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영환(Yeong Hwan Par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The Wheaton Conference is the challenge of ecumenical movement and the official proclamation of the stances of evangelical movement and the exhibition of plans of evangelical references in 1966. This was a response to the ecumenical absorption of IMC, which was at first evangelical up until 1958, during the 3rd WCC in 1961. 1. The Wheaton conference was a movement to challenge the ecumenism. As part of a way to challenge the ecumenical movement and make a firm stance, the motto of the evangelical movement was “It is not about heresy, enemy, sin, church,” and mentioned that evangelical movement will give up its conversations with WCC. They will proclaim the evangelical unity and consistency is affected by the pressure, the persecution and the pain caused by the ecumenism. Especially since the identity of protestantism became confused as well as at times chaotic because of the dialogue with the roman catholics and greek orthodox; something that is largely promoted by ecumenism but not welcomed by evangelicalism. The evangelical movement is strongly against the ecumenical movement only because it allows the Gospel to be deteriorated, replaced, and at extreme cases, it does not even carries the meaning of the Gospel. This tendency is a recourse of Hudson Taylor’s proclamation during the formation of IFMA in 1917. 2. The Wheaton Conference reveals the biblical stance of the evangelical movement. The difference between evangelical movement and ecumenical movement is evident. The changes happening in mission fields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movements affecting the social works shows us that the evangelical movement can no longer take a step backward when it comes to issues concerning the Gospel. The ecumenical movement limits salvation to one’s own salvific destiny which is not what the evangelical movement believes. The evangelical movement believes in the repentance led by the Holy Spirit in accordance to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 belief in the forgiveness caused by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 and the discipleship through the devotion of one’s life to the Word. The ecumenical movement solely focus on the worldly works that is need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ecumenical movement creates wastelands, according to evangelicals, and seconds the work of the salvation. Evangelical missionaries therefore, works on missions that will heads toward the salvation of people regardless of if it is less focused on social welfare. There is a belief that works of social welfare will gradually appear. However, even if the social works are less funded, the spiritual works is always given priority. 3. It is impossible to unify the two sides. The Wheaton Conference is a proof that the evangelical and ecumenical movement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foundation, hence they can never be unified. Evangelicals believe that without being born-again, there is nothing but eternal death. This is their statement. Even if there is nothing but proclamation of the Word, the spiritual aspects must come first before anything. This is where it differs from ecumenism. It only makes sense that evangelical movements feel that they are being pressured by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mission field, complain about their ongoing excursions and pressure, and acts only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of our Lord. Nevertheless, one with passion for the Gospel will take part in social welfare works, and proclaim the Gospel without worrying about ecumenism. 4.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is no need for unification between the two movements, with the approval of the biblical authority and the identity of the Gospel, there are room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movements. There is no need for ecumenism to solve the problems between the Roman Catholics and Greek orthodox. If proselytism is a problem for ecumenism, problems concerning sharing the Gospel need to be addressed. 휘튼대회는 1958년까지 함께한 IMC가 1961년 3차 WCC에 귀속됨으로써 설자리를 잃어버린 선교단체와 선교회, 개 교회와 교단선교부들이 1966년 휘튼에서 에큐메니컬 선교에 도전하고, 복음주의 선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복음주의 일치를 꾀하고자 개최되었다. 1. 휘튼대회는 반에큐메니컬 운동과 선교를 선포하였다. 복음주의 진영은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 “이단, 적, 죄악, 교회가 아니다”라는 강경한 어투를 사용하면서 반대하였으며, “WCC와의 만남과 대화도 포기”한다고까지 하였다. 또한 에큐메니컬 진영으로부터 받은 압력과 고난, 고통을 제시하면서 복음주의의 통합과 일치를 강조하였다. 특히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에큐메니컬 운동에 가입한 사건을 개신교 정체성의 혼란과 혼동을 야기한 주된 요인으로 보고, 심지어 로마가톨릭도 선교의 대상으로 보았다. 복음주의 선교가 에큐메니컬 운동을 거부하는 이유는 그 운동이 복음을 혼란, 변경, 대체 혹은 가감함으로써 복음의 정체성을 흔드는 혼합주의적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향은 1917년 IFMA를 구성할 때 허드슨 테일러의 공식적인 선언에서 발견된 내용과 일치한다. 2. 