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윤하정삼문취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양상과그 서사적 기능

        장시광(Jang Si kwa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9

        이 논문은 고전대하소설인 <윤하정삼문취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서사적 기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반동인물이 반동 행위를 하게 되는 계기는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성적 욕망, 애정에 대한 욕망, 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 과도한 질시가 그것이다. 이들 인물은 이러한 계기에 의해 반동행위를 하며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려 하나 주동인물과의 대결에서 패배를 한다. 서술자는 성적 욕망을 지닌 인물이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면서 정절 이데올로기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애정에 대한 욕망을 지닌 인물이 반동행위를 하다 끝내 가문에 편입된다는 서사 전개는 성적 욕망을 지닌 인물을 통한 방식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정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딸을 지나치게 사랑해 사위 등과 갈등을 빚는 여성을 통해 서술자는 표면적으로 牝鷄司辰의 논리를 펼쳐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면적으로는 다처체, 혹은 처첩제가 지니는 억압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전실소생을 까닭없이 질시하는 여성을 통해 혈연을 중시하는 전통적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욕망을 지닌 여성반동인물은 서사의 전개에 적지 않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상대를 모함하기 위해 쓴 계략이 오히려 그녀 자신의 행위에 들어맞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역설적 상황은 풍자 및 반전의 통쾌감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여러 반동인물이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결합하는 인물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소설의 전개에 미치는 파장은 커진다. 갈등이 더욱 심화되어 여성주동인물의 고난이 심각해지고,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면서, 작품의 분량 역시 늘어난다. 서술자는 천성은 결정되어 있다는 인식을 표출하고 있다. 반동인물을 대부분 여씨 집안의 인물로 설정함으로써 그러한 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술자는 여성반동인물을 통해 혼사문제를 집중적으로 부각시켜 놓음으로써 반동행위가 천성 때문에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면서 그 이면에 그 시대의 여성이 처해 있던 질곡적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천성보다는 오히려 환경이 그들을 반동인물이 되게 한 요인임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윤하정삼문취록>은 전편인 <명주보월빙>과 비교해 보면, 종통 중심의 사고가 약화된 대신 자식에 대한 지나친 사랑이나 과도한 시기심의 문제를 강조하여 혼인을 한 여성의 현실을 더욱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This thesis is purposed to study female antagonists of an classic saga novel, YunHaJeongSamMunChuiRok. Its main purpose is to study their behavior aspects and the descriptive functions caused by them. Female antagonists in YunHaJeongSamMunChuiRok usually show reactionary behaviors, based on four kinds of desires or greeds. They include sexual desire, desire for affection, excess love for children, and excess envy. Characters who have sexual desire think of man's body as a sexual object and seek to kill his wives to get him, but this plan fails. So they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other man, and finally they attempt to kill the man they love. Their behavior was fully against the idea of faithfulness, which was forced from women at that time, so they could not help being executed at the end. Those who have desire for affection love only one man and attempt to kill the man's other wives. Their behavior, too, was considered as a reactionary one, but it was not against the faithfulness that women have to follow, so they fina1ly could be included in the family. Characters who love their children so much that they do a reactionary behavior treat their son-in-law and his wives badly because they worry that their daughter may not be loved by their husband. This effect is caused by the common knowledge that such life of a wife who is not loved by her husband is not meaningful,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Excess envy also cause a reactionary behavior. A common thing is that they are all stepmother. It can be said that a common knowledge that a stepmother is bad is embodied. These various female antagonists function a stream of a story. Sometimes it happens that an antagonist is caught in her own trap. This irony gives readers a comic beauty, a satiric joy, and a thrill of turning over. It happens that different antagonists join together. The more the characters join together, the more its effect on a story folding. Conflicts become deeper and female protagonists suffer worse hardship. Structure become complicated and the story book become thicker. A narrator shows an awareness that nature is determined. He shows that awareness by creating most of antagonists from Yeo family. He seems to show reactionary behaviors of female antagonists come from nature by focusing on marriage matters while he describes an oppressive conditions in which female suffer at that time. He stresses that it is not nature but an environment that makes female antagonists. Compared with a former work, MyongJuBoWallBing, YunHaJeongSamMunChuiRok bring a real-life condition of women intensively by stresses the matter on excess affection to children or excess envy while weaken the-eldest-son centralism.

