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 발생 예측

        홍원표(Hong, Won-Pyo),김정훈(Kim, Jung-Hoon)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2 No.6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실시할 경우 연약지반에 측방유동이 발생될 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측방유동예측법을 조사하기위해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지반개량공사가 실시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가 시공된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 연약지반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현장 200개 측점의 현장계측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평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수평변위와 사면안전율과의 관계를 조사할 경우는 연약지반의 지표면수평변위량 보다는 지중최대수평변위량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성토사면의 사면안전율이 1.4 이상이면 대부분의 연약지반 최대수평변위는 50㎜ 이하로 발생되었고 사면안전율이 1.2 이하이면 대부분의 최대수평변위는 100㎜ 이상으로 발생되었다. 최대수평변위량이 50㎜ 이하로 발생하면 전단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측방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한 현장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최대수평변위량이 100㎜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현장에서는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현장에서는 즉각 대책을 강구한 후 성토를 계속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직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안정수가 3.0이하이고 지지안전율이 1.7 이상이면 안전한 성토시공이 가능하며 안정수가 4.3 이상이고 지지안전율이 1.2 이하이면 연약지반에 전단변형의 발생은 물론이고 전단파괴의 가능성까지도 예상된다. Some methods were proposed to predict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s on soft grounds, in which vertical drains were plac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diction methods of lateral flow, 200 field monitoring data for embankments in thirteen road construction sit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factor of embankment slope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 soft grounds where horizontal drain mats were placed, it was reliable to apply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in soft ground instead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t ground surface.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was developed less than 50㎜ in fields where the safety factor of slope was more than 1.4, while the one was developed more than 100㎜ in fields where the safety factor of slope was less than 1.2. In safe fields where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were developed within 50㎜, lateral flow would not happen since shear deformation was not appeared. On the other hand, shear failure would happen in the fields where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were developed more than 100㎜. In such fields, embankments might be continued after som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Safe embankments can be performed on soft grounds, in which the stability number is less than 3.0 and the safety factor for bearing is more than 1.7. However, if the stability number is more than 4.3 and the safety factor for bearing is less than 1.2, shear deformation would begin and even shear failure would happen.

      • KCI등재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홍원표(Hong Wonpyo),김재홍(Kim Jaeh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9

        모형실험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측방변형지반 속에 설치된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을 관찰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모형지반 속에 매설관을 설치한 후 모형지반에 측방변형이 발생될 수 있게 모형실험기를 제작하여 실제 지반에서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 모형실험기는 지반의 변형속도를 여러 가지로 조절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여러 가지 직경과 형상의 매설관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측방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형실험결과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하중은 연약지반의 측방변형속도가 빠를수록 크게 작용하였다. 순간재하 조건에 의한 수치해석결과는 지반변형속도가 중간 정도 빠르기인 0.3㎜/min에서 1.0㎜/min 사이의 지반변형속도의 조건에서 실시한 모형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대부분의 모형실험결과 지반변형량이 작은 시점에서 측방하중의 제1항복이 발생하며 이때까지 탄성변형거동을 보이다가 제2항복에 이르기까지 하중이 한 동안 수렴되는 소성거동을 보였다. 지반변형이 계속하여 증가하면 측방하중도 다시 증가하여 압축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빠른 지반변형속도에서의 실험 결과에서는 항복하중에 도달한 후 수렴과정이 없이 계속하여 하중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매설관의 직경이 클수록 측방유동 연약지반 속에 설치된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하중의 크기와 하중증가 속도가 컸으며 초기지반변형에서는 측방하중이 매설관의 직경 및 형상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지반변형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A series of model test as well as numerical analysis by FEM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a buried pipe in soft ground undergoing horizontal soil movement. A model test apparatus was manufactured so as to simulate horizontal soil movement in model soft ground, in which a model rigid buried pipe was installed. The velocity of soil deformation could be controlled as wanted during testing. The model test was performed on buried pipes with various diameters and shapes to investigate major factors affected the lateral earth pressure. The result of model tests showed that the larger lateral earth pressure acted on the buried pipes under the faster velocity of soil movement.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under immediate loading condition, showed a similar behavior with the result of model tests under 0.3㎜/min to 1.0㎜/min velocity of soil deformation. Most of model tests showed the soil deformation-lateral load behavior, in which the first yielding load developed at small soil deformation and elastic behavior was observed by the yielding load. Then, lateral load was kept constant by the second yielding load, in which plastic behavior was observed between the first yielding load and the second yielding one. Beyond the second yielding load, the compression behavior zone was observed. When the velocity was too fast, however, the lateral load was increased with soil deformation beyond the first yielding load without showing the second yielding load. The buried pipes with the larger diameter was subjected to the larger lateral load and the larger increasing rate of lateral load. At small soil deformation, the influence of diameter and shape of buried pipes on lateral load was small. However, when soil deformation was increased considerably, the influence became more and more.