휘튼대회는 복음주의 선교의 성경적 입장을 근거로 에큐메니컬선교와 통합이 불가능하고,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컬 선교가 근원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복음주의는 선교를 성서의 권위를 근거로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회개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용서함을 믿고, 말씀의 삶을 결단하는 제자화를 강조한다. 이때 제자화란 복음주의 선교의 사회적 삶의 실천을 말한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이것을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는 개인구원, 다른 하나는 사회구원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정의하였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여러 과제 중 상황적으로 긴급한 사역에 집중하였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선교 현장을 영적 황무지를 만들고 영혼구원을 포기하는 결과를 낳았다. 반면에 복음주의는 오직 복음으로 회개한 영혼을 구원하는 활동에 집중하며, 영적 사역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사회봉사 사역이 성취된다고 보았다. 휘튼대회는 양 진영이 더 이상 연합할 필요가 없음을 입증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속적인 압력과, 선교지에서의 회유와 압박을 고통스럽게 호소하며, 오직 복음전도로 주님의 대위임령을 수행하려고 한다. 복음의 열정이 있으면 사회참여와 봉사가 이어질 것이지만, 설령 사회봉사를 실천하지 않았다고 해도 복음제시가 이루어졌다면 그것은 선교를 행한 것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에큐메니컬 선교와의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3.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노력보다 서로의 특징을 살려 독립적 선교운동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서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선교의 핵심적 동심원이다. 따라서 가운데 영역에 복음주의 선교를 놓고 그 주변 원으로 에큐메니컬 선교를 배치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시도보다 성경의 권위와 복음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배려함으로써 사역의 다양성을 전제로 서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독립적으로 할 것은 독립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복음주의 선교의 개종 문제나, 로마가톨릭과 정교회 문제는 에큐메니컬 선교에서 관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큐메니컬 선교의 개종 문제나 복음주의 선교의 복음 제시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 양 진영이 서로 논쟁하는 것은 매우 소모적이다. 오히려 복음주의 선교는 근본적으로 복음의 정체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컬 선교를 떠받치는 토대로 보는 것이 좋다. 반면에 에큐메니컬 선교는 다양한 선교 영역을 접할 수 있는 정책과 전략을 지원하며, 연합과 통합된 사역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양 진영의 사역들은 복음증거 사역을 전제로 한 영역으로 보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큐메니컬 선교는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개신교의 교리와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최종호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에큐메니컬 교회에 대한 모색과 전망”은 두 가지에 목표를 두고 있다. 하나는 ‘세계라는 집’에 대한 관심이요, 또 하나는 ‘교회’의 에큐메니컬적 실천에 있다. 다시 말하면 오늘의 세계에서 교회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고자 하는 것이다. 에큐메니컬 교회는 나누어진 교회가 획일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그 나름대로의 역사적 분열의 이유가 있었는데 억지로 하나의 단일한 교회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 자체는 교회 형성의 다양한 지체를 획일화하는 것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오늘 날도 교회가 획일적으로 되어 어떤 정치권력과 영합한다면 복음 정신이 훼손되고 나아가 교회는 사회의 정치 집단으로 변질 될 것이다. 중세 시대 로마 교회가 그랬고, 히틀러 정권 시대에 독일 국가 교회가 그랬고, 지금도 교회가 어떤 정치 세력과 타협하여 획일적으로 나타날 때, 교회의 본질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신학적 과제는 우선 특징 없는 다양한 교파들이 해체되고 어떻게 그 대신에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된 다양한 형태의 교회들이 다시 출현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성서에서 인간은 수많은 양태로 하느님을 경험한다. 이제 교파의 일치는 과거처럼 어느 특정한 교파로의 일치를 모색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시도하는 것조차 무의미한 일이다. 오히려 기존 교파들이 “해체”되고 “교파를 초월한 수많은 새로운 형태의 교회”가 탄생되어야 한다. 오늘의 ‘탈 현대주의’는 단일한 특징 없는 교회의 획일성이 해체되고 특징 있는 다양한 교회들을 요청한다. 더 이상 교회가 특징 없이 마치 모델-하우스 같은 획일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에큐메니컬의 실천적 관심은 세계와 교회의 두 축이 만나 평화로운 지구촌을 희망하게 한다. 우리는 그 희망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라는 에큐메니컬적 사고와 실천에서 기대할 수 있다고 확신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에큐메니컬적 이해는 수많은 교파로 분열된 교회뿐만 아니라 각 민족과 나라와 인종으로 나누어져 분열과 시기와 쟁투로 얼룩져 있는 세상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할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The concern of this analysis deals with resolving the exclusivity of the existing church in Korean society. Church officials suggest an open dialogue with those of different denominational beliefs. These leaders are satisfied with this “open progress” or “open conversation.” This study, however, offers an alternative suggestion to resolve the exclusivity: the existing church must become ecumenical. The ecumenical church pursues unity amidst the theological diversity for reconciliation and world peace. This church declares Jesus Christ is the hope, light, and life of the world. Because the world needs Jesus, the existing church must become ecumenical. To sustain this argument, two goals comprise this study. The first objective necessitates ascertaining a right understanding of our existing world, and the second involves understanding the ecumenical church within this world. In particular, the analysis considers the nature, character, function, purpose, and benefits of the modern ecumenical church, necessary to resolve the current exclusivity.
