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휘튼대회의 복음전도와 사회참여에 관한 선교사역적 이해

        박영환(Yeong Hwan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The Wheaton Conference is the challenge of ecumenical movement and the official proclamation of the stances of evangelical movement and the exhibition of plans of evangelical references in 1966. This was a response to the ecumenical absorption of IMC, which was at first evangelical up until 1958, during the 3rd WCC in 1961. 1. The Wheaton conference was a movement to challenge the ecumenism. As part of a way to challenge the ecumenical movement and make a firm stance, the motto of the evangelical movement was “It is not about heresy, enemy, sin, church,” and mentioned that evangelical movement will give up its conversations with WCC. They will proclaim the evangelical unity and consistency is affected by the pressure, the persecution and the pain caused by the ecumenism. Especially since the identity of protestantism became confused as well as at times chaotic because of the dialogue with the roman catholics and greek orthodox; something that is largely promoted by ecumenism but not welcomed by evangelicalism. The evangelical movement is strongly against the ecumenical movement only because it allows the Gospel to be deteriorated, replaced, and at extreme cases, it does not even carries the meaning of the Gospel. This tendency is a recourse of Hudson Taylor’s proclamation during the formation of IFMA in 1917. 2. The Wheaton Conference reveals the biblical stance of the evangelical movement. The difference between evangelical movement and ecumenical movement is evident. The changes happening in mission fields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movements affecting the social works shows us that the evangelical movement can no longer take a step backward when it comes to issues concerning the Gospel. The ecumenical movement limits salvation to one’s own salvific destiny which is not what the evangelical movement believes. The evangelical movement believes in the repentance led by the Holy Spirit in accordance to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 belief in the forgiveness caused by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 and the discipleship through the devotion of one’s life to the Word. The ecumenical movement solely focus on the worldly works that is need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ecumenical movement creates wastelands, according to evangelicals, and seconds the work of the salvation. Evangelical missionaries therefore, works on missions that will heads toward the salvation of people regardless of if it is less focused on social welfare. There is a belief that works of social welfare will gradually appear. However, even if the social works are less funded, the spiritual works is always given priority. 3. It is impossible to unify the two sides. The Wheaton Conference is a proof that the evangelical and ecumenical movement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foundation, hence they can never be unified. Evangelicals believe that without being born-again, there is nothing but eternal death. This is their statement. Even if there is nothing but proclamation of the Word, the spiritual aspects must come first before anything. This is where it differs from ecumenism. It only makes sense that evangelical movements feel that they are being pressured by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mission field, complain about their ongoing excursions and pressure, and acts only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of our Lord. Nevertheless, one with passion for the Gospel will take part in social welfare works, and proclaim the Gospel without worrying about ecumenism. 4.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is no need for unification between the two movements, with the approval of the biblical authority and the identity of the Gospel, there are room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movements. There is no need for ecumenism to solve the problems between the Roman Catholics and Greek orthodox. If proselytism is a problem for ecumenism, problems concerning sharing the Gospel need to be addressed. 휘튼대회는 1958년까지 함께한 IMC가 1961년 3차 WCC에 귀속됨으로써 설자리를 잃어버린 선교단체와 선교회, 개 교회와 교단선교부들이 1966년 휘튼에서 에큐메니컬 선교에 도전하고, 복음주의 선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복음주의 일치를 꾀하고자 개최되었다. 1. 휘튼대회는 반에큐메니컬 운동과 선교를 선포하였다. 복음주의 진영은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 “이단, 적, 죄악, 교회가 아니다”라는 강경한 어투를 사용하면서 반대하였으며, “WCC와의 만남과 대화도 포기”한다고까지 하였다. 또한 에큐메니컬 진영으로부터 받은 압력과 고난, 고통을 제시하면서 복음주의의 통합과 일치를 강조하였다. 특히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에큐메니컬 운동에 가입한 사건을 개신교 정체성의 혼란과 혼동을 야기한 주된 요인으로 보고, 심지어 로마가톨릭도 선교의 대상으로 보았다. 복음주의 선교가 에큐메니컬 운동을 거부하는 이유는 그 운동이 복음을 혼란, 변경, 대체 혹은 가감함으로써 복음의 정체성을 흔드는 혼합주의적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향은 1917년 IFMA를 구성할 때 허드슨 테일러의 공식적인 선언에서 발견된 내용과 일치한다. 2. 휘튼대회는 복음주의 선교의 성경적 입장을 근거로 에큐메니컬선교와 통합이 불가능하고,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컬 선교가 근원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복음주의는 선교를 성서의 권위를 근거로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회개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용서함을 믿고, 말씀의 삶을 결단하는 제자화를 강조한다. 이때 제자화란 복음주의 선교의 사회적 삶의 실천을 말한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이것을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는 개인구원, 다른 하나는 사회구원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정의하였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여러 과제 중 상황적으로 긴급한 사역에 집중하였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선교 현장을 영적 황무지를 만들고 영혼구원을 포기하는 결과를 낳았다. 반면에 복음주의는 오직 복음으로 회개한 영혼을 구원하는 활동에 집중하며, 영적 사역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사회봉사 사역이 성취된다고 보았다. 휘튼대회는 양 진영이 더 이상 연합할 필요가 없음을 입증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속적인 압력과, 선교지에서의 회유와 압박을 고통스럽게 호소하며, 오직 복음전도로 주님의 대위임령을 수행하려고 한다. 복음의 열정이 있으면 사회참여와 봉사가 이어질 것이지만, 설령 사회봉사를 실천하지 않았다고 해도 복음제시가 이루어졌다면 그것은 선교를 행한 것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에큐메니컬 선교와의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3.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노력보다 서로의 특징을 살려 독립적 선교운동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서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선교의 핵심적 동심원이다. 따라서 가운데 영역에 복음주의 선교를 놓고 그 주변 원으로 에큐메니컬 선교를 배치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시도보다 성경의 권위와 복음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배려함으로써 사역의 다양성을 전제로 서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독립적으로 할 것은 독립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복음주의 선교의 개종 문제나, 로마가톨릭과 정교회 문제는 에큐메니컬 선교에서 관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큐메니컬 선교의 개종 문제나 복음주의 선교의 복음 제시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 양 진영이 서로 논쟁하는 것은 매우 소모적이다. 오히려 복음주의 선교는 근본적으로 복음의 정체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컬 선교를 떠받치는 토대로 보는 것이 좋다. 반면에 에큐메니컬 선교는 다양한 선교 영역을 접할 수 있는 정책과 전략을 지원하며, 연합과 통합된 사역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양 진영의 사역들은 복음증거 사역을 전제로 한 영역으로 보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큐메니컬 선교는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개신교의 교리와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 KCI등재