      • KCI등재후보

        <소현성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의미

        장시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This thesis is purposed to inquire into what the actions of female antagonists of Sohyunseongnok is and what the meaning in it is. The antagonists in Sohyunseongnok are Hwa and Yeo, both of whom have jealousy in common. Hwa is an iron character who has to accept rival because of her jealousy. She is in conflict with the Suk old and her husband and this conflict is caused by Suk Myung-he. Therefore the conflict with the Suk old is transferred from that with Suk Myung-he. Yeo, who took a blind man in marriage by a forced consent, plot to do harm to Suk Myung-he and Hwa in different ways. In the end Suk Myung-he is away and Hwa is nearly sent away. Yeo made an issue that the other female is faithful or not as a critical way of reaction. Faithfulness was the most virtue to keep and the agonists went through difficulties. These facts show the ideology of faithfulness is strict. Finally, the actions Yeo is against agonists are found out by her husband and she is sent away. But compare with those of other river novels and Sasinamseonggi, the difficulties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go through caused by reaction are not serious, which seems that the narrator purpose to transfer a deep lesson more than an interest to female readers. A narrator strongly warns of female's jealousy by creating the jealous characters like Hwa and Yeo as main antagonists. The narrator introduces an ideology of banning jealousy, setting up the different devices which include what a female protagonist like So Wal-young says and motif of invoking a blessing as well as creating female antagonists. These setting is meaningful in that it exposes how the difficulties of female under the system of polygamy, or making a woman a wife and second is very effectively. Hwa and Yeo did not intend to deny the Confucian ideology of that time from the beginning. They begin to bear jealousy characters naturally in their environment that other women become also her husband's wives. Sohyunseongnok is unique in that the characters who experience ideology and antagonists are against it are not fixed beforehand. This shows that the human na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even same female antagonists act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they have some vested rights or not. Having the vested rights against Suk about a marriage, Hwa do not take direct actions against her, who is an agonist, just bears a grudge. But Yeo who does not have vested rights do direct actions. This shows that those who do not have the vested rights suffer from much more psychological repression than those who have them. And a narrator shows his view that he thinks highly of blood line, describing a family in which there are many antagonists. This is an evidence to the contrary of an elitism that the family of agonists have and a false ideology that continues to keep the power of those who have the vested rights. Despite of weakness in quality and in quantity of antagonists, Sohyunseongnok shows the repression and difficulties women who suffer from under the system polygamy, or the system of having many wives. Women who are outsiders and do not have vested rights respond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pression and difficulties while it is female antagonists who try to break them. 이 논문은 <소현성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현성록>의 지속적 여성반동인물은 화씨와 여씨이다. 이들은 모두 투기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화씨는 자신의 투기 때문에 오히려 동렬을 받아들이게 되는 역설적 상황을 빚는 인물이다. 화씨는 석파, 남편과 갈등을 벌이는데 이러한 갈등은 모두 동렬인 석명혜 때문에 비롯되었다. 따라서 석파와의 갈등은 석명혜와의 갈등이 전이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늑혼에 의해 소경과 혼인한 여씨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석명혜와 화씨를 모해한다. 이 때문에 석명혜는 출거되고 화씨는 출거지화의 위기에 몰린다. 여씨가 사용한 결정적인 반동행위의 수법은 상대여성의 정절을 문제 삼는 것이었다. 정절은 조선 시대 여성에게 절대적으로 요구되던 지고의 덕목이라는 점, 그리고 그 때문에 주동인물이 고난을 겪는다는 점에서 여씨의 이야기에는 정절 이데올로기의 경직성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여씨의 반동행위는 소경의 깨달음으로 발각이 되고 여씨는 끝내 출거되고 만다. 그런데 반동행위로 인한 남녀주동인물의 고난이 다른 대하소설이나 <사씨남정기> 등의 인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데, 이는 여성독자에게 흥미보다는 교훈을 더 깊게 전달하려는 서술자의 의도로 보인다. 서술자는 화씨와 여씨 등 투기하는 인물을 주요반동인물로 설정함으로써 여성의 투기에 대해 강력한 경계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성반동인물의 설정뿐만 아니라 소월영과 같은 여성주동인물의 언술, 길복 모티프의 제시 등 다양한 서사적 장치를 통해 서술자는 투기 금지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은 이면적으로 다처제 혹은 처첩제 하에서 질곡을 겪는 여성들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화씨나 여씨는 당대의 유교 이념을 처음부터 부정하려 해서 부정하는 인물은 아니다. 자신이 처한 환경, 즉 자신 외에도 아내가 여럿인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투기의 심성이 발현된 것이다. <소현성록>에는 이처럼 이념의 체화자나 반대자가 선험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곧 환경에 따라 인간의 심성이 바뀔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같은 여성반동인물이라 해도 기득권의 유무 여부에 따라 행위의 방식이 달라진다. 혼인에 관한 한 기득권자인 화씨는 주동인물인 석씨에 대해 직접적인 반동 행위를 하지 않고 다만 원망하는 마음만을 품는 데 반해, 비기득권자인 여씨는 반동 행위를 직접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득권자에 비해 비기득권자가 훨씬 심리적 억압을 지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술자는 반동인물이 몰려 있는 집안을 상정함으로써 혈통을 중시하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주동인물 가문이 지니는 배타적 선민의식을 반증하는 장치로서 기득권자의 지배를 영속화하려는 허구적인 이데올로기일 뿐이다. <소현성록>은 반동인물의 양적, 질적인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다처제, 혹은 처첩제 하에서 겪어야 했던 여성들의 억압과 질곡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주변인, 비기득권자인 여성은 그 억압과 질곡에 대해 상이하게 반응했는데 그것을 과감하게 깨뜨리려고 시도했던 인물이 바로 여성반동인물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 형상에 끼친 가족 문화의 영향