김치성(Kim, Chi-s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 글은 윤동주 시의 발생론적 根源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그동안 윤동주의 시 연구의 역사는 그의 고향 ‘북간도에 관한 해석의 역사’라고 할 만큼, 그의 시는 북간도와의 관계망 속에서 그 의미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북간도에 관한 일반론적인 접근만 이루어진 채, 윤동주의 북간도가 지니는 특수성과 구체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따라서 북간도를 구체화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윤동주의 북간도는 다름 아닌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윤동주 시 형성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의 풍경을 풍성하게 복원시키고자, 역사 · 신학 · 문학 등 다양한 층위에서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디아스포라의 땅인 북간도에서 그들은 놀라운 ‘사건들’을 경험한다. 그들은 ‘집단이주’를 하였고, ‘새 민족 공동체’를 구상하여 학교를 세우고 교육에 온 힘을 쏟았으며, ‘집단개종’하여 ‘평등사상’과 같은 기독교 신앙을 직접 경험한다. 둘째, 그들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이른 바 ‘에큐메니컬 정신’ : ‘화해와 일치의 평화를 지향하는 정신’을 획득하게 된다. 그래서 ‘해방이후’ 보수적인 서북 기독교의 일부 흐름과는 다른 진보적 기독교의 기원으로서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를 마침내 형성하게 된다. 셋째, 그들 공동체의 에큐메니컬 정신은 그 구성원이었던 윤동주 시세계를 구성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윤동주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의 ‘시작’과 ‘끝’에 나오는 두 시편은 모두 에큐메니컬 시세계를 형상화하고 있고, 그 ‘사이’에 놓인 시편들도 에큐메니컬 세계의 구성 요소인 ‘성찰적 주체’와 ‘역사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접근은 ‘초월/내재’, ‘보편/특수’라는 이분법적 구도 속에서 윤동주의 시를 파악하던 관행에서 탈피하여, 변증법적 위치에서 그의 시를 해석하는 새로운 독법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가 추구한 에큐메니컬 세계는 진보적 신학인 아래로부터의 신학에 근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 것에 그 의미가 있듯이, 윤동주의 시세계도 보편성을 추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보편성을 지향한 것이야말로 윤동주 시의 진정한 가치이다.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에큐메니컬을 지향하는 윤동주의 시세계가 더욱 구체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article is a study inspecting the source of development theory of Yoon Dongju’s poems. Meanwhile as much as the study history of Yoon Dongju’s poems could be said the interpretation history on Bukgando which was his hometown, his poems had made up meanings in the relational net of Bukgando. However only general approaches were done on Bukgando, the limit of not to clear up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concreteness of Yoon Dongju’s Bukgando was reveale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ncreting Bukgando. By the way, Yoon Dongju’s Bukgando in the article means just as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So, to exuberantly recover view of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this study tried whole approaches with various level such as history, theology, literature and so on.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y experienced astonishing ‘events’ in Bukgando as land of diaspora. They did ‘mass migration’, conceived ‘new ethical community’, established a school, strived for educating, did ‘mass conversion’, and directly experienced ‘christian faith’ such as ‘ideology of equality’. Second, they attained so-called ‘ecumenical spirit : the spirit to aim at the peace of reconciliation and accordance’. Thus they finally made up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as the origin of progressive christianity different from conservative west-northen christianity. Third, the ecumenical spirit of their community critically influenced to forming th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a member of that community. For example, two poems, the first poem and the last poem, in Yoon Dongju’s poem collection『Haneulgwoa Baramgwoa Byeolgwoa Si』(『Sky, Wind, Star and Poem』) embodied ecumenical poetic world. Other poems between them revealed ‘introspective subjec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components of ecumenical world apparently. These approaches will become new reading methods