        에큐메니컬 교회를 위한 모색과 전망

        최종호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에큐메니컬 교회에 대한 모색과 전망”은 두 가지에 목표를 두고 있다. 하나는 ‘세계라는 집’에 대한 관심이요, 또 하나는 ‘교회’의 에큐메니컬적 실천에 있다. 다시 말하면 오늘의 세계에서 교회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고자 하는 것이다. 에큐메니컬 교회는 나누어진 교회가 획일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그 나름대로의 역사적 분열의 이유가 있었는데 억지로 하나의 단일한 교회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 자체는 교회 형성의 다양한 지체를 획일화하는 것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오늘 날도 교회가 획일적으로 되어 어떤 정치권력과 영합한다면 복음 정신이 훼손되고 나아가 교회는 사회의 정치 집단으로 변질 될 것이다. 중세 시대 로마 교회가 그랬고, 히틀러 정권 시대에 독일 국가 교회가 그랬고, 지금도 교회가 어떤 정치 세력과 타협하여 획일적으로 나타날 때, 교회의 본질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신학적 과제는 우선 특징 없는 다양한 교파들이 해체되고 어떻게 그 대신에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된 다양한 형태의 교회들이 다시 출현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성서에서 인간은 수많은 양태로 하느님을 경험한다. 이제 교파의 일치는 과거처럼 어느 특정한 교파로의 일치를 모색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시도하는 것조차 무의미한 일이다. 오히려 기존 교파들이 “해체”되고 “교파를 초월한 수많은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탄생되어야 한다. 오늘의 ‘탈 현대주의’는 단일한 특징 없는 교회의 획일성이 해체되고 특징 있는 다양한 교회들을 요청한다. 더 이상 교회가 특징 없이 마치 모델-하우스 같은 획일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에큐메니컬의 실천적 관심은 세계와 교회의 두 축이 만나 평화로운 지구촌을 희망하게 한다. 우리는 그 희망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라는 에큐메니컬적 사고와 실천에서 기대할 수 있다고 확신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에큐메니컬적 이해는 수많은 교파로 분열된 교회뿐만 아니라 각 민족과 나라와 인종으로 나누어져 분열과 시기와 쟁투로 얼룩져 있는 세상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할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The concern of this analysis deals with resolving the exclusivity of the existing church in Korean society. Church officials suggest an open dialogue with those of different denominational beliefs. These leaders are satisfied with this “open progress” or “open conversation.” This study, however, offers an alternative suggestion to resolve the exclusivity: the existing church must become ecumenical. The ecumenical church pursues unity amidst the theological diversity for reconciliation and world peace. This church declares Jesus Christ is the hope, light, and life of the world. Because the world needs Jesus, the existing church must become ecumenical. To sustain this argument, two goals comprise this study. The first objective necessitates ascertaining a right understanding of our existing world, and the second involves understanding the ecumenical church within this world. In particular, the analysis considers the nature, character, function, purpose, and benefits of the modern ecumenical church, necessary to resolve the current exclusivity.

