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출간 사전의 동향 분석 - 연도별 주제별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도원영 ( Doh Won-young ),차준경 ( Cha Joon-kyung ),신상현 ( Shin Sang-hyun ),최호철 ( Choi Ho-churl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개화기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사전의 목록을 정리하여 출간 사전의 통계 분석을 제시하고 최근 사전의 출간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전은 학문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고 과학기술의 표준 역할을 해 온 참조 텍스트이다. 그러나 국내 출간된 사전의 종수를 확인할 통계나 사전편찬사를 기술할 기초 데이터가 부족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출간 사전의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국내 주요 5개 도서관의 사전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855종의 도서관 사전 목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한국연구재단의 학술 연구 분야 분류표에 따라 분류한 다음,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하였다. 특히 ‘개화기~해방 전’, ‘해방 후~경제 성장기’, ‘경제 발전기’, ‘경제 안정기’로 나누어서 출간 통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나눠 인문학을 중심으로 통계 결과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총 152개 분야 중, 137개 분야에서 사전이 출간되었으며, 가장 많은 사전이 출간된 중분류 분야는 인문학의 한국어와 문학이고, 다음으로 영어와 문학, 일본어와 문학, 사회과학의 경제학의 순으로 간행되었다. 반면, 사전이 부재한 분야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사전의 기획과 편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또한 온라인 사전 서비스의 도래와 종이사전 출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매년 300종 내외의 사전이 출간되다가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출간 사전 수가 30% 이상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전의 도래가 사전 출판 생태계를 위축시켰다는 기존의 견해를 증명하였다. 반면, 새로운 분야의 사전이 상당수 출간되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o 2019 and analyze the recent publishing trends of dictionaries in Korea.Dictionary is a kind of reference text to lead the development of studies and to be a standard role of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and basic data to write the lexicographical history in Korea.To solve these problems, we made a list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catalogs of the 5 major libraries including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n we got 11,855 lists. After that, following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mad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we produce the yearly statistics and the academic research statistics. The anlaysis is divided into the 4 period late 19th century ~ before liberation, after liberation ~ period of economic growth, period of economic stabilization, digital age, and present the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Next, we show the statistics of Humanity dictionaries by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method.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137 areas in total 152 academic research areas.The biggest area of dictionary published i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796 books, followed by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1,179 books, and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16 books. The dictionaries of Economic in Social science are published 437 books.The years from 2000, the World Wide Web service of dictionaries are full-blown. Every year, over 200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Korea. We clarify the existing opinion that the advent of online dictionary brings the dark ages of paper dictionary.In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make a total arrangement of major performance and present condition of dictionaries in Korea. We can reserve quantitative analysis data in every fields and area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We can check unpublished and low-published areas and make several reasons why the dictionary publishing is needed.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 연구 동향 분석 연구

        주월랑,민진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es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by analyzing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target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each year, each type of theses, each research method, and each research theme.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year, the number of researches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tended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method,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primary research, secondary research, and mixed method. Especially, most of the primary researches were conducted through interview and survey. This is the result of having discussions focusing on what would be needed for the learning/teaching environment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it was mostly shown in the order of teaching method, others(policy, adjustment, and etc.), and content knowledge. Many research themes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ethod eventually show that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of education design/measures based on needs surveys on increas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Last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word cloud analysis shown in research titles, scientific journals showed the high-frequency of ‘academic’, ‘Korean language’, and ‘analysis’ while theses showed the high-frequency of ‘Korean language’, ‘writing’, and ‘measures’. This means that the researches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are not performed in various academic worlds, but performed mostly focusing o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ust be a transition period of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what is needed to increase their academic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in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의 국내 연구 동향을 연도별, 논문 유형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도별 분석 결과, 외국인 대학원생 연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는 1차 연구, 2차 연구, 혼합 연구방법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1차 연구에서는 면담과 설문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업 및 교수 환경에 어떠한 것이 필요한지에 초점을두고 논의가 이루어진 결과이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주로 교수학, 기타(정책, 적응 등), 내용학 순으로 나타났는데, 교수학 범주의 연구 주제가 많다는 것은 결국 증가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 설계 및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들제목에서 나타나는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술지에서는 ‘학술적’, ‘한국어’, ‘분석’이 나타났고, 학위 논문에서는 ‘한국어’, ‘쓰기’, ‘방안’이 고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외국인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학계에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주로 한국어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이들의 학술적 소양을높이는 데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는 과도기라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연구 동향 분석의 결과를 볼 때,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대학원생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EBS 관련 영어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

        이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research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EBS). A total of 67 academic articles, published by professional scholarly journals in Korea from 2000 to 2018, are found relevant. The established categories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nnual trends, researchers, scholarly journals, research topics, subjects, research methodologies, and languages for writing. The major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1) the history of EBS as well as English education policies had an influence on the number of and the topics of the research articles; (2) the research articles were produced by a wide range of researchers, and thus, there were only a few researchers who have consistently published relevant articles; (3) there was no research article about young children before schooling, college or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4) most preferred research topics were related to the EBS educational contents, especially for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while there was only one research article about making use of the contents; and (5) research condu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was inadequate and quantitative research articles were found more than qualitative ones. These findings brought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studies such as a call for more research about effective applications of EBS contents to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more balanced research on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for diverse learners, and more research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reflect the reality of instructional contexts that are using EBS. 이 연구의 목적은 EBS와 관련된 영어교육 분야의 논문들을 검색하여 종합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018년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총 67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연도별 추이, 연구자, 학술지,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수행 방법 및 결과 도출 방법, 그리고 집필 언어를 분석 범주로 삼았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EBS의 연혁상 특징과 영어교육 관련 정책은 해당 논문의 게재 빈도수와 연구 주제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게재 학술지 분포도와 연구자의 층은 넓었으나, 10%의 연구자들만이 지속적인 연구 성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 대상으로는 초등 및 고등학교와 연관된 연구가 선호되고 있었다. 넷째, EBS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연구 수행 방법과 관련해서는 교재 분석이나 설문 조사와 같은 연구 방법이 선호되었고, 연구 결과 도출 방법에 관련해서는 정량적 방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추후 연구로는 EBS 영어교육 콘텐츠의 효과적인 실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미취학 학습자, 대학생, 성인 등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연구, 그리고 교수 학습의 실제를 정성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연구 등이 더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국내 미술교과교육의 학문적 연구동향 - 학회지를 중심으로