        신재홍(Shin, Jae-ho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는 여성 인물이 다채롭게 형상화되어 문학적 흥미를 자아낸다. 본고는 여성 인물 형상화의 작가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야기를 좋아하는 윤 부인이 가족의 중심이 된 점에 주목하여 가족 문화가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 형상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으리라 보았다. 관련 자료는 김만중 형제와 조카들이 남긴 문집, 집안의 여성 인물에 관한 행장 등이 있다. 이를 살펴 윤 부인 중심의 김만기, 김만중 집안 가족 문화의 특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예법과 학구적 분위기, 둘째, 문학 향유와 한담, 셋째, 자녀 사랑과 여성 교육이다. 김만중의 소설은 이러한 가족 문화 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보인다. 가족 문화를 염두에 두고 김만중 소설의 여성 인물을 분석하였다. <구운몽>은 수렴과 확산의 구도에 의해, <사씨남정기>는 선악의 전형화를 통해 여성 인물의 형상화가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전자는 상상과 허구 세계에의 몰입을, 후자는 윤리적·이념적 주제 의식에 대한 공감을 의도한 듯하다. 이러한 차이도 있지만 두 작품을 통해 여성 인물이 다채롭게 형상화된 양상만큼은 뚜렷하다. 인물의 원천에 대해 전고의 여성 인물과 당대 여성으로 나누어 살폈다. 전고의 인물은 한시와 소설에 공통된 인물이 상당수여서 한시의 소재가 소설로 이어진 면모를 보인다. <구운몽>의 진채봉, 적경홍은 반첩여, 동작기를 원용함으로써 인물 형상이 심화된 면이 있다. <사씨남정기>의 교채란은 하간 절부에 견줌으로써 악에 빠지는 모습을 더욱 근거 있게 만들었다. 한시에서 다루지 않은 인물을 소설에서 참조한 예는 소설이 지닌 윤리적 지향성을 드러낸다. 한편, 윤 부인뿐 아니라 기녀, 왕실 여성, 익명의 여성 사례 등이 인물 형상에 참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는 주제, 성격, 인물 설정 등의 면에서 가족 문화를 배경으로 한 면모를 지닌다. 가정의 화목이라는 공통 주제는 여성 독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윤 부인 중심의 가족 이야기판은 여성 어른을 중심으로 담소하는 형상에 투영되어 있다. <구운몽>의 황실 여성 형상, <사씨남정기>의 숙종조 왕실에 대한 우의 등도 가족 관계와 관련이 있다. 여성 교육과 자녀 사랑의 문화는 계섬월이 진채봉에게 배우는 장면, 임추영이 인아를 보육하는 것과 연관될 수 있다. 가족 이야기판의 관습을 배경으로 <구운몽>은 여덟 가지 낭만적 이야기를 펼쳤고 <사씨남정기>는 위기 속에서도 예법과 부덕의 윤리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김만중 소설이 가족 문화를 배경으로 당대와 전고의 인물을 참조하여 여성 형상을 그려 내었음을 논하였다. 전기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작품의 역사적 배경을 찾아본 것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background of the colorful shape of female characters is in Kim Man-jung s novels,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ackgrounds, we examined the family culture of the writer centered on his mother Mrs. Yoon who likes stories. Thus, we tried to find out the traces left by the influence of family culture on the image of female characters of two novels. Looking at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writer s family, we can summarize the family culture of Kim Man-ki and Kim Man-jung s family, who have served Mrs. Yoon. It can be said that first, the manners and academic atmosphere, second, the enjoyment of literature and the conversation, third, the lov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 of women. In this family culture, Kim Man-jung s two novels seem to have been born. In the female characters, Guunmong is shaped by the composition of convergence and diffusion, but SassiNamjeonggi is shaped by the typicalization of good and evi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former intended the immersion in the imagination and the fictional world, and the latter intended the empathy for ethical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The female characters in two novels could be explored the femal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nd the women of the time. Th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re common to poems with Chinese letters and two novels. With the examples of characters not be shown in poems, the two novels reveal the ethical orientation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women of the time,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the mother Yoon but also the gisaengs, royal women, and anonymous female cases related to the writer s family were referred. The figure of female characters in two novels has a certain relationship with family culture. The common theme of family reconciliation is the one for female readers. The family story stage centered on Mrs. Yoon leaves a trail in the work of chatting around the female adult. The imperial women in Guunmong and the political comprehension of SassiNamjeonggi may als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s family culture. Women s education and children s love of family culture could be associated with some events in two novels. Considering the family story, Guunmong is an eight cases of romantic story, and SassiNamjeonggi is a lesson to keep the propriety and virtue even in a crisis situation. This study discussed that Kim Man-jung s novels depicted various female figures by referring to the female characters of antecedent stories and the time in the background of family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a more concret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wo novels by this study.