      • KCI등재

        건축물의 지진해석을 위한 연약지반에 묻힌 기초로 인한 지반증폭계수에 대한 저감계수

        김용석 한국지진공학회 2010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4 No.4

        이 논문에서는 연약지반에 세워진 건축물의 지진해석을 위해서 기준의 지반증폭계수에 대한 기초묻힘으로 인한 저감계수를 산정하는 연구를 비선형 의사 3D 지진해석이 가능한 P3DASS 유한요소 프로그램으로 수행하였다. 지반은 30m 두께로 균질하고 탄성과 점성이 있는 등방성 연약한 지반으로 암반 위에 놓인 것으로 가정하였고, 기초는 반경이 10-70m인 등가원형 강체기초로 기초묻힘은 0, 10, 20, 30m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지진해석은 노두에서 실측한 7개 지진기록의 유효지진가속도를 0.1g로 조정한 후 연약지반 밑 암반에서 지진기록을 생성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매우 연약한 지반에 소형기초가 깊게 묻힌 경우 외에는 지반증폭계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기초크기에 따른 편차도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기초반경 별로 구한 저감계수에 대한 평균에 표준편차를 더한 저감계수를 기초묻힘에 따른 표준저감계수로 산정하였다. 지반증폭계수에 대한 표준저감계수를 실용화와 KBC 등의 기준을 위해 지반의 평균전단파속도와 지반종류에 따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duction factor of the code-defined site coefficient due to the embedment of a foundation was estimated for the seismic analysis of a building built on a soft soil site. This was done by utilizing the in-house finite element software P3DASS, which has the capability of pseudo 3D seismic analysis with nonlinear soil layers. A 30m thick soft soil site laid on the rock was assumed to be homogeneous, elastic, viscous and isotropic, and equivalent circular rigid foundations with radii of 10-70m were considered to be embedded at 0, 10, 20 and 30m in the soil layer. Seismic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7 bedrock earthquake records deconvoluted from the outcrop records of which the effective ground acceleration was scaled to 0.1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ite coefficients are gradually reduced except in the case of a small foundation embedded deeply in the weak soil layer,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deviation of the site coefficients due to the foundation size was not significant. The standard reduction factor due to the foundation embedment were calculated adding the standard deviation to the average of 5 reduction factors calculated for 5 different foundation radii. Standard reduction factors for the site amplification factor were proposed for the practical amplification and the codes of KBC, etc.,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shear wave velocity of the site, and the site class.

