라 달랐다. 둘째, 수학 수업 실습을 2회나 3회 실시한 예비교사들보다 4회 실시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더 높았다. 셋째, 2회나 3회 수업한 일부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의 활용도가 증가한 하위영역에서 조차도 수업 실습 전체 과정 동안 단 한 번도 해당 하위영역 만점의 90%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넷째, 수학 수업에서 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낀 하위영역은 ‘수업 전 반성 – 교수관점 – 수학교과 지식의 이해’로 분석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자료 부족을 호소했다.

      • KCI등재

        모의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이지혜(Lee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수학교육 방법 및 교사 역할에 대한 요구 변화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니는 수학교육에 대한 실제적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아동수학지도 과목을 수강하는 경남 지역의 K 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예비유아교사 19명의 참여하였고, 6주 동안 19회의 유아수학교육 모의수업을 진행하며 수업 계획안, 수업 시연 영상, 동료 피드백 녹음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결과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모의수업 실행 초기의 예비교사들은 수학적 내용 지식과 기술 습득에 보다 중점을 두며, ‘수학을 가르치자’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중기 단계에서는 놀이로서의 재미와 수학 교육적 의미도 포함하는 ‘수학이 놀이가 되게 하자’는 인식으로, 후기 단계에서는 유아에게 보다 의미 있는 수학적 지식이 되기 위해 일상의 경험과 통합하려는 관점으로 점차 변화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보다 주도적⋅실천적인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자질 향상 효과를 밝히며, 이와 더불어 교사들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appear and change, based on the demands and related studie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For this study, 1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third grad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who are taking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conducted mock class for six weeks. Results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mock classes has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math through explanation and practice to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it more fun as a play, and gradually to integrate it with everyday experiences to become meaningful mathematical knowledge for children. Conclusions Focusing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pared basic data for direction setting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한혜숙 ( Hye Sook Ha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내용 지식 교육의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예비수학교사들의 MKT에 대한 인식 조사와 더불어 실제 과제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MK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6명의 예비수학교사가 MKT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와 중학교 수준의 기하 영역에 해당되는 2개의 MKT 과제의 수행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KCT-2 범주를 제외한 MKT 하위 범주 각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교사교육에서 MKT의 각각의 하위 범주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MKT 과제수행 분석으로부터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은 SCK, KCS,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적절한 응답을 준 예비교사의 비율이 50% 이하로 나타나 MKT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 발현 과정 사이에는 불일치되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MKT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e aspect of teachers’ content knowledge. Twenty-si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MKT and they also finished two MKT tasks which focused on a specific area of middle school geometr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y have enough knowledge in all categories of MKT except KCT-2 and they appreciated the importance of MKT education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However, the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 MKT task items which required SCK, KCS, KCT, especially, the proportions of those who showed appropriate knowledge on the items required SCK and KCT was less than 50%. These results show disagreement betwee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and practice of MK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