        박은덕(Eundeok Par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미술교육 관련 전문학술지인 「조형교육」, 「미술교육논총」 및 「미술교육연구논총」에 1984년부터 2005년까지 발표된 논문의 연도별 추이, 주제별 동향 등을 조사하였다. 학회지 발간이 시작된 1984년부터 1991년까지는 매년 10편 내외에 논문만이 발표되었으나 1992년을 시작으로 연간 발표 논문 편수가 꾸준한 신장세를 보여 1999년도에 이르러 50편대로 급격히 늘어온 이후 최근에는 80편 내외의 발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주제는 교과교육학이 교과내용학에 비해 4배 정도 많으며, 내용별로 보면 교수ㆍ학습, 미술교육 이론철학,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등의 순의 발표실적을 보이며, 전통미술, 아동미술, 미술교육 행정ㆍ환경 등의 분야의 실적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의 학교 급별 실적은 초등미술교육, 일반, 초ㆍ중등, 중등, 대학순으로 집계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연구, 실험적 연구, 역사적 연구, 철학적 연구순으로 발표 빈도가 나타났다.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art education, survey of six hundred eighty four papers published on “Art Education Review”,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and “Journal of Art Educat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has been conducted. The classification of papers is done by the yearly records of publication, by the theme, by the objects and by the methods. Since three papers had been published in 1984, the number of publication has increased continually. In 2005, the total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three journals is 81 and, in the near future, more than 100 papers are expected annually. The art education instruction is the most predominant theme. Recently, there are ascending tren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art education theory and philosophy, art curricular and textbooks, art appreciation, and so on.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on the studio art and the art history and theory is one quarter of that on curricular art education area. The portion of the papers related o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s 34% followed by general, elementary and middle,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iversity. One area tha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s special education. The portion of papers, which used descriptive method, was about 68%, followed by experimental.

      • KCI등재후보

        한국어 읽기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

        권혜경(Hye-Kyoung Kwon) 한국중원언어학회 2010 언어학연구 Vol.0 No.1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previous work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foreigners which is domestically announced, so that it clarifies the current flow of studies and suggest other future alternatives in reading Korean language. Among total 107, there are 64 works on the method of subject reading, 16 works on curriculum the course of education and 27 works on reading texts. Examining the above mentioned works, we can consider three factors in reading of Korean. First, we need to set a goal for reading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 we should focus more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reading texts. Finally,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reading, we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 KCI등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관한 연구동향

        양난미 ( Nanmee Yang ),김미경 ( Mikyoung Kim ),이아라 ( Ara Lee ),장지선 ( Jiseo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JW)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년 이후부터 2021년 1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55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별 논문 수,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변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2002년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매년 1편 내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별 결과 중 연구대상의 연령대는 초기 성인기, 성별은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유형은 관계성 연구를 중심으로 양적연구가 많았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중에서는 Lucas et al.(2011)의 척도를 김은하 외(2017)가 타당화 한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관련변인별로는 인지 관련변인, 진로 및 취업, 정신건강 순으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연구방법 및 대상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belief in a just world that has increase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this end, 5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January 2021 were analyzed for publishing year, research methods,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variabl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er year show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from 2002 to the present of 2021. Second, th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were mostly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As for the type of research, there were many quantitative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s were the scale by Kim et al. (2017), the Korean version of Lucas et al. (2011). As a related variable, cognitive-related variables were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career and employment,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송향근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7 No.-

        A through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will assist in harmonizing theory with practice. This paper aims to take an overview of research patterns and changes found in the contrastive researches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over the past 40 years since 1969. This study analysed about 633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the contrastive researches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cluding the contrastive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under four variables: chronology,published type, language to contrast, research topic. The topics of researches were discussed under four categories: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semantic. Based on the results, I suggest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contrastive research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 KCI등재

        한국어-외국어 대조 연구 현황 분석-아세안-인도 및 유라시아 지역의 8개 언어를 중심으로-

        김연희,한재민,문진숙,정성호,이정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어 교육 Vol.33 No.3

        This study aims to draw future questions, by examining the trends of contrastive studies on Korean and eight languages used in ASEAN-India and Eurasia. It analyzed the research chronology, purposes and topics, and the types of publication, for 649 studies that had been published from 1990 to 2021. The entir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began to be substantially increased since the early 2000s, and some languages were drastically grown since the 2010s. Each number of studie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purpose and master’s theses, and types of publication were highest, respectively (n=396, 61%; n=374, 57.6%). The number of studies on grammar was highest (n=224, 34.5%), followed by vocabulary, and then, pronunciation and discourse.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variation in the research tendency among eight languages. It suggested that some languages in which few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ould require the accumulation of studies in all aspects, while the others in which relatively m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ould require the diversity of topics.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analyzed the entire trends, where there was no research analyzing contrastive studies on the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