      • KCI등재

        연약지반 암버럭 치환공법의 구조물 안정성과 경제성 분석 - 청주시 미호천 횡단도로를 대상으로

        허강국,박형근,안병철,민병욱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4

        For the soft ground construction, the factors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occurs in the construction stage so that they cause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design chang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construction se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access road made in the Ochang region of Chungcheongbuk-do. The study is concerned with selecting the soft ground handling method such as the replacement method using rock debris and the surcharge reflecting the service load as the soft ground handling measure and analyz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with the stability of structures and the reduc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e soft ground in the study section consists of sandy and cohesive soil and is 2.4m to 5.5m deep. It is distributed unevenly between the 1.5m to 5.9m stratums under the ground surface. Settlement is not serious, but the future uneven settlement and difference are expected so that the future settlement behavior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site measurement results after the soft ground treatment. Moreover,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soil with good quality is replaced with rock debris as the replacement material so that 29% of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stability and the reduction of duration. If the estimation of the dispersion of the pore water pressure within the dam body and the change of the underground water level and the relation of the actually measured soft ground with consolidation is studied further on the basi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behavior of the soft ground will be correctly estimated in various site conditions. 연약지반 공사는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변수들이 시공단계에서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정성과 설계변경에 따른 공사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오창지역에 조성되는 산업단지 진입도로 조성구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연약지반 처리공법으로 암버럭을 이용한 치환공법 및 사용하중을 고려한 과재성토를 연약지반 처리대책으로 선정, 구조물의 안정성 및 공기 단축으로 공사비 절감효과 분석에 목적이 있다. 연구구간의 연약지반 두께는 사질토 및 점성토 연약지반으로 2.4~5.5m로 규모가 작으나 지표하 1.5~5.9m의 지층사이에 불균등하게 분포하며, 침하발생은 크지 않으나 장래 부등침하와 단차 발생이 예상되어 연약지반 처리후 현장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장래 침하거동을 예측하였다.또한, 치환재료는 지역특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양질토사를 암버럭으로 치환하여 안정성 증가, 공기단축 등으로 공사비 29%를 절감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제체내 간극수압 소산, 지하수위 변동 등의 예측과 실제 계측된 연약지반의 압밀과의 관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수행할 경우, 다양한 현장조건에서 연약지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약지반 얕은 기초의 지지력 보강 연속 구조체 개발

        김두환,서동혁,안만복,손주섭,김영찬,이지훈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연약지반인 직접기초와 쇄석기초 공법을 연구 대상으로 결정하여 형상에 따라 변형된 사각 피라미드 기초와 비교 분석하고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침하량을 검토하고 수치해석시 연약지반의 지반조사의 결과를 가지고 지반 특성치를 의미 하는 토질 정수를 산정한다. 또한, 지층 조건에 따른 해석은 사각 피라미드 기초의 하중-침하 특성을 분석하고 구조물에 생기는 전체 침하 또는 부등 침하, 기초 지반의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성토의 파괴, 구조물의 부족으로 인한 인접지반의 융기, 지진에 의한 기초지반의 액상화 및 액상화에 의한 지지력 감소로 인한 영향 등을 고려할 수 있다.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연약지반은 구조물의 설치 목적과 지반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거동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설계에 적용되는 기존의 침하량 산정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 정확한 이해와 평가를 하여 기초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전성 증대에 목적이 있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설계시 기초 지반 조건과 기초 하부에 채움쇄석을 설치하여 interface 요소를 고려하였고 하중분산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사각 피라미드 기초공법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여 영향폭 1.0mx1.0m (4x4열)의 영향을 고려한 총 침하량을 산정하고 각기 다른 형태의 기초를 동일 조건의 재하폭 조건에 따라 압밀 침하량을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압밀 침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지지력 보강 연속 구조체를 개발 제작함으로서 구조물의 기초에 강성지반을 형성하고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연약 지반상에 전달되는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침하량을 줄일 수 있고 상재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 KCI등재

        도로 성토로 인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관한 연구

        김정훈(Kim, Junghoon),홍원표(Hong, Wonpyo),이충민(Lee, Choongmin),이준우(Lee, Junwo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9