      • KCI등재

        신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광기

        서연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4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dualistic structure and loopholes in Sinsoseol (Korean: literally "new novel") by focusing on insanity of female characters in Sinsoseol. There are frequent journeys in Sinsoseol. A journey of male character is generally based on the premise of setting out to the modernity of enlightenment,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a strong tendency of a profligate tour, with poor or no specific narratives. Main characters of Sinsoseol are female characters that lead the narrative of home and family inherent with the old-fashioned motives of filial duty and virtue. The motif of journey by male characters that frequently appear in Sinsoseol is manifested as their obsession with enlightenment. In the directivity of Sinsoseol that ideologizes home as a place of absolutely perfect order and stability, female characters who returned home with their family destroyed tend to display symptoms of delusion. Korean writer Yi Injik who had political ambitions portrays male characters that resisted to the old political powers as rational and noble heroes in his works 「Tears of Blood (Hyeorui Nu)」 and 「Silver World (Eunsegye)」. On the other hand, he brings into the novels the insanity of female characters as internalized emotions that are in conflict with the periodical situation. The insanity (delusion) of mothers without language or statement to express themselves resulted in another opportunity for their daughters (Okryeon, Oksoon) to be responsible for their academic achievement, which acts as an additional factor for women to make an appearance in the arena of modernization. Moreover, Sinsoseol also played a certain role in discovering a new human aspect from the conventional view of women that had perceived unconditional devotion to men as fate. Choi Chansik's 「The Sound of a Wild Goose (Anuisung)」 and 「Rungrado」 portray female characters with a lowly status who obtains self-examination ability through new education get involved with a man through free love but end up running away due to family trouble and experiencing symptoms of hysteria. Seeing women as not the others from men but as existential human beings, this behavior defined as insanity cannot be explained merely as a manifestation of their inherent brutality. Rather, women's insanity can be interpreted as a self-defensive behavior to protect their identity from the suppressive power system, and a gesture of resistance that fights against such system. Furthermore, women's insanity may be the "superior spirit" that seeks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at their existence means and who they are in the patriarchal society that is hostile toward women. 본고는 신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광기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신소설에서 보통 남성인물들의 노정이란 대체로 계몽의 근대를 향해 나가는 출사로 전제되지만 그에 반해 구체적 서사가 빈약하거나 탈각되어 있는 양상으로 허랑방탕한 유람의 성격이 짙다. 이 가운데 신소설의 주 인물은 효와 열이란 구세대적 모티브를 내재한 가정서사를 이끌고 있는 여성인물들이 주동인물로 존재하게 된다. 신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남성인물들의 유람모티브는 남성의 계몽에 대한 강박증으로 발현된다. 가정을 완전무결한 질서와 안정의 장소로 이념화하는 신소설의 지향성 가운데 가정이 파괴된 채 집으로 돌아온 여성인물의 경우는 망상 증세를 띠게 된다. 정치적 야욕을 가지고 있었던 작가 이인직의 경우 「혈의누」, 「은세계」에서 구태 정치세력에 저항한 남성인물을 이성적인 숭고한 영웅형으로, 이에 반해 시대적 상황과 마찰하는 내면의 표상으로 여성인물의 광기를 등장시킨다. 자신을 표현할 언어가, 언명이 없었던 어머니들의 광기(망상)는 딸들(옥련,옥순)에게 학업 성취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또 다른 계기를 만들어 주며 근대화의 무대에 여성이 등장할 수 있는 배후 요인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신소설은 남성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헌신하는 것을 마치 운명적인 것처럼 인식해 왔던 기존의 여성관에 새로운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는데 일정부분 기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최찬식의 「안의성」, 「능라도」의 경우 미천한 신분이었지만 신교육을 통해 자기성찰 능력을 갖춘 여성인물이 자유연애에 의해 남성과 맺어지나 결국 가정 내 불화로 출분하여 히스테리적 증세를 겪게 된다. 이는 여성을 남성에 대한 타자가 아닌 실존적인 인간으로 본다면, 광기로 규정된 여성인물의 행동을 결코 그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동물성이 발현된 것으로만 규정할 수 없다. 오히려 여성의 광기는 억압적인 권력체제로부터 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 행한 자기 방어적인 행동으로, 그리고 그러한 체제에 공격을 가하는 저항의 몸짓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성의 광기는 여성에게 적대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가 갖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과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찾아가는 여정의 기폭제로 볼 수 있겠다. 즉 신소설 속 여성인물들의 광기는 이념과 풍속, 체험과 관념, 욕망과 명분 사이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협화음의 표상인 것이다.

