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얽힘 이론과 동맹의 안보 딜레마 : 한미동맹 사례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7 국가안보와 전략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re contents of entanglement theory in terms of comparison with Glenn Snyder's alliance security dilemma and to criticize main logic of entanglement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eory of entanglement is problematic in the following points: the minimization of entrapment concept, member states' asymmetric positions against entrapment, and Lippmann Gap arising from the extension of national interests. In the context of the ROK-U.S. alliance, ROK has periodically experienced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of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accordance with United States' alliance policy and changing security circumstances. In some cases, regardless of the nation's unique security benefits, ROK has been involved in a situation of entrapment due to strength ROK-U.S. alliance. The typical case is the Korea's second dispatch troops to Iraq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is case is the situation of entrapment, not entanglement in the context of alliance security dilemma. Therefore, ROK should be made for alliance management strategy to avoid another situation of entrapment and to make more desirable ROK-U.S. alliance.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관련하여 군사적 연루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얽힘에도 불구하고 연루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얽힘 이론은 포기와 연루로 상징되는동맹 딜레마 모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얽힘 이론은 비대칭동맹의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에 얽힘의 논리를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앞에서 분석했듯이, 얽힘 이론은 연루 개념의 극소화, 연루에 대해 회원국이 마련하는 대비책의 비대칭성, 그리고 국가이익의 확장성문제를 제대로 분석해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의 비대칭 한미동맹에서 한국은 안보 상황에 따라 포기와연루의 동맹 딜레마에 주기적으로 노출되어 왔고,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의 고유한안보이익과는 별개로 한미동맹 강화를 위해서라도 미국의 정책 입장에 동조하여연루의 상황에 빠져 들어가는 정책을 취해 왔다. 노무현 정부에서 있었던 제2차이라크 파병이 그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노무현 정부가 제2차 이라크 파병에나서게 된 궁극적 배경도 다름 아닌 동맹 강화의 논리가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모든 비대칭동맹에서 동맹 회원국가들 간에는 구조적으로 갈등이 내재되어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어 왔다. 동맹국가들 간에 나타나는 동맹갈등은 동맹 결속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라기보다는 회원국 고유의 차별적안보이익이 상호작용하는 불가피한 현상이자 자연스러운 과정인 것이다. 지난냉전시대 유럽의 안정과 안보, 그리고 지속적인 번영의 주춧돌이 되어 왔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발자취는 한마디로 동맹 갈등의 역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오늘날까지 그 어느 동맹보다도 성공적인 다자동맹으로남아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 국가들은 동맹 강화의 논리가아니라 미국과 유럽의 안보가 연계되어 있다는 안보적 유대감에 따라 동맹을유지⋅관리해 나가야겠다는 동맹관리전략이 더 중시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및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상황을 전망했을 경우, 한미동맹의 존재와역할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특히, 한미동맹이 미래 보다 튼튼하고건강한 동맹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동맹 강화보다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을 점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동맹을 유지⋅관리해 나갈 수 있는 체계적이고종합적인 동맹관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이 아무리 엄중하더라도 우리의 습관과 관성에 따라 동맹 강화의 논리만을 강조한다면, 동맹에대한 우리의 안보적 의존 심리는 더욱 강화되어 우리 스스로 동맹 딜레마를관리해나갈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문학예술의 초월적 시공간