        각종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전단강도, 지반변형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연약지반현장 200개소에서 계측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연약지반의 침하량과 측방변위량과의 관계를 성토 초기 단계, 성토 완료 단계 및 성토 완료 후 단계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성토압과 성토고가 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검토결과, 침하의 증가량에 대한 수평변위의 증가량은 성토 초기 단계에서는 작았으나 점차 증가하여 성토 완료 단계에서 가장 크게 발생되었다. 그러나 성토 완료 후에도 침하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으며 수평변위는 거의 수렴하였으므로 대부분의 측방유동은 성토시공 중에 발생되었다. 침하량증분에 대한 수평변위증분의 비는 성토초기 단계에서 20% 정도로 Tavenas et al.(1979)이 제시한 값과 일치하였으나 성토 완료 단계에서는 Tavenas et al.(1979)이 제시한 값의 절반 정도인 50%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성토 완료 후 단계에서는 1%에서 9% 사이로 아주 작게 발생되어 Tavenas et al.(1979)이 제시한 값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현장에서 설계성토고가 초기비배수강도 상태에서의 항복성토고보다 높은 상태였으므로, 연약지반 속에 전단변형 내지 전단파괴가 발생될 것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강도가 증가된 후에는 모든 현장에서 설계성토고가 항복성토고보다 낮게 되어 안전한 성토시공이 가능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성토시공을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성토하중이 초기비배수전단강도의 5.14배가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증가된 비배수전단강도의 3.0배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and soil deformation in soft grounds, in which various vertical drains were placed, two hundreds field monitoring data of embankments performed in thirteen road construction sites at west and south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ollected. A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ttlement and lateral displacement was investigated into three stages, in which embankment construction works were divided into initial filling stage, final filling stage and stage after complete filling. And then, the relationship of surcharge pressures and embankment heights with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oft grounds were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 on settlement and lateral displacement illustrated that the increment of lateral flow to the increment of settlement was low during initial filling stage, but increased gradually with filling and showed largest during final filling stage. After complete filling, the lateral displacement was converged, even though the settlement was increased continuously. Therefore, most of lateral flow was occurred during embankment filling. The ratio of the lateral displacement increment to the settlement increment was 20% for initial filling stage, which coincided with the one presented by Tavenas et al.(1979), but became 50% for final filling stage, which was half of the one presented by Tavenas et al.(1979). However, the ratio reduced to 1% to 9%, which was quite lower than the one presented by Tavenas et al.(1979). Shear deformations, even shear failures, were predicted in soft grounds under initial undrained shear strength, since the design heights of embankments were higher than the yield height in all the sites. However, embankment construction would be possible since the yield height became higher than the design height due to improvement of shear strength of soft grounds with application of the vertical drains. In order to perform safely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s, the embankment loads should be designed not to be exceed 5.14 times the initial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oft grounds and to be less than 3.0 time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improved with application of vertical drains in soft grounds.

      • KCI등재

        단계성토에 따른 연약지반의 전단강도 및 압밀거동 특성

        방성택(Seongtaek B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1 No.7

        해성점토로 구성된 서남해안 지역의 연약지반은 퇴적물의 성분, 입자크기의 분포, 입자형상, 흡착이온 및 간극수의 특성, 조류, 온도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응력이력, 간극수의 변화, 용탈과정, 가스형성 등의 지반공학적 특성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압밀에 따른 강도증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연약지반의 물리적・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성토하중에 의한 지반의 침하, 간극수압, 수평변위 등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간극수압계, 침하계, 경사계, 층별침하계 등의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반의 전단강도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로 피에조콘 관입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단계별 성토에 따른 지반의 전단강도증가를 확인하고 압밀침하량을 측정하여 기존에 제시된 경험적 방법 및 이론에 의한 강도증가와 압밀측정치를 비교하여 강도증가율 및 압밀거동을 분석하였다. The soft ground in the southwest coastal area composed of marine clay is greatly influenced by sediment composi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particle shape, adsorption ions and pore water characteristics, tide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geotechnical properties are very complex due to stress history, change in pore water, dissolution process and gas formation.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ft ground were evaluated through field tests and laboratory tests to investigate the strength increa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solidation on the soft ground in the southwest coas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such as subsidence, pore water pressure, horizontal displacement of soil by embankment load,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pore water pressuremeter, settlement gauge, inclinometer and differential settlement gauge was installed, and a piezocon penetration test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to confirm the increase in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filling. In addition, by evaluating the properties of consolidation behavior, strength increase and consolidation prediction by empirical methods and theorie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increase rate and consolidation behavior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 통계분석을 활용한 연약 점성토 지반의 압축지수 예측 모형 제안