      • KCI등재

        박경리 문학의 여성인물 원형 연구—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장미영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1

        이 글은 박경리 문학의 여성인물 원형을 탐색하고, 각 원형에 드러난 여성 인물의 성격과 자질을 분석하여, 사회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경리 초기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원형은 크세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결벽한 자아를 가진 미혼여성과 둘째,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어머니가장, 셋째, 여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에 집중하는 정열적인 여성이다. 그러나 이들 여성인물이 보이는 자질과 행동은 개인적인 특질인 동시에 전후 사회의 심리‧물리적 생활공간에서 여성이 겪을 수밖에 없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들 여성인물이 겪는 갈등과 성장은 당대의 시대의식은 물론 젠더적 관점에서 여성이 처한 현실, 남성과 여성에게 차별적인 이중적 성규범의 단면을 보여준다. 성차별적인 사회구조 속에서도 주체로서 살아남아 자리매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성인물은 작가의 페르소나의 분화이자 총합이다. 이들 인물을 통해 작가는 개인에 대한 통찰 그중 여성이 처한 부조리한 현실과 타자화 된 여성이 겪을 수밖에 없는 내면적 갈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를 제공한다.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 여성인물의 원형은 여성이 처한 생활공간의 변화와 여성의 주체화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박경리 문학 전체를 관통하는 원형질로서 여성인물의 성격과 자질을 공유하며 진화한다. 이들 여성인물의 원형은 박경리 문학 전체에 걸쳐 시대와 상호작용하며 수정되고 강화되어 <토지>에 이르러 윤씨부인, 최서희, 별당아씨, 봉순, 월선, 임이네 등과 같은 입체적인 인물형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 KCI등재

        장지연의 『녀자독본』·『일사유사(逸士遺事)』를 통해 본 근대 지식과 여성 인물 발굴의 의미

        김경남(Kim, Kyungnam)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이 논문은 장지연의 『녀자독본』과 『일사유사』 속의 인물을 통해 근대적 여성 인물의 발굴·보급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했다. 이를 위해 근대적 여성관의 변화, 두 텍스트의 인물 유형과 분포, 여성 인물 발굴·보급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적 여성관은 근대 이전의 규범(閨範)이 완화되면서 ‘남녀동등권’ 개념이 도입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때 등장한 남녀동등권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적 차원에서 남녀가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채, 가정이나 사회(국가)에서 여성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또는 여성에게 어떤 역할을 부여해야 마땅한가라는 논의로 이어졌다. 둘째, 여자 교육에서 여성 인물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성 인물은 조선 초기부터 풍속 교화 차원에서 삼강행실류나 여범(女範) 등과 같은 교훈서에 빈번히 활용되었고, 조선 후기 『이향견문록』이나 『호산외기』 등에서도 여범 또는 후세에 전할 만한 여성 인물이 수록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여성관과는 달리 남녀평등권 개념이 도입된 이후 여자 교육에도 일정한 변화가 생겨 났으며, 장지연의 『녀자독본』과 『일사유사』의 인물 발굴은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셋째, 『녀자독본』의 여성 인물은 상권의 경우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 위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들의 행적은 대부분 ‘현모양처’, ‘부덕’을 지킨 위인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하권의 중국과 서양 여성 인물 가운데 ‘여장부’로서 활동했거나 국민 의식과 평등사상을 실천하고자 한 인물들이 포함된 것은 근대적 여성관에 부합하는 인물 소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일제 강점기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사유사』는 조선의 인물만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적 여성관을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 of discovering female characters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view of women in modern knowledge 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modern view of women and the meaning of female characters, and attempt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discovery and dissemination of these characters. First, the modern view of women is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male and female equal rights” as the pre-modern norms were relaxed. However, the gender equality that emerged at this time did not provide a specific direction regarding men and women having equal rights at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legal levels, and what role women should play in the family or society (or country). It led to a discussion about what role should be assigned to women. Second, it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female characters in women’s education.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female figures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instructional books such as Samganghaengsilr(三綱行實) and female offenders(女範)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IHYANGGYEONMUNROK(里鄕見聞錄) and the HOSANOIGI(壺山外記)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so included female characters that could be presented to future generations. However, the traditional view of women has changed in women’s education since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was introduced, and the findings of characters in Jang Ji-yeon"s the NYEOJADOKBON(女子讀本) and the ILSAYUSA(逸士遺事) reflect such demands of the times. Third,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NYEOJADOKBON(女子讀本) targeted pre-modern great Korean women, but most of their achievements were of being a wise mother and good wife(賢母良妻)" and those who possessed “womanly virtues.” However, the inclusion of working women from among Chinese and Western female figures in the lower volume, or those who tried to practic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equality is considered to be an introduction that fits the modern view of women. On the other hand, the ILSAYUSA(逸士遺事),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limitations in portraying the modern view of women by targeting only Joseon characters.