      • KCI등재

        윤동주 시의 발생론적 根源 연구

        김치성(Kim, Chi-s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 글은 윤동주 시의 발생론적 根源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그동안 윤동주의 시 연구의 역사는 그의 고향 ‘북간도에 관한 해석의 역사’라고 할 만큼, 그의 시는 북간도와의 관계망 속에서 그 의미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북간도에 관한 일반론적인 접근만 이루어진 채, 윤동주의 북간도가 지니는 특수성과 구체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따라서 북간도를 구체화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윤동주의 북간도는 다름 아닌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윤동주 시 형성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의 풍경을 풍성하게 복원시키고자, 역사 · 신학 · 문학 등 다양한 층위에서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디아스포라의 땅인 북간도에서 그들은 놀라운 ‘사건들’을 경험한다. 그들은 ‘집단이주’를 하였고, ‘새 민족 공동체’를 구상하여 학교를 세우고 교육에 온 힘을 쏟았으며, ‘집단개종’하여 ‘평등사상’과 같은 기독교 신앙을 직접 경험한다. 둘째, 그들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이른 바 ‘에큐메니컬 정신’ : ‘화해와 일치의 평화를 지향하는 정신’을 획득하게 된다. 그래서 ‘해방이후’ 보수적인 서북 기독교의 일부 흐름과는 다른 진보적 기독교의 기원으로서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를 마침내 형성하게 된다. 셋째, 그들 공동체의 에큐메니컬 정신은 그 구성원이었던 윤동주 시세계를 구성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윤동주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의 ‘시작’과 ‘끝’에 나오는 두 시편은 모두 에큐메니컬 시세계를 형상화하고 있고, 그 ‘사이’에 놓인 시편들도 에큐메니컬 세계의 구성 요소인 ‘성찰적 주체’와 ‘역사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접근은 ‘초월/내재’, ‘보편/특수’라는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윤동주의 시를 파악하던 관행에서 탈피하여, 변증법적 위치에서 그의 시를 해석하는 새로운 독법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가 추구한 에큐메니컬 세계는 진보적 신학인 아래로부터의 신학에 근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 것에 그 의미가 있듯이, 윤동주의 시세계도 보편성을 추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보편성을 지향한 것이야말로 윤동주 시의 진정한 가치이다.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에큐메니컬을 지향하는 윤동주의 시세계가 더욱 구체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is a study inspecting the source of development theory of Yoon Dongju’s poems. Meanwhile as much as the study history of Yoon Dongju’s poems could be said the interpretation history on Bukgando which was his hometown, his poems had made up meanings in the relational net of Bukgando. However only general approaches were done on Bukgando, the limit of not to clear up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concreteness of Yoon Dongju’s Bukgando was reveale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ncreting Bukgando. By the way, Yoon Dongju’s Bukgando in the article means just as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So, to exuberantly recover view of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this study tried whole approaches with various level such as history, theology, literature and so on.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y experienced astonishing ‘events’ in Bukgando as land of diaspora. They did ‘mass migration’, conceived ‘new ethical community’, established a school, strived for educating, did ‘mass conversion’, and directly experienced ‘christian faith’ such as ‘ideology of equality’. Second, they attained so-called ‘ecumenical spirit : the spirit to aim at the peace of reconciliation and accordance’. Thus they finally made up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as the origin of progressive christianity different from conservative west-northen christianity. Third, the ecumenical spirit of their community critically influenced to forming th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a member of that community. For example, two poems, the first poem and the last poem, in Yoon Dongju’s poem collection『Haneulgwoa Baramgwoa Byeolgwoa Si』(『Sky, Wind, Star and Poem』) embodied ecumenical poetic world. Other poems between them revealed ‘introspective subjec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components of ecumenical world apparently. These approaches will become new reading methods interpreting Yoon Dongju’s poems in dialectical position beyond the practice which grasped Yoon Dongju’s poem in dichotomous system such as ‘transcendence vs immanence’ and ‘universality vs specificity’. In other words, it was meaningful that ecumenical world aimed by the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sought to universality based on progressive theology from the bottom, likewise the real value of Yoon Dongju’s the poetic world was to aspire for universality in the situation could not aim to universality. I anticipate that th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aiming to ecumenism will be more concreted.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부산총회와 에큐메니컬 운동

