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조 광원에 따른 국내 육성 안개초 ‘드림송’의 생장 및 개화 반응

        정동춘,이진재,진성용,김명진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ing sources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ally bred Gypsophila paniculata ‘Dream Song’ to enable the grower to select a suitable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cultivation from autumn to early winter. The light quality of incandescent lamps was high in both blue and red and far-red wavelengths, and that in high pressure sodium (HPS) lamps was slightly higher in red wavelengths. A light-emitting diode (LED) had more blue than red wavelengths; whereas, three-wave fluorescent lamps had generally lower blue and red wavelengths. Our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did not affect chlorophyll fluorescence (ratio of variable fluorescence to maximum fluorescence). Lighting with incandescent or HPS lamps promoted growth, floral budding, and flowering, increased flower stalk and cut-flower length, and yielded higher numbers of total axillary buds, flowering percentages, and marketable yields. LEDs were less effective in promoting flowering, but produced a higher total number of axillary branches; therefore considering the cost, it was believed that incandescent lamps were a suitable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Dream Song’ cultivation in autumn and early winter. 국산 안개초 ‘Dream Song’ 가을~초겨울 절화 재배시 개화 촉진 및 절화 생산성 향상에 적절한 광원 선발을 위해 전조 광원별 생육 및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백열등의 광질은 청 색, 적색 및 원적외선 파장 모두 높고 고압나트륨등(HPS)은 적색 파장이 약간 높았으며, LED는 청색이 적색 파장보다 높 았고 삼파장등은 청색과 적색 파장이 낮게 조사되었다. 주간 (13:00)과 야간(전조 1시간 후, 23시)에 측정한 엽록소 형광 반응은 광원별로 차이가 없었다. 백열등과 고압나트륨등이 생 육 진전이 빨라 출뢰 및 개화가 촉진되었으며, 화경장과 절화 장이 길고 분지수와 개화율이 높아 절화량도 많았다. LED 전 조는 개화 촉진 효과는 적었으나 분지수가 향상되었다. 따라 서 경영비를 고려한 국산 안개초 ‘Dream Song’ 전조 재배 시 광원은 백열등이 적정하다고 생각된다.

      • KCI우수등재

        가로수의 이식방법에 따른 수목 활착 평가 - 재배방법별 팥배나무의 광화학적 반응 해석 -

        유성녕,박소현,박청인,김태진,Yoo, Sung Young,Park, So Hyun,Park, Chung In,Kim, Tae Ji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가로 수목의 조기 활착으로 도로로부터 발생하는 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컨테이너(용기) 수목의 이식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수목은 이식 활착성을 높이고, 부적기 이식 제한을 극복할 수 있어 도로와 같은 변형된 토양환경에 적합하다. 가로수로서 가치가 높은 팥배나무를 대상으로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수목과 노지에서 재배된 수목을 각기 멀칭 및 제초처리하여 수목의 건전도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서 엽록소 형광 반응 분석을 이용한 팥배나무의 식재 방법별 광화학 반응 해석을 통해 건전성 평가하였다. 팥배나무의 식재 방법은 노지 멀칭, 컨테이너 제초 및 컨테이너 멀칭 재배로 구분하여 재배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노지 멀칭 팥배나무에서 최대 형광량(P)이 가장 낮았으며, O-J 전이 과정 중 형광량이 증가하며, 광계 II 전자전달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계 II에서 광계 I까지의 전자전달 에너지 플럭스(RE1o/RC, RE1o/CS) 또한, 노지 멀칭 재배에서 20% 이상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도로와 같이 성토 및 절토로 인하여 수목 생장 여건이 불리한 상황에서 수목의 이식 후 조기 활착을 검증한 결과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수목이 노지에서 재배된 수목보다 활착이 빠르고, 수목 건전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식재 방법도 식재 후 제초에 의한 방법보다 멀칭 처리한 수목이 건전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로와 같이 지속적으로 식재 후 관리가 어려운 여건에서는 주기적인 제초 처리보다는 이식 초기에 멀칭처리하는 것이 관리의 용이성 도모하며, 수목 건전도를 높일 수 있다.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are appropriate in soil deformation such as road sites with cutting and filling.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rees produced in containers for early rootage in street tree transplantation. For the study, Korean Mountain Ashes(Sorbus alnifolia) were used for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with mulching treatment(group A), trees cultivated outdoors with mulching treatment (group B), and trees cultivated in containers with weeding treatment(group C). Each group consisted of ten trees of the same size and transplanted to the experimental site. In order to compare each group's rootage,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method by the analysis of photochemical re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group B had the lowest the maximum fluorescence amount(P). The amount of fluorescence increased by OJ transition of the process, and appeared to reduce the photosystem II electron transport efficiency. In photosystem II, electron transfer energy flux through photosystem I(RE1o/RC, RE1o/CS) was also reduced by more than 20% in group B.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transplantation of container-cultivated trees with mulching treatment provides the most rapid rootage among the groups. The weeding treatment is also more effective than mulching treatment for rapid rootage of street trees.