      • KCI등재

        <창란호연록> 연작에 형상화된 하층 여성인물의 서사 방식 연구

        김민정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3 No.-

        This study compares the narrative methods of lower-class female characters embodied in the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and Oknankiyeon(玉蘭奇緣) series and discusses the expansion of character shapes in Oknankiyeon(玉蘭奇緣) and its descriptive effects. The narrative proceeds from the prequel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to the sequel Oknankiyeon(玉蘭奇緣), and the aspect of the lower female character is further expanded. First, similar roles are repeated continuously in the way the lower female characters are shaped. In particular, the role of a character playing an auxiliary role is repeated, and the same character appears consecutively in the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and Oknankiyeon(玉蘭奇緣), and new characters appear and often have the same roles assigned in the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In many classical epic novels, it is clear that characters with roles similar to the lower-class females mentioned above appear. However, as the narrative progresses from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to Oknankiyeon(玉蘭奇緣), it is obvious that the importance of lower-class female characters is clearly increasing. In conclusion, this development show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sequel that Oknankiyeon(玉蘭奇緣). It draws attention from readers by bringing up a central character of the sequel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 in the previous novel. And the monotony that could be caused is being alleviated by expanding and changing roles. For the descriptive intention, a lower-class female character plays the main role particularly. It is not easy to expand the number and central roles of the upper class in the narrative. But the lower class is different. Because it is unnecessary for the lower class to describe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reely expand the character and background. Next, a large number of lower-class female characters with various shapes appear in Oknankiyeon(玉蘭奇緣). In Oknankiyeon(玉蘭奇緣), a lower-class female character appears where the beneficiary of her own interests is the cause of the act. They commonly appear as lower-class female characters slander upper-class female characters, and ‘the pursuit of affection’ is the purpose of the act.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a lower-class female character having a double –sided shape is mentioned. The twofold formations are portrayed in So-eng(소앵) and Hong-rang(홍랑) in Oknankiyeon(玉蘭奇緣). They change from the protagonist's helper to the antagonist's helper. Moreover, they behave like upper-class women in spite of their lower class and gender. In this way, the Changranhoyeonrok(昌蘭好緣錄) series is a work containing the value of the narrator's diversity. Readers can feel new and interested by the shape of a colorful lower-class female character. The novelty of the lower female character in various ways gives readers the novelty of the narrative beyond the limits of status. 이 글은 <昌蘭好緣錄>·<玉蘭奇緣> 連作에 형상화된 하층 여성인물의 서사 방식을 비교하고 <옥난기연>에서의 인물 형상 확장과 그 서술적 효과를 논의한 글이다. <창란호연록>에서 속편 <옥난기연>으로 서사가 진행되며 하층 여성인물의 양상은 더욱 확대된다.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하층 여성인물이 형상화되는 방식에서 유사한 역할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특히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의 역할이 반복되는데, 같은 인물이 전편과 속편에 연속하여 등장하는 경우도 있으며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여 전편의 인물과 동일한 역할을 부여받는 경우도 많다. 여러 고전대하소설에서는 앞서 언급한 하층 여성인물과 유사한 역할의 인물이 등장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창란호연록>에서 <옥난기연>으로 서사가 진행됨에 따라 하층 여성인물의 비중이 확연히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은 분명하다. 이러한 현상은 결론적으로 <옥난기연>이 가지는 속편의 한계를 극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을 속편의 중심인물로 삼아 독자의 관심을 끌고, 자칫 불러올 수 있는 단조로움을 역할의 확장과 변화로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술자의 서술 의도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다름 아닌 하층 여성인물이다. 서사의 중심이 되는 상층 인물의 수와 역할을 확장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하층민은 다르다. 하층민은 등장의 배경을 서술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자유롭게 인물과 배경을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특징은 전편에 비해 속편인 <옥난기연>에서 ‘다채로운 형상’의 하층 여성인물이 대거 등장한다는 점이다. <옥난기연>에서는 본인의 이익의 수혜가 행위의 기인이 되는 하층 여성인물이 등장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상층 여성인물을 모해하는 하층 여성인물로 등장하며 ‘애정의 추구’가 행위의 목적이 되는 인물이다. 또한 양가적 형상화를 보이는 하층 여성인물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양가적 형상화는 <옥난기연>의 소앵, 홍랑 등에게 나타난다. 이들은 주동인물의 조력자에서 반동인물의 조력자로 변화하기도 하고 하층 여성이면서도 상층 여성의 형상과 유사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이 <창란호연록> 연작은 서술자의 다양성의 가치를 담은 작품이며, 독자는 다채로운 하층 여성인물의 형상을 통해 새로움을 느끼고, 또 흥미를 느끼게 된다. 하층 여성인물이 가진 여러 방면의 새로움은 신분의 한계에서 벗어난 서사의 새로움을 독자에게 선물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최인훈 희곡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구현