        장윤재 ( Yoon Jae Cha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組織神學論叢 Vol.37 No.-

        가부장제 문화에 군사주의 문화와 근본주의 신학까지 결합하면서 한국은 에큐메니컬 신학과 운동이 뿌리내리기 힘든 척박한 토양이 되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세계에서 에큐메니컬 운동과 문화를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이 바로 한국이며, 이번에 한국의 부산에서 열린 제10차 WCC 총회는 바로 그러한 에큐메니즘으로의 길을 향한 하나님의 초대이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목표는 교회의‘하나됨’그 자체가 아니다. 교회의‘하나됨’의 목표는 교회의‘교회됨’이다. 따라서 에큐메니즘의 목표는‘일치를 위한 일치’가 아니라 교회의‘교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은‘이 세계의 위기에 대한 교회의 공동 대응’이다. 필자는 WCC 역사상 처음으로 이번 부산총회의 주제에‘정의’와‘평화’가 주제어로 채택된 과정을 소개하면서, 한국교회와 신학이 그동안의 잘못된‘정의와 사랑의 이분법’에서 벗어나‘하나님의 정의’를 바로 이해하고 그 위에 생명과 평화의 문제를 새롭게 의제화하자고 제안한다.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제10차 WCC 부산총회는 세계 에큐메니컬 운동과 신학의 역사에 특별히‘정의’의 문제를 강력히 제기한 총회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WCC 가입 문제를 놓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열을 경험한 교회이다. 필자는 WCC에 대한 용공시비, 사회참여 시비, 종교다원주의 시비에 각각 반박하면서, 한국교회가 더 이상 분열과 경쟁과 팽창의 길을 고집하지 말고 교회의 일치, 인류의 일치, 그리고 우주의 일치라는 에큐메니즘의 새 길로 나아가자고 제안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에큐메니컬 vs 에반젤리컬’이라는 잘못된도식의 극복이다. 에큐메니컬의 반대는 에반젤리컬이 아니라 근본주의, 특히 호전적이고 배타적이며 분열적인 근본주의이다. 원래 자유주의와의 신학적 논쟁으로 시작한 미국의 근본주의는 1930년대 이후‘싸움과 분리’를 일삼는 새로운 근본주의로 나아갔다. 이‘싸움과 분리’가 1950년대 한국에서 재현되었다. 근본주의는‘분리’를 강조하지만 실제의 목표는 이전에 자신이 누렸던 힘을 세상에서‘복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근본주의 정치학에서 벗어나는 것이 한국 에큐메니즘의 미래요, 나아가 개교회주의, 성장주의, 분리주의, 그리고 배타주의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빠진 한국교회를 살리는 새 길이라고 필자는 주장한다. Korea is a futile land on which ecumenical movement and theology can hardly put down its root because of the triple bond of patriarchy, militarism, and theological fundamentalism. However, it is because of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author, that Korea needs ecumenical spirit and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 10th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hich was held in 2013 in Busan, Korea, was a God-given opportunity for such an ecumenical renaissance in Korea. In order to raise ecumenical spirit and culture in Korea, however, the author suggests that we first need to overcome the false duality of “ecumenical vs evangelical.” The opposite of ecumenical is not evangelical but “sectarian”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Christian fundamentalism. Fundamentalism in America began as a theological dispute with liberalism; and yet it has developed itself into an extreme separatism in the 1930s. This “fight and separation” reappeared in the 1950s in Korea and it resulted in the birth of more than two hundred new Presbyterian denominations in Korea. It appears on the surface that fundamentalism aims “separation” from the “infidels”; however, its real aim, emphasizes the author, is not to separate itself from the world but to recover its controlling power over the world. On the contrary, ecumenism is a self-emptying spirit and culture that acknowledges the limit of each denominational confession and endeavors to make Christian fellowship as universal church of Jesus Christ. And yet, the aim of ecumenical movement is not “unity” itself. “Unity for the sake of unity,” according to the author, is as dangerous as division of the church. The purpose of Christian unity is to recover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church and to make the church true church. The ecumenical movement, therfore, should be defined as churches` common response to the crises of the world which is deeply separated and wounded. After refuting those false charges of conservative churches against the World Council - e.g, the Council is pro-communist, opts for religious pluralism, and is opposed to proselytism (misunderstood as conversion in Korea) -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overcome the existing model of separation and competition and move forward to a new road of ecumenism which will lead us to the unity of the church, humankind, and God`s whole creation.