        윤현준 ( Yoon Hyeon Jun ),백원진 ( Baek Won Jin ),이성열 ( Lee Sung Yeol ),임중재 ( Lim Jung Jae ),정원철 ( Jeong Won Chul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대규모 사회기반시설이 해안 및 연약지반에 집중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로 인한 구조물 손상의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의 연약지반은 주로 수계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생성요인, 퇴적환경, 조성광물 성분 등의 지역별 조건에 따라 지반공학적 특성이 상이하다.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반정수를 적용해야하나 공사 규모에 따른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정밀 조사의 경우 시간 및 비용 등의 문제로 제한사항이 많아 소수의 지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대상 지역의 압밀침하량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기존 지반조사 결과로부터 물리·역학적 지반정수를 수집하여 지역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통계학습 기법을 통해 수계별 압축지수 예측 회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구축된 DB로부터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수계를 선정하여 지역별 데이터셋을 구축하였고, 각 데이터셋의 특성을 분석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압축지수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는 영향인자(자연함수비, 액성한계, 단위중량, 소성지수, 초기간극비)를 선정하였으며, 단일 및 다중 인자를 활용한 압축지수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Statistics 29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지반정수 데이터의 정규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경향에 따라 통계분석 기법 적용에 오차가 발생하기에 Box-Plot을 통해 정규분포 경향에서 뚜렷하게 벗어나는 이상치를 제거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상관분석을 통해 압축지수와 상관성이 높은 영향인자를 선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압축지수와 영향인자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압축지수의 단일 및 다중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자연함수비, 액성한계, 단위중량, 초기간극비, 소성지수는 압축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므로 해당 지반정수를 활용하여 압축지수 예측 모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간단한 물성실험을 통해 수계의 개략적인 지반정수의 값을 예측하거나 실험값에 대한 신뢰도를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 대수심, 대심도 초연약지반에서의 DCM공법의 최적 설계

        심민보(Min-Bo Shim),김동후(Dong-Hoo Kim),심성현(Seong-Hyeon Shim),강민수(Min-Soo Kang),변기준(Gi-Jun Byu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추계

        심층혼합처리공법인 DCM(Deep Cement Mixingd)공법은 연약지반에 시멘트 슬러리를 주입하여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시멘트 슬러리와 지반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견고한 지반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하며, 주로 기초처리공, 흙막이공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는 1980년대 중반이후에 도입되었으며, 2005년도에는 4축3연의 해상장비 전용선이 개발되어 대심도, 대심도의 초연약지반에서 기초처리공으로 적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1m의 대수심, 최대 32m두께의 초연약지반에 방파제 기초처리공법으로 적용된 DCM공법에 대하여 시공 및 품질관리 측면에서의 설계적용기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대수심 적용성을 높이고자 기존 10cm의 시공중첩을 30cm로 확폭하고, 시공조인트를 계획하였으며, 초연약지반 적용성을 높이고자 심도별 시멘트량 적용, 시멘트 토출방식 개선 등을 계획하였다.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PBD 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 거동 분석

        박찬영 ( Chanyong Park ),이승주 ( Seungjoo Lee ),문범수 ( Bumsoo Moon ),스레스 ( Chaulagain Suresh ),김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국토 균형 발전에 따른 대규모 토목구조물들의 건설이 급증함에 따라 연약지반을 포함한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연약지반이 가진 지반공학적 취약점들로 인하여 구조물 시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을 안정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법 중 하나는 기존의 불안정한 흙을 안정적인 재료로 치환하는 것이지만 비용적 부담이 크기에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하여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하나인 Plastic Board Drain(PBD)이 설치된 연약지반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PBD가 설치된 지반과 원지반을 비교하기 위해 단면을 축조하고, 저수지를 축조하여 침하량 및 간극수압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저수지 축조 시 PBD 공법을 적용하여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