interpreting Yoon Dongju’s poems in dialectical position beyond the practice which grasped Yoon Dongju’s poem in dichotomous system such as ‘transcendence vs immanence’ and ‘universality vs specificity’. In other words, it was meaningful that ecumenical world aimed by the christianity community in Bukgando sought to universality based on progressive theology from the bottom, likewise the real value of Yoon Dongju’s the poetic world was to aspire for universality in the situation could not aim to universality. I anticipate that the poetic world of Yoon Dongju aiming to ecumenism will be more concreted.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장규식(Chang Kyu-Si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민주화 이후 30년은 절차적 민주화에서 실질적 민주화로 가는 시행착오의 과정이었다. 그 와중에서 한국의 개신교계는 반공주의 · 성장지상주의 · 소비자본주의에 얼룩진 부끄러운 민낯을 여실히 드러냈다. 먼저 NCCK로 대표되는 에큐메니컬 기구 활동은 교계 대표성의 축소, 보수 헤게모니의 강화, 사회적 공신력의 추락, 지도력의 공백과 정체성 위기등의 난맥상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현재 NCCK는 교단 안배 식의 목회자중심 연합운동에서 벗어나 평신도 에큐메니컬 역량을 포괄하는 방향에서 운동의 새로운 틀을 짜고, 종래의 관민 구도에서 벗어나 생명 · 평화 · 정의의 구체적 의제를 개발해야 할 과제를 앞에 두고 있다. 다음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의 경우는 생활세계의 문제를 다루는 시민운동의 부상과 복음주의 계열의 사회운동 합류라는 새로운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환경문제와 남북나눔 · 교회개혁 등의 의제를 놓고 에큐메니컬 진영과 복음주의 계열 사이에 운동의 접점을 넓혀가기도 하였다. 한편 민주화 이후 한기총으로 대표되는 보수 교권세력과 대형교회들은 신앙을 상품화하고, 수구 기득권을 옹호하는데 앞장섬으로 인해 시민사회 공론장의 신랄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그리하여 교회갱신이 한국사회 적폐청산의 우선순위로 등극하는 엄혹한 현실을 맞이하였다. 현재 한국의 개신교는 교회갱신을 통해 경제 민주화와 사회 공공성 회복으로 가는 물꼬를 터야 할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 Thirty years after the democratiz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a series of trials and errors in the transition from procedural democratization to substantive democratization. During this transition,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revealed shameful demeanors tainted by anti-communist attitude, growth-oriented mind, and consumption capitalism. First, the ecumenical organization represented by the NCCK(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revealed many predicaments including the weakening in the representative force of Korean Christianity, the enforcement of conservative hegemony, the diminution of social credibility, the lack of leadership and the identity crisis. Currently NCCK is faced with certain tasks for which it needs to withdraw from the pastor-centered movement and embrace the ecumenical capacity of laymen to set up a new framework of exercise, and to develop concrete agenda for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JPIC). Second,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has been exposed to a new issue involving the emergence of civil society movement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 ordinary life of the world in connection with the evangelical social movement. There are also happening the cases where the contacting point between the ecumenical camp and the evangelical camp is getting expanded over the agenda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s, inter-Korean sharing and reform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 conservative power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and mega-churches, have been confronted by the severe criticism in the public sphere due to their commercialization of beliefs and advocacy for the privileges vested in the conservative groups. Thus, the renewal of the church became one of the first and foremost tasks for the reformation of Korean society. At present,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facing the challenge of recovering from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restoring social publicity through the renewal of the church.