      • KCI등재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한국의 개신교와 시민사회

        장규식(Chang Kyu-Si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민주화 이후 30년은 절차적 민주화에서 실질적 민주화로 가는 시행착오의 과정이었다. 그 와중에서 한국의 개신교계는 반공주의 · 성장지상주의 · 소비자본주의에 얼룩진 부끄러운 민낯을 여실히 드러냈다. 먼저 NCCK로 대표되는 에큐메니컬 기구 활동은 교계 대표성의 축소, 보수 헤게모니의 강화, 사회적 공신력의 추락, 지도력의 공백과 정체성 위기등의 난맥상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현재 NCCK는 교단 안배 식의 목회자중심 연합운동에서 벗어나 평신도 에큐메니컬 역량을 포괄하는 방향에서 운동의 새로운 틀을 짜고, 종래의 관민 구도에서 벗어나 생명 · 평화 · 정의의 구체적 의제를 개발해야 할 과제를 앞에 두고 있다. 다음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의 경우는 생활세계의 문제를 다루는 시민운동의 부상과 복음주의 계열의 사회운동 합류라는 새로운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환경문제와 남북나눔 · 교회개혁 등의 의제를 놓고 에큐메니컬 진영과 복음주의 계열 사이에 운동의 접점을 넓혀가기도 하였다. 한편 민주화 이후 한기총으로 대표되는 보수 교권세력과 대형교회들은 신앙을 상품화하고, 수구 기득권을 옹호하는데 앞장섬으로 인해 시민사회 공론장의 신랄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그리하여 교회갱신이 한국사회 적폐청산의 우선순위로 등극하는 엄혹한 현실을 맞이하였다. 현재 한국의 개신교는 교회갱신을 통해 경제 민주화와 사회 공공성 회복으로 가는 물꼬를 터야 할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 Thirty years after the democratiz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a series of trials and errors in the transition from procedural democratization to substantive democratization. During this transition,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revealed shameful demeanors tainted by anti-communist attitude, growth-oriented mind, and consumption capitalism. First, the ecumenical organization represented by the NCCK(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revealed many predicaments including the weakening in the representative force of Korean Christianity, the enforcement of conservative hegemony, the diminution of social credibility, the lack of leadership and the identity crisis. Currently NCCK is faced with certain tasks for which it needs to withdraw from the pastor-centered movement and embrace the ecumenical capacity of laymen to set up a new framework of exercise, and to develop concrete agenda for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JPIC). Second,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has been exposed to a new issue involving the emergence of civil society movement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 ordinary life of the world in connection with the evangelical social movement. There are also happening the cases where the contacting point between the ecumenical camp and the evangelical camp is getting expanded over the agenda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s, inter-Korean sharing and reform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 conservative power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and mega-churches, have been confronted by the severe criticism in the public sphere due to their commercialization of beliefs and advocacy for the privileges vested in the conservative groups. Thus, the renewal of the church became one of the first and foremost tasks for the reformation of Korean society. At present,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facing the challenge of recovering from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restoring social publicity through the renewal of the church.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에큐메니컬 운동의 침체와 활로 모색

