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과 영아-교사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주연(Jooyun Y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영아의 기질적 특성인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가 영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교사 협력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어린이집 16곳의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담임을 맡고 있는 영아 123명(남아 67명, 여아 5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기질 중 의도적 통제와 영아-교사 친밀관계에 있어서 성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 부모-교사 협력은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교사 협력은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아-교사 친밀관계에는 영아의 기질인 의도적 통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에 있어서 취약한 기질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부모-교사 협력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보육현장에서 부모의 참여가 영아의 생활과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negative affect and effortful control on toddler-teacher relationship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 total of 41 teachers of 123 infants (67 boys, 56 girls) were recruited from 16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d hierarchial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effortful control of toddlers’ temperament and toddlerteacher intimacy. Second, toddlers’ negative affect, toddlers’ effortful control,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oddler-teacher conflict, and especially parent-teacher cooperation appeared to moder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toddler-teacher conflict. On the other hand, toddler - teacher intimacy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infant temperament, effortful control. This implies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a potential vulnerable temperament characteristic, on toddler-teacher conflict relations. It suggests parent involvement influences toddler’s daily life and development.

      • KCI등재

        걸음마기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의사소통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영아 기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소정,송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oddler’s tempera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toddler’s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53 mother-toddler pairs (aged 18~36 months old)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o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5 minutes per mother-toddler at free play by the trained researchers. The level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toddler’s temperament and those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the toddlers were measured by their mot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4.0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toddlers’ communication development. Second, the level of toddlers’ social temperament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oddlers’ communication development. Lastly,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the association with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toddlers were moderated by the levels of toddlers’ social temperament level.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걸음마기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의사소통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 머니 양육효능감과 영아 기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 울 및 경기 소재 어린이집 8개소에 재원하는 18~36개월 걸음마기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총 53쌍이다. 걸음마기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은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어머니-영아 상 호작용을 통해 관찰되었으며 어머니가 양육효능감, 영아의 기질 및 의사소통발달 수준에 관 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및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걸음마기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 과 영아의 의사소통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발달지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 다. 둘째, 어머니의 발달지원 관련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의사소통발달 간의 관계에서 영아의 사회성 기질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걸음마기 영아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의사소통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발달지원)의 매개효과는 영아의 사 회성 기질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관련 연구 및 양육실제에 있어 걸음마기 영아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민감한 상호작용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맞벌이 가정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 애착안정성 비교 : 영아 기질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주연(Yoo, Joo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 애착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영아 기질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 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02명(남아 111명, 여아 91명)의 어머니와 이들의 담임을 맡고 있는 57명의 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카이검증, paired-t test, 통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집단차원에서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안정성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개별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남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의 어머니 애착안정성에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가 영아의 교사 애착안정성에는 영아의 의도적 통제, 외향성, 부정적 정서성이 영향을 미쳤다. 영아의 어머니 애착안정성과 교사 애착안정성 간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음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와의 애착이 어머니와 애착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동시에 교사 애착안정성이 영아 성별과 기질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민감하고 반응적인 보육의 중요성을 환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ual-income family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and figure out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to attachment. Data were gathered from the mother of 202 toddlers (111 boys, 91 girls) and 57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se toddle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paired-t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showed different aspect at group level. Seco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to mother and teach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ys. Third, toddlers’ negative emotionality and effortful control effecte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with mothers. Toddlers’ effortful control, extroversion, and negative emotionality effecte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core to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ddlers’ attachment to mothers and to teachers are independent, suggesting that the attachment to teacher may be a protective factor and the attachment to teacher is more influenced by toddlers’ temperament, It calls attention to toddlers attachment with teachers and the child care practice to improve it.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조기교육경험,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에서의 문제행동