        吳台錫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5 No.-

        This paper is the third article of the project named "Expression of Transcendental space-time in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s and Arts". The first is "Perspectives of Time and Space in Western scientific philosophy"(2018), and the second is "Interpretation of scientific philosophy on East Asian view of Space-time"(2019). Chapter One of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s of entanglement, locality, flexibility, and probability in terms of space-time in contemporary physics based o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Quantum Physics. This chapter mainly reinterprets the correlation of the view of the world between The Book of Change, Taoism, and Buddhism thoughts and Modern Physics. Specially, this discussion focuses on Hidden variable theory of David Bohm and Loop quantum gravity theory of Lee Smolin and Carlo Rovelli. Chapter Two examines transcendence of space and time in Chinese poetry and novels. Chinese poetry has developed not only its metaphoric transcendental feelings from resonance with nature-friendly Chinese culture but also the distinctive usages of aesthetical tunes and meanings of an Chinese language Hanzi. In Chinese novel, it has a distinguishing remark of communication with real world and potential world. I infer that it is very similar to Laozi's parallel view of the world, i.e. the phenomenal world[有, 可道] and the potential world[無, 常道]. The potential possible world could be connected with the real world through the law of cause and effect of sympathy or ethical motivation. I think this is similar to David Bohm's hypothesis of explicate order and implicate order in Humanistic viewpoint. In Chinese novel the potential world is a hidden possibilities in the real world. The characters of these two worlds lead to the ending from cause and effect on the situation of entanglement. Chapter Three explains the meaning of space-time re-arrangement in Chinese paintings. Chinese paintings prefer the representation of mental eye to the visual world. So the Chinese landscape painters like to express his mind with omission, rearrangement, refraction of objects, which are not the same as the perspective and chiaroscuro in Western paintings. The great writer Su Shi(蘇軾) in Song Dynasty created the genre of Literati painting, which was an embodiment of author's soul about the World. In his paintings, there is an core concept of invisible world that is called Wu(無) or Kong(空) in East Asian thoughts such as Taoism and Buddhism; therefore, Su Shi used a black-and white drawing(水墨畵) and preferred negative space in his paintings. The paradoxical transcendental route to Everlasting Truth(常理), I think, this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in Chinese and East Asian paintings from Western ones. Concerning the transcendence of space and time of East Asian thoughts, literature and art, we can finally say that there are significant points of contact in terms of the perspective approach of the world between East Asian thoughts containing the literary art and modern physics including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Quantum Physics, despite their definitely different origins. 이글은 '동아시아 전통사유와 문예의 초월적 시공간 표상'이라는 동아시아 시공간 관련 기획의 세 번째 논문이다. 제1편 <서구 과학철학의 시간과 공간론>(2018), 제2편 <동아시아 시공간의 과학철학적 독법>(2019)에 이어, 본고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문학과 회화의 시공간 표상의 특징과 의미를 데이비드 봄 ‘숨은변수이론’과 ‘루프양자중력 이론’의 시공간 이해를 과학철학적으로 재해석했다. 제1장은 먼저 20세기 현대물리학의 시공간 개념을 개관하였다. 그것은 중력에 의한 상호 관계적 얽힘 가운데 국지성·가변성·확률성의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동아시아 주역, 노장, 불교와 현대물리학 간의 접점적 해석 부분들을 예시 논증했다. 제2,3장은 중국시와 소설 및 회화에 나타난 시공간의 초월적 양상과 의미를 고찰했다. 중국시에서는 세계와 자연에 대한 시인의 특이점적 깨침으로서의 합일, 정경교융의 심미적 공명, 또는 울분과 분만의 자기 정화 등으로 구현된 시공간적 초월의 의미를 논했다. 중국소설에서는 다중세계적 잠재계가 현상계에 대한 은장된 가능성의 세계로서, 이 두 세계의 주인공들이 상호 얽힘 가운데 현상계에 대한 상상 여행의 양상들을 보았다. 선과 여백, 상호 관계성을 중시하는 다중 초점의 중국화는 사물로서의 대상과 마음의 만남의 주관적 표현 장치로서 공간의 자유로운 생략, 재배치, 굴절을 통한 동적 세계인 작가의 세계정신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또 무의 심미를 확장해 傳神과 여백미, 무색의 문인 수묵화의 발전, 허와 실의 비구분적 경계, 이에 근거한 공간 재배치 등 다양한 방식의 융화와 초월적 표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동아시아 회화의 특징은 ①작가 정신의 寫意적 표현, ②2차원 캔버스에서 세계에 대한 동적 관찰로서의 散點 투시, ③유가 아닌 무색의 수묵화, ④여백의 의미 부여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문학예술의 초월적 시공간 표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고찰은, 현대물리학의 시공간 개념으로 제기된 특성으로서의 비국소성, 상호 얽힘, 시공간의 탄력성과 양행적 세계이해의 시선을 공유한다. 물론 현대물리학과 동아시아 고전사유의 두 분야가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보듯이 세계에 대한 관점 공유와 해석학적 접점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향후 확장과 심화연구의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주역≫철학사상과 양자역학 철학적개념의 유사성 고찰 -≪주역≫철학사상의 과학성 傍證-