        손승호(Son Se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가 민주화 이후 침체되어 가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NCCK가 기울인 노력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시민세력에게 안전한 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그 결과 시민사회의 보호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을 쇠퇴시켰다. 그리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 환경에 NCCK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 조직이었던 NCCK는 민주화와 동시에 내부의 힘겨루기를 연이어 경험하였다. 재정적 자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던 감리회와 장로회 통합의 영향력이 계속 확대되어 갔을 뿐 아니라 진보적이라 여겨졌던 교단들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면서 NCCK 역시 민주화 이후 보수적 색채가 강해졌다. 끊임없는 내부 갈등 속에서 NCCK가 유지해 왔던 도피성으로서의 기능도 의심을 받았다. 양심선언의 산실로서의 NCCK의 위상은 추락하였고 그 대안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급부상하였다. 기존의 인적 자원들이 시민사회의 운동 영역이나 관계로 진출하였지만 새로운 리더십은 생산되지 않았고 기존의 리더십이 재등장하면서 인적 쇄신은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경험하였다. 이런 조건들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운동의 지역화와 다양화를 추진하였지만 지역화는 실패하였으며, 다양화는 축소되고 있는 기구의 상황으로 전문성과 차별성의 약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새로운 타개책으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 양 진영의 사회선교기관들을 한 자리에 모아 함께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였지만 그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es that led to the stagnation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NCCK) after democratization and observe the efforts made by the NCCK to solve this issue.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provided a safe place for citizen groups to carry out their activities. As a result, the role of religion in protecting civil society declined. Furthermore, NCCK was unable to actively cope in a completely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NCCK, a key organization in the ecumenical movement, continuously experienced internal struggles during democratization. In the NCCK"s search for financial independenc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hich had relatively conservative leanings, continued to grow. Not only that, denominations that were considered progressive also experienced conservatization, and NCCK’s conservative undertones became stronger after democratization as well. In the midst of endless internal struggles, NCCK’s position as the refuge was questioned as well. The status of NCCK as the source of whistle-blowing broke down, and “the Citizens Coalition of Economic Justice” grew rapidly in its place. Existing personnel entered the civil movement or government area, but new leadership did not form, and the existing leadership continued to reemerge.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a vicious cycle in which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reform personnel. It was difficult to find a new way out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vement implemented reg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ut regionalization failed, and diversification stagnated, causing the decline in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due to the situation of existing organizations. As a new approach, the organization is seeking to bring social missionary agencies of the ecumenical and evangelical camps together, but progress is slow.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에큐메니컬 운동의 침체와 활로 모색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