손승호(Son Se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가 민주화 이후 침체되어 가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NCCK가 기울인 노력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시민세력에게 안전한 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그 결과 시민사회의 보호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을 쇠퇴시켰다. 그리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 환경에 NCCK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 조직이었던 NCCK는 민주화와 동시에 내부의 힘겨루기를 연이어 경험하였다. 재정적 자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던 감리회와 장로회 통합의 영향력이 계속 확대되어 갔을 뿐 아니라 진보적이라 여겨졌던 교단들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면서 NCCK 역시 민주화 이후 보수적 색채가 강해졌다. 끊임없는 내부 갈등 속에서 NCCK가 유지해 왔던 도피성으로서의 기능도 의심을 받았다. 양심선언의 산실로서의 NCCK의 위상은 추락하였고 그 대안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급부상하였다. 기존의 인적 자원들이 시민사회의 운동 영역이나 관계로 진출하였지만 새로운 리더십은 생산되지 않았고 기존의 리더십이 재등장하면서 인적 쇄신은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경험하였다. 이런 조건들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운동의 지역화와 다양화를 추진하였지만 지역화는 실패하였으며, 다양화는 축소되고 있는 기구의 상황으로 전문성과 차별성의 약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새로운 타개책으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 양 진영의 사회선교기관들을 한 자리에 모아 함께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였지만 그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es that led to the stagnation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NCCK) after democratization and observe the efforts made by the NCCK to solve this issue.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provided a safe place for citizen groups to carry out their activities. As a result, the role of religion in protecting civil society declined. Furthermore, NCCK was unable to actively cope in a completely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NCCK, a key organization in the ecumenical movement, continuously experienced internal struggles during democratization. In the NCCK"s search for financial independenc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hich had relatively conservative leanings, continued to grow. Not only that, denominations that were considered progressive also experienced conservatization, and NCCK’s conservative undertones became stronger after democratization as well. In the midst of endless internal struggles, NCCK’s position as the refuge was questioned as well. The status of NCCK as the source of whistle-blowing broke down, and “the Citizens Coalition of Economic Justice” grew rapidly in its place. Existing personnel entered the civil movement or government area, but new leadership did not form, and the existing leadership continued to reemerge.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a vicious cycle in which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reform personnel. It was difficult to find a new way out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vement implemented reg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ut regionalization failed, and diversification stagnated, causing the decline in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due to the situation of existing organizations. As a new approach, the organization is seeking to bring social missionary agencies of the ecumenical and evangelical camps together, but progress is slow.
민주화 이후 에큐메니컬 운동의 침체와 활로 모색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
손승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auses that led to the stagnation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NCCK) after democratization and observe the efforts made by the NCCK to solve this issue.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provided a safe place for citizen groups to carry out their activities. As a result, the role of religion in protecting civil society declined. Furthermore, NCCK was unable to actively cope in a completely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NCCK, a key organization in the ecumenical movement, continuously experienced internal struggles during democratization. In the NCCK's search for financial independenc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hich had relatively conservative leanings, continued to grow. Not only that, denominations that were considered progressive also experienced conservatization, and NCCK’s conservative undertones became stronger after democratization as well. In the midst of endless internal struggles, NCCK’s position as the refuge was questioned as well. The status of NCCK as the source of whistle-blowing broke down, and “the Citizens Coalition of Economic Justice” grew rapidly in its place. Existing personnel entered the civil movement or government area, but new leadership did not form, and the existing leadership continued to reemerge.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a vicious cycle in which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reform personnel. It was difficult to find a new way out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vement implemented reg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ut regionalization failed, and diversification stagnated, causing the decline in professionalism and differentiation due to the situation of existing organizations. As a new approach, the organization is seeking to bring social missionary agencies of the ecumenical and evangelical camps together, but progress is slow.