        최송현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9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hilosophy of Yijing in terms of quantum physics to corroborat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Yijing, and to establish standards of conducting research from an active and pluralistic perspective for changing perceptions toward Yijing by discussing the lessons learned from research about modern science and quantum physics. Yijing symbolizes the principle of change in everything in the universe with “Image・Language・Stroke・Number” and classify them into 64 categories, so i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Physics is the foundation of modern science, observing types of components in the universe and its kinetic energy. The two studies have different backgrounds and approaches but have similar ultimate goals and the nature of philosophical idea. For example, quantum physics proposed theories of “quantum jump, uncertainty and complementarity principle and quantum entanglement” based on the Big Bang theory that ‘if something don't move, it extinct’. Similarly, the meaning of “if there is a place to go, it is beneficial” in Yijing is the same concept as the “kinetic energy” in quantum physics. That is, Yijing and quantum physics are scientific theories with a common nature in that they share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movement (chang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cases until recently in the institutional and social leadership of the East that devalue the philosophy of Yijing as “intuitive and unscientific fortune-telling.” However, in Western Europe,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recognize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in Yijing and overcome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modern science through Yijing.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similar philosophical concepts between Yijing and quantum physics, and establish a framework for proving scientific characteristics, changing perception, and prompting research of Yijing based on the lessons learned from research about modern science and quantum physics. 본 소고(小考)는 ≪주역≫의 철학사상과 양자역학 철학적 개념의 유사성을 연구하여 ≪주역≫ 철학사상의 ‘과학성’을 방증하고, 현대과학과 양자역학의 연구 현황을 통해 얻은 교훈을 근거로 ≪주역≫ 철학사상에 대한 인식 태도의 전환과 활발하고 다원적인 관점의 연구 활동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주역≫은 우주 만물을 象・辭・爻・數에 부호모형의 64괘로 ‘取象比類’하고 학문의 각 분야에서 64괘의 연구를 하고 있다. 물리학(physics)은 현대과학의 근본으로 우주 만물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의 유형과 운동에너지를 관찰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역≫과 양자역학 연구는 출발 시점의 時・空間과 접근방법은 달리하고 있으나, 연구의 궁극적 지향점과 담겨있는 철학적 사고의 본질은 유사하다. 양자역학은 원자핵(+) 주변을 움직이는 전자(-)와 중성자의 위치나 운동량을 관찰하고 그들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양자도약, 불확정성과 상보성, 양자얽힘’ 등의 이론을 발표하였다. ≪주역≫ 철학사상에 ‘갈 곳이 있으면 이롭다’라는 변화에 의한 ‘항상 됨’의 의미는, 양자역학의 ‘운동에너지’와 같은 理致이다. ≪주역≫의 철학사상과 양자역학의 철학적 개념은 ‘운동 즉 변화’라는 공통의 본성을 지닌 과학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동양의 제도권이나 사회 지도층에서는 ≪주역≫ 철학사상을 ‘직관적이며 비과학적인 점술’로 평가 절하하는 사례가 최근에도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도 과학 종주국인 서구에서는≪주역≫ 철학사상의 본질 속에 담겨있는 ‘과학성’을 인정하고 자연과학의 한계와 문제점을 ≪주역≫ 철학사상의 연구를 통해 극복하고 보완해 가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본 소고는 ≪주역≫ 철학사상과 양자역학의 철학적 개념이 유사함을 고찰하고 양자역학 연구 현황분석에서 얻은 교훈을 거울삼아 ≪주역≫ 철학사상의 ‘과학성 방증, 인식의 전환, 연구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코자 한다.

      • KCI등재

        2-계수 양자상태의 양자얽힘 분석

        배준우,Bae, Joonwoo 한국광학회 2018 한국광학회지 Vol.29 No.2

        In this work, we derive a general lower bound to concurrence of an arbitrary mixture of two pure states, that is, rank-two multipartite quantum states. We show that the lower bound can tightly detect entanglement of rank-two states, and also can be implemented experimentally with present-day technologies, i.e. single-copy level measurement and classical post-processing. 본 논문에서는 양자시스템이 두 순수상태가 임의대로 혼합된 상태, 즉 2-계수 양자상태, 에 존재할 때 시스템이 포함하는 양자얽힘의 일반적인 하한값을 유도하고 양자얽힘검증 및 양자상태 분리가능성 판별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0과 1의 해석학-수학, 디지털 및 양자정보, 그리고 주역과 노장