        Cathy Rapin 한국연극학회 2004 한국연극학 Vol.0 No.22

        일반적으로 “비 가시성非 可視性”의 컨셉은 연극에서 기본이다. 최인훈의 희곡에서 이 비 가시성(l'invisible)은 단순히 가시성의 이면이 아니다. 가시적인 세계 속에 서있는 보이지 않는 세계만도 아니며, 이것은 무대에서 뿐만 아니라 희곡 텍스트에서도 자리를 잡고 있다. 최인훈의 희곡은 비 가시성과 가시성 사이의 긴장의 공간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긴장은 이 작가의 시적인 지문 속에서 뿐만 아니라, 불확실하거나 또는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 존재들에 의해, 특권이 부여된 역할을 하고 있는 여성인물들에 의해 발화된 대화 속에서도 나타난다. 그래서 우리는 최인훈의 다섯 편의 희곡 속에서 여러 성격이 혼합된 그러면서도 중심이 되는 여성 인물 존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주제 선택은, 먼저, 개인적으로 그 전 연구의 결과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아주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이 여성 인물들이 비 가시적인 세계를 연결하는 중개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 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 이 여성 인물 속으로 들어가 보면, 이 인물들이 나름의 원칙을 가진 어떤 세계 속으로 들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인물들을 분석해 보면, 이들이 결국 대부분은 불확실한 정체성을 지닌 유령(fantôme)같은 존재라는 점도 알게 되었다. 우리의 분석은 그래서 다른 위상의 여성 인물을 보여주고 있는 이 작가의 희곡 작품 속에서, 이러한 인물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보여주려고 노력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2부로 나누어진다. 옛날 이야기나 과거 전통 연희 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연극에서 여성인물의 자리와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작품의 원천을 살펴보았다. 그래서 첫 번째로, ‘인물’의 개념을 살펴본 뒤, 최인훈 연극에서 의미를 만들고 있고 존재하고 있는 과거 전통 연희의 인물들을 상기시켜 보았다. 두 번째로, 최인훈 희곡에서의 여성인물들은 출처가 나오고 있는 옛날 이야기에서 나오는 여성인물들 보다 훨씬 더 자유롭고 진보된 여성성을 지니고 있어 여성 인물의 변천을 볼 수 있었다. 그 외, 작가는 비극적이고 병든 사회에서 남성인물은 어떤 면에서 보면, 일종의 장애를 지니고 있는 인물로 만들었는데, 반면에 여성인물은 중심 인물로 만들어 기존의 전통적 남녀 역할의 상하 관계를 뒤엎고 있었다. 결국, 우리는 이 연극에서 인물들의 양태를 살펴보면서, 이 여성인물들이 아주 오래된 과거(옛날 이야기)를 지닌 죽음이나 비가시적인 세계, 다른 세계에서 오는 존재이지만, (연극으로 이동되면서) 변화된 여성인물들의 성격은, 한편으로는 반항하거나 억압된 가시적인 세계에서 저항하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무대위에서 스스로 “연극의 인물”이라는 사실을 드러내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인물의 기능을 살펴보면, 여성 인물은 두 세계에서 존재하고 있었다. 이 여성인물들의 역할과 존재는, 스스로 희생을 해서 가시적인 세계(삶과 연극 무대)를 재생하기 위해 등장하고 있는 비 가시적인 세계의 연극에 속해 있는 인물들의 그것과 동일시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역할을 초월하고 있는 이 여성인물은 무대에서 연극을 말하는 목소리이고, 가시적인 세계와 비 가시적인 세계 사이의 경계에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일종의 장애가 있고 피곤한 남성 주인공의 세계에 문제를 제기하고 비판하면서 연극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존재로 부상되어 있었다. 지금까지 본...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 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길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dealization aspect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of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in comparison with "Ms. Sa謝氏"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e two figures are similar in that they embody the universal moral norms of human characters among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full-length novel, and they experience similar conflict structures due to the hostility of the Concubine or second wife of husband. The creation of the works was similar in that it was created in a relatively early period of Korean full-length novel histor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Unlike Ms. Sa謝氏 who i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and in the level to build a poetry,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been strengthened in Confucianism and has emerged as a scholar-type person like saint or gentleman. Unlike Ms. Sa謝氏 who is obedient to her husband, in case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the moral subjectivity is strengthened and the tolerance is maximized. Unlike Ms. Sa謝氏 who is confined company in the private domain,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orks in the public domain and at the same time returns the glory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Unlike Ms. Sa謝氏 who is getting help from a patriarch or a deceased parent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showed a difference in that she appeared as a solver of the Yee family with excellent foresight.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is a person who emphasizes moral and political autonomy compared to Ms. Sa謝氏 and poses a positive effect in that she is heighten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women by appearing as the most ideal humanoid form without the right of the director of the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ate Chosun Dynasty had a consciousness that women were equal subjects with men, mainly women with intellectual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y tried to make political writings or to raise public speeches. However,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o is idealized as an omnipotent and benevolent person like a saint, has a role as a solver that heals and manages the crack of patriarchy. The desire of men who desire absolute comfort or care from idealistic wome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extremist turmoil is projected to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ich may be an example of overburdening women. In particular, even if patriarchy works for a corporation, it is a patriarchal system that only a husband exists in case of Ms. Sa謝氏, wherea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father in law, mother-in-law and many brothers of his husband. 본고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통해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씨남정기>와 <유씨삼대록>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작된 장편소설로, 두 작품의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사씨와 진양공주는 장편소설의 여성인물 중 남녀 보편의 도덕적 인간형의 표준을 구현하고, 남편의 첩 혹은 둘째부인 등의 적국의 모함으로 인해 흡사한 갈등을 겪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런데, 불가와의 친연성이 높고 시문을 하는 정도의 사씨에 비해 진양공주는 유교 중심주의가 강화되고 성현군자와 같은 학자형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남편에게 순종하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도덕적 주체성이 강화되고 포용력이 극대화된다는 점, 사적 영역에 한정된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면서 그 영광을 시가로 환원한다는 점, 돌아가신 시부모나 도승에게 도움 받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뛰어난 예지력으로 시가의 해결사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진양공주는 사씨를 염두에 두고 고안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성인물의 이상화라는 큰 궤적에서는 동궤에 있지만 여러 모로 사씨와 대척점을 지닌 인물로서 형상화되고 있었다. 특히 진양공주는 사씨에 비해 도덕적·정치적 자율성이 강조되는 인물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우의 없이도 가장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등장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을 최고조로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의를 갖는다. 여기에는 조선후기 사대부가 지식인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주체라는 자각과 더불어 정치적인 글을 짓거나 상소문을 올려 공적 발언권을 가지려 했던 당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사씨에 비해 성녀와 같이 전지전능하고 자비로운 인물로 이상화된 진양공주는 결국 가부장제의 균열을 치유, 관리하는 해결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도 요구된다. 17∼18세기 당쟁으로 인해 극도로 혼란한 시기에 이상적인 여성으로부터 절대적인 위안을 받고 싶은 남성들의 욕망이 진양공주에게 투사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에 대한 과도한 짐 지우기의 한 양태일 수도 있다. 사씨에게는 가부장제가 작동한다고 해도 남편만이 존재하는 단출한 가부장제인 데 반해, 진양공주는 시부모를 비롯한 남편의 숱한 형제로 구성된 거대 가부장제에 포섭됨으로써 진양공주에게 주어진 권한이 시가를 위한 것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인물의 이상화에 큰 공을 들이며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거쳐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에 이르면 그 극점에 도달하는데, 진양공주와 같이 극도로 이상화된 여성인물은 당대 여성들에게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남훈태평가』 소재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인물상의 특징적 경향과 의미