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가 민주화 이후 침체되어 가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NCCK가 기울인 노력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시민세력에게 안전한 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그 결과 시민사회의 보호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을 쇠퇴시켰다. 그리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회 환경에 NCCK는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 조직이었던 NCCK는 민주화와 동시에 내부의 힘겨루기를 연이어 경험하였다. 재정적 자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던 감리회와 장로회 통합의 영향력이 계속 확대되어 갔을 뿐 아니라 진보적이라 여겨졌던 교단들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면서 NCCK 역시 민주화 이후 보수적 색채가 강해졌다. 끊임없는 내부 갈등 속에서 NCCK가 유지해 왔던 도피성으로서의 기능도 의심을 받았다. 양심선언의 산실로서의 NCCK의 위상은 추락하였고 그 대안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급부상하였다. 기존의 인적 자원들이 시민사회의 운동 영역이나 관계로 진출하였지만 새로운 리더십은 생산되지 않았고 기존의 리더십이 재등장하면서 인적 쇄신은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을 경험하였다. 이런 조건들 속에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운동의 지역화와 다양화를 추진하였지만 지역화는 실패하였으며, 다양화는 축소되고 있는 기구의 상황으로 전문성과 차별성의 약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새로운 타개책으로 에큐메니컬과 복음주의 양 진영의 사회선교기관들을 한 자리에 모아 함께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였지만 그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예수교장로회 조선총회 100년을 돌아보며 : 한국장로교회와 사회봉사 기독교연합봉사회를 중심으로
연규홍 ( Kyu Hong Yeon ) 한국장로교신학회 2012 장로교회와 신학 Vol.9 No.-
한국 장로교회는 초창기 선교부터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장로교 전통을 공유하는 한국 장로교회는 다른 교파에서 선교사들과 합동하여 성서번역, 기독교 문서 출판, 기독교 교육관 운영 등 연합운동을 통해 사회 봉사에 앞장섰다. 이와 같은 사회 봉사 전통은 1945년 일제 식민지로부터의 해방 이후 농촌 재건과 복지 선교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장로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로서 1949년에 설립된 한국 기독교 연합 봉사회(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기독교 연합 봉사회는 해방 이후 최초의 에큐메니컬한 사회 봉사 기관이라는 것과 둘째, 시대적 과제인 농촌 재건과 발전에 주력했다는 것과 셋째, 한국 교회 초기의 사회 복지적 봉사의 영역을 발전적으로 확장하였다는것을 밝혔다. 따라서 해방 이후 기독교 연합 봉사회의 농촌 사업과 다양한 사회 봉사적 노력은 오늘날 한국 장로교의 새로운 사회 봉사 구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전거가 되는 것이다.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as been done actively social services from the beginning. Presbyterian of Korea which shares the tradition of Presbyterian Church has worked for social service through the union movement. It led translation of the Bible, publishing of Christian documents, and running of education institutes with many missionaries from other denominations. After 1945, liberation from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radition of Korean Church`s social service developed into rural reconstruction and social welfare mission. This paper focuses on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UCSC) which was established in 1949. This study was designated as a micro-historical study on social services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was the first ecumenical social service institution. Second, UCSC devoted itself to rural reconstruction which was one of main challenges in those days. Last, UCSC expanded the areas of social welfare mission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Church. Therefore, UCSC`s rural reconstruction and a variety of efforts for social service are the important conferences to making plans for today`s social service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as been done actively social services from the beginning. Presbyterian of Korea which shares the tradition of Presbyterian Church has worked for social service through the union movement. It led translation of the Bible, publishing of Christian documents, and running of education institutes with many missionaries from other denominations. After 1945, liberation from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radition of Korean Church`s social service developed into rural reconstruction and social welfare mission. This paper focuses on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UCSC) which was established in 1949. This study was designated as a micro-historical study on social services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Union Christian Service Center was the first ecumenical social service institution. Second, UCSC devoted itself to rural reconstruction which was one of main challenges in those days. Last, UCSC expanded the areas of social welfare mission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Church. Therefore, UCSC`s rural reconstruction and a variety of efforts for social service are the important conferences to making plans for today`s social service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박형진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ausann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pentance,' the very first message of Jesus Christ's earthly ministry (Mark 1:15) and his last great commission to spread (Luke 24:47). The Lausanne Movement, which began under the banner of world evangelization, created the Lausanne Covenant,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 Town Commitment through the 1st, 2nd, and 3rd global gatherings, respectively, and expressed the sprit of the Lausanne within these major documents.