        오태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This paper mainly put emphasis on the concept of ‘ambiguity’ and ‘ambivalence’, not on‘clarity’ in regard to information theory. The specific contents are about the humanistic implies ofthe numbers ‘0 and 1’. I describe it into three parts as follows: ① Many interpretations ofhumanistic math about ‘0 and 1’ which could be extended to the circle and wave in TaiJI(太極)and its center line and its augural meaning of differential equation; probability; set in regard toGeorge Cantor’s diagonal argument; and exponential function and log function which are related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bit. ② A comparison of information theory about ‘0 and 1’ indigital computer’s bit with quantum computer’s qbit. ③ Mathematical semiotics of Yin and Yangin Book of Change(Yi-Jing), and Laozhuang’s view of ‘liangxing(兩行)’, i.e. going two-wayssimultaneously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theory. In this paper I maintain 3 points as follows: ⓐ Similarity of ambivalence(兩價性) between 0that includes nothing and infinity and concept of ‘Wu’(無) in Laozi(老子). ⓑ digital computer’soperating system is alternative algorithm i.e. {0/1}. Meanwhile quantum computer is simultaneouslyambivalent taking algorithm i.e. {0&1}, which is based on quantum superposition and quantumentanglement. In other words, digital computer is based on the way of optional choice, andquantum computer runs in two different ways simultaneously. I think quantum computer’s operatingsystem is much similar to the process of “Yang from Yin(陰中陽)” and “Yin from Yang(陽中陰)”in YiJing(易經), which is operated in intrinsically mutual complementary way. ⓒ For hundreds ofyears Western thoughts made much of rational clarity, and in result the thoughts of ambivalence’(兩價性) in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neglected relatively. I think from the impact of Einstein’s Relative Theories and Quantum Mechanics in earlydecades of 20th century, people start ringing that rational clarity is not always superior toambivalence and ambiguity, especially in modern scienc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atter of26 中國文學 第97輯humanistic implies about ‘0 and 1’ especially from information theory. And I would like to evokethe changing situation in recent recognition on ‘ambiguity’ or ‘ambivalence’, unlike past centuries. 본고 〈0과 1의 해석학〉은 ‘0과 1’의 다양한 인문수학적 함의, 이 숫자들에 기초한 디지털컴퓨터와 양자컴퓨터의 구동방식의 비교, 그리고 주역 음양론과 노장 세계인식의 중요한 특징으로서의 양가성(兩價性)과 양행의 독법을 정보이론의 관점에서 풀어 해석하고자 했다. 제2장에서는 ‘0과 1’의 의미를 0의 양가성, 원과 파동, 확률, 집합론, 그리고 지수⋅로그(log)의 정보 단위로서의 bit와의 관련성 등을 인문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0과 1의 선택(0/1)에 기초한 디지털컴퓨터와, 양자역학의 기본 속성인 양자중첩에 기초해 0과 1을 동시에취하는(0&1) 양자컴퓨터의 알고리즘 구동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어 행할 주역 및 노장사유와의 상호 관련성을 가늠할 기초 자료로 삼았다. 제4장에서는 음과 양 혹은 0과 1의 이진법으로 운용되는 동아시아 주역 음양기호학의 괘의 확장과 전개가 방식으로 구동되며, 동시에 0과 1이 복희육십사괘도에서 보듯이 ‘음중양,양중음’의 내적 상관성 속에 움직이는 점, 그리고 노장이 공히 인식한 상도(常道)적 잠재계와가도(可道)적 현상계, 그리고 이 둘의 양면 구동인 양행(兩行) 병작(並作)의 사유가 양자택일적 디지털 컴퓨터보다는 양자컴퓨터와 더 근접함을 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서구 르네상스 이후 전개된 근대이성 중심의 세속주의(secularism) 및데카르트와 뉴턴 이래 가속화한 분과주의 및 기계론적 이분법의 독점적 지배가 20세기초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장기간 홀시되었던 동아시아 사유의 이중성과 모호성의 양가(兩價)⋅양행(兩行)의 사유가 새로운 조명을 받을 충분한 시점에 이르렀다고논증하였다.

      • KCI등재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이수한(Soohan Lee),소경희(Kyunghee S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4

        The transition into posthuman era has called for the departure from humanist and representational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provide specific tools to explore educational phenomena. Actor-Network Theory (ANT) has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focuses on various socio-material phenomena emerging as effects of more-than-human entanglements.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s of analyzing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ANT as one of posthuman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o examine the key issues of utilizing it. This article names ANT-ish approaches to analyzing (educational) heterogeneous phenomena as ‘assembling’ and discusses the ‘post-critical’ aspects and the major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ch approaches. Next, it examines the following issu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educational) qualitative researcher’ utilizing ANT; researchers’ positionality, ways of data analysis and writing, and validity of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the directions are suggested for developing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orking in practice) to delve into the complexities, dynamics, and ambivalences of certain educational phenomena.