        손승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es that led to the stagnation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NCCK) after democratization and observe the efforts made by the NCCK to solve this issue.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provided a safe place for citizen groups to carry out their activities. As a result, the role of religion in protecting civil society declined. Furthermore, NCCK was unable to actively cope in a completely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NCCK, a key organization in the ecumenical movement, continuously experienced internal struggles during democratization. In the NCCK's search for financial independenc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hich had relatively conservative leanings, continued to grow. Not only that, denominations that were considered progressive also experienced conservatization, and NCCK’s conservative undertones became stronger after democratization as well. In the midst of endless internal struggles, NCCK’s position as the refuge was questioned as well. The status of NCCK as the source of whistle-blowing broke down, and “the Citizens Coalition of Economic Justice” grew rapidly in its place. Existing personnel entered the civil movement or government area, but new leadership did not form, and the existing leadership continued to reemerge.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a vicious cycle in which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reform personnel. It was difficult to find a new way out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vement implemented reg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ut regionalization failed, and diversification stagnated, causing the decline in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due to the situation of existing organizations. As a new approach, the organization is seeking to bring social missionary agencies of the ecumenical and evangelical camps together, but progress is slow.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가 민주화 이후 침체되어 가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NCCK가 기울인 노력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시민세력에게 안전한 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그 결과 시민사회의 보호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을 쇠퇴시켰다. 그리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 환경에 NCCK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 조직이었던 NCCK는 민주화와 동시에 내부의 힘겨루기를 연이어 경험하였다. 재정적 자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던 감리회와 장로회 통합의 영향력이 계속 확대되어 갔을 뿐 아니라 진보적이라 여겨졌던 교단들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면서 NCCK 역시 민주화 이후 보수적 색채가 강해졌다. 끊임없는 내부 갈등 속에서 NCCK가 유지해 왔던 도피성으로서의 기능도 의심을 받았다. 양심선언의 산실로서의 NCCK의 위상은 추락하였고 그 대안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급부상하였다. 기존의 인적 자원들이 시민사회의 운동 영역이나 관계로 진출하였지만 새로운 리더십은 생산되지 않았고 기존의 리더십이 재등장하면서 인적 쇄신은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경험하였다. 이런 조건들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운동의 지역화와 다양화를 추진하였지만 지역화는 실패하였으며, 다양화는 축소되고 있는 기구의 상황으로 전문성과 차별성의 약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새로운 타개책으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 양 진영의 사회선교기관들을 한 자리에 모아 함께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였지만 그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선교를 위한 에큐메니컬 운동과 지역교회의 과제

        김신구 ( Kim¸ Shingu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3 神學과 宣敎 Vol.65 No.-

        이 논문은 복음의 증언으로서 선포 중심의 구두 복음 전도보다 사회적 책임의 현존적 증언에 초점을 둔 연구다.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시각에서 본다면 복음 선포, 곧 메시지에 좀 더 비중을 두겠지만, 자유주의적 에큐메니컬 신학은 창조 세계에 대한 문화위임적 책무에 좀 더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대선 이후 한국 교회에 대한 한국사회의 시선은 매우 날카로워졌고, 부정적이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는 한국 교회는 다시 내부적 공동체성 회복과 함께 한국 사회의 선교적 과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절감하는 중이다. 이에 이 논문은 지난 한국 교회의 일방적이고 선포 중심적이었던 선포적 증언이나 단순히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교회를 넘어 세상과 함께 살아가는 공생적 복음 증언이 어떤 모습과 방식을 통해 가능한지를 살핀 글이다. 언급한바 현존적 증언의 차원에서 선교적 공동체는 하나님께 보냄 받은 자신의 거점에 대한 선교적 이해로부터 어떻게 지역사회를 향해 선교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 이 뜻에서 이 논문은 먼저 지역교회와 지역 사회의 관계적 이해를 살피고, 다음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에큐메니컬적 교회 운동의 여러 사례와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그것을 분석하여 지역사회 선교를 위한 지역교회의 신학적, 실천적 과제를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정리하면,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다섯 가지 과제를 오늘날의 기독 공동체가 잘 수행한다면, 추락한 교회의 이미지를 회복함은 물론 교회의 공동체성은 점점 회복할 것이다. 나아가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선교적 교회로서 이 땅에 하나님 통치의 창조 세계 문화를 선도하는 선교적 공동체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missions are flowing in the direction of holistic missions that encompass evangelical and ecumenical movements. This view of mission is due to the fact that Jesus, who was incarnated, lived by words(evangelism) and actions(social responsibility). Because of this verbal and behavioral life of Jesus, all the universal churches on earth that are united with him must live as incarnated missional beings that embody holistic missions in various cultures and situations of the worl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ecumenical movement for community mission and the task of the local church based on the theological spirit of unity, service, mission, and integration of the ecumenical movement and the Christian theory that contains the biblical, missional, and ontological meaning of the church. First, holistic mission emphasizes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a balanced way, and evangelism and ecumenical mission theology have seen the unity of this. Therefore, this study does not talk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issional theologies, but about the ecumenical missional approach as the meaning of holisticity, which is the common point of the theological efforts of the two camps. With this understanding, Chapter II deals with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church in the theological, regional and ecological dimensions. Chapter III deals with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practical difficulties of the significance, examples, and types of ecumenical movements in the local community. Chapter IV draws the missionary and practical tasks of the local church for community mission as the core conclusion of this study. Finall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1) Theology of ecclesiology and hospitality as a missionary local church, 2) Lifelong solidarity and partnership as an incarnate local community, 3) Community service based on Koinonia theology, 4) Continuous development and cultural mission of ecumenical cultural contents, 5) Value re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local consumption movement. Especially in the pluralistic society of the glocal era, the realization of missional tasks may face many practical difficulties, but the continuous practice of holistic of the incarnated local community will bring about the gradual publicization of the whole Shalom globally.