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call for 'repentance' and self-examination in these three major documents are surveyed. Also, reflections on repentance appearing in some LOP documents are examined. Looking at the Lausanne's slogan of "The Whole Gospel, the Whole Church, and the Whole World," the contents of the repentance are reflected as follows: as for the Whole Gospel, the reduc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gospel while emphasizing the bold proclamation of the uniqueness and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he absence of a prophetic calling,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gospel proclamation and the life up to that; as for the Whole Church, the divisions of the church, the absence of the discipleship and unity, the inward-oriented, clergy-centered, and male-dominated church culture, idolizing church leaders, superior attitude of the Western church and Western theology,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the global church, and the secular tendency of the church; as for the Whole World, condemning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and other religion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issues in the world and trying to judge and condemn it, the lack of missionary outreach to the unreached peoples, and the indifference to the created world. The Lausanne Movement, emphasizing the priority of evangelism, began in Lausanne, Switzerland, has expanded its influence to the non-Western world as it has been held in Manila, Philippines, and in Cape Town, South Africa. In this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xt of gospel witnessing and missions was also expanded, and the conscious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was also heightened. This phenomenon can be said to be a glocal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lobal (the vision of world evangelization) and the local (unique and diverse cultures and religions) of today's World Christianity. Some see these changes in Lausanne as an influence from the ecumenical camp and a weakening of the 'priority of evangel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the early Lausanne spirit. However,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is trend of the Lausanne Movement stemmed from a bitter contrition on the result of not bearing the full fruit of the gospel witnessing as Christians failed to show the true disciples of Christ in spite of their evangelism efforts. This can be confirmed when we see that the spirit of repentance and reflection is melted here and there in the Lausanne documents. The Lausanne Movement is a repentance movement of the evangelical camp that failed to live up to the true discipleship beyond evangelism. This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current Lausanne Movem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usanne Movement as a repentance movement is 1) a movement that practices true discipleship, 2) a movement that pursues a sound theological balance, and 3) a movement that acts as a double-edged sword for both the ecumenical camp and the evangelical camp. 이 논문의 취지는 로잔운동을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사역의 첫 메시지인 ‘회개’하라는 것(막 1:15)과 그의 마지막 지상명령인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전파로 이어질 것(눅 24:47)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세계복음화를 기치로 시작된 로잔운동은 1차, 2차, 3차 세계대회를 거치면서 각각 로잔언약, 마닐라선언, 케이프타운서약이라는 문건을 창출하고 그 안에 로잔정신을 표명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로잔의 이러한 주요 3대 문건 속에서 ‘회개’에 대한 촉구와 자성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몇몇 LOP 문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회개에 대한 성찰들도 살펴보았다. “온전한 복음을 온 교회가 온 세상”에 전파한다는 로잔의 건에서 살펴볼 때, 온전한 복음에 대해서는 복음의 의미와 내용을너무 축소한 부분,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주되심에 대한 담대한 선포 및 예언자적 소명의 부재, 복음과 삶의 불일치 등을 꼽을 수 있다. 온 교회에 대해서는 교회의 분열에 대한 통렬한 반성 및 연합의 제자도 부재, 내부지향적, 성직자 중심적, 남성위주의 교회문화, 지도자에 대한 우상화, 특히 서구교회와 서구신학의 한계, 지구촌 교회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부족, 교회의 세속화적 경향 등이 지적되고 있다. 온 세상에 대해서는 타문화와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 세상을 사랑으로 품지 못하고 판단하고 정죄하려는 태도, 미전도종족에 대한 선교사명의 부족, 피조세계에 대한 무관심 등에 대한 회개를 천명하고 있다. 전도의 우선성을 강조하며 스위스 로잔에서 시작된 로잔운동은 필리핀 마닐라, 그리고 남아공의 케이프타운에서 글로벌 상징성을 갖고 개최되어 오면서 그 영향력이 비서구세계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복음증거와 선교의 맥락 또한 확장되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 또한 고조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의 지구촌기독교(World Christianity)가 보여주는 글로벌 (세계 복음화의 비전)과 로컬(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조우 속에서 나타나는 글로컬(glocal) 현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일부에서는 로잔의 이러한 변화들이 에큐메니컬진영으로부터 받은 영향력이며 초기의 로잔정신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전도의 우선성’이 약화된 양상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이러한 로잔운동의 추이는 단지 복음을 전도하는데서 그치고 진정어린 삶으로 그리스도의 제자됨을 보여주지 못하여 결국 복음증거의 온전한 열매를 맺지 못한 결과에 대한 통렬한 반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이는 회개와 성찰의 정신이 로잔문건들 곳곳에 묻어있음을 볼 때 확인할 수 있다. 로잔운동은 복음전도를 넘어 참된 제자도를 구현하지 못한 복음주의권의 회개운동이다. 이것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로잔운동의 성격을 규명해준다. 회개운동으로서의 로잔운동은 1) 참된 제자도 의 실천운동이며, 2) 온전한 신학적 균형을 추구하는 운동이며, 3) 에큐메니컬진영과 복음주의진영 모두에게 양날의 칼로서 작용하는 운동으로 결론 내려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