      • KCI등재

        예정과 인간 의지의 양립 가능성에 관한 소고

        이진민,신문철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4 영산신학저널 Vol.68 No.-

        본 연구는 구원론적 관점에서의 예정과 인간 의지의 양립 가능성을 양자물리학이 발견한 원리들과 연관 지어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역사적으로 예정과인간 의지에 관한 성경의 계시를 탐구함에 있어서, 인간은 차원에 대한 인식의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왔다. 하지만, 20세기 현대과학의 발전 과정에서 그 인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세계의 원리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전 물리학의기계론적이고 예측가능한 접근과 대비되는 개념들로 현대 물리학은 불확정성, 예측할 수 없는 현상, 생물학적 시스템의 복잡성, 그리고 우연과 통계적 상호작용을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창조 세계가 다차원적으로 상호 연결된 동적 체계임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도 신학적 사고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써, 다시 말해 고전 물리학적 사고 안에서 예정과 인간 의지를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속속들이 발견되고 있는 창조 세계의 새로운 원리들은 전통적인 신학적 관점의 차이들이 가져온 무지로 인한 것이었음을 조심스럽게 이야기해주는 것 같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mpatibility between predestination and human will from a soteriological point of view in connection with the principles discovered by quantum physics. Historically, in exploring the biblical revelation concerning predestination and human will, humans have fai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erception regarding dimensions. However, in the course of modern scientific progress in the 20th century, principles of the created world which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at perception are being discovered. Contrasting concepts with the mechanistic and predictable approaches of classical physics, modern physics emphasizes that God’s created world is a dynamic system interconnected in multiple dimensions by emphasizing uncertainty, unpredictable phenomena, the complexity of biological systems, and coincidences and statistical interaction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ological thinking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 and effect, that is, understanding predestination and human will within classical physical thinking. However, the newly discovered principles of the created world seem to cautiously reveal that the ignorance brought about by the differences in traditional theological perspectives was due to those differences. In order to narrow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redestination and human will, this study first discusses independence and compatibility between the high-dimensional act of predestination and the low-dimensional event of human will,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created world. Second, an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ity between dimensions argues that each act has its legitimacy while being connected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ird, it is argued that Jesus Christ is connected to the dimensional heterogeneity of these two actions within the principle of quantum physical overlap and entanglement. As a result, the controversial matter of theology, the preordained action of the sovereign transcendent God, and the act of the finite human will, are no longer opposing actions, and is caused by the ignorance of humans to the principles of the created world. So it is an event that is bound to be justified at each level,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God has spoken to humans within the principles of his created world.

      • KCI등재
      • KCI등재

        0과 1의 해석학 ―수학, 디지털 및 양자정보, 그리고 주역과 노장

        오태석 ( Oh Tae-su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This paper mainly put emphasis on the concept of ‘ambiguity’ and ‘ambivalence’, not on ‘clarity’ in regard to information theory. The specific contents are about the humanistic implies of the numbers ‘0 and 1’. I describe it into three parts as follows: ① Many interpretations of humanistic math about ‘0 and 1’ which could be extended to the circle and wave in TaiJI(太極) and its center line and its augural meaning of differential equation; probability; set in regard to George Cantor’s diagonal argument; and exponential function and log function which are related 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bit. ② A comparison of information theory about ‘0 and 1’ in digital computer’s bit with quantum computer’s qbit. ③ Mathematical semiotics of Yin and Yang in Book of Change(Yi-Jing), and Laozhuang’s view of ‘liangxing(兩行)’, i.e. going two-ways simultaneously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theory. In this paper I maintain 3 points as follows: ⓐ Similarity of ambivalence(兩價性) between 0 that includes nothing and infinity and concept of ‘Wu’(無) in Laozi(老子). ⓑ digital computer’s operating system is alternative algorithm i.e. {0/1}. Meanwhile quantum computer is simultaneously ambivalent taking algorithm i.e. {0&1}, which is based on quantum superposition and quantum entanglement. In other words, digital computer is based on the way of optional choice, and quantum computer runs in two different ways simultaneously. I think quantum computer’s operating system is much similar to the process of “Yang from Yin(陰中陽)” and “Yin from Yang(陽中陰)” in YiJing(易經), which is operated in intrinsically mutual complementary way. ⓒ For hundreds of years Western thoughts made much of rational clarity, and in result the thoughts of ambivalence’ (兩價性) in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neglected relatively. I think from the impact of Einstein’s Relative Theories and Quantum Mechanics in early decades of 20th century, people start ringing that rational clarity is not always superior to ambivalence and ambiguity, especially in modern scienc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atter of humanistic implies about ‘0 and 1’ especially from information theory. And I would like to evoke the changing situation in recent recognition on ‘ambiguity’ or ‘ambivalence’, unlike past cent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