        최규수(Choi Kyu soo)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if there is any cause of change in affectional theme which is told as feature of Sijo in <Nam Hun Tae Pyong Ka> especially in figuration of love. The tendency of popularization of Sijo may have affected figuration of characters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existing results of discussion that is looking for the value as data of <Nam Hun > ……from 'Bang Kak Bon/ Sijo Chang Kajip. To discuss the character, it is also important to focus on majority and widespread influence and cognition. Of course, by the feature of <Nam Hun ……>that registers neither editors nor writer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of characters lies on presupposing both faced song of Sijo in <Nam Hun ……>which is (Sijo) literature and (Sijo) song as well. To Sum up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basis of new formation of the characters by observing the trend of adaption from existing works. The appearance of new formula phrase which accompanies changes as colloquial closing words is the foundation of formation of the character which aims toward the equality of relationship and refuses closed absorption in love. And this is connected with sympathetic foundation of devotees of Sijo in <Nam Hun ……>who are the demanders of this kind of wording. Next, as a result of observing distinctive aspect of formation of female characters, it appears that female characters is rising to the surface through slight change. Besides, describing female characters as a little tough in Sijo of <Nam Hun ……>and highlighting the character of timid man are meaningful points separately from reality problem on the respect that they break the standard and the ideal of the last period. This is also an aspect in the history of 19 Century's Sijo that appears from popularization supported by the spread of 'Bang Kak Bon' and the simplicity of Sijo Chang. 이 글은 남태 소재 시조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주정적 주제화, 특히 사랑의 형상화에 있어 어떠한 변인이 있는지를 인물의 측면에서 살핀 논의이다. 남태의 자료적 가치를 방각본/시조창 가집에서 찾는 기왕의 논의 성과를 주목할 때, 시조 대중화의 경향성은 인물상의 형상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캐릭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소수가 아닌 多衆의 향수를 주목하고 저작권만큼이나 廣布의 영향력과 인지도를 살피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물론, 編者도 作家도 記名되지 않은 남태의 특성상, 인물상 논의의 출발점은 남태 소재 시조 역시 (시조)문학이면서 (시조)노래인 양면성을 전제하는 데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 작품의 개작 방향을 살펴 새로운 인물상 형성의 토대를 짚어보았다. 구어체 종결어로의 변화를 수반한 새로운 공식구의 등장은 관계의 대등성을 지향하며 사랑에 대한 폐쇄적 몰입을 거부하는 인물상 형성의 기본 토대를 말해주는 것이며, 이는 이러한 어법의 수요자인 남태 소재 시조 향수층의 공감대적 토대와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성 인물상 형성의 특징적 양상을 주목한 결과, 지칭의 변화와 같은 사소한 변이를 통해 일상적 여성 인물상의 표면적 부상에 성공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나아가 남태 소재 시조에서 아녀자의 인물상이 다소 우악스럽게까지 형상화된 것과, 소심한 소장부의 인물상이 부각되는 면모는 전대 시조의 규범과 이상형을 깨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티의 문제와는 별개로 유의미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19세기 시조사에서 방각본가집의 보급과 시조창법의 간편성이 뒷받침되어 나타난 대중화의 한 양상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