      • KCI등재

        난과식물 식재용토로서 경량기포 콘크리트 부산물(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이 동양란, 서양란 심비디움 및 호접란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권아름,고재웅,박소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2

        난 식재용토 대체용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 부산물(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을 여러 난과식물의 재배에 이용한 결과 동양란 심비디움 ‘Gengi’의 생육은 경량콘크리트 부산물인 ALC에서 가장 좋았으며 특히 화경 추대는 다른 기존의 식재용토에 비해 월등히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높았고, 엽록소형광(Fv/Fm)은 ALC에서 가장 낮았다. 서양란 심비디움 ‘Majolica’의 생육은 휴가토에서 가장 좋았으나 화경수는 휴가토와 ALC에서 많았다. 따라서 ALC는 심비디움의 화경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착생란인 호접란의 생육은 원예용 혼합 상토에서 가장 좋았다.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에서 화경 형성에 ALC가 좋았던 것과 달리 호접란은 바크 식재구에서 화경이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엽록소 함량 역시 바크 처리구에서 높았고, Fv/Fm은 ALC에서 자란 심비디움에서 높았고 착생란인 호접란은 보수력이 좋은 상토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건축부산물인 ALC는 지생란인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의 생육과 화경 발달에 효과적이었으며 휴가토, 녹소토, 혹은 하이드로볼 대체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 which is produced by the fragmentation of wastes by construction, has a particulate structure and contains nutrients in forms that are readily available for plant uptak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ALC as an orchid potting medium, two kinds of Cymbidium [C. hybrid ‘Gengi’, C. ‘Majolica’] and Doritaenopsis glenyl ‘Labios’ were grown in various commercial horticultural potting medium including ALC. The growth of two Cymbidium species was enhanced significantly upon substitution of ALC or bark by increasing fresh w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and pseudo bulbs in C. ‘Gengi’, and increasing fresh weight in C. ‘Majolica’. The emergence rate and the number of flower stem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plants of C. ‘Gengi’ grown in ALC and Hugato, and in C. ‘Majolica’ grown in ALC and bark. However the growth and flowering of Dtps. glenyl ‘Labios’ plant was suppressed in ALC irrelevant with the particle size of ALC. Although two species of Cymbidium growth was enhanced in ALC, it didn’t affect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In C. ‘Gengi’ and C. ‘Majolica’,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was the highest in the plants grown in ALC, but the lowest in Dtps. glenyl ‘Labios’. By SEM, the surface of ALC has more space than Hydroball, and softer than Hugato. It reveals that ALC is able to absorb more water than those commercialized potting medium, and it may resulted in better growth in terrestrial Cymbidium, but not enough in Dtps. glenyl ‘Labios’. Our results showed that ALC has the potential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flowering in terrestrial Cymbidium by improving photosynthesis.

      • KCI등재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s of the Domestically Bred Gypsophila ‘ Dream Song ’ to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Dong-Chun Cheong,Jin-Jae Lee,Sung-Young Jin,Myung-Jin Kim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1

        국산 안개초 ‘Dream Song’ 가을~초겨울 절화 재배시 개화 촉진 및 절화 생산성 향상에 적절한 광원 선발을 위해 전조 광원별 생육 및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백열등의 광질은 청색, 적색 및 원적외선 파장 모두 높고 고압나트륨등(HPS)은 적색 파장이 약간 높았으며, LED는 청색이 적색 파장보다 높았고 삼파장등은 청색과 적색 파장이 낮게 조사되었다. 주간(13:00)과 야간(전조 1시간 후, 23시)에 측정한 엽록소 형광 반응은 광원별로 차이가 없었다. 백열등과 고압나트륨등이 생육 진전이 빨라 출뢰 및 개화가 촉진되었으며, 화경장과 절화장이 길고 분지수와 개화율이 높아 절화량도 많았다. LED 전조는 개화 촉진 효과는 적었으나 분지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경영비를 고려한 국산 안개초 ‘Dream Song’ 전조 재배 시 광원은 백열등이 적정하다고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ing sources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ally bred Gypsophila paniculata ‘Dream Song’ to enable the grower to select a suitable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cultivation from autumn to early winter. The light quality of incandescent lamps was high in both blue and red and far-red wavelengths, and that in high pressure sodium (HPS) lamps was slightly higher in red wavelengths. A light-emitting diode (LED) had more blue than red wavelengths; whereas, three-wave fluorescent lamps had generally lower blue and red wavelengths. Our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did not affect chlorophyll fluorescence (ratio of variable fluorescence to maximum fluorescence). Lighting with incandescent or HPS lamps promoted growth, floral budding, and flowering, increased flower stalk and cut-flower length, and yielded higher numbers of total axillary buds, flowering percentages, and marketable yields. LEDs were less effective in promoting flowering, but produced a higher total number of axillary branches; therefore considering the cost, it was believed that incandescent lamps were a suitable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Dream Song’ cultivation in autumn and early w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