        장은미(Jang Eun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08 육아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기질, 영아의 조기교육경험 그리고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서의 문제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258명의 어머니와 어린이집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제행동의 하위 요인 중에서 위축 행동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적응에서의 문제 행동은 기질의 9개 하위 요인 중에서 적응성, 기분, 활동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린이집에 입학하기 이전 조기 사교육을 받은 영아가 조기 교육을 받지 않은 영아와 타 어린이집을 다닌 경험이 있는 영아들보다 초기 적응에서의 문제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초기 적응에서의 문제 행동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temperaments, preceding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 mother and toddlers' initial adapting problem behaviors at day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58 toddlers who are attending day care centers in Seoul & Kyung gi do. In order to measure toddlers' problem behaviors, the researcher used Bo-Young Kim's toddler problem behaviors checklist that adapted TBC(Toddler Behavior Check list), which was designed by Larzelere, Amberson and Martin in 1998. The researcher used Nan-Sil Kim's toddlers' temperament checklist that adapted TTQ (Toddlers temperament Questionnaires), which was designed by Fullard , Mcdevitt and Carey in 1984.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the program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y behavior is the most prominent problem behavior in initial adapting at day care center followed by opposition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motional instability and immaturity. Second, the sub-factors of toddlers' temperaments (adaptability, activity level, quality of mood) are meaningfully interrelated to problem behavior in initial adapting at day care centers. Especially, Shy behaviors have more related temperament-subfactors than other problem behaviors. Third, Toddlers' educated in private have more problem behaviors than the others who have no early education or have been at other day-care centers. Forth,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mother's employment.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of Preterm Toddlers and Their Relation to Early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이윤경(YoonKyoung Lee),이지영(Ji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기질은 영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숙아 출생 영아의 기질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질이 영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8-24개월 사이의 미숙아 출생 영아 2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만삭 영아 20명으로, 총 40명이였다. 기질은 Toddler Temperament Scale (TTS), 언어는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와 Korea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의사소통은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 (CSBS-DP)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두 독립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미숙아 집단은 만삭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까다로운 기질이 많았으며, 유의하게 낮은 적응성과 회피적 기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아 집단은 만삭 집단에 비해 SESLI, K M-B CDI, CSBS-DP로 측정한 언어와 의사소통의 모든 측정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미숙아 집단은 CSBS-DP의 말소리 산출과 활동성, 몸짓사용과 TTS의 접근-회피, 정서 및 눈응시, 반응강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 측정치와는 기질요인 간의 유의한 상관은 없었다. 만삭 집단의 경우 SELSI의 표현언어연령 및 K M-CDI의 표현어휘수가 TTS 활동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CSBS-DP의 의사소통, 몸짓 사용, 정서-눈응시가 각각 TTS의 적응성과 기분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미숙아 집단의 기질적 차이와 기질이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preterm toddlers and their relation to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Methods: Twenty preterm and 20 full-term toddlers aged 18 to 2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mperament was measured with the Toddlers Temperament Scale (TTS) a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were assessed using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and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Developmental Profile (CSBS-DP). Results: The preterm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difficult temperament type,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adaptability and avoidance temperament tendencies than the full-term group. The preter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language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as measured by SESLI, KM-B CDI, and CSBS-DP. (3) Severa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was observed between CSBS-DP and TTS scores in the preterm group. The consonant, gesture use, and emotion-eye gaze of CSBS-D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ctivity, approach-avoidance, and intensity of TTS. In the case of the full-term group, the activity score of TT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xpressive language age of SELSI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K M-B CDI the communication and gesture use of CSBS-D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daptability of TTS and the gaze of CSBS-DP with the mood of TTS. Conclusion: We discussed the result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emperament of preterm toddlers and how them affect on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he preterm toddlers.

      • KCI등재후보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이경님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직․간접적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대전시의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어머니 232명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유아의 기질 척도가 사용되었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후 연구문제에 따라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에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애정과 허용․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인과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애정 및 권위주의적 통제 및 허용․방임 양육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에 매개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방임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더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영유아 기질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현숙(Hyunsuk Lee),장문영(Moonyoung Jang),박혜원(Hyewon Park)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기질의 개인차와 발달적 안정성 및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로서 한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유아기를 망라하는 6~71개월용 기질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기질척도들을 종합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여 U시에서 6-71개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뒤, 온라인을 통해 전국적으로 700명(영아 200명, 걸음마기유아 200명, 유아 30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질척도는 영유아의 빠른 발달변화를 고려해 영아용(6~17개월), 걸음마기유아용(18~35개월), 유아용(36~71개월)으로 구분하고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6개의 가설적 하위요인(활동성, 적응성, 정서성, 주의통제, 지각민감성, 규칙성)으로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령집단별 기질척도의 최종문항(영아: 27문항, 걸음마기유아: 27문항, 유아: 29문항)을 선정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기존 기질척도(EAS)와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척도와의 공인타당도분석 및 본 기질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emperament rating scales for young Korean children to analyze their developmental stability of tempera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emperament scale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300 mothers having children aged between 6–71 months. A nationwide main study was performed on 70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three age groups: Infants (6–17 months), toddlers (18–35 months), and young children (36–71 month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six sub-factors: activity, adaptability, affection, attention control, perceptual sensitivity, and regularity. Through expert reviews on factor analysis results, final items were selected: 27 items each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29 items for young childre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s well as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construct validities of the scales; internal reliabilities were also satisfactor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more evidence for concurrent validities and scale utilities.

      • KCI등재후보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김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영아의 언어능력을 예측해 주는 정도와 설명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36개월 미만 영아 206명,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영아의 언어능력과 영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을 알아보았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언어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하위변인인 활동성, 적응성, 반응강도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영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기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하위변인인 적극적인 활동참여가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아 기질의 하위변인인 반응강도와 어머니 양육행동 하위변인인 합리적 지도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