      • KCI등재

        A THEOLOGICAL REVIEW ON THE JOINT DECLA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ARL BARTH’ DOCTRINE OF JUSTIFICATION

        AHN Ho-Jin(안호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4

        칭의론에 관한 공동선언문은 로마 카톨릭과 루터 교회 사이의 에큐메니컬 운동에 공헌하였으며,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의가 되신다”는 복음의 공통적 진리를 공유하게 된 것에 의미가 있다. 카톨릭 교회는 오직 믿음에 의한 칭의는 모든 기독교 교리 중에서 가장 주요한 조항임을 인정하였으며, 반면에 루터 교회는 칭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이며 신자의 갱신과 분리될 수 없음을 받아들였다. 본 논문에서는 만일 칼 바르트가 살아있었더라면, 그가 어떻게 공동선언문에 관해 응답 하였을지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적 칭의 교리의 관점에서 공동선언문의 신학적 적절성을 살펴볼 것이다. 바르트는 공동선언문의 에큐메니컬적 가치를 인정할 것이다. 그렇지만, 바르트는 이 선언문이 그리스도 안에서의 참여와 칭의 간의 존재론적 순서를 혼동하고 있음을 비판할 것이다. 게다가, 이 공동선언문은 종말론에 있어서 시간적 특성없이, 애매모호하게 현재적 시제의 칭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나아가, 바르트에게 있어서 공동선언문은 사도 바울의 칭의론에 있는 제의적이며 변증법적 측면을 충분히 전개하지 못하고 있다. 문자적 차원에 있어서, 공동 선언문은 루터 교회의 법적이며 실존적 칭의와 카톨릭이 말하는 신자안에 내재된 행위와 주입된 은혜에 기초한 과정으로서의 칭의를 삼위일체론적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통합하고 있다. 그러나, 바르트의 칭의에 관한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공동 선언문은 종교 개혁신학 전통에 따르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에 기초한 성서적 칭의론인지 또는 암묵적으로 카톨릭주의의 행위에 기초한 구원론을 따르는지에 있어서 타협점을 찾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저자는 공동선언문이 바르트가 추구한 그리스도 중심적 관점을 보완하여 나아갈 때에, 진정으로 성서적이고 에큐메니컬한 칭의의 관점을 제시하는 신학적 문서로 발전되리라고 기대해본다. It is meaningful that the Joint Declaration contributes to the ecumenical movement between Roman Catholics and the Lutheran Church, for they come to share the common truth of the gospel that “Christ himself is our righteousness.” Catholics admit that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s the most primary article among all Christian doctrines, whereas Lutherans concede that justification is inseparable from the renewal of believers as the work of the Triune God. On a literal level, it is by using the Trinitarian language that Lutherans’ forensic and existential view of justification and Roman Catholics’ opinion of the doctrine as process based on our merit and infused grace in us are merged into the statement. Nonetheless, on the level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e statement remains uncompromised as to whether it is in line with Christ-centered justification in the view of the Reformation, or implicitly follows merit-based soteriology in the view of Catholicism. Consequently, I would like to raise a question that if Karl Barth were alive, how he would respond to the Joint Declaration?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relevance of the Joint Declaration from the standpoint of Barth’s doctrine of justification. Barth would acknowledge the ecumenical value of the Joint Declaration. However, Barth would criticize that the statement confounds the ontological order between participation in Christ and justification. Moreover, the Joint Declaration vaguely focuses on our justification in the present tense, without temporal qualification in eschatology. Furthermore, for Barth, the statement does not fully set forth the cultic and dialectical